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대전 녹색나노융합클러스터 육성 전략 대전발전연구원-STEPI
2
목 차 대전녹색혁신 역량 및 혁신주체 녹색나노융합 클러스터 조성 필요성 대전 녹색나노융합 클러스터 현황 및 육성전략
3
1 대전 녹색혁신역량 및 혁신주체
4
대전의 녹색혁신 역량 : 지역녹색혁신지수(STEPI)
부 문 항목 평가지표 대전 수준 순위 지역녹색 혁신 잠재력 녹색인적자원 총 녹색 연구원수(지역인구 천명당) High 1위 박사 녹색 연구원 수(지역인구 천명당) 녹색조직자원 그린 이노비즈 기업 수(지역인구 십만명당) ISO 인증기업 수(지역인구 만명당) 혁신기업비율 (지역전체 제조업의 %) 녹색지식자원 최근 10년 간 녹색기술관련 특허 등록수(지역인구 천명당) 혁신노력과 의지 녹색연구개발 녹색연구개발투자총액 (지역인구 일인당 및 GRDP당) 3위 녹색연구개발 투자액 중 지방비 비율 녹색자원과 노력 녹색성장 법규 및 거버넌스 Medium 녹색혁신 지원제도 녹색시민참여 시민참여 지원제도 환경보호 시민노력 혁신성과 녹색경제성과 녹색산업 생산액(지역인구 일인당 및 GRD당) Low 녹색산업 부가가치 창출액(지역인구 일인당 및 GRDP당) 녹색산업 종사자수(지역인구 천명당) 녹색지식성과 최근 1년 녹색기술관련 특허 등록수(지역인구 만명당) 최근 1년 녹색기술 관련 논문 성과수(지역인구 만명당) 환경 에너지 성과 CO2 배출량(총배출량, 지역인구 일인당 및 GRDP당) 오염물질(NO2,SO2,먼지) 배출량( “ ) 최종에너지 소비량( “ )
5
대전의 녹색혁신 역량 특성 녹색연구개발통한 지식창출 활동에 특화 - 녹색연구개발주체 및 기관 밀집
- 녹색연구인력, 박사인력 집약 - 특허, 논문 등 녹색연구성과 혁신기업의 비중은 높으나 실제 경제성과 산출은 미약 - 그린 이노비즈, 혁신기업 비중 높음 - 녹색산업생산액, 부가가치창출액, 종사자 낮음 녹색혁신 의지 및 사회적 자본 낮음 - 녹색혁신지원 및 거버넌스 미흡 - 시민참여 등 사회적 자본 미흡 환경/에너지 성과 높아 생태도시 잠재력 보유 녹색연구개발 역량과 성과를 사업화로 연계시킴으로써 녹색기술개발과 신산업 창출에 특화한 녹색혁신클러스터화 전략 방향
6
대전의 녹색연구개발 관련 자원 : 공공연구부문
기술 부문 에너지원 및 신재생 온실가스저감 및 배출억제 에너지 및 자원 효율성제고 출연연 연료전지, 에너지소재,폐기물에너지, 태양광,청정화석연료 제로솔라하우스 태양/연료전지 촉매분해공정, 바이오부탄올, 메탄올 제조기술 청정대용량지하수자원 CO2 포집 및 저장 폐자원활용 태양광, 태양전지, 무전원SoC 에너지 절감 IT기술, 그린컴퓨팅, 저탄소형 온라인인프라 플라즈마 융합자원 환경기술,친환경 저탄소엔진 광전 에너지 고효율기술 온실가스배출량저감, 차세대 원자력 감시시스템 오존, VOC측정 등 유해성분 측정 등 바이오매스 녹색에너지 유용유전자 에너지원기술(input), 고효율화기술(process), 사후처리기술 (by-product) 등 녹색기술 전 분야를 포괄 / 원천기술 공급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
7
신재생, (바이오)에너지, 라이프케어 소재 등 분야
대전의 녹색산업 : 민간부문 녹색산업 선도기업 웅진에너지 : 태양전지 원료생산 2012년까지 2,193억원 투자 에스에너지 : 태양광 모듈생산 * 900억대 매출 대만 판짓 그룹: 태양광 전지 모듈 케이에너지 : 화학연 연구소기업 한라공조 : 그린카 관련 라이프케어소재 관련 기업 유니레버코리아, 애경산업, 코오롱 제약, 한올제약 등 신재생에너지 기업 태양열/태양광 관련 풍력 연료전지 에너지효율화 기업 다이오드 및 유사반도체소자제조업 전동기 및 발전기제조업 나노-바이오 소재 기업 바이오 및 나노소재 관련 기업 라이프케어 소재 관련 기타 환경처리 및 관리기업 민간연구기관 두산 중공업 기술연구원 LG화학 연구원 SK 에너지 연구센터 GS 칼텍스 중앙연구소 원자력발전기술원 신재생, (바이오)에너지, 라이프케어 소재 등 분야
8
자료: 이윤준(2010), 녹색클러스터 육성전략, STEPI-대전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특허분석 통한 녹색기술 역량 : 특허출원 주체 <녹색기술별 특허출원 주체-대전> 특허출원 주체중 기업의 비중이 상당히 낮음(60%) -전국 평균 기업 비중은 80% -그린카분야를 제외하면 대전지역 내 기업 특허 비중은 19% 정도 공공기관 중심 클러스터 전략 바람직 공공기관 비중이 높으며 기업체 비중이 어느정도 받쳐주는 분야 -바이오메스, 연료전지, 태양전지 공공기관 기업 대학 연료전지 38.78% 25.17% 34.69% LED 75.16% 9.32% 6.83% CCS 66.34% 15.84% 6.93% 풍력 15.00% 45.00% 0.00% 태양전지 66.67% 18.03% 6.01% 수소전지 68.57% 5.71% 17.14% 바이오메스 30.49% 39.02% 15.85% 그린카 1.66% 96.80% 0.66% 8개녹색기술 28.86% 59.74% 6.45% <녹색기술별 특허출원 전국대비 비중-대전> 전국대비 특허비중이 가장 높은 분야는 그린카 그린카 분야을 제외하면 바이오메스, 수소전지, CCS 분야 비중이 높음 자료: 이윤준(2010), 녹색클러스터 육성전략, STEPI-대전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9
2 대전 녹색나노융합 클러스터 조성 필요성
10
나노기술 융합을 통한 녹색기술 breakthrough와 신산업 창출
녹색나노융합기술의 정의 및 중요성 녹색나노기술의 정의 나노원천기술을 기반으로 BT, IT, ET 등 기술간 융합을 통해 에너지 수요 증가 및 에너지 고갈, 환경위기, 차세대 에너지원 확보 및 신산업 창출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환경친화기술 나노기반 고효율화 기술 새로운 에너지원 기술 예측 기술 사후처리 기술 27대 중점육성 녹색기술분야 GNT 녹색나노기술 3대분야 전통적 녹색 기술 영역 신기술 영역 나노기술 융합을 통한 녹색기술 breakthrough와 신산업 창출
11
녹색나노융합기술 중점연구분야 나노융합소재분야 그린 소재 기술 확보 물성평가 해석분야 안전성평가 분야 그린나노 효율향상
나노광 / 입자 / 환경 소재 그린 소재 기술 확보 물성평가 해석분야 안전성평가 분야 그린나노 효율향상 나노물질 안전성 나노기반 에너지원 기술 차세대 소자분야 초고밀도메모리소자, 고효율, 저전력화 나노기반 차세대 소자 녹색 기술 Breakthrough 나노기반 에너지 고효율화 나노공정장비 나노박막 청정형성장비, 나노분해능청정가공장비 친환경공정장비 개발 나노바이오 분야 친환경나노바이오소재, 유해물질고속검지 나노바이오 소재, 소자,장비 기술 환경친화 나노에너지 분야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청정대체에너지 산업
12
대전 녹색나노융합산업 육성 필요성 녹색나노융합 원천기술 공급 녹색나노융합 원천소재 산업 대덕특구 그린나노융합기술
대덕특구는 나노융합기술의 국가공급지 국가 차원의 나노융합 원천기술 공급을 통한 전통 녹색기술분야 한계돌파 그린나노융합 원천소재 분야 강점 IT융합나노소재, NET 소재, 나노 바이오 소재 분야 전국적 파급효과 대덕특구 그린나노융합기술 녹색나노융합 신산업 창출 국가중점육성 녹색기술 연계 대덕특구는 원천기술 사업화 경험 누적 녹색나노융합 원천기술 사업화를 통한 신산업 창출 바이오매스 활용 바이오에너지, 바이오 연료전지 기술 등은 국제경쟁력 보유 바이오에너지생산요소기술, 고효율수소제조 및 저장, 고효율연료전지시스템, CO2 포집, 저장, 처리기술 등 연계, 원천기술제공
13
대전의 녹색나노융합클러스터 현황 및 육성전략
3 대전의 녹색나노융합클러스터 현황 및 육성전략
14
나노종합팹센터, 시제품생산기관(표준연 등)
대전 녹색나노융합클러스터 자원 10여개 나노융합 관련정부출연연 (기계연, 화학연, ETRI 등) 녹색 나노융합 연구자원 집적 기능성 나노소재 사업화 지원센터 녹색 나노융합 협력기구 대전 그린나노융합 클러스터 기능성나노소재 사업화 지원센터 그린 나노소재 시험생산 및 사업화지원 산업화지원, 전략기획지원, R&BD TEST-BED 지원 등 녹색나노융합 제품시험, 인증 및 안정성평가 나노종합팹센터, 시제품생산기관(표준연 등) 안정성평가기관(안전성평가연) 등 녹색나노융합 R&BD 허브 녹색나노융합 원천기술 전국공급 녹색나노융합 신산업 창출 녹색나노융합 선도기업 육성
15
대전 녹색나노융합산업 구조: 분야별 대전녹색나노소재산업 IT 융합 나노소재 NET 관련 나노소재 그린나노융합화학소재
ETRI, KAIST 등 지역내 15개 관련전문연구센터와 연계 용이 LG화학, 한화그룹, 삼성정밀화학, 두산중공업, 웅진에너지, 애경 등 50여 개 기업 무선컨버전스기기 분야 특화 IT 융합 나노소재 디오, 엔바이온, 나노케미컬 등 50여개 기업 태양전지, 분리막, 필터, 촉매, 친환경화학소재 분야 NET 관련 나노소재 대전녹색나노소재산업 IT융합 나노소재 NET 관련 나노소재 나노융합 바이오소재 그린나노융합 화학소재 특화계수 (1.39), 집중도 높음 화학연 등 연구기관과의 연계용이 유니레버, 한올, 코오롱제약 등 50여 개 이상의 라이프케어기업 중심 그린나노융합화학소재 생명연 등 6개 연구기관과 20여개 국가연구센터 활용 바이오 의료 융합 분야와의 연계 용이 LG생명과학, SK대덕기술원 등 대기업과 130여개 바이오벤처 기업 나노융합 바이오소재
16
물질을 나노 크기로 설계, 가공하고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 및 소프트웨어
녹색나노융합소재 산업구조와 특성 가공되지 않은 형태의 나노구조체 나노크기 특징 가지는 중간생성물 나노 기술의 핵심적인 역할하는 최종 상품 물질을 나노 크기로 설계, 가공하고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 및 소프트웨어 나노입자, 나노튜브, 플러린 양자점, 덴드리머, 나노와이어 나노기공재료 코팅, 나노복합재, 조영제 메모리 칩,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약물전달시스템 정형외과 재료 자동차, 의류, 비행기, 컴퓨터, 가전, 제약, 기능식품 등 원자현미경, 나노임플란트, 리소그래피장비, 나노매니퓰레이터 나노재료 나노중간재 나노기술기반제품 나노장비 녹색나노융합산업혁신특성 융합연구개발용이성 과학기술지식 접근성 고급인력 유치 및 교류 용이성
17
대전 녹색나노융합클러스터 육성방안 그린나노융합 Hub 도시 대전 그린나노융합 연구역량 강화 그린나노융합 신산업 육성
그린나노융합 R&D 강화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그린나노융합 Hub 도시 대전 그린나노융합 연구역량 강화 그린나노융합 신산업 육성 그린나노융합 원천기술 사업화 전주기적 사업화 지원 테스트베드 기능 강화 나노융합산업단지조성 첨단벤처생태계 지원 그린나노융합 기초원천 지식의 전국적 확산 녹색산업 기술고도화를 위한 기반기술 제공 비전 목표 전략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