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1 소방 설비 공사 개요 화재 발생시 즉각 소화하여 장애 및 피해 최소화 구 축 목 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1 소방 설비 공사 개요 화재 발생시 즉각 소화하여 장애 및 피해 최소화 구 축 목 표"— Presentation transcript:

1 1.1 소방 설비 공사 1.1.1 개요 화재 발생시 즉각 소화하여 장애 및 피해 최소화 구 축 목 표
Main 전산실 및 Backup 전산실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전산실 내부에 화재발생시에는 10초 이내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여 주요장비의 파손을 보호한다. 친환경 소화약제인 NAFS-III 가스소화설비를 구축하여 화재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항온항습기의 가동을 중지하여 보다 효과적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선후 공정 구분 철저한 시공관리 GAS소화장비 배관공사외 연동공사 대관허가 건물 소방시설 구축과 연계 중요시설 및 화재 우려장소 구 축 목 표 화재 발생시 즉각 소화하여 장애 및 피해 최소화 NAFS-III Modular System 소화설비 인허가 방재실 연동 공조연동 소화배관공사 감지기설치 방출등,유도등 수동조작반

2 1.1 소방 설비 공사 1.1.2 약제 및 구축방안 목표 및 구축 방안 소방 설비 목표 세부 구축방안
소방 설비 목표 오작동으로 인한 분사의 최소화를 위한 이중 안전 장치 사용 인체에 무독성 장비 사용 화재 감지기를 열 과 연기감지기를 선정하여 오작동 방지 장비의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 패키지 형태의 방재 설비로 추가 증설 시 유리 확장성 세부 구축방안 2단계에 의한 중앙 시스템에서 비교 분석하여 동시에 열 감지 센서 와 연기 감지기의 감지신호가 있을 경우에 진압한다. 수동 전환으로 진압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인 약제를 사용한다. 감지단계 처리단계 화재진압단계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No 감지기의 오 작동 여부 검사 분석 결과 기록 비교 분석 화재감지 열 감지에 의한 감지 연기 감지기에 의한 감지 Yes 네트워크 Yes 화재진압 화재기록에 의한 검토 소화 약제 분사

3 1.1 소방 설비 공사 1.1.2 약제 및 구축방안(계속) 약제 및 구축 방안 약제 설계 계통도 설치 방안
장비가 가동중인 전산실의 전체 구역은 환경친화적인 NAFS-III 소화가스 약재를 적용하고, 방재실과 연동하고, 화재 시 항온항습기 가동을 중지시켜 소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합니다. 약제 및 구축 방안 약제 설계 항목 설계 기준안 소화약제 NAFS-Ⅲ 1㎥당 소화약제량 0.363kg 충전압력 25.3kg/㎠ 설계농도 8.6% 방출방식 10초 기타 소방법 기준 적용 계통도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건물 방재실 NAFS-Ⅲ 패키지 Modular 항온항습기 연동 전산실 설치 방안 감지는 열과 연기가 동시에 감지 될 경우 소화설비 작동 - 차동식 열 감지기 : 주위 온도가 시간당 20℃이상 급 상승 시 - 이온화식 연기감지기 연기감지에 의한 전류변화를 감지 하여 측정 화재 시 효과적인 소화를 위해 항온항습기 가동 중지 연동 가스 배관은 화재 시 가스 방출의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천정에 앙카로 고정 패키지는 바닥과 벽면을 이용하여 가스 방출 시 충격에 견디도록 볼트 조임 시공 모든 시공 및 적용은 소방법의 설치 규정에 적합하게 설계하여 적용

4 1.1.3 제품 구성 전산실을 구성하는 소화 설비 제품은 다음과 같다. 제품 구성 수동 조작함 및 방출표시등 화재 감지기
자재 개요 구성 : 전원 감시등, 방출 표시등, 방출 기동스위치, 복구 스위치, 싸이렌스위치 설치 타입 : 조작함은 매입형, 표시등은 노출형 화재 감지기 제품 구성 자재 개요 2가지 타입의 자기보상기능 감지기 차동식 스포트 형식 나프타-Ⅲ 팩키지 제품 구성 자재 개요 약제 저장용기(나프타-Ⅲ) 자동 또는 수동작동 가능 이중마루 상부

5 1.2 공조 설비 공사 1.2.1 개요 온도/습도 정상 유지 및 무장애 환경 구축 구 축 목 표 개요 부식방지 자재 사용
1.2 공조 설비 공사 1.2.1 개요 항온항습기는 냉각, 재열, 가열, 가습, 제습, 공기여과, 송풍 등의 기능을 최신의 마이크로 프로세스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4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시켜 전산 장비의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개요 선후 공정 구분 철저한 시공관리 실내기공사 배관공사 연동공사 실외기공사 기타공조 부식방지 자재 사용 급수 및 배수라인의 누수방지 구 축 목 표 온도/습도 정상 유지 및 무장애 환경 구축 20RT,10R/T 공냉식 하향 송풍방식 냉난방기 이용 최단거리 확보 유지보수 공간 배관거리 단축시공 단열 보온 소방연동

6 1.2.2 공기순환 및 구축방안 공기순환 및 구축 방안 항온항습기 설계 항온항습기 설치방안
전산실은 항온항습기를 설치하여1년 365일 무중단으로 가동 하여 적정온도(22℃±2℃)를 유지합니다. 공기순환 및 구축 방안 항온항습기 설계 항목 설계 기준안 온도 DB 22℃±2℃ 공기송풍방식 DOWN-FLOW 공기여과 필 수 상대습도 RH 45℃±5℃ 부하밀도 (㎉/㎡ · H) 289 ~ 578 여유량/증설대비 감열비 0.9 ~ 0.98 공기순환 (CMM/HP) 16.8 ~ 33.6 연간가동시간 (Hour) 8760 (연중무휴) 공기순환 방식 항온항습기 하부에서 토출 된 공기가 직접 전산장비에 공급 되어 냉각효율과 기류분포 유리 공간 전체의 공기 흐름상 유리 이중마루하부의 공간 제약이 없어 공간활용 용이 발열량이 적은 전산장비에 전체적인 냉방 가능 공기 흐름 전산 시스템 실 항온항습기 항온항습기 설치방안 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한 케이스 내부에 흡음재를 설치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항온항습기 BASE 하부에 방진용패드 설치 항온항습기 주위에 누수감지용 감지선을 구성하여, 누수 시 누수감지 경보음이 작동하여 신속한 대처가 용이 실외기는 전산실 외부 지정 장소에 설치 운영실에는 천정형 냉난방기를 설치하여 미관과 효율을 최대화 함.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가 분사가 되었을 때 항온항습기의 가동을 중단 시켜서 신속히 소화가 될 수 있도록 설치 항온항습기용 전원은 동력분전함에서 규격에 적합한 Cable을 사용하여 연결

7 16 Bit Microprocessor Type LCD Digital Display
1.2.3 항온항습기 제품 항온 항습기는 실내공기에 영향을 받는 각종 장비나 기기가 최상의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조절해 주는 다기능 공조 기기이다 Main 전산실 항온항습기 제품 항온항습기 실내기(하향식) 실내기(이미지 예) 내 용 모델: HL-30-AD2 전 압 : IN-3P 3W 380 VAC 정밀한 적정 온도와 습도의 제어 및 유지 16 bit MPU 방식의 Microprocess Controller Digital Display 기능 저소음 및 누수경보 System 항온항습기 사양 구 분 3 R/T 설 치 장 소 신규 장비실 냉 방 능 력 8,400kcal/Hr 송 풍 능 력 36 CMM Refrigerant R-22 전 원 3 Φ 380V 60HZ CONTROL 16 Bit Microprocessor Type LCD Digital Display 실 내 기 크 기 850(W)*700(D)*1,650(H) 실 외 기 크 기 640(W)*690(D)*945(H)

8 1.3 이중마루공사 1.3.1 개요 악세스후로아는 당초 전산실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전화교환실,콘트롤센타,방송설비 스튜디오등 다방면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크린룸서부터 O.A 사무실, INTELLIGENT BUILDING등에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1.3.2 FLOOR종류 (1)규격구분:*450,*500,*600,*610,*612,*750,*800,*900,*1200등으로 다양하다. 보편적으로 표준국제관례로 *500&*600 SIZE를 표준으로 사용한다. (2)재료규분:*STEEL PANEL *WOOD PANEL *WOOD STEEL PANEL *STEEL CON-CORE PANEL *G.R.C-성형콘크리트 *P.V.C F.R.P *수지*콘크리트, 합성재료등 ROOM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나 STEEL WOOD P.V.C CON-CORE 재료를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3)표면마감재 구분 *일반사무실용:A.S-TILE, DLX TILE *정전기방지용:H.P.L LAMINATE *전도성용:CONDUCTIVE-TILE *O.A & I.B용:CARPET TILE (4)설치높이 구분:*H:150이하는 O.A&I.B ROOM간단한 전산처리에만 용이함. *H: D용 일반전산실,기계실 전산처리 및 FLOOR하부 공기유통 SYSTEM FLOOR하부로 항온항습된 공기를 기계별 냉각 또는 습도조절을 이용함.(GRILLE PANEL) *H:500이상-1000용:공장프렌트 및 크린룸(CLEAN ROOM) 설계시 사용.

9 1.3 이중마루공사 1.3.3 WOOD FLOOR 제안 내구성 및 강도 등을 비교하면, WOO 재질이 사용에 용이 함.

10 1.3 이중마루공사 1.3.4 WOOD 부속재료

11 1.3 이중마루공사 1.3.5 WOOD 마감재료

12 라. 완성된 재료 4‘×8’×35t P.B판을 1차 커팅쏘우로 8등분하여 2차 전용 커팅머신 으로
1.3 이중마루공사 1.3.6 WOOD FLOOR 장점 패널을 손쉽게 여닫을 수 있어 케이블의 기선이 자유롭고 보수와 관리가 용이하다. 1.3.7 FLOOR 사용이 기기에 미치는 영향 FLOOR위에 설치장비는 정밀한 기기들로 장비의 보호 목적에 FLOOR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방지 할 수 있다. ․바닥부분의 수평도 ․건물에 전달되는 진동흡수 ․장비주변 FLOOR 자유개폐로 보수용이 ․정전기 방지효과 ․하부설비 설치 시 용이 1.3.8 WOO FLOOR 제작 시방 A. 판 넬 (PANEL) 가. 1차 파티클 보드(P.B) 4‘×8’×17.5t면에 지정타일(예:H.P.L)을 본드로라 통과 후 10ton의 압력 프레스에 1시간 정도 가입시킨다. 나. 2차 파티클 보드(P.B) 4'×8×17.5t면에 함침 된 모양지(L.P.M)을 올려 놓고 10ton의 프레스로 200℃의 열과 함께 1분 정도 가압시킨다. 다. 1차,2차 작업된 P.B판을 본드 스프레더 로라에 통과시킨 후 가압 프레스로 접합 하여 2중 구조 및 타일 부착 재료를 만든다. 라. 완성된 재료 4‘×8’×35t P.B판을 1차 커팅쏘우로 8등분하여 2차 전용 커팅머신 으로 5。의 각을 유지한 패널을 작업한다. 마. 완성된 PANEL을 전용 EDGE BANDING MACHINE으로 옆면 트림 역할의 EDGE 를 접합하여 일정한 규격의 (600×600) PANEL을 완성한다.

13 1.3 이중마루공사 1.3.8 WOO FLOOR 제작 시방 1.3.9 WOO FLOOR 설치 시방
B. 지지대 (PEDESTAL) 가. 헤드부분은 열연강판(H.R) PRESS사출하여, 일정한 규격과 하중성을 유지한다. 나. 주어진 설치 높이에 따라 PIPE를 선반에 절단하여 베이스프레이트와 A.R.C WELDING 후 MFZN8C 상당의 영구적 부식방지 도금처리 한다. C.후레임 (STRINGER) 가. KSD3528 재질로서 금형 프레스(7ton)를 이용하여 하중성을 고려 상부 벤딩과 정밀조립시공을 위하여 양끝 펀칭작업을 완성한다. A. 설치할 기존 건물의 구조, 실면적등의 기본조건을 제시받고 설치할 FLOOR의 규격 및 보강공법 그리고 가장자리 구조등을 상의 결정하여 평면도와 구조도를 기초로 SHOP DRAWING을 작성한다. B. 설치 장소의 콘크리트 바닥은 충분히 양생되어야 하고 부대공사 DUCT, 천장, 벽체페인트 전기공사 등이 완료된 다음 FLOOR시공을 원칙으로 한다. 부득이 타공사와 병행할 시는 바닥 면에 FLOOR 보양을 충분히 하여야 한다. C. 기존 FLOOR PANEL을 4-5장 설치하여 수평체크 후 LINE을 맞추어 가면서 시공한다. 온판 시공 후 ROOM의 구조에 맞게 SIDE PANEL을 절단하여 벽선에 일치하게 마감처리 한다. 최종적으로 계단 및 경사로를 설치하고 장비 주위 보강 작업 후 마감한다. 1.3.9 WOO FLOOR 설치 시방

14 무정전전원장치 제작사양서 [SPT600Series] 10KVA 서울 금천구 가산동 219-8 세일로빌딩 A-2호
전화: 팩스:

15 목 차 1장. 적 용 범 위 2장. 적 용 규 격 3장. 설 치 조 건 4장. 구 성 내 용 5장. 구 성
목 차 1장. 적 용 범 위 2장. 적 용 규 격 3장. 설 치 조 건 4장. 구 성 내 용 5장. 구 성 6장. 동 작 기 능 7장. 전 기 적 특 성 8장. 재 료 9장. 구 조 10장. 제 어 반 11장. 검 사 항 목 12장. 기 타

16 적용범위. 적용규격. 설치조건 1장. 적 용 범 위 2장. 적 용 규 격 3장. 설 치 조 건
본 사양서는 상용전원 또는 예비전원의 각종장애 (전압변동, 주파수변동, 순간 정전, 써지 등)에 대하여 부하에 항상 안정된 교류전원 (정전 압, 정주파수)을 정해진 정전보상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정지 형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에 대한 설계, 제작, 시험에 대하 여 적용한다. 2장. 적 용 규 격 □ 한국공업규격 (K.S : Korean industrial Standards) □ 미국규격협회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국제 전기전자협회 (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 제작회사 규격 (Manufacturer’s Standard) 3장. 설 치 조 건 3-1. 설치장소 : 옥   내 3-2. 주위온도 : 0℃ ~ 40℃ (운전 시 최적 온도 20℃) 3-3. 상대습도 : 30% ~ 90% 이하 3-4. 표    고 : 해발 1000m 이하 3-5. 보관온도 : -10℃ ~ 50℃ (비 운전 시)

17 구 성 내 용 4장. 구 성 내 용 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주요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4-1. 입력 필터 부 (Input Filter)     4-2. 입력 변압기부 (Input Transformer)      4-3. 정류부 및 충전부 (Rectifier & Charger)     4-4. 인버터 부 (Inverter)        4-5. 출력 변압기부 (Inverter Transformer)     4-6. 동기 절체 스위치 부 (Static Transfer Switch)     4-7. 출력 필터 부 (Output Filter)     4-8. 디지털 디스플레이 운용 반     4-9. 축전지 (Battery)

18 구 성 5장. 구 성 본 장치는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5-1. 입력 FILTER
구 성 5장. 구 성 본 장치는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5-1. 입력 FILTER   컴퓨터 및 전자장비등의 전자기적 간섭 및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자기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설계, 제작한다. 5-2. 입력 부   입력 변압기는 복권으로 설계 제작되며,  2차 전압은 역 변환부의 입력전압과 축전지 의 충전 전압에 부합되고, 용량은 충전 전류와 역 변환부의 정격 전류의 합이 되도록 설계하며, 고 효율 H종 절연 방식으로 제작한다.   정류부 및 충전부       본 장치는 반도체 소자, 콘덴서 등으로 구성하며, 역 변환부의 입력 및 축전지 충전 용 량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한다.   정류부는 DIODE BRIDGE 정류 방식으로 하며, 역 변환부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맥동률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회로를 구비한다. 충전부는 정 전압, 정 전류 방식으로 축전지 충전이 가능하며 충전전압 조정은 수 동 조작에 의하여 조정이 가능하다. 5-4 . 역 변환부 (인버터 부)         본 장치는 IGBT 모듈, 퓨즈, 방열 판, 부가회로 및 조립용 각종부품으로 구성하며, 정 류부로부터 공급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기 위해 파워 IGBT에 공급하고 출력파형을 검출하여 고주파 순시제어 기술을 적용한 순시파형 정현보상 회로를 통하여 스위칭 속도가 20K㎐인  정현 파 펄스 폭 변조 (PWM) 방식의 인버터로 설계하여 고 효율 및 무소음화 된 전력 변환 장치로 제작한다.   

19 구 성 5-5. 출력 변압기부 본 변압기는 리액터 기능을 포함한 고 효율 건식 복권 변압기로 발열 권선 온도가 전
구 성   출력 변압기부 본 변압기는 리액터 기능을 포함한 고 효율 건식 복권 변압기로 발열 권선 온도가 전 부하를 사용할 때에 변압기의 절연 계급 (H 종)의 최대 허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작하며 역 변환부로부터의 출력을 합성하여 고조파 성분을 극소화 시키며 효율을 극대화 시키도록 설계 제작한다.   동기 절체 스위치 부 본 장치는 인버터 이상 시나 과부하시를 대비하여 상용전원 및 인버터 측에 절체용 반도체를 각각 설치하여 자동동기 상태로 연동 동작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위상차에 의해 발생되는 돌입전류(CROSS CURRENT)의 방지를 위하여 기계적 접점(NFB MOTOR DRIVER 또는  구동 M/S 스위치, RELAY 접점) 및 반도체소자 혼합방식이 아닌 순수한 반도체 소자로만 구성한다.   출력 필터 부 본 장치는 콘덴서와 리액터로 구성되며, 역 변환부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최소화 하는 기능으로 제작한다. 또한 출력 부하에서 발생되는 역류 고조파를 최소로 줄이 기 위한 여과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운용 반   본 운용 판넬은 기기의 원활한 운용을 위하여 전면 상단에 설치하여 기기의 동작상 태 및 각 Data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으로 제작한다.    상태표시는 회로로 표시된 LED Lamp로 확인하도록 하고 또한 UPS 의 동작상태를 LCD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LCD 화면을 통해 인버터 ON/OFF가 가능하다.

20 구 성 5-8-4. 경보발생 HISTORY 을 기억하도록 한다. (RS-232C) 5-8-5. TEST 기능이 있다.
구 성 5-8-4.  경보발생 HISTORY 을  기억하도록 한다. (RS-232C)      TEST 기능이 있다.      USER 요구 시 RS-232 또는 MODEM을 통하여 원격으로 감시가 가능 하도록 제작한다.     축전지       본 축전지는 상용전원의 정전 시 정해진 정전보상시간 동안 안정된 전원을 부하에 공급 할 수 있는 적정한 용량으로 설계한다.

21 동 작 기 능 6장. 동 작 기 능 6-1. 정상 시 운전        상용 또는 예비전원을 공급 받아 정류부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 역 변환부에 공급 하고 역 변환부는 자체발진으로 상용전원과 동기 된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에 안정된 교류 전력을 공급하며, 동시에 축전지를 자동으로 충전한다.    정전 시 운전      상용 전원이 차단되면 정류부 및 충전부는 작동이 중단되고 평상시 충전부에 의해 충전되어 있던 축전지에서 직류를 역 변환부에 무순단으로 공급하여 역 변환부에 의해 무정전 상태로 지정된 정전보상시간 동안 인버터의 자체발진으로 안정된 교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한다. 6-3. 정상복귀 시 운전    차단되었던 상용전원이 복전 되면 축전지의 방전이 자동으로 멈추고 상용전원은 정류부를 거쳐 역 변환 부를 통해 무순단 으로 부하에 상용전원과 동기 된 안정된 양질의 전력을 공급 하게 되고 충전부는 방전된 축전지를 재충전한다.    6-4. BYPASS 운전          역 변환부는 출력주파수 및 전압을 상용전원과 자동 동기 시키는 방식으로서 장비의 고장 및 과부하로 인한 역 변환부 자동 Shut down 시 상용전원과 동기 된 상태로 동기절체 스위치를 통하여 상용전원으로 무순단 절체(BYPASS 운전) 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22 동 작 기 능 6-5. 유지보수 본 장비는 유지 보수 점검을 하기 위하여 무순단으로 수동 절체 되어야 하며 부하
    6-5. 유지보수     본 장비는 유지 보수 점검을 하기 위하여 무순단으로 수동 절체 되어야 하며 부하 장비의 출력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수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6-6.  보호 장치    본 장비는 써어지 억제용 보호회로가 구비되며, 다음과 같은 보호 장치가 부착 또는 설계 제작된다.      인버터 저 전압       인버터 과 전압       축전지 저 전압      과부하   충전기능         규정된 축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전압과 전류 용량을 갖도록 설계하며, 정 전압/정 전류 특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6-8. 축전지 분리 동작     축전지의 정기 점검 및 보수를 하기 위하여 축전지용 차단기를 이용 장비의 정상운전에는 전혀 지장이 없도록 설계 제작한다.

23 전 기 적 특 성 7장. 전 기 적 특 성 (1)(2) : □ 정전 및 입력전압 변동 시 □ 50 - 100% 부하 변동 시
구 분 특 성 용 량 10KVA 냉  각   방  식  강제 풍 냉 식 사  용  정  격  100% 연속 정류부 및 충전부 제어방식 □ DIODE BRIDGE □ THYRISTOR 위상제어 사용소자 □ DIODE, MOS-FET □ THYRISTOR 인 버 터 부 고주파(20K㎐) 순시제어 PWM 방식 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ST/SW 절체 방식  무순단 동기 절체 변압기절연계급  H종 상           수 1 상 2 선식 정   격  전  압  (  220  )V 전압 변동 범위 정격의  ± 15% 정 격 주 파 수 60㎐ ±5% 상      수 1 상  2 선식 정  격  전   압  (  220 )V 전 압 안 정 도     ±1% 이내 정 격 주 파 수  60㎐ ±0.2% 이내 주파수 동기범위  ±1 ㎐ (1)과도 전압변동  ±5% 이내 (2)과도 응답속도 500ms 이내 ( ±2% 이내로 복귀기준) 출 력 전 압 조 정  ±5% 파 형 의 율 THD 3% 이하(LINEAR 부하 100% 기준) 과 부 하 내 량 120% 10분간 역 률 지상 0.8 (3)소 음 55dBA 이하 dBA이하 (4)종 합 효 율 85% 이상 % 이상 (1)(2) : □ 정전 및 입력전압 변동 시            □ % 부하 변동 시       (3)  : □ 전방 1.5m, 높이 1.5m 에서 측정 시       (4)  : □ 정격 입출력에서 100% 부하 시

24 제어회로, 반도체소자, 콘덴서 류, Noise Filter류 는 제외
전 기 적 특 성 구               분 특     성 동기 절체 동기 절체 시간 4ms 이내 절 체 조 건 □ 인버터 비 정상 시 □ 출력과부하 시 □ 직류 저 전압 시 □ 수동 절체 시 축 전 지 종 류 MF 축 전 지 용 량 12V-35AH 수 량 16 CELL 정 격 전 압 192 VDC 최 고 전 압 216 VDC 최 저 전 압 168 VDC 정전보상시간 30 분 설 치 방 법 철제 CABINET 내장 절  연  내  압 AC 1500V 60Hz로 1분간 인가 절  연  저  항 DC 500V MEGGER로 측정 시 5MΩ 이상 제어회로, 반도체소자, 콘덴서 류, Noise Filter류 는 제외 변압기및 리액터 125 DEG 이하 반 도 체 소 자 80 DEG 이하 외 함 도장(Mansell No)  N-7.5 절체시간 : 무순단(0 ms) 자동전압조절(AVR) 기능 지원 BATTERY Hot-Swap 기능 지원 UPS 포트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능 지원 Serge, 회로단락, 과부하 보호기능 지원 EMI, RFI Noise Filtering 기능 지원 입출력 전압, 주파수, 백업시간, 온도 표시 기능 지원

25 재 료 8장. 재 료 8-1. 계기 류는 관측이 용이하고, 기기 전면에서 간단한 기능키의 조작으로 모든 동작
재 료 8장. 재 료 8-1. 계기 류는 관측이 용이하고, 기기 전면에서 간단한 기능키의 조작으로 모든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8-2. 모든 재료는 K.S 표시품 또는 그와 동등한 성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며 국내에서 제작 되지 않는 부품은 우수한 수입품을 사용한다. 8-3. 반도체(Main Circuit용)는 기기의 용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설계하여 제작한다. 8-4. 외함의 골조는 내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료로서  냉간 압연 강판으로 본  기기의 도장은 녹, 먼지, 기름 등을 완전히 제거한 후 방청 도료 및 소부 도장 하 며 색상은  Munsell No. N-7.5 한다. 8-5. 자재 및 부품은 인체에 유해하거나 장비의 운영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독성 또는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는 자재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26 구 조 9장. 구 조 9-1. 조작용 Push Switch는 기기 전면 상부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부착하고, Main
구 조 9장. 구 조 9-1. 조작용 Push Switch는 기기 전면 상부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부착하고, Main Switch는 기기의 후면에 안전하게 취부 한다. 9-2. 측면에는 분리 가능한 판넬을 부착하며, 본체의 하단 부는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 하도록 제작한다.   배선은 가능한 한 2개 이상의 배선을 겹치게 결선하지 않고, 배선의 연결용 러그는 튜브가 끼워진 환형을 사용하여 결선한다.   입, 출력단자대구성은 후면 하단부에 취부하여 입,출 배선 용이하도록 제작한다. 9-5. 본 장비는 자체 열을 환기할 수 있도록 냉각 팬과 통풍구를 설치한다.      9-6. 본 장비의 입, 출력 변압기는 복권 변압기를 이용하여 제작하며,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노이즈 필터를 장착하여 제작한다.   본 장비는 고장 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바이패스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27 디지털 디스플레이 운용 반 10장. 디지털 디스플레이 운용 반
본 운용 반은 다음과 같은 계측장치 및 표시장치,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계측장치          계측장치는 LCD MODULE을 사용하며, 다음의 측정치를 표시한다.      교류 입 출력 전압      교류 출력전류      교류 입․출력 주파수      직류 축전지 전압      온도      부하율 10-2. 상태표시 및 경보장치          전면 Display판의 LED LAMP(MIMIC)로 장비상태 및 경보사항을 쉽게 판독할 수 있다.    입력 정상(녹색점등)    인버터 운전(녹색점등)    바이패스 운전(황색점등)     FAULT(적색) : UPS 비정상시 점등 ( 교류입력 이상, 인버터 정지 등 )     출력 정상 (녹색)    기타 경보(과부하등) 상태는  필요 시 경보 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28 검 사 항 목 11장. 검 사 항 목 본 제품의 검사시험은 본 시방서에 명시된 전기적 특성에 기준 하여 실시하며 검사항목은
다음과 같다.     11-1.  구조 및 외관검사     11-2.  입력전압 변동시험     11-3.  출력전압 안정도시험       11-4.  출력 주파수 안정도시험     11-5.  출력파형 의율 측정시험     11-6.  과도전압 특성시험     11-7.  바이패스 절환 기능시험     11-8.  종합효율 측정시험     11-9.  절연시험     소음측정     정전, 복전시험     경보시험

29 기 타 12장. 기 타 12-1. 당사는 제작승인 사양서에 의거 공급 설치한 제품에 대하여 기기의 하자보증기간을
기 타 12장. 기 타 12-1. 당사는 제작승인 사양서에 의거 공급 설치한 제품에 대하여 기기의 하자보증기간을 시운전으로부터 ( 24 )개월로 하며 제작 부실로 인한 기간 내에 발생하는 모든 하자에 대해 무상으로 신속히 보수한다. 12-2. 본 기기에는 제작회사명, 제작 년 월 일, 제작번호, 전기적 특성이 기입된 명판을 부착한다. 12-3. 입출력에는 NOISE에 대비하여 EMI FILTER를 부착한다.  12-4. 본 장비의 유지보수 및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좌측 및 후면은 약 1m의 공간이 확보 되어야 한다.  12-5. 당사는 본 사양서의 내용에 미흡한 점이나 누락된 부분이 있더라도 구매자가 의도 하는 바와 같은 성능 및 부하조건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이의 성능을 보장 할 수 있다.


Download ppt "1.1 소방 설비 공사 개요 화재 발생시 즉각 소화하여 장애 및 피해 최소화 구 축 목 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