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I. 사 업 방 향 확 인 목 차 I-1.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I. 사 업 방 향 확 인 목 차 I-1.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Presentation transcript:

0 II. 업무운영분석 하수도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사업방향확인

1 I. 사 업 방 향 확 인 목 차 I-1.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2.1 환경분석의 절차 2.2 3C 분석 2.3 정보시스템 분석 2.4 SWOT 분석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I-4. 정보화 전략 도출 4.1 정보화 비전 구성체계 4.2 정보화 비전 및 추진 목표 4.3 정보기술 운영 방향 4.4 정보화 조직의 미션

2 I. 사 업 방 향 확 인 I-1. 사업방향 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3 하수도 정보화 기본계획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사업환경의 이해 전략과제/핵심성공요소 도출 정보화 전략 도출
I-1.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하수도 정보화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업무의 취지와 목표를 이해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성공요소를 도출하고, 핵심현안을 극복할 수 있는 정보화(IT) 비전과 전략을 수립함. 하수도 정보화 기본계획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사업환경의 이해 전략과제/핵심성공요소 도출 정보화 전략 도출 관리자 설문/인터뷰 하수도업무의 미래상 관리자 인터뷰 주관부처 검토 및 심의 기관 심의 위원회 사업자/대행자 환경분석 하수도 정보화 비전수립 전략과제도출 3C1) 분석 SWOT2) 분석 정보화 경향 분석 문헌 조사 환경부 기본 계획 및 정보화 계획 각종 관련 법/제도 각종 계획서 업무 지침 핵심성공요소

4 I. 사 업 방 향 확 인 I-1. 사업방향 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5 I-2. 사업환경의 이해 2.1 환경분석의 절차 환경분석은 SWOT분석, 3C분석, 정보 시스템 분석의 3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짐. SWOT(Strength,Weakness,Opportunity,Threat)는 조직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조직의 외부환경요인에 대하여 그 기회요소와 위협요소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개발함 사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3대요인인 내부환경, 외부환경, 고객의 특성을 분석함. 내부(Company) : 하수도 업무 관련 국내 정책 및 업무환경과 특성 분석 외부(Circumstance) : 하수도 관련 제도를 둘러싼 사회경제, 정책적 환경 분석 고객(Customer) : 하수도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자, 대행업체 등의 요구사항 및 특성 파악 SWOT 분석 3C 분석 환경분석 정보 시스템 분석 각종 업무를 위한 현재의 정보시스템 발전 상황을 단계별/항목별로 파악하고, 변화되는 정보기술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전략의 시사점을 확인함

6 4대강(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수계 지자체
I-2. 사업환경의 이해 2.2 3C 분석 내부환경 분석– 하수도관련 계획의 내역 및 업무수행체계 하수도관련 계획 의 주관부처, 대상지역 및 계획항목, 작성기관을 파악함. 구분 국가하수도 종합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대상지역 전국 관할 지자체 4대강(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수계 지자체 계획항목 하수처리의 여건에 관한 사항 하수처리의 목표에 관한 사항 하수처리의 추진전략·세부시행계획 등 정책방향에 관한 사항 광역적인 하수도사업의 추진에 관한 사항 공공하수도의 확충 및 정비에 관한 사항 개인하수도의 정비 및 보급에 관한 사항 하수도의 연구 및 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하수도 경영체계의 개선에 관한 사항 하수도 관련 인력의 확보 및 교육훈련에 관한 사항 하수도 관련 사업의 시행에 소요되는 비용의 산정 및 재원 조달에 관한 사항 하수도의 정비에 관한 기본방침 하수도에 따라 하수를 유출 또는 처리하는 구역에 관한 사항 하수도의 기본적 시설의 배치·구조 및 능력에 관한 사항 합류식하수관거와 분류식하수관거의 배치에 관한 사항 하수도정비사업의 실시순위에 관한 사항 하수를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찌꺼기의 처리계획 및 처리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 분뇨의 처리계획 및 분뇨처리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 하수와 분뇨의 연계처리에 관한 사항 하수도 관련 사업의 시행에 소요되는 비용의 산정 및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당해 지역 개발계획의 내용 지방자치단체별·수계구간별 오염부하량의 할당 관할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및 저감계획 당해 지역 개발계획으로 인하여 추가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 및 그 저감계획 계획서 작성기관 중앙행정기관 장 또는 시·도지사 시장·군수·특별/광역시장 시·도지사

7 국가하수도종합계획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물환경관리계획 오염총량관리계획 2.2 3C 분석 내부환경 분석– 하수도 정보화
I-2. 사업환경의 이해 2.2 3C 분석 내부환경 분석– 하수도 정보화 조사·분석과정을 거쳐 도출될 수 있는 환경요인 별 핵심현안을 파악하여 이러한 핵심현안과 정보화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정보화 추진방향 수립 시 활용함. 하수도 관련 계획의 취지, 주요내용 시사점 정책결정을 위한 통합 분석자료 제공 필요 하수도 행정업무 전산화로 합리적 및 효율적인 업무환경 조성 필요 전문 GIS 솔루션을 적용한 공간분석 기능 필요 하수도업무 수행에 필요한 관련정보의 공동활용을 위한 정보연계체계 필요 국가하수도종합계획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년도별 하수도 지표 변화 통계 지역별 하수도 사업 투자 현황 유역별 하수도 관리 배수구역 및 처리구역 하수처리시설 및 마을하수도 정비계획 하수관거계획 물환경 모니터링 체계 대권역, 중권역, 소권역별 오염원 현황 및 오염부하량 전망 대권역별 수질 목표 관리 단위유역별 오염원 현황 및 오염부하량 관리 삭감계획 및 개발계획 기준배출부하량 및 할당부하량 산정 물환경관리계획 오염총량관리계획

8 2.2 3C 분석 내부환경 분석– 관리자 인터뷰 I-2. 사업환경의 이해
하수도관련 업무에 대한 검토 및 중앙기관의 관리자들의 인터뷰 결과 업무의 효율화, 관련 자료와 문서의 전자화, 부처간 정보의 공유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있음. 관리자 요구사항 시사점 환경부 현재 하수도 정보화 현황에서는 시설 과다 설계에 해당하는 사업이 발생되어도,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의 축적 및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임. 하수도 정보화를 빠른 시일 내 정착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하수도분야 국고보조사업에 과학적 데 이터에 기반한 예산 편성·집행·관리의 합리성, 효율성 제고방안 마련 하수도 행정업무 전산화 방안 마련 하수도 시설 운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하 여 처리장 운영효율 평가 한국환경공단 지번자료의 구축이 가장 중요한 작업이며, 많은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됨. 설계문서의 전산화, DB화 필요함. 관련된 기초자료를 모든 지자체가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할 수있도록 구축되어야 함. 환경부 생활하수과, 지자체, 설계사의 업무분석을 통해 하수도 관련 업무가 분석되어야 함.

9 2.2 3C 분석 외부환경 분석– 21C 국내사회의 동향 I-2. 사업환경의 이해
국내사회의 동향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수의 급격한 증가, 전자정부 구현 및 국가적 정보화사업의 추진, 다양한 정보 공개에 대한 국민의 요구성 증대 등으로 요약됨. 시사점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 생명 및 인권존중사상의 확대 쾌적한 환경에의 요구 증가 정보화 사회의 대두 인터넷보급에 따른 전자시민의 증가 사이버 경제 및 지식기반 경제로 전환 산업구조의 다원화 환경친화적 경제체제의 중요성 확대 국민과 정부의 창구로서의 인 터넷의 역할이 점점 증대되고 있음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으 로 지역정보의 디지털화 실현 인터넷을 활용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 주는 대 국민 서비스의 창출이 시급히 이루 어져야 함 구축된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다방면 이용이 요구됨 환경친화적 과학기술 및 경제체제의 중요성 확산 인터넷 이용자 수 (천명) < 국가지리정보시스템 > 출처) 인터넷 이용자 통계, 한국인터넷정보센터, 정치적 측면 기술적 측면 시민사회의 성장 및 지자체의 정착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인프라 구축 행정의 투명성,생산성 제고에 대한 요구성 증대 국민알권리 및 정보공개 요구성 증대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 생산기술의 혁신, 공정의 디지털화 환경산업기술의 발달 환경친화적 과학기술의 중시 확대

10 2.2 3C 분석 외부환경 분석– 국제적인 환경 정책의 경향 I-2. 사업환경의 이해
전세계적으로 성장위주의 정책에서 환경배려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음.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초국가적 경제환경의 구축, 환경문제 등의 국제적 이슈에 대한 협력 및 규제의 강화, 환경친화적 기술의 중시, 시민단체의 중요성 증대 등이 국제사회의 주요 동향임. 국제적인 환경 정책 동향 시사점 세계 경제 포럼 (WEF, World Economic Forum), 성장위주의 경제체제에서 환경친화적 경제발전 및 기술이 중시되는 체제로 전환 초국가적 경제환경의 구축에 따른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 대응 및 협력 중시 국제기구, 환경협약, 무역규제 등을 통 한 국제환경규제의 강화 세계적인 환경정책 조류에 부응하기 위 한 관련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함 시민과 비정부단체의 활동 및 중요성 증가 주로 환경문제를 논의 정보화시대의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환경지속성지수 발표 (한국은 122개국 중 95위) “환경”이 세계경제의 주요변수의 하나로 등장함 OECD 환경각료회의, 10대 핵심환경지표 선정 “21세기 환경전략보고서”와 “지속 가능한 교통지침”을 승인 이번 지침은 법적인 효력은 없으나 회원국은 이를 정책에 반영할 의무를 지게 됨

11 하수도시설 LCM 2.2 3C 분석 외부환경 분석– 환경 정책의 경향 I-2. 사업환경의 이해
2011년 12월 상하수도 시설의 LCM 도입 가이드라인 마련에 따라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으며, LCM(Life Cycle Maintenance)은 상하수도시설의 Life Cycle 즉 계획, 시공, 운영, 관리, 폐기의 전과정에 걸쳐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 관리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음. 하수도시설 LCM

12 2.2 3C 분석 고객 분석 I-2. 사업환경의 이해 하수도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부의 인터뷰 결과 인터뷰 결과 요약 시사점
지자체 예산으로 구축한 시스템을 공유시키는데 행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 하수도 대장의 하수관거 관저고 자료가 현황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인구수 산정과 원단위 결정 등을 통계화 하여 활용이 가능하게 되면, 계획 수립 시 비용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됨. 지자체별 GIS 프로그램 내 자료관리 구조가 상이 함. 하수도 행정업무 전산화 방안 마련 하수도 시설 운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하 여 시설정보의 현행화 하수도분야 GIS 프로그램 내 자료관리 의 효율성 제고방안 마련

13 2.3 정보시스템 분석 Computing 환경의 발전 I-2. 사업환경의 이해
현재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요소기술이 개발되어 성숙단계에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기술의 발달은 분산환경에서 사용자 위주의 정보시스템 개발을 가능케 함. Mobile 환경 시공의 초월 멀티미디어 통신 시사점 인터넷/인트라넷 구현 기술의 성숙 분산환경에서의 정보의 통합 기술의 발달 이기종 시스템간의 통합화 기술의 발달 시스템의 확장성과 통합성을 고려한 선진형 시스템 구현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의 통신이 가능함 데이터 전송속도 및 전송량의 제한이 없어지고 있음 Internet 환경 PDA, 무선단말기 유/무선 복합 멀티미디어 자료 복합처리 기술 테라급 통신망 사용자 중심 통신 강화 Client/Server 환경 개방성 유연성 네트웍 컴퓨팅 Browser 사용자 환경 Web User Interface Dynamic,Distributed Java, ActiveX, CGI2) Mainframe 환경 개방형 환경 분산 컴퓨팅 4GL1) 활용 Graphic User Interface(GUI) Paradigm Shift 중앙 집중형 구조 COBOL Text Interface Dummy Terminal Thin Client 化 Platform Independence 외부 Communication 강화 국제표준의 확립 1) 4GL : 4th Generation Language 2) CGI : Common Gateway Interface

14 2.3 정보시스템 분석 정보 신기술 동향 I-2. 사업환경의 이해
하수도 정보화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첨단 정보요소기술을 파악하고,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함. 요소기술 시사점 데이터 변환 기술 CAD 데이터에 Topology(위상 정보)와 속성정보를 추가하여 GIS 데이터로 변환하는 정보기술 데이터 변환기술에 의해 기존의 CAD 데이터를 GIS 형태의 데이 터로 변환이 가능 정보요소기술의 발달로 인해 단순 하고, 신속하고, 개방적인 시스템 의 구현이 가능 문서의 보안과 저작권 관리를 강 화 할 수 있으며, 고객에게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며, 인터 넷 상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이 용이해지고 있음 전자문서 관리시스템 EDMS1) 전사적인 규모에서 생산되는 문서를 전 생명주기에 걸쳐 일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업무효율을 향상 시키는 기술 및 시스템 DB관리 시스템 DBMS2) 현재는 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며 최근에는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및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기법이 연구되고 상용화됨 XML3) 웹상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데이터 정의 디지털저작권관리 DRM4)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고 적법한 사용자만이 컨텐츠를 사용케 하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술 MetaData Registry (MDR) 데이터의 표준화와 공유를 가능케 하며, 최종사용자가 데이터 요소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1) EDMS : Electronic Data Management System 2) 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 3) XML : Extended Markup Language 4) DRM : Digital Repository Management

15 2.3 정보시스템 분석 환경정보화 연혁 I-2. 사업환경의 이해
효율적인 시설의 관리와 행정 및 예산관리, 과학적 정책 수립 등을 위해 현재 상수도 분야의 정보화는 5단계로 진행되었으며, 하수도 분야도 통합운영체계 구축을 통한 하수도시설의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운영 및 정보관리가 요구되고 있음.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시설운영현황 국민공개 -「Water Now」 시설자동화 및 원격관리 - 「Remote-Autosys」 관망관리 및 누수관리 - 「INIS」 지하수 종합정보관리 - 「IGRIS」 타 시스템 연계 및 통합 정수장 정수 수질을 실시간 인터넷 대국민 공개시스템 구축 대국민 신뢰도 제고, 지자체간 정보교류, 운영관리 강화 선진화된 운영관리를 위한 원격제어․자동화 시스템 구축 운영관리 선진화를 통한 시설의 최적성능 발휘 유도 및 유지관리비 절감을 통한 경영개선 기대 상하수도 관로정보의 GIS 연계 시스템 도입으로 관리체계 개선과 누수방지형 Network 및 누수 경보시스템 도입 누수탐지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 제고 전국 지하수의 이용, 수질, 오염상태, 복원계획 등의 지하수 종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 건교부, 행자부 등 타 부처의 지하수 정보망과 상호 연계 운영 전국수도종합계획시스템(WIIS) 및 기타 정보 교류가 가능한 관련 시스템의 연계 또는 통합을 통해 행정 효율성 제고, 자료의 일관성 유지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기초자료 DB의 활용 및 정보화 시스템 개발 필요 타 부처와의 연계성 확보 행정의 과학화와 투명성 확보 및 대 국민 서비스 향상 자료: 환경백서2010

16 (도시계획도, 지적도, 통계연보, 소하천정비계획, 오염하천정화
I-2. 사업환경의 이해 2.3 정보시스템 분석 유관기관의 공동활용 가능 자료 하수도관련 계획 작성 및 검토를 위해 필요한 자료와 정보들은 현재 부처별로 산재 되어 있으며, 자료의 공동 활용이 필요함.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지형도, 행정구역도, 토지특성도) 농촌진흥청 (논밭세부정밀토양도, 세부정밀토양도) 기상청 (기상자료, 지진자료, 기상연보) 환경부 (환경) 기초환경자료 NGIS 자료 지식경제부 (수치지도, 지형고도DB, 지번DB, 건물속성DB) 통계청 (인구현황조사, 인구주택총조사, 한국도시연감, 지역 내 총생산) 환경기초자료 생태자연도 녹지자연도 식생도 정사항공사진 토지피복분류도 수치지형도 토지이용현황 도시계획도 행정구역도 지적도 수자원공사 (수자원단위지도, 유역분할경계, 용수이용현황, 수자원시설물현황) 지자체 (도시계획도, 지적도, 통계연보, 소하천정비계획, 오염하천정화 사업, 재해연보, 배수체계도)

17 I-2. 사업환경의 이해 2.4 SWOT 분석 현재의 하수도 업무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기회와 위협을 극대화하여 성공요소로 전환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도출함. 내부능력 외부요인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정부 부처의 정보화 혁신의지 전자정부 실현을 위한 정부의 의지 풍부한 자료 보유 정책연구/사업개발능력 전자문서화 미비 정보표준화 및 규격화 미흡 복잡하고 개별화된 업무절차로 인한 비효율성 시 군 구 전산조직 미비 및 인력의 부족 기회 (Opportunities) 인터넷, 보안 등 첨단정보기술 발달 정보활용을 통한 정책수립 지원 하수도에 대한 중요성 확산 부처간 정보의 공동활용 및 상호 연계 요구 증가 정보공유 체계 구축 하수도 관련제도에 적합한 법/제도 개선과 업무절차 정비 하수도 정보화시스템 구축 타 정부기관 및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한 업무의 일괄처리 위협 (Threats) 관련정보의 접근성 부족 방대한 조직별, 업무별 정보의 표준화 및 통합의 어려움 법, 제도의 뒷받침 필요 서식, 업무, 데이터코드의 표준화 전자문서화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 공개 법/제도의 개선 SO WO ST WT

18 I. 사 업 방 향 확 인 I-1. 사업방향 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19 수계별, 지자체/하수처리장별 효율적 재정지원시스템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전략과제 및 하수도 정보화 핵심성공요소 도출 하수도 정보화 환 경 부 수 요 처 업무/시스템 통합성 강 화 업무 처리와 정보 접근 의 실시간성 확보 환경부와의 DATA 연 계로 중복된 업무 배제 표준 예산관리를 통한 운용 효율성 및 투자 최적화 통합 구축을 통한 운영 비 용 절감 클린재정 시스템 구축 계 획 수립 중장기적 예산관리 방향 성 확보 수계별, 지자체/하수처리장별 효율적 재정지원시스템 프로세스 혁신 스피드 경영 지식 경영 변화대응 강화 출연기관의 업무 효율성 증대 실시 간 경영 환경 구축 선진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 효율성 확보 산하 기관 기반 시스템 구축 이미 다수의 기업에서 검증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환경부의 객체별 예산 체계 수립방안 제시 정보처리와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 방안 수립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계획 수립 예산,계획 대비 실적에 대한 관리를 통해 Plan-Do-See의 경영 Cycle 완성 개별 기관의 업무절차의 표준화로 업무 효율성 증대 환경부 표준 사업관리시스템 기반조성 계획 수립 최신 기술 적 용 및 연동의 용이성 고려 미래 성장 기반 마련 국제회계기준(IFRS) 등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적극 대응 투자/출연/민간위탁 기관의 통합 시스템의 기반 마련

20 I. 사 업 방 향 확 인 I-1. 사업방향 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21 성공적인 정보화를 위한 주도조직과 사용자의 역할
I-4. 정보화 전략 도출 4.1 정보화 비전 구성체계 하수도 정보화 비전 구성체계는 다음의 5 단계로 구성됨. 하수도 정보화 비전 구성체계 정보화의 미래상 IT 비전 하수도의 정보화 비전 비전 달성을 위한 정보화 추진목표 추진 목표 정보화 효과 극대화를 위한 시스템 구현전략 추진 전략 정보기술의 운영방안 정보기술자원의 효율적 운영 방향 IT 운영방향 성공적인 정보화를 위한 주도조직과 사용자의 역할 정보화조직 Mission

22 정보화 비전 정보화 목표 4.2 정보화 비전 및 추진 목표 I-4. 정보화 전략 도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정보화 수준 진단 평가를 통해 조직의 정보화 실태를 정확히 분석하고 취약점을 도출하여 하수도 정보화를 위한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함. 하수도 정보화 비전 및 목표 정보화 비전 정보화 목표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하수도관련 계획의 작성지원, 효율적인 검토, 신속/투명한 행정업무 지원과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하수도 정보화 시스템 구축 하수도 업무의 효율화 및 투명성 확보 전자 정부 기반 확보 대 국민 서비스 향상

23 기획 조직 문화 조직 관리체계 응용시스템 인프라 4.3 정보기술 운영 방향 I-4. 정보화 전략 도출
지속적인 정보화 사업의 추진과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를 위해 정보기술의 기획, 조직문화, 관리체계, 응용시스템 및 인프라 관리의 측면에서 일관된 방향을 가진 정보기술의 운영방향을 유지해야 함. 정보기술 운영 방향 기획 하수도 정보화 시스템의 장기 전략수립 및 유지보수 사용자 요구에 기반을 둔 정보화 기획 조직 / 관리체계 조직문화 응용시스템 인프라 기 획 조직 문화 업무수행의 주요수단으로 활용되는 IT IT를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하는 의식 확산 조직 관리체계 IT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의사결정기구 신설 IT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관리 현장의 요구에 신속 대응이 가능한 지원체계 응용시스템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 사용자 위주의 응용시스템 현업에 의해 주도되는 공동개발 체계 인프라 정보자원의 안정성 및 유연성 확보 표준화된 규정에 의한 인프라 관리

24 하수도분야 국고보조사업에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예산 편성·집행·관리의 합리성, 효율성 제고방안 마련
I-4. 정보화 전략 도출 4.4 정보화 조직의 미션 향후 정보화 조직은 하수도관련 업무 전반에 걸친 효과적 업무지원과 내부 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 환경정책에 부합하는 하수도 정보화 사업을 선도하는 정보시스템 전문가 집단으로 발전해 나아가야 함. 정보화 조직의 미션 하수도분야 국고보조사업에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예산 편성·집행·관리의 합리성, 효율성 제고방안 마련 하수도 행정업무 전산화 방안 마련 하수도 시설 운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처리장 운영효율 평가


Download ppt "I. 사 업 방 향 확 인 목 차 I-1. 사업방향분석의 체계 I-2. 사업환경의 이해 I-3. 전략과제 및 핵심성공요소 도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