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진흥정책 방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진흥정책 방향."—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진흥정책 방향

2 목차 영상콘텐츠산업의 환경 변화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현황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중요성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정책비전과 과제
<참고> 지역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3 1. 영상콘텐츠산업의 환경 변화

4 영상콘텐츠산업의 환경변화 방 송 통 신 융 합 사회문화의 변화 새로운 영상콘텐츠 시장의 창출
융합시장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 대두 세계 VOD 시장규모 급성장 글로벌 시장진출 기회확대 FTA 등 시장개방 확산 대응 OSMU 활용을 위한 저작권 중요성 부상 플렛폼 네트워크 중심에서 영상콘텐츠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재편 매스미디어 중심에서 이용자(개인) 중심으로 미디어의 변화 영상콘텐츠 공유와 참여확산 ( UCC, Second Life ) 생활양식의 사회문화의 변화

5 콘텐츠 중심으로 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가 통합
콘텐츠 중심의 생태계 부상 콘텐츠 중심으로 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가 통합 전통·역사 예술 오락 교육 관광 경제·노동 정보·지식 문화유산의 전승 문화 민주주의 구현 국가 정체성 확립 창조산업의 경쟁력 강화 문화 리터러시 제고 국가 브랜드 향상 체험 경제의 확산 창의적 콘텐츠 문화적 가치

6 2.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현황

7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현황 1. 국내 영화산업 규모(2007년) 국내 영화산업 규모 성장 동향 2004 2005 2006
전국 관객 수 : 15,879만명 산업규모 : 1조3,463억원 2004 2005 2006 2007 14028 12919 14414 15034 한국영화 점유율 : 50.8% 극장 매출 : 9,632억원 1차 부가시장 : 3,280억원 해외수출 : 229억원

8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현황 2. 국내 방송영상산업 규모(2006년) 연 평균 성장률(CAGR) 7.8% 96286
국내 방송산업 매출액 성장 동향 98~06년 국내 방송영상 수출 동향 (단위: 억원) 연 평균 성장률(CAGR) 단위 : 십만달러 1477 7.8% 96286 1,600 1234 86138 1,200 연 평균 성장률(CAGR) 77727 71366 34.8% 714 800 421 400 288 189 100 127 131 98 99 00 01 02 03 2003 2004 2005 2006 04 05 06 * 출처: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7), <마켓 클리핑> * 출처: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7), <마켓 클리핑> * 출처: 2007년 방송산업실태조사

9 3.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중요성

10 영상콘텐츠산업의 중요성 1. 고성장, 고부가가치 산업
인터넷 TV, DMB, IPTV 등 다양한 융합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온라인, 모바일, VOD 중심의 신규콘텐츠시장 형성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연평균 성장률(2003~2006년)은 매출규모(8.7% 증가), 수출규모 (46.4% 증가) 등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한 성장세 유지 방송, 영화 등 영상콘텐츠는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에서 네트워크 외부성과 비용체감으로 인해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수확체증효과 <세계 온라인, 모바일 콘텐츠 시장 규모> *단위 : 백만불 연도 온라인 모바일 합계 2006년 4,174 18,835 23,009 2011년 11,417 38,125 94,542 *출처 : Informa telecom & media(2006)

11 영상콘텐츠산업의 중요성 2.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 한국 이미지 상승 김남주와 LG드봉 화장품
우리문화 관심 증대 한국상품 구매 휴대폰, TV, 자동차, 패션 등 한국 영상콘텐츠 드라마, 영화 등 한국 방문 관광, 비즈니스 김남주와 LG드봉 화장품 한류관광의 경제적 효과(2004) 베트남에 김남주 주연 드라마 『모델』방영 LG드봉, 랑콤 제치고 M/S 70% (AWST, 2003) 한국가전 3사 베트남 가전시장의 50% 차지 1조 4천억원 102만명 (30%) 338만명 1,987억원 16만명 (52%) 31만명 대만 5,716억원 37만명 (59%) 63만명 중국 6,230억원 49만명 (21%) 244만명 일본 총 지출액 한류관광객 (비율) 전체 관광객 이영애와 LG전자 가전제품 대만에 이영애 주연 드라마 「대장금」 방영 LG전자 가전제품(PDP TV, 세탁기 등) M/S 1위 현대자동차 수출 급증(‘02년 3,743대→ ‘05년 18,527대)

12 영상콘텐츠산업의 중요성 3. 해외진출이 용이한 산업
디지털 융합으로 영상시장의 국가간 경계가 무의미해지면서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 ※ 독일, 프랑스는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방송프로그램의 수출은 미흡하나 프로그램의 포맷 수출을 통해 방송영상콘텐츠산업의 글로벌 시장 선도 문화적 감성이 유사한 아시아 시장 진출에 적합 ※ 영화, 드라마의 경우, 문화적 동질성, 생활방식, 유사한 가치관 등 겨울연가 *현대경제연구원(2004),「한류현상과 문화산업 발전전략」

13 4.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정책비전과 추진전략

14 비전 및 전략 창의적 영상콘텐츠로 행복하고 풍요로운 나라 세계 5대 영상콘텐츠산업 강국 실현 비 전 목 표 영상콘텐츠
창작역량 강화 Creativity 비즈니스 선순환 확립 Commerce 영상콘텐츠 문화복지 향상 Consumer 전 략 창작기반 확대 창의적 인력 양성 기술력 제고 비즈니스 촉진 투자환경 글로벌 마케팅 역량 제고 융합 환경 저작권 보호 프로슈머 육성 및 소비자 보호 공공 복지를 위한 콘텐츠 향유기반 확충

15 콘텐츠 창작역량 강화 영상콘텐츠 창작 역량 강화 융합환경에 적합한 창의적 인력 양성 확대 창작기반 확대
영상콘텐츠 전문 아카데미 운영 강화 현장인력 재교육 확대 영상콘텐츠 창의력 개발센터 및 고용지원 랩 구축 다양성 영화 제작 및 독립제작사 지원 IPTV 등 영상콘텐츠 창작기반 조성 독립제작사 중심 제3채널 설립 운영 융합환경에 적합한 창작기반 확대 창의적 인력 양성 확대 영상콘텐츠 창작 역량 강화 영상콘텐츠산업 기술력 제고 디지털시네마 기반 구축 및 활성화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전문 R&D 기반 확충

16 비즈니스 선순환 구조 확립 선순환 구조 확립 콘텐츠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 역량 제고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선진 저작권
해외진출지원체계 구축 및 시장개척 지원 공동제작 협정 체결 및 공동제작 활성화 글로벌 영상 정보교류 네트워크 운영 콘텐츠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 역량 제고 선순환 구조 확립 완성보증보험제도 도입 문화산업 전문회사(SPC) 활성화 중대형 영상펀드 조성 영상콘텐츠 가치평가제도 도입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콘텐츠 투자환경 구축 통합적 저작권 법령체계 마련 ‘저작권 보호센터’ 기능확대로 불법저작물 유통 방지 선진 저작권 보호체계 구축

17 콘텐츠 문화복지 향상 영상콘텐츠 문화환경 향상 프로슈머 육성 및 영상콘텐츠 향유기반 확충 소비자 보호 소외계층 영상 향유기회
극대화 영상 리터러시 교육 확대 저작권 인식문화 확산 디지털 라이브러리 운영 UCC 창작활동 지원 공공콘텐츠 제작유통 지원 시스템 구축

18 < 참 고 > 지역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19 국내 지역문화산업 현황 문화산업클러스터 정책 전개과정 문화산업단지 규정 마련(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0조, 제21조)
문화산업단지 조성 기본계획 수립(문화관광부, 99.9월)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 설립 운영지침 및 추진계획 수립(01.5월) 부천, 춘천 등 8개 지역, 문화산업단지 지정· 협의(01년, 04년) 지방비와 매칭으로 인프라 조성비 등 865억원 지원(00~06년) 문화산업진흥지구 제도 도입(06년, 문화산업진흥기본법 개정)

20 국내 지역문화산업 현황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문화산업진흥지구 제도 도입 : 금융지원/조세감면
문화산업클러스터 진흥을 위한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 설립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 총 10개 지역 설립시기 주요분야 대전 첨단영상, 게임 청주 에듀테인먼트 부천 만화, 애니메이션 부산 영상콘텐츠 대구 게임, 모바일콘텐츠 광주 특수영상, 디자인, 캐릭터 제주 뷰티콘텐츠 춘천 애니메이션 전주 디지털영상, 소리문화콘텐 츠 목포 해양문화, 관광콘텐츠

21 국내 지역문화산업 평가 지역 문화산업 관련 기업의 원천기술, 경쟁력 강화 필요
각종 인프라 및 관련산업의 수도권 집중으로 지역 문화산업의 기본 여건이 매우 취약 - 연구기관, 대학 등 전문기술인력, 벤처캐피탈, 금융기관 등 극소수 산업기반 미흡으로 관련 전문기업 유치 부진 - 문화산업단지 지정 및 협의지역 내 건물 제공에도 불구하고 전문기업의 유치가 어려워 문화산업클러스터 형성이 미약 일정규모 이상 성장기업의 역외 유출 - 지역에서 성장한 기업이 일정규모 성장 이후 산업입지여건이 불리하다는 판단으로 서울, 수도권으로 이전 중소업체 위주의 산업 구성으로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Vision-Provider가 부재

22 지역 문화산업 진흥의 당위성 지역 단위의 특화산업 육성으로 지역발전 도모 가능
문화산업은 타 산업에 대한 연관효과, 도심 활성화, 문화예술과의 접목 등을 통해 지역 브랜드 창출, 지역주민의 정체성 형성, 의사소통에 기여 대규모 시설 등 H/W가 많이 필요하지 않고 지역별로 전통 문화자원 또는 소재가 풍부해 지역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에 적합 스웨덴, 핀란드 등은 지역 단위의 특화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21세기 선도국가로 부상 <스웨덴과 핀란드의 지역 클러스터 발전 지형도>

23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가균형발전 민-관, 중앙-지방정부간 파트너쉽 강화 지역특성에
거점지역 전략 육성 지역특성에 적합한 주력분야 설정 산, 학, 연 협력 주민과 업체가 만족하는 커뮤니티 형성 민-관, 중앙-지방정부간 파트너쉽 강화

24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1. 거점지역 문화산업클러스터를 전략적으로 육성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클러스터를 선택, 성공사례 확산을 위해 장기적이고 대규모 수준의 정부지원 필수 클러스터가 완벽한 생태계를 갖추기까지 인내심과 장기적 안목에서 지속적 투자 필요 - 미국 실리콘밸리 60년 이상, 핀란드 울루 20년 등 영세한 지방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위한 지방재원 확충 -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기업이 공동 참여하는 지역문화산업 투자펀드 결성 등 One-Stop 지원체제 구축 및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 -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의 경영컨설턴트 기능 수행, 기업 성장단계별 성과 측정 후 지원

25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2.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주력분야 설정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한 ‘초광역권 벨트’로 전환 유도 - 수도권 : 출판만화, 애니메이션 - 서남권 : 전통문화, 디지털 영상 - 충청권 : 에듀테인먼트, 영화 지역 보유 또는 잠재 문화자산을 발굴, 최대한 활용 - 생산+소비+관광을 복합화하여 시너지 창출 전통과 첨단이 결합하는 문화 비즈니스 전개 - 다른 나라와 차별되는 창의력과 경쟁력의 보고인 우리 고유의 문화원형 적극 활용 지역 문화산업 브랜딩 전략 제시 - 대상 지역, 산업 및 기업별로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지원하여 개별 업체의 마케팅 비용절감 및 개별 브랜드의 시너지 효과 창출

26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3. 산, 학, 연 협력으로 지역혁신 촉진 지역 특화 문화산업에 맞는 창의적 전문인력 양성
- 산업계 수요 반영한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과정 개편(교육부 협조), 산업현장 학습제 등 산학연계를 통한 원천기술 개발과 상업화 - 대학은 산업계 동향과 수요를 고려한 기초연구, 기업은 대학의 관련 연구 지원 및 원천기술 상업화 지역 거점대학을 산, 학, 연 협력의 핵심기지로 육성 - 클러스터가 조성 중인 지역 거점대학을 활용하여 연구결과 공유, 상업화 등 지원 지방문화산업지원센터를 정보 교류의 장으로 활용 - 인력, 기업체 정보, 기술, 공동 연구과제 등 각종 정보 DB 구축

27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4. 지역 주민과 업체가 만족하는 커뮤니티 형성, 창출
지역 문화산업과 문화예술 접목으로 지역주민의 정체성 형성 및 자긍심 제고에 기여 - 지역, 세대간 문화격차 해소 - 도심 재활성화 등을 통한 자생적이고 쾌적한 커뮤니티 형성 지역 브랜드 창출로 글로벌 진출 여건 조성 - 지역문화산업과 연관산업 연계강화로 지역 경제 자생력 강화 및 지역 내 역외유출 방지 수요자 중심의 기업지원체제 구축 - 자금, 세금 감면 등 금융지원 위주에서 기업지원서비스 등 실물지원 확대로 전환 모색

28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 5. 민-관, 중앙-지방정부간 파트너쉽 강화
민간-지방정부-중앙정부간 역할 분담을 통한 사업 효율성 제고 - 민간과 지방정부는 협력하에 사업을 주도, 중앙정부는 계획수립, 사업조정 및 인프라 조성 지원에 주력 - 사업의 궁극적인 주체와 수혜자인 지역 주민들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민간 참여 활성화 유도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 - 지역문화산업 관련 사업에 대한 민자 유치, 세계적 수준의 외국기업이나 연구소 유치 등 민관 합동의 정책협의회 구성, 운영 - 지역의 창의적 능력에 대한 인식 제고, 창의력 비즈니스화를 위한 정책 입안 및 프로그램 개발 등

29 Content Korea !! 문화적 가치가 인류발전을 결정한다 -Samuel Huntington-


Download ppt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의 진흥정책 방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