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최근 유가 불안을 계기로 본 에너지 문제와 향후 전망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최근 유가 불안을 계기로 본 에너지 문제와 향후 전망"— Presentation transcript:

1 최근 유가 불안을 계기로 본 에너지 문제와 향후 전망
LG 경영인 포럼 2004년 6월 08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류 지 철

2 차 례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 2. 향후 전망과 3차 오일쇼크 가능성 3.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
차 례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 2. 향후 전망과 3차 오일쇼크 가능성 3.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 4. 중장기 에너지부문의 과제

3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 국제유가(Dubai) 변동 장기 추이
($/bbl) 45 40 35 30 25 20 15 10 5

4 두바이 유가 연간 변동 추이 ( – 최근)

5 현 세계 석유 시장 동향 석유 위기가 아닌 고유가 상황 실물시장 초과공급에도 불구하고 선물시장 초과수요 발생
선물시장 초과수요 원인: 중동지역 리스크 악화 + 수급요인 하반기 이후 유가는 점차 안정화될 전망

6 유가 급등의 주요 원인 - 1 수급 요인: 수요 증가 및 재고 감소 경기호조에 따른 석유수요 증가 상업용 석유재고 감소
세계 석유수요, ’99년 이후 최대 증가율(1.0%) 중국, 고성장 여파 수입수요 급증 미국, 경기호조 영향 석유 수요 증가 상업용 석유재고 감소 미국 및 OECD 소비국 상업재고 감소 OPEC의 감산 예고 시행 여부 상품선물시장에서 초과수요 발생

7 자료 : IEA, Oil Market Report
세계 석유소비 증감 추이 (만 B/D) 250 200 150 100 50 -50 자료 : IEA, Oil Market Report

8 미국 휘발유 소비 추이 (12개월 이동평균)

9 2000년 이후 중국 원유수입 급증

10 세계 석유수급 실적, 전망 (실물시장에서 원유공급 충족)

11 OPEC 10개국 산유량과 쿼터

12 유가 급등의 주요 원인 - 2 지정학적 요인 악화: Nymex, 초과수요의 주요인 이라크 정정불안 사태 확산 및 지속성
시아파 무장세력과 무력대치 상태 지속 외국인 등으로 테러범위의 확대 미군에 의한 포로학대 파문 확산 사우디, 합작석유회사 테러사건 여파 (5월 초) 이스라엘의 하마스 지도자 암살의 여파 알카에다 테러 위협 지속 베네수엘라, 나이지리아 산유국 정정불안 요인 잔존

13 NYMEX, 국제유가 결정에 영향력 석유시장의 글로벌화와 IT 발달로 즉시 반영 투기거래자와 거래물량의 증가
수급통계 및 전망 발표 주요 산유/소비국 관계자 발언 생산/소비국 정책 및 대기업 전략 변화 투기거래자와 거래물량의 증가 주식, 채권, 상품시장에서 포트폴리오 구성 트레이딩 기법의 발달로 거래물량 급증 NYMEX, 하루 거래물량 약 7억 Bbl(70만 contracts)

14 석유위기 아닌 고유가 상황 선물시장을 중심으로, 현 중동사태에 대한 비관적 평가와 전망이 유가의 추가 상승을 부추김
실물시장의 초과공급 상황과는 큰 괴리 존재 이라크 사태의 추가 악화 우려와 사우디 등 산유국 석유 인프라에 대한 추가테러의 우려는 상존 그러나 선물시장 투기거래자들의 석유위기에 대한 우려는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음 현재의 WTI $40 이상의 고유가 상황이 연말까지 이어지지는 못할 전망 실물시장에서의 공급차질로 이어지지 않는 한 유가급락 가능성도 공존.

15 2. 향후 전망과 3차 오일쇼크 가능성 역사적으로 오일쇼크는 공급물량의 실질적 감소를 동반

16 주요 산유국별 위험 요인들 이라크 (산유량: 240만 b/d) 사우디 (산유량: 850만 b/d)
민간정부 이양 이후 내전 등 혼란 가능성 사우디 (산유량: 850만 b/d) 사회적 불안 잠재, 친미정책으로 테러의 표적 가능성 베네수엘라 (산유량: 280만 b/d) 대통령 신임을 둘러싸고 정치적 갈등 나이지리아 (산유량: 240만 b/d) 종족분쟁 등

17 석유 공급, 점진적으로 확대 전망 이라크 석유산업 복구 이후 대규모 증산 전망
현재 240만 b/d에서 2010년 약 600만 b/d 비OPEC, 신기술 통한 증산 및 유전 개발 노력 지속 원유가격 $15/B 이상에서 생산활동 지속 러시아, 중앙아시아, 서부 아프리카 등 OPEC, 시장점유율 확보 경쟁 참여 가능성 높아 대부분 적자재정과 대규모 외채 어려움

18 세계 석유공급 장기전망

19 국제유가 장기전망(EIA/US)

20 장기적 석유수급의 주요 이슈 2020년까지 에너지원의 석유지배구도 유지 OECD 석유수요 정체, 아시아 수요증가 주도
특히 수송부문 신기술 확산 제한적 전망 OECD 석유수요 정체, 아시아 수요증가 주도 선진국, 수송부문 수요가 주도 중국 등 개도국은 전부문에서 소비 증가하면서 소비량 증가분의 약 50% 점유 OPEC이 증가되는 석유 수요 대부분 공급 OPEC, 생산능력 확대 필요 비OPEC, 카스피해, 서아프리카 해양유전 개발 기대

21 단기 연평균 유가(Dubai 기준) 전망 (현 유가 상황은 고유가 시나리오 근접)
기준안 : $29 - $31 지정학적 위험 완화, OPEC 적정 수준 감산 고유가 : $33 - $35 지정학적 위험 악화, 주요 산유국 생산 및 수출 제약 저유가 : $26 - $28 지정학적 위험 해소, 이라크 등 OPEC 주요 산유국 적정수준 산유량 유지

22 3. 유가 상승의 영향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 한국의 에너지 위치(2002년) 에너지수급구조의 취약성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
3. 유가 상승의 영향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 한국의 에너지 위치(2002년) 에너지소비 세계 10위 : 209.1백만TOE 석유: 6위 (102.7백만TOE), 수입 4위 에너지수급구조의 취약성 해외 의존도: 97.3% 석유 의존도: 49.1% 원유 중동의존도: 73.4%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 에너지원단위(TOE/천$)는 0.3으로 일본(0.09), 프랑스(0.15),영국(0.18) 등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 에너지 수입 부담 총 수입중 에너지 비중 : 21.3% (380억 달러)

23 세계 주요국 인당 석유소비 추이

24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

25 주요 산업별 생산량 변화율 비교 (기준 유가: US$26, 2003년 Dubai 평균유가)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26 주요 산업별 영향 석유화학: 나프타 가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 인상 및 채산 성 악화
석유화학: 나프타 가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 인상 및 채산 성 악화 자동차: 직접적인 파급효과 보다 자동차 수요 감소에 따른 채산성 악화 섬유: 화섬업계를 중심 원가상승 압력과 경쟁력 약화 요인 으로 작용 철강: 자동차, 조선, 건설 등의 경기동향에 민감 정유: 석유제품 가격의 연동으로 채산성 영향은 미미 음식료품, 일반기계, 도소매업: 직접적 영향은 적음 반도체: 유가 영향은 미미

27 4. 중장기 에너지부문의 과제 에너지 부문의 진화 요인 에너지 정책의 기본 이념
경제 성장 및 소득 증대 산업구조 변화 및 기술 발전 시장 및 사회 시스템의 능력 사회적 인식 및 주변 여건의 변화 에너지 정책의 기본 이념 국민 생활 보장과 국가경제의 영위 에너지의 공익성 확보 국가 경쟁력 기반 구축 불확실성에 신축적 대응 공급 안정성, 소비의 효율성, 산업의 생산성 등 추구 적합성 (Desirability), 수용성 (Acceptability), 타당성 (Feasibility) 확보

28 미래 여건 변화 에너지 욕구의 증대 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 여건의 변화 고급화 추세: 전기, 가스
환경 및 기후변화협약, 에너지 설비 기피 현상 여건의 변화 지식 기반 경제-사회, 세계화 및 개방, 자유화 남북한 및 동북아 경제 협력 증대 국제 환경의 변화 석유시장의 불안정성 지속: 중국 석유수요 증가, 中東 석유의존도 상승 원자력 발전의 퇴보, 천연가스의 약진 새로운 기술의 보급 확대: Fuel Cell, 초미니 발전기기 및 가스 이용 기술

29 중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 석탄 석유 LNG 수력 원자력 신재생 2 6 9 총에너지 Unit: Million TOE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2003

30 에너지부문의 과제 에너지 안보기능의 강화 및 대외 지향적 정책 추진 에너지 효율화 지속적 추진
국토의 에너지 설비 수용성 증대 해외 자원개발 시장에 진출, 에너지 안보 전략 강화 석유위기 관리능력 제고: 전략석유비축 능력의 확충 에너지 효율화 지속적 추진 에너지 소비의 안정화 및 에너지 탄소집약도 저감 지역 친화적 대체에너지 등 국산에너지 보급 활성화 에너지산업 및 시장의 효율성 제고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통합체계 추진 북한의 에너지문제 해결에 공조

31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최근 유가 불안을 계기로 본 에너지 문제와 향후 전망"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