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막의 검은 진주: 중동의 석유와 오일달러 2002 박경식 2003 이효원 2006101180 조우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막의 검은 진주: 중동의 석유와 오일달러 2002 박경식 2003 이효원 2006101180 조우리."—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막의 검은 진주: 중동의 석유와 오일달러 2002 박경식 2003 이효원 조우리

2 목차 석유와 중동, 중동의 석유산업 중동의 자원 민족주의 OPEC 오일쇼크와 역 오일쇼크 중동의 탈 석유정책

3 석유와 중동 ※오늘날 석유는 현대사회의 혈액이라 불릴만큼 문명사회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
가장 많은 석유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 바로 중동.

4 석유와 중동 매장량 : 1위 : 사우디 아라비아 - (2,615억배럴 :전세계 매장량 ¼)
2위 : 이라크 - (1,125억배럴) 3위 : UAE(아랍에미레이트) - (978억 배럴) ※이외 쿠웨이트 등 중동국가들이 매장량상위권을 차지 하고 있음. 중동 이외 국가들 중 가장 많은 산유량을 가진 국가는 러시아로, 매장량은 486억 배럴.

5 중동의 석유 산업 석유를 탐사, 개발, 채굴하고 수송,정제 및 판매하는 산업을 석유산업이라고 한다.
그리고 석유산업은 그 단계에 따라 두 가지 부문으로 분류 가능하다. *탐사, 개발, 생산 분야 = 상류부문(Up Stream). *정제 ,판매 분야 = 하류부문(Down Stream).

6 중동의 석유산업 역사 중동의 석유산업은 이보다 50년 가량 늦어 석유의 역사는 1859년 미국 펜실베니아주 오일 크리크에서
에드윈 드레이크라는 사람이 30배럴 가량의 원유를 채취한 데서 시작. 중동의 석유산업은 이보다 50년 가량 늦어 1908년 영국석유회사(British Petroleum)가 이란에서 최초로 원유를 채굴한 것이 그 시초. 그 후 1927년 이라크 바레인 등지에서 대유전이 발견됨. 영국, 프랑스, 미국 의 국제석유회사들이 경쟁적으로 독점개발권을 획득하였고 이는 1960년대까지 이어져 중동석유의 공급량 대부분을 이들 국제 석유자본. 이른바 메이저(Majors)가 장악하여 공동 합작형태로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7 메이저 주도 시기 …and more 메이저는 미국계의 엑슨(Exxon),걸프(Gulf), 모빌(Mobil),
소컬(Socal), 텍사코(Texaco), 영국계의 BP , 그리고 영국 및 네덜란드계의 로얄더치 셸(Royal Dutch Shell) 의 7개사를 지칭. …and more

8 메이저 주도 시기 중동의 석유는 메이저가 국제 석유시장의 수급과 제품판매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조업체계를 갖추고
국제 석유시장의 수급과 가격형성을 주도. 메이저가 상-하류 부문을 모두 장악함으로써 자유로운 시장가격의 형성을 전제로한 경쟁적 시장은 존재할 수 없었고, 유가는 메이저가 정한 공시가격(Post Price)를 기준으로 책정되었으며 거래방식은 장기계약이 주류를 이루었다. 포괄적인 이권계약을 통해 60년에서 70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친 배타적 권리를 부여. 이들 메이저들은 1973년 오일쇼크 전까지 공산권을 제외한 전세계 석유산업을 독점하다시피 하였다.

9 중동의 자원 민족주의 제2차 세계 대전이후 식민지 지배로부터 독립한 중동 제국은 민족주의 물결과 함께 '자원민족주의'를 주창.
1948년 남미의 베네수엘라가 이권배분료 대신 이윤배분제 방식을 채택하자 중동산유국들도 이에 영향을 받아 메이저에 이권협정 시정을 요구.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등에서 소득세와 부가세가 신설 ->석유조업 이익금의 절반을 정부수입으로 보장 그 결과 석유회사들은 과세소득액 산정 기준이 되는 원유의 단위당 수출가격을 공시하게 되었고 이에 원유의 공시가격제도가 도입.

10 OPEC OPEC(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은
회원국간의 석유정책을 상호조정하고 회원국에게 기술적,경제적 원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된 다국적기구이다. 회원국이 임명하는 이사회가 있으며 의장은 이사회에서 선출된다. 매년 회원국 대표자 회의를 2차례 이상 개최하여 회원국 별 원유생산량 조절과 유가인하 방지를 위한 대책을 협의하여 석유정책을 공식화하며 의사결정방식은 만장 일치제를 따르고 있다. 중동 산유국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하였는데 한때 가봉과 에콰도르가 가입하여 13개 나라였으나 회비 과다를 이유로 탈퇴하여 현재 11개국이다.

11 OPEC의 결성 1945년 중동국가의 정치적 단결기구인 아랍연맹이 창설, 이 회의에서 석유관련 연합체 설립문제가 언급되었다.
1960년 공급과잉을 이유로 한 메이저의 두 차례에 걸친 공시가 인하는 중동산유국에 약 15%의 수익 감소를 초래하였다. 이는 재정수입의 석유에 의존하고 있던 중동산유국에게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으며 OPEC 출현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60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5개국이 주도하여 OPEC이 발족.

12 메이저에 대한 도전 OPEC 설립후 주요 정책 목표를 원유 생산량의 조정과 가격인하 저지에 두었으나 1970년까지 10년동안은 이렇다할 성과를 올리지 못하였다. 이에 1968년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 리비아 3개국의 주도로 중동의 산유국들이 모여 아랍석유수출국기구 OAPEC (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를 결성하기도 한다. 1970년 말 10년만에 유가가 인상되고, 이를 계기로 OPEC의 메이저에 대한 도전이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2차례의 오일쇼크를 통해 독자성을 강화하고 가격 결정권을 장악 할 수 있게되었다. 

13 1차 오일쇼크의 발단 1970년 시리아 영내에서 송유관 파손사고가 일어나자
리비아가 천연자원의 보존을 이유로 옥시덴탈사로부터 공시가격을 30%인상하고 소득세율도 50~60% 인상하였다. 이에 자극받은 이란도 공시가 90%인상을 단행하였고, 이는 산유국들의 석유정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그 이후 중동 산유국들은 1971년의 테헤란 협정을 거치며 공시가격을 인상하였고, 1972년 제네바 협정 등의 유가협상을 연이어 성공시켰다.

14 1차 오일쇼크 1973년 10월 6일부터 시작된 중동전쟁이 10월 17일부터 석유전쟁으로 비화하여 세계의 경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심각한 불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석유이권수입의 인상을 추진해 오던 페르시아 만의 7개 석유수출국들은 73년 10월 16일 OPEC 회의에서 원유고시 가격을 종전의 원유 1배럴당 3달러 2센트에서 3달러 65센트로 인상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서, 17일에는 이스라엘이 아랍 점령지역에서부터 철수하고 팔레스타인의 권리가 회복될 때까지 매월 원유생산을 5 %씩 감산하기로 발표 함으로서, 중동전쟁에서 석유를 정치적인 무기로 사용할 것을 선언하였다. 이 결정으로 인하여 서방세계에서는 ‘에너지 위기’가 조성. 산유국들은 다시 74년 1월 1일을 기해 배럴당 5.119달러에서 달러로 인상하였다.

15 1차 오일쇼크의 영향 석유에 기간산업의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는 서방세계의 경제는 석유부족으로 인한 제품생산의 부족과 제품가격의 상승으로 세계적인 불황과 인플레이션을 만연시켰다. 이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선진국 및 후진국을 막론하고 경제성장의 둔화를 가져왔다. 외교 면에서는 서방세계로 하여금 이제까지의 친(親)이스라엘에서 친 아랍 중동정책으로 기울게 하였다. 오일쇼크를 계기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구인 IEA가 창설.

16 IEA 1974년 11월, 일련의 자원 파동을 겪은 수요국들은 에너지 문제에 국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OECD의 결의로 국제 에너지 기구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를 결성하였다. 회원국간의 석유 긴급운용 시스템을 운영하고 국제석유시장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 석유공급 위기에 대비하고, 대체에너지 개발 및 석유수급 비상시 회원국간 공동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고 있다. 회원국에는 전년도 기준 90일가량 사용가능한 석유를 비축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2004년에 정부 비축분 53.9일, 민간 비축분 55일분 총합 108일분의 석유를 비축하여 IEA의 기준을 충족. OECD 회원국에 한해 가입자격이 부여되며, 우리나라는 2001년에 가입. 2007년 현재 26개국이 가입해 있고,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다.

17 2차 오일쇼크 제l차 석유파동의 결과 OPEC는 ‘석유메이저’가 독점하고 있던 원유가격의 결정권을 장악하였으나, 인플레이션과 달러 가치의 하락을 고려한 실질원유가격으로 끌어 올리지는 못하였다. 그리하여 78년 12월 OPEC 회의는 76년 배럴당 12.70달러에서 단계적으로 14.5 %의 인상을 결정하였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12월 말 이란은 국내의 정치 및 경제적인 혼란을 이유로 인하여 석유생산을 대폭 감축시키고 수출을 중단하였다. 이 결과 73년 제1차 석유파동 이후 배럴당 10달러 선을 조금 넘어섰던 원유가격은 불과 6년 사이 20달러 선을 돌파하였고, 현물시장에서는 배럴당 40달러에 이르게 되었다.

18 2차 오일쇼크의 영향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은 78년의 4.0 %에서 79년에는 2.9 %로 낮아졌다. 물가 면에서는 선진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0.3 %를 기록하였으며, 개발도상국의 경우 32.0 %의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또 석유수입국의 경상수지는 원유수입의 부담 증가로 크게 악화되었는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경상수지는 78년의 116억 달러 흑자에서 79년 322억 달러의 적자로 반전되었고, 비 산유 개발도상국은 적자의 폭이 444억 달러에서 505억 달러로 확대되었다. 반면 OPEC 산유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78년의 240억 달러에서 79년에는 770억 달러로 급증하였다.

19 역 오일쇼크 오일쇼크로 인해 소비국들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입어야 했다.
오일쇼크로 인해 소비국들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입어야 했다.  산유국은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생산량을 감축하고 가격상승을 부추겼으며 소비국은 실을 극소화시키기 위해 석유에너지에 대한 소비를 절감하고 대체에너지 개발을 적극 추진하였다.   그 결과 1986년에는 석유공급이 수요를 앞질러 반대방향으로의 불균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유가는 폭락하고 역 오일쇼크가 발생하게 되었다. 역오일쇼크의 실은 산유국이었으며 소비국에서는 득과 실이 공존하였다. 산유국은 지출요구를 감내하면서도 석유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반면 소비국은 경기회복과 더불어 점차 석유수요를 증대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의 진행은 거꾸로 오일쇼크로 역전될 가능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

20 3차 오일쇼크의 가능성 역 오일쇼크 이후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전까지 저 유가 시대가 이어지고, 97년 이후 아시아 외환위기와 OPEC 증산정책으로 초 저유가 시대가 계속 되었다. 이후 OPEC의 적극적인 감산정책에 힘입어 유가를 회복하였고, 2003년 이후 유가는 계속 상승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오르는 추세이다. 원유 가격 상승의 원인을 원유 수급의 불균형과 중동의 지역불안 등으로 설명함. 전문가들은 수급 불균형의 원인을 중국 등 개발도상국의 폭발적인 수요량 증가에서 찾기도 한다.

21 중동의 탈 석유화 정책 현재까지 중동 산유국들은 국가재정이 극단적으로 석유에 의존하는 형태를 띈다. 석유시장의 변화에 따라 국가의 재정이 쉽게 좌지우지 되는 불안정한 형태의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간 벌어들인 막대한 오일달러를 전쟁을 위한 무기구입이나 선심성 행정운영 등으로 인해 재정이 낭비되어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중동 산유국들은 석유의존도의 산업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전기를 맞기 위해 탈 석유화 정책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게 되었다.

22 두바이 두바이는 탈 석유화를 성공한 나라로 꼽힌다.
두바이는 인구120만의 아랍 에미레이트(UAE)의 작은 토후국으로,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이며 석유 외엔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는 나라 였다. 그리고 그 매장량도 40억 배럴정도로, 석유만을 가지고 미래를 보장받기에는 부족한 양이었다. 그래서 두바이는 탈 석유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고, 국왕 세이크 모하메드는 그 방법으로 국제화 도시로서의 변모를 선택하였다.

23 두바이의 개혁 정책 폐쇄적인 타 중동국가들과 달리 모하메드는 두바이를 외부에 최대한 개방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그가 취한 정책에는 법인세를 완전히 면제 외환 거래를 무제한 허용 옥스퍼드대 박사들을 주축으로 한 2000명 규모의 싱크 탱크 구성. 제벨 알리 항구 근처에 외국 기업만을 위한 자유 무역 특구 조성. 자국의 부동산을 매입하는 외국인에게는 특별 비자까지 발급 위와 같은 자칫 무모해 보이는 정책들이 계속 실시되었다. 두바이 내외 에서 모하메드의 시도가 실패할 것이라 예측하였으나 개혁후 10년이 지난 현재의 두바이는 눈부신 결과를 보여주고있다.

24 현재의 두바이 현재의 두바이는 세계 최고층 빌딩 버즈 두바이가 2008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중 이고, 전세계 타워크레인의 20%가 몰려있는 200조원 규모의 건축시장이다. 또한 제벨 알리의 무역 특구에 입주한 글로벌기업들의 교역액은 2005년에 이미 480억달러에 달하였다. 그리고 2006년에 GDP대비 석유 의존도를 6%로 낮추는데 성공하였다. 과거 탈 석유화 정책의 모범사례로 불리던 사우디 아라비아가 35%에 이른다. 두바이가 속한 UAE는 30%대 이다. 2020년경이면 1%까지 줄어들 전망으로, 탈 석유화 정책에서 가장 성공한 국가라고 할 수 있다.

25 -THE END- Q&A


Download ppt "사막의 검은 진주: 중동의 석유와 오일달러 2002 박경식 2003 이효원 2006101180 조우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