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BSC성과지표 고도화 사업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2011. 7..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BSC성과지표 고도화 사업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2011. 7.."— Presentation transcript:

1 BSC성과지표 고도화 사업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2 목 차 Ⅴ. BSC 성과지표 고도화 ……………………..….…..… 26
목 차 Ⅴ. BSC 성과지표 고도화 ……………………..….…..… 26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2. 개인지표 개선 Ⅵ. 지표등급 평가 …………………………..…..….…..… 37 1. 지표 등급 평가의 목적 2. 지표 등급 평가 기준 및 내용 3. 지표 등급 평가 항목 및 세부 항목 4. 국 단위 평가 결과 5. 과 단위 평가 결과 Ⅶ.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 43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기본구조 성과평가 운영 개요 성과 측정 및 평가 방안 평가결과의 활용 단계별 성과관리 운영 및 정착방안 성과관리 운영의 장애요인 성과관리 성공의 기본원칙 성과관리 운영 성공 요인 프로젝트 개요 ……………………....……………….…… 3 1. 추진배경 및 목적 2. 추진 일정 3. 추진절차 Ⅱ. 통계청 일반현황…… ….……… 7 1. 인원현황 2. 통계청의 전략 방향 Ⅲ. 성과관리 고도화의 개요……....….…….....………… 10 성과관리의 기본틀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추진테마 고도화 테마별 추진내용 Ⅳ. 성과관리 현황 분석 …………..………………………. 14 1. 성과지표 현황분석 및 수준 파악 2. 미션, 비전 전략체계 분석 3. 벤치마킹 분석

3 I. 프로젝트 개요 1. 추진배경 및 목적 2. 추진일정 3. 추진절차

4 균형적 차원에서의 성과관리 운영 수준(조직과 개인)
1. 추진 배경 및 목적 본 프로젝트는 관련 법령개정, 조직재편 등 대·내외 행정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통계청의 성과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해 진단하고 최적의 성과관리체계 고도화 구축을 통해 개인 역량평가 체계에 적용하기 위함 현실 적합성 제고를 위한 지표의 고도화 행정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응 성과 관리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제고 평가지표의 타당성 및 대표성 확보 역량평가 평가방법 개선 및 적용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의 설정수준 균형적 차원에서의 성과관리 운영 수준(조직과 개인) 전략적 성과관리 체계 고도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및 진단 비전과 전략목표의 효과적 실현 가능성 성과관리 툴(BSC)의 기능 및 연계성 정도

5 2. 추진 일정 본 프로젝트의 추진은 간부 및 부서 담당자 교육과 참여를 통해 진행됨 교육 및 컨설팅일정 대 상 주요내용
본 프로젝트의 추진은 간부 및 부서 담당자 교육과 참여를 통해 진행됨 구 분 교육 및 컨설팅일정 대 상 주요내용 타 부처 벤치마킹 행정안전부/특허청/관세청 - 평가체계와 개인평가(근평)에 관한 사항 (정부업무 평가 와 BSC평가 결과 반영 정도 등) 착수 보고 간부급 - 프로젝트 추진 내용 국장급 인터뷰 ~28 국장급(8명) - 통계청 비전/전략, 조직역량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견수렴 T/F팀 회의 개최 T/F 팀 - 정기회의 1차 교육 성과관리의 기본 이해와 프로젝트 추진 방향 2차 교육 각 부서 성과관리 담당자 - 성과지표 고도화 이해 및 실습 1차 부서별 코칭 ~ 19 부서별 간부 및 담당 - 팀별 과제도출 및 지표개발 방법론 설명 - 부서별 지표연계표 작성(CSF & KP연계) 2차 부서별 코칭 ~ 26 2차 TF팀 회의 TF팀 부서 평가지표 설정 관련 내용 중간보고 중간보고 발표 및 토론 개인지표 작성 전 직원 - 개인별 지표 및 정의서 작성 지표등급평가 각 국장, 부서장(과장) 국단위 지표 및 과단위 지표 평가 1차 개인지표 코칭 각부서 각 부서를 순회하며 개인지표 코칭 2차 개인지표 코칭 각 부서

6 Policy & Process Design
3. 추진 절차 본 연구는 성과관리 진단, 선진 기관의 벤치마킹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등의 체계적인 절차에 의해서 프로젝트가 진행됨 PHASE 1 PHASE 2 PHASE 3 PHASE 4 Initiation Diagnose Policy & Process Design Change Management Scheme For Follow up Stage 1.1 프로젝트 Quick-Scan 성과관리 지속적 관리방안 및 변화관리 Stage 4.1 Stage 3.1 평가체계 재설계 핵심성과지표 개선 및 개발 (계량, 비계량) Stage 3.2 성과관리 고도화 방안설계 Stage 3.3 Stage 2.2 미션 / 비전 등 전략체계 분석 지표진단 및 벤치마킹 Stage 2.3 성과관리현황분석 및 수준파악 Stage 2.1

7 II. 통계청 일반현황 1. 인원현황 2. 통계청의 전략 방향

8 1. 인원 현황 통계청의 인원현황은 정원은 본청(577명), 교육원(30명), 개발원(43명), 지방통계청(1,587명) 합하여 2,257명이며, 현원은 본청(593명), 교육원(31명), 개발원(42명), 지방통계청(1,539명) 합하여 2,205명으로서, 현원이 정원대비 52명 적게 배치되어 있음 ( 현재) < 정원현황 > (단위 : 명) 구분 정무직 고위 공무원 계약직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연구사 기능직 소계 본청 1 7 49 131 160 158 39 4 47 577 교육원 2 8 5 30 개발원 3 18 16 43 지방청 14 72 260 452 549 145 90 1,587 합계 12 68 229 441 619 592 149 143 2,257 구성비(%) 0.05 0.5 0.1 3.0 10.2 19.6 27.4 26.2 6.6 6.3 100.0 ※ 복수직 포함(3·4급 3명, 4·5급 22명) < 현원현황 > 구분 정무직 고위 공무원 계약직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연구사 기능직 소계 본청 1 7 3 47 129 160 148 45 593 교육원 2 8 5 31 개발원 18 16 42 지방청 14 65 260 448 541 105 90 1,539 합계 21 220 441 604 591 112 141 2,205 구성비(%) 0.05 0.4 0.9 2.9 10.0 20.0 27.4 26.8 5.1 6.4 100.0 ※ 복수직 포함(3·4급 3명, 4·5급 23명), 일반계약직공무원 포함(고위공무원단 4명, 4호 3명, 5호 3명, 9호 11명)

9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하며, 신뢰받는 통계생산으로
2. 통계청의 전략 방향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하며, 신뢰받는 통계생산으로 각 경제주체에게 유용한 통계정보 제공이라는 기관 미션과 비전을 바탕으로 기본 방향(통계수요, 통계서비스, 통계생산, 국가통계시스템)과 추진과제를 수립함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하며, 신뢰받는 통계생산으로 각 경제주체에게 유용한 통계정보 제공 기본 방향 추진 과제 정책맞춤형 통계 개발로 국정과제 뒷받침 인구주택총조사 등 3대 총조사의 성공적 실시 통계작성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 수요자 중심의 통계정보 서비스 제공 국가통계의 체계적 관리 강화

10 III. 성과관리 고도화의 개요 성과관리의 기본틀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추진테마 고도화 테마별 추진내용

11 1. 성과관리의 기본틀_조직의 목표와 성과지표의 연계(Cascading)
기관 차원의 핵심전략과 핵심성공요인을 국/과의 목표로 구체화하고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하부로 전개함 BSC 모델 성과전력과 지표 도출 방법 1. 전략과제도출(CSF) 2. 과 KPI도출 3. 과 KPI 정의 1. 국 전략l 2. 전략별 CSF 3. 국 Strategy Map 4. 국 KPI도출 1. 기관 미션/비전 2. 기관 핵심전략 3. 핵심 전략별 CSF 4. 기관 Strategy Map 5. 기관 KPI도출 Activity & Output Alignment Linkage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 CSF:Critical Success Factor 1.1 기관 전략목표 2.1 실,국 전략목표 1.2 핵심성공요인 (CSF) 2.2 3.2 1.3 주요성과지표 (KPI) 2.3 3.3 3.1 과 전략목표

12 2.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추진테마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세부항목과 추진테마는 다음과 같이 도출함 고도화 분야 고도화 세부항목 고도화 추진테마 성과관리체계의 고도화 성과관리운영의 평가결과 환류 및 활용의 고도화 인프라 구축의 비전/전략/목표 체계화 전략과제 및 지표간 연계성 성과지표의 품질향상 성과관리 모니터링 강화 합리적 가중치 운영 이행과제 및 주요업무 연계 평가결과의 근평 반영 평가결과의 정책과제 반영 직원들의 평가 수용도 경쟁력 있는 목표설정 타 평가시스템의 통합 관련시스템과의 연계 성과주의 문화정착 지표확대 및 차별화(조직/직책) 일반과제 연계운영 개인평가 자료로 활용 I. 전략체계의 연계성강화 IV. 지표별 이행계획(주요업무)연계성 강화 V. 평가방법 재정립 및 평가결과의 활용 III. 합리적 목표설정 및 가중치 설계 II. 지표확대 및 품질 고도화 VI. 평가시스템간의 연계 및 통합

13 3. 고도화 테마별 추진내용_전략체계의 연계성 강화
기관, 부서, 개인차원까지 성과지표와 목표수준이 상호 연계되고 하부로 체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함 전략목표, 전략과제 간의 연계성이 확보되고 있는가? 기관지표 및 목표가 하부 조직의 지표/목표치와 연계관계가 있는가? <지표, 목표수준 및 이행과제의 연계성 강화> 본부차원 정보화만족도 증가율 대중교통 이용율

14 IV. 성과관리현황 분석 성과지표 현황 분석 및 수준파악 미션 , 비전 전략체계 분석 벤치마킹 분석

15 1. 성과관리현황 분석 및 수준파악(2010) 국 단위 성과지표의 계량 & 비계량지표(업무정성평가) 분석
국단위에서 사용하는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비율은 계량지표 76%, 비계량지표(업무정성평가) 24%로 나타나며, 비계량지표에 대한 가중치 적용된 비중은 평균 63%이므로 적용된 비율이 39%가 더 높게 반영되어 지표 변별력에 문제가 있음. 비계량지표에 대한 가중치 적용된 지표비율이 평균(63%)이상 해당국은 사회통계국(77%), 경제통계국(80%)로 나타나고, 평균이하는 통개발원(50%), 통계정보국(50%), 통계정책국(50%), 조사관리국(54%)으로 파악됨 부서명 지표수 계량지표 비계량지표 개수 가중치 (B) 비중 (B/(A+B)) *100 비계량 지표 점유율 (%)  총계 공통 고유 지표(A) 기획조정관실 10 8 7 1 85 5 2 66.7% 20.0% 통계개발원 11 9 83 50.0% 18.2% 통계교육원 14 3 73 4 18 64.8% 28.6% 통계정보국 15 12 82 통계정책국 16.7% 조사관리국 87 6 53.9% 21.4% 사회통계국 78 17 77.3% 26.7% 경제통계국 19 13 75 20 80.8% 31.6% 합계 110 84 64 81 26 63.2% 23.6% 지표 비율(계량지표 : 비계량지표) = 76% : 24% 가중치 적용 지표 비율(계량지표 : 비계량지표) = 37% : 63% 지표별 가중치 비율(공통지표 : 고유지표 : 비계량지표) = 81% : 7% : 12% 가중치 적용 지표 비율 70%이상은 사회통계국(77%), 경제통계국(80%)로 나타남 ※ 2010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16 1. 성과관리현황 분석 및 수준파악(2010) 과 단위 성과지표의 계량 & 비계량지표(업무정성평가) 분석
과 단위에서 사용하는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비율은 계량지표 74%, 비계량지표(업무정성평가) 26%로 나타나며, 비계량지표에 대한 가중치 적용된 비중은 평균 59%이므로 적용된 비율이 33%가 더 높게 반영되어 지표 변별력에 문제가 있음. 비계량지표에 대한 가중치 적용된 지표비율이 평균(59%)이상 해당과는 기획재정담당관실(100%), 경제통계기획과(77%), 산업통계과(75%), 서비스업동향과(73%), 지역소득통계팀(70%)으로 나타나고, 평균이하는 통개발원(50%), 통계정보국(50%), 통계정책국(50%), 조사관리국(54%)으로 파악됨 지표 비율(계량지표 : 비계량지표) = 74% : 26% 가중치 적용 지표 비율(계량지표 : 비계량지표) = 41% : 59% 지표별 가중치 비율(공통지표 : 고유지표 : 비계량지표) = 70% : 12% : 18% 가중치 적용 지표 비율 70%이상 : 기획재정담당관실(100%), 경제통계기획과(77%), 산업통계과(75%), 산업동향과(100%), 서비스업동향과(73%), 지역소득통계팀(70%), 운영지원과(80%)로 나타남 ※ 2010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17 1. 성과관리현황 분석 및 수준파악(2010) 국 단위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속성(계량, 비계량)과 지표유형(산출,과정,결과지표) 재 분류에 의한 분석 국단위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속성 분석결과는 계량지표 58.2%, 비계량지표 41.8%로 파악되고, 지표유형은 산출지표 38.2%, 과정지표 1.8%, 결과지표 60.0%로 파악됨 부서명 (국단위) 지표속성 지표유형 계량지표 비계량지표 소계 산출지표 과정지표 결과지표  소계 개수 비율(%) 통계정책국 8 66.7% 4 33.3% 12 0.0% 통계정보국 9 60.0% 6 40.0% 15 5 10 경제통계국 52.6% 47.4% 19 3 15.8% 2 10.5% 14 73.7% 사회통계국 7 46.7% 53.3% 조사관리국 64.3% 35.7% 42.9% 57.1% 기획조정관실 20.0% 80.0% 통계개발원 63.6% 36.4% 11 45.5% 54.5% 통계교육원 50.0% 합 계 64 58.2% 46 41.8% 110 42 38.2% 1.8% 66 ※ 2010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18 1. 성과관리현황 분석 및 수준파악(2010) 과 단위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속성(계량, 비계량)과 지표유형(산출,과정,결과지표) 재분류에 의한 분석 과단위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속성 분석결과는 계량지표 58.5%, 비계량지표 41.5%로 파악되고, 지표유형은 산출지표 46.3%, 과정지표 1.0%, 결과지표 52.7%로 파악됨 부서명 (과단위) 지표속성 지표유형 계량지표 비계량지표 소계 산출지표 과정지표 결과지표  소계 개수 비율(%) 통계정책국 30 62.5% 18 37.5% 48 31 64.6% 0.0% 17 35.4% 통계정보국 38 61.3% 24 38.7% 62 35 56.5% 1 1.6% 26 41.9% 경제통계국 37 50.7% 36 49.3% 73 29 39.7% 2 2.7% 42 57.5% 사회통계국 27 55.1% 22 44.9% 49 21 42.9% 28 57.1% 조사관리국 39 63.9% 36.1% 61 44.3% 34 55.7% 기획조정관실 50.0% 44 13 29.5% 2.3% 68.2% 통계개발원 20 69.0% 9 31.0% 14 48.3% 15 51.7% 통계교육원 61.9% 8 38.1% 11 52.4% 10 47.6% 대변인실 6 75.0% 25.0% 3 5 감사담당관실 12 66.7% 4 33.3% 운영지원과 16.7% 83.3% 합 계 245 58.5% 174 41.5% 419 194 46.3% 1.0% 221 52.7% ※ 2010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19 1. 성과관리현황 분석 및 수준파악(2010) 개인 단위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속성(계량, 비계량)과 지표유형(산출,과정,결과지표) 재 분류에 의한 분석 개인단위 성과지표에 대한 지표속성 분석결과는 계량지표 35.6%, 비계량지표 64.4%로 파악되고, 지표유형은 산출지표 62.4%, 과정지표 0.5%, 결과지표 37.1%로 파악됨 부서명 (개인단위) 지표속성 지표유형 계량지표 비계량지표 소계 산출지표 과정지표 결과지표  소계 개수 비율(%) 통계정책국 28 41.2% 40 58.8% 68 67 98.5% 0.0% 1 1.5% 통계정보국 53 36.1% 94 63.9% 147 125 85.0% 0.7% 21 14.3% 경제통계국 32 41.0% 46 59.0% 78 51.3% 2 2.6% 36 46.2% 사회통계국 15 25.0% 45 75.0% 60 20 33.3% 66.7% 조사관리국 33 47.8% 52.2% 69 65.2% 24 34.8% 기획조정관실 12 20.0% 48 80.0% 11 18.3% 49 81.7% 통계개발원 17 58.6% 41.4% 29 통계교육원 26.7% 73.3% 88.9% 5 11.1% 대변인실 3 6 9 감사담당관실 40.0% 60.0% 운영지원과 19.2% 80.8% 26 4 15.4% 22 84.6% 합 계 216 35.6% 390 64.4% 606 378 62.4% 0.5% 225 37.1% ※ 2010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20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하며, 신뢰받는 통계생산으로
2. 미션 및 비전 전략체계 분석 – 통계청의 미션 통계청은 국가중앙통계기관, 국가통계 발전, 신뢰성(정확성, 시의성, 유용성) , 고품질 통계생산, 개인사생활 보호, 기업정보 보호 등의 키워드에 의한 미션을 설정함 미션(Mission) 국가통계 발전을 선도하며, 신뢰받는 통계생산으로 각 경제주체에게 유용한 통계정보를 제공한다. 의미 부여 (Meaning) 국가중앙통계기관으로서 효율적인 통계 조정 및 협력 활동을 강화하고 국가통계 품질향상을 주도하여 국가 통계의 발전을 선도한다. 급격한 경제,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통계수요와 조사환경 악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지속적인 국가통계시스템 혁신으로 정확성, 시의성, 유용성을 갖춘 신뢰받는 통계를 생산한다. 통계 생산 및 보급에 있어 관련 법규정을 철저히 준수하여 개인의 사생활과 기업의 영업비밀을 보장함으로써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받는다.

21 2. 미션 및 비전 전략체계 분석 – 통계청의 비전 비전(Vision) 국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선진일류 통계청 의미 부여
통계청은 ‘09. 7월 비전 재 설정을 위해 ‘비전 개정 T/F팀’을 운영하여 타부처 비전 취합, 일반직원대상 비전공모를 통해 10개의 안을 확정하고 전 직원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전을 재 설정 함 통계청의 정성적 비전은 설정되었지만 구체적인 정량적 비전 설정이 없는 상태임 비전(Vision) 국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선진일류 통계청 의미 부여 (Meaning) 고객만족을 위해 통계 이용자들의 요구사항에 귀를 기울이고, 이에 부합하는 고품질의 통계를 생산․제공하여, 국가 정책과 국민의 미래 설계를 지원함으로써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통계기관으로 거듭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통계청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와 의지를 표명 핵심키워드 • 세계 일류 수준 지향 • 사용자 중심의 고품질의 통계를 생산․확충하고 제공 • 통계전문가로서 역량강화 • 국가정책 선도 • 국민의 미래설계 지원 • 국가통계중추기관으로서의 역할

22 2. 미션 및 비전 전략체계 분석 – 전략 목표 도출 국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선진일류 통계청
통계청의 “국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선진일류 통계청”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한 수단인 핵심 전략두가지와 과 4대 전략목표를 설정하고 12개의 전략테마(과제)를 설정함 비 전 국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선진일류 통계청 국가통계 기반 강화를 통한 고품질 통계행정 구현 수요자 중심의 통계서비스로 고객감동 실현 핵심전략 국가 통계 인프라 강화 국가 통계 역량 강화 국가기본 통계 생산.제공 통계서비스 체계의 고도화 전략목표 전략적 조직경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 조성 국가통계제도의 혁신, 통계협력 활성화로 국가통계 기반조성 효율적인 조사지원을 통한 지역통계발전 및 조사품질 향상 경제통계 생산체계의 효율화를 통한 통계 품질 제고 사회환경변화 대응력 강화로 가치 있는 사회통계 생산 고품질 통계생산을 위한 통계정보인프라 강화 통계교육기반 강화로 통계 전문인력 양성 통계환경변화 대응력 강화로 시대흐름에 부응하는 통계개발 맞춤형 경제통계 서비스로 고객 만족 제고 사회통계서비스 적시 제공으로 고객 만족 향상 맞춤형 통계정보서비스로 이용자 만족 제고 맞춤형 교육을 통한 고객만족 제고 전략테마

23 2. 미션 및 비전 전략체계 분석 – 통계청 CSF 도출
통계청의 4대 CSF(전략목표)와 연계하여 각 국의 24개 CSF가 도출 되었음 통계청 CSF 국 CSF 관련 국 국가기본통계 생산.제공 통계 개선·개발 수용성 강화 경제, 사회통계국 통계 생산체계 선진화 통계자료의 활용성 증대 통계 생산 지원 및 네트워크 확대 통계의품질제고 현장조사 기획의 효율성 제고 조사관리국 통계생산에 대한 체계적 지원 강화 총조사의 체계적 추진 국가통계 인프라강화 통계작성 기반 강화 통계제도 정비 및 운영효율화 통계정책국 통계서비스 체계의 고도화 통계생산·서비스시스템 구축 선진화 통계정보국 범정부통계 지원체계 확립 통계정보서비스 네트워크 강화 통계인식 제고 통계교육원 국내외 통계서비스 대응력 강화 통계역량 강화 통계자원(예산, 조직)의 효율적 관리 기획조정관 성과관리 내실화 국제협력 증진 수요자 중심의 연구수행 통계개발원 통계연구 품질강화 연구성과 공유 활성화 통계연구 인프라 강화 통계전문 인력 양성 교육자원의 효율적 활용

24 2. 미션 및 비전 전략체계 분석 – 통계청 전략 맵(Map)
청의 CSF와 국CSF들간의 연계성을 검토하여 전략 맵(Map)을 완성 하였음 비전 국민과 함께 미래를 여는 선진일류 통계청 전략 목표 국가통계 인프라 강화 국가 기본 통계 생산 . 제공 국가통계 역량 강화 통계 서비스 체계의 고도화 고객 수요자 중심의 통계 역량 강화 통계 인식 제고 사업 수행 범 정부통계 지원 체계 확립 통계 생산체계 선진화 통계품질제고 통계 활용성 증대 통계 개선.개발 수용성 강화 통계작성 기반 강화 통계 생산 지원 및 네트워크강화 조사기획의 효율성 제고 국내외 통계 서비스 대응력 강화 통계정보서비스 네트워크강화 통계 제도정비 및 운영효율화 성과 관리 내실화 미래 역량 인적 자원 역량강화 성과중심의 문화 정착 통계 전문 인력 양성

25 3. 벤치마킹 분석 < 정부업무평가 관리과제상의 성과지표와 BSC 평가지표와의 중복여부 >
부처 중복여부 특징 행정안전부 중복허용 ․「성과관리시행계획」상 주요정책과제의 성과지표는 소관부서의 성과지표로 반드시 반영 특허청 ․ BSC 평가지표중 부서 주요핵심업무를 정부업무평가 성과지표로 설정하여 평가 실시 관세청 ․ 주요정책과제의 성과지표를 BSC 평가지표로 설정하여 평가 실시 < 과장급 이상 성과계약등 평가 및 성과연봉에 정부업무평가 반영 비중 > 부처 반영비중 특징 행정안전부 24% 단, 실제 평가된 점수가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95±5점 내의 등간격으로 환산점수가 부여됨. 특허청 가점부여 자체평가점수 및 마일리지점수등을 고려하여 3등급으로 부여하되, 전체 순위에 약 3~7% 정도 영향을 미치도록 함. 관세청 4~6% -

26 Ⅴ. BSC성과지표 고도화 조직 성과지표 개선 개인지표 개선

27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 국 단위 지표 종합(속성별)
국단위 성과지표는 계량지표 56%(34개)와 비계량지표44%(27개)이며, 통계정책국은 계량지표가 100%(8개) 로 구성되고, 통계정보국은 비계량지표가 83%(5개)로 구성된 것이 특징으로 나타남 구분 지표개수 지표비율(%) 계량 비계량 소계 경제통계국 5 3 8 63% 38% 100% 사회통계국 6 9 67% 33% 통계정보국 1 17% 83% 기획조정관 50% 통계정책국 0% 조사관리국 4 44% 56% 통계교육원 통계개발원 7 43% 57% 합계 34 27 61 ※ 상기 지표수는 국 공통지표인 만족도 평가 지표가 포함됨

28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 국 단위 지표 종합(유형별)
국단위 성과지표는 과정지표 0%(0개), 산출지표 15%(9개), 결과지표 85%(52개)이며 전년도(2010년) 대비 과정지표와 산출지표는 각 각 1.8%, 23% 감소 했으며, 결과지표는 15% 증가 되었음 구분 지표개수 지표비율(%) 과정 산출 결과 소계 경제통계국 8 0% 100% 사회통계국 1 9 11% 89% 통계정보국 6 기획조정관 통계정책국 7 12% 88% 조사관리국 4 5 44% 56% 통계교육원 3 37% 63% 통계개발원 합계 52 61 15% 85%

29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 과 단위 지표 종합(속성별)
과단위 지표속성은 계량지표 57%(146개), 비계량지표 43%(111개)의 비율을 보여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남 통계정책국 76%, 기획조정관실 75%, 경제통계국 74%으로 계량지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조사관리국 69%, 통계정보국 69%으로 비계량지표가 높게 나타남 부서명(과단위) 지표속성(개수) 지표속성(비율) 계량 비계량 소계 기획조정관실 18 6 24 75% 25% 100% 조사관리국 10 22 32 31% 69% 통계정책국 29 9 38 76% 24% 통계교육원 4 40% 60% 사회통계국 28 17 45 62% 38% 경제통계국 34 12 46 74% 26% 통계정보국 통계개발원 7 8 15 47% 53% 직속부서 합계 146 111 257 57% 43% ※ 2011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30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 과 단위 지표 종합(유형별)
과단위 지표유형은 산출지표 35%(91개), 결과지표 65%(166개)의 비율을 보이며, 전년대비 과정지표와 산출지표는 1%, 11% 감소했으며, 결과지표는 13% 증가 되었음 경제통계국 54%로 산출지표가 높게 나타나고, 조사관리국 75%, 통계정보국 75%, 통계정책국 74%로 결과지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 부서명 지표유형(개수) 지표유형(비율) 과정 산출 결과 소계 기획조정관실 10 14 24 42% 58% 100% 조사관리국 8 32 25% 75% 통계정책국 28 38 26% 74% 통계교육원 4 6 40% 60% 사회통계국 16 29 45 36% 64% 경제통계국 25 21 46 54% 46% 통계정보국 통계개발원 5 15 33% 67% 직속부서 합계 91 166 257 35% 65% ※ 2011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31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 과 단위 지표 현황(1) 국명 과명 지표속성(개수) 지표속성(비율) 지표유형(개수)
지표유형(비율) 계량 비계량 소계 과정 산출 결과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 5 2 7 71% 29% 100% 0% 행정관리담당관 4 3 57% 43% 국제협력담당관실 1 25% 75% 성과관리팀 6 33% 67% 18 24 10 14 42% 58% 조사관리국 조사기획과 50% 인구총조사과 경제총조사과 40% 60% 통계대행과 행정자료팀 등록센서스과 행정통계과 22 32 31% 69% 8 통계정책국 표본과 통계정책과 9 22% 78% 통계협력과 83% 17% 통계심사과 품질관리과 통계기준팀 80% 20% 29 38 76% 24% 28 26% 74% 통계교육원 교육기획과 교육운영과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63% 38% 인구동향과 70% 30% 고용통계과 복지통계과 56% 44% 농어업통계과 17 45 62% 16 36% 64% ※ 2011년 성과지표 기준으로 분석

32 1. 조직 성과지표 개선 – 과 단위 지표 현황(2) 국명 과명 지표속성(개수) 지표속성(비율) 지표유형(개수)
지표유형(비율) 계량 비계량 소계 과정 산출 결과 경제통계국 경제통계기획과 5 2 7 71% 29% 100% 3 4 0% 43% 57% 산업동향과 6 8 75% 25% 50% 산업통계과 1 서비스업동향과 9 78% 22% 44% 56% 지역소득통계팀 물가동향과 67% 33% 소계 34 12 46 74% 26% 25 21 54% 46% 통계정보국 정보화기획과 20% 80% 조사시스템관리과 14% 86% 통계포털운영과 60% 40% 공간정보서비스팀 17% 83% 정보서비스팀 10 22 32 31% 69% 24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 조사연구실 동향분석실 15 47% 53% 직속부서 감사담당관실 운영지원과 대변인실 합계 146 111 257 91 166 35% 65%

33 2. 개인 성과지표 개선 – 개인지표 및 가중치 설정 방법
가. 개인지표 설정 원칙 업무정성평가지표는 개인별 2개 이상, 가중치는 50% 이상으로 설정 계량 및 비계량지표는 개인특성지표(개인별 업무분장을 반영한 지표)로 1개 이상, 가중치는 50% 이내로 설정 설정 원칙에 따른 지표의 가중치 합은 100%로 하고, 지표수는 모두 합하여 6개 이하가 되도록 설정 ※ 업무정성지표는 비계량지표와 구별 되는 것으로 업무의 특성 따라 평가자의 재량에 의한 평가를 말함 나. 개인지표 가중치 설정 원칙 개인별 지표의 가중치는 개인별로 평가자와 협의하여 설정 국 단위의「평가지표 심사위원회」(대변인실, 감사담당관실, 운영 지원과는 해당부서장)에서는 이에 대한 적정성을 심사하여 필 요한 경우 조정 권고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수용 평가단위 내에서 자체 조정이 어려운 사항은 성과관리실무위원회에서 심의 다. 평가지표 심사위원회 운영 구성 : 위원장(각 국․원장), 위원(해당 국․원 과장급), 간사(국 행정 담당) 개최 : 성과계약체결 전(前) 및 위원장의 요구시 기능 : 개인단위로 설정된 평가지표 및 가중치의 적정성 심의․조치 및 평가 단위별 지표설정의 세부 공통기준 설정 등

34 통계작성기관에 대한 경제통계 개선·개발 권고 수용률
2. 개인 성과지표 개선 – 개인지표 연계표(예시) 경제통계기획과 개인지표 연계표 현황(예시) 담당자 담당업무(업무관점) 부서 CSF 연계 개인 KPI 산식 및 착안점 지표 속성 지표 유형 가중치 목표값 소분류 세분류 OOO 사무관 경제통계기획 통계작성기관 생산 지원 확대 통계작성기관에 대한 경제통계 개선·개발 권고 수용률 (∑개선수용*0.4+∑개발수용*0.6)/(∑개선권고*0.4+∑개발권고*0.6) 의 목표치 달성 계량 결과 20 85 산업활동동향 보도자료 공표 통계활용성 증대 산업활동동향 공표기일 준수율 (산업활동동향 공표일자 준수 건수/연간 공표 건수)*100 산출 10 100% 경제통계 개선·개발 의견수렴 청내 및 외부기관, 이용자그룹, 관련기관에 대한 개선·개발 의견수렴 횟수 3 경제통계 개선·개발 과제 추진 과제 발굴 및 추진 노력도 업무정성 30 국회업무 국회업무 추진 국회요구자료 대응 과정 국차원 대응 주요 이슈의 국차원의 대응력 강화 청차원의 주요이슈에 대한 국 의견 OOO 주무관 40

35 2. 개인 성과지표 개선 – 개인지표 등급평가(예시)
경제통계기획과 개인지표 등급평가 시트(예시) 소속(과) :경제통계기획과(18명, 35개지표) 순번 담당업무(업무관점) 부서 CSF 연계 개인 KPI 지표 속성 지표 유형 평가항목 등급점수 (30점) 소분류 세분류 과제의 중요도 (25%) 지표의 적합성 (25%) 목표치 도전성 (25%) 실행의 난이도 (25%) 1 경제통계기획 산업활동동향 보도자료 공표 통계활용성 증대 산업활동동향 공표기일 준수율 계량 산출 0.00 2 국회업무 국회업무 추진 업무정성 과정 3 국차원 대응 주요 이슈의 국차원의 대응력 강화 4 통계작성기관 생산 지원 확대 통계작성기관에 대한 경제통계 개선·개발 권고 수용률 결과 5 경제통계 개선·개발 의견수렴 6 경제통계 개선·개발 과제 추진 7 경기종합지수 경기종합지수(확산지수 및 경기순환시계) 경제통계 활용성 증대 확산지수 및 경기순환시계의 체계적 작성 및 분석 8 경기종합지수(산업활동동향 공표) 9 산업활동동향 산업활동동향 취합 및 보도작업의 체계적 추진 10 경기종합지수(분석 및 예측) 경기종합지수의 체계적 작성 및 분석 11 경기종합지수(개편 노력도) 경기종합지수 생산체계 선진화 경기종합지수 성공적 개편을 위한 노력도 및 완성도 12 경기종합지수(개편 절차 준수) 경기종합지수 개편절차 준수율 5 - 매우 그렇다(10%) / 4 - 그렇다(25%) / 3 - 보통이다(30%) / 2 - 그렇지 않다(25%) / 1 - 전혀 그렇지 않다(10%)

36 Ⅵ. 지표등급 평가 1. 지표 등급 평가의 목적 2. 지표 등급 평가 기준 및 내용 3. 지표 등급 평가 항목 및 세부 항목
4. 국 단위 평가 결과 5. 과 단위 평가 결과

37 1. 지표 등급 평가의 목적 훌륭한 성과관리의 트라이앵글 연계성/ 통합성 지표의 적합성 전략과제의 충실성 목표의 합리성
성공적으로 성과평가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과제, 지표 및 목표 값의 도전성, 실행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사전평가를 실시하여 평가에 대한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통계청 전체의 지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함 훌륭한 성과관리의 트라이앵글 성과지표의 변별력 향상 연계성/ 통합성 지표의 적합성 전략과제의 충실성 목표의 합리성 전략과제의 체계성 전략과제의 충분성 목표의 도전성 목표 설정의 합리성 지표의 품질력 지표 고도화 방법 성공적인 성과 평가시스템 정착 평가에 대한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 조직원들의 성과평가 결과에 대한 수용성 제고 현실 적합성 제고를 위한 지표의 고도화 성과 관리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제고 평가지표의 타당성 및 대표성 확보

38 2. 지표 등급 평가 기준 및 내용 평가 항목은 4개로 하여 각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점수를 산정 하도록 하였음
○「지표(과제) 등급평가」 항목 및 내용 구  분 평 가  내 용 평가자 과제의 중요도(30%)  • 과제의 청 비전 및 전략 기여도  • 결과가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과관리 평가단 지표의 적합성(25%)  • 지표의 결과 지향성  • 지표의 결과달성에 대한 설명 정도 목표치 도전성(25%)  • 목표치 설정의 타당성  • 목표 수준의 도전성 실행의 난이도(20%)  • 과제와 목표달성의 어려운 정도  • 과제추진의 노력 정도 ○ 과제 중요도 순위 및 지표 성격등급 지표 성격등급 평가 S A B C D 10% 25% 30% 과제의 중요도 5 4 3 2 1 지표의 적합성 목표치 도전성 실행의 난이도 38

39 3. 지표 등급 평가 항목 및 세부 항목 항목 세부항목 - 청(국)의 비전이나 전략 과제(CSF)와 연계성이 강한가?
세부항목별로 5점 ~ 1점 척도로 평가 S:50점, A:45점, B:40점, C:35점, D:30점으로 환산한 다음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함 항목 세부항목 과제의 중요도 (30%) - 청(국)의 비전이나 전략 과제(CSF)와 연계성이 강한가? - 이용자에게 미치는 긍정적 파급효과가 큰가? - 부서의 핵심 업무로 충분히 대표하고 있는가? 지표의 적합성 (25%) - 과제추진의 목적이나 효과를 측정하기에 적합한가?(결과 or 산출) - 해당지표가 정보력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가? - 과제가 성공적으로 잘 추진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게 설명력이 충분한가? 목표치 도전성 - 중장기 목표를 근거로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 내부 역량을 최고로 발휘하는 수준으로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 목표치 설정이 과거 증가수준을 훨씬 능가하는가? 실행의 난이도 (20%) - 사업추진과정에 타기관의 협력이 필요하거나 불특정 이해관계자의 관계가 복잡한가? - 과제 추진을 위한 기획, 의사결정, 추진과정에 많은 전문성과 경험이 요구되는가? - 기피 업무이거나 사업추진과정에 있어서 담당자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한가?

40 4. 국 단위 평가 결과 <국 단위 평가 순위 별> <과 단위 평가 순위 별>
국단위 평가의 최고와 최저의 차이는 4.14점이며, 과 단위 평가의 최고와 최저의 차이는 3.86점으로 도출 되었음 <국 단위 평가 순위 별> <과 단위 평가 순위 별> 국 명 평균 순위 OOOO국 42.33 1 42.28 2 41.52 3 41.05 4 39.64 5 39.53 6 38.75 7 38.19 8 부서명 평균 순위 OOOOO과 42.00 1 41.23 6 40.53 16 40.23 21 39.97 26 39.83 31 39.31 36 38.14 41

41 Ⅶ.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기본구조 성과평가 운영 개요 성과 측정 및 평가 방안 평가결과의 활용
단계별 성과관리 운영 및 정착방안 성과관리 운영의 장애요인 성과관리 성공의 기본원칙 성과관리 운영 성공 요인

42 1.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기본구조 통합성과관리시스템은 성과체계, 성과평가, 성과결과 환류의 큰 영역별로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 성과관리체계 영역(ⓐ) 성과평가체계 영역(ⓑ) 성과환류체계 영역(ⓒ) 전략·업무관리 지표설계 목표설정 평가구조 및 평가방법 결과활용 인사 승진 교육 연봉제 개인 환류 예산 인력 정책 조직 지표평가 관점평가 개인평가 직위평가 직급평가 조직평가 기간평가 외부평가연계 내부평가 정립 평가운영 , 모니터링방법설계 항목별 가중치 정성 평가방법 성과관리 역량강화 및 문화정착 공통업무 공통 목표 공통지표 미 션 비 전 전략목표 성과목표 전략 계획 실행 이행계획 기관지표 성과지표 사업지표 전략체계연계성 강화 지표의 품질 고도화 평가체계 정립 평가 결과 활용 합리적 목표, 가중치설정

43 2. 성과평가 운영 개요 통합성과관리에 있어서 평가는 궁극적인 목적이 아니며, 조직관리를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서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을 모든 구성원이 인식할 필요가 있음 성과지표가 설정되면 성과평가 대상조직, 요소, 시기 등을 사전에 정의하여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평가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함 산출된 조직 단위별 비 계량평가와 환경의 변화 등 통제 불가능한 요인에 따른 성과 달성을 고려하여 보다 내부 수용성이 높고 정확한 성과평가의 설계가 필요함 성 과 평 가의 프로세스 조 직 프 로 세 스 업무평가 위 원 회 성과관리 부서 비 계량지표 평가단 현업부서 시스템에 의한 실적 산출 실적평가 자료 제출 결과수용 or 이의신청 계량지표 평가 확인 필요시 점수 조정 평가군별 조직단위별 평가점수 산출ㆍ확정 비계량 지표 검토 및 조정 평가점수 등급 확정 ※ 이의신청은 별도의 수속단계를 통해 진행함.

44 Example 2. 성과평가 운영 개요 성과 평가 지속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여 과정 관리가 필요함
체계적인 성과 관리만이 평가 전반에 대한 신뢰도와 평가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 성과평가 일정 구분 전년 당년 익년 9~11월 12월 1~6월 7월 8~12월 1월 2월~ 평가 프로세스 지표개발 관리자 확정 실적관리 상반기 평가 (이행과제 중심) 하반기 평가 (지표와 이행과제 평가) 활용 주요내용 전략목표 성과목표 성과지표 목표치 및 산식 지표 가중치 이행과제 지표정의서 이행과제 정의서 성과관리계획서 확인 오류수정 관리자 최종 확정 <지표 및 과제관리> 월(분기, 반기) 실적입력 근거자료 유첨 지표 및 목표치 조정(반기별) 실적 팀장 확인 취합 평가시뮬레이션 (평가검토 및 확인) 소명기회 제공 평가위원회 개최 및 확정 좌동 주관부서 취합 평가검토 및 확인 소명기회제공 평가위원회 개최 및 확정 <인센티브> 성과상여금 성과연봉 근평 적용 <기타> 포상 인사참고자료 Example

45 Example 3. 성과측정 및 평가방안(1) • 평가단 구성 및 운영 방안 수립 2단계 평가로 객관성 확보
성과관리 평가단 구성 및 운영 내부 평가단과 외부 평가단을 구성함으로써 평가의 객관성과 수용성을 확보함 성과관리 주관부서  • 평가단 구성 및 운영 방안 수립  • 평가단 운영  • 평가표 작성  • 정성평가 결과 보고 및 전산시스템 입력 Example 내 부 평 가 단 외 부 평 가 단  • 구성 : 전략 분야별로 - 前 근무경험자(퇴직, 이직 등) - 통합성과관리 전문가 등으로 구성  • 기능 : 정성평가 실시  • 구성 : 각 부서별 직원  • 기능 : 성과관리계획 정성평가 실시 2단계 평가로 객관성 확보

46 3. 성과측정 및 평가방안(2) 지표 정성평가 항목 및 착안사항 구 분 주요항목 평가 착안사항 과제의 중요도 과제의 기여도
구  분 주요항목 평가 착안사항 과제의 중요도 과제의 기여도 고객의 만족도 향상 정도  - 기관의 비전이나 전략에 미치는 영향이 큰가?  - 고객이나 이해관계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큰가?  - 장기적인 기관의 중장기 발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인가? - 사업추진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가?  - 사업의 전 국민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가?  - 부서의 업무 내용 중 주요사항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 결과가 고객들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가? - 과제가 고객들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로 구성되었는가? 지표의 적합성 지표의 결과 지향성 (결과지표화 정도) 지표의 결과달성에 대한 설명 정도  - 과제추진의 목적이나 효과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결과 지표를 사용하고 있는가? - 장기간 추진하는 과제(계속사업)의 경우, 진척율과 품질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복합지표를 사용하고 있는가?  - 기존 통계자료가 없는 경우 대용지표를 활용하고 있는가?  - 지수형태의 지표를 개발하여 사용하는가?  - 타 기관과 비교가 가능한 상대적 지표를 사용하고 있는가?    (예, 인구1만명당, 노인1인당...)으로 측정하는 지표  - 팀의 과제 달성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지표인가?  - 해당 지표로 실적을 측정하면 그 데이터가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겠는가?

47 3. 성과측정 및 평가방안(3) 지표 정성평가 항목 및 착안사항 구 분 주요항목 평가 착안사항 목표치 도전성 목표치 설정의
구  분 주요항목 평가 착안사항 목표치 도전성 목표치 설정의 타당성 목표 수준의 도전성  - 중장기 발전계획 등 객관적인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중장기 목표 수준이상으로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 내부의 역량을 최대한 동원하는 수준으로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 지표산식은 목표측정에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는가?  - 목표치 설정 근거를 선진수준 및 최고수준(세계적 수준)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는가?  - 목표치 설정이 과거 수준을 훨씬 능가하여 대폭 향상된 수준 인가? 실행의 난이도 과제와 목표 달성의 어려운 정도 과제추진의 노력 정도  - 사업추진 과정에 청이나 타 기관의 협력이 필요하여 외부장애 요인이 예상되는 과제인가?  - 사업재원을 외자‧민간‧중앙기관에서 확보하여 추진하는 과제인가?  - 환경의 변화(경제적, 정치적 변화 등) 등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고 불특정 이해관계자의 대립이 예상되는 과제인가?  - 과제 추진을 위한 기획, 의사결정, 추진과정에 많은 전문성과 경험이 요구되는 과제인가? - 사업추진에 조례 및 법률 제‧개정이 필요하거나 법적 소송 등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 과제인가?  - 신규사업으로 개발하여 추진하는 과제인가?  - 추진과정에 全부서의 팀 협력이 필요한 과제인가?

48 4. 평가결과의 활용 특별 인센티브 성 과 급 기본급 조정 승 진 역량 개발 포인트 제시 기타 인재 육성 자료
평가와 보상의 연계 통합성과관리의 목적이 평가나 보상 자체가 아니라,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있지만, 기관의 전략이 각 조직원들의 일상적인 활동으로 연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와 보상시스템을 연결시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산출된 조직 단위별 비 계량평가와 환경의 변화 등 통제 불가능한 요인에 따른 성과 달성을 고려하여 보다 내부 수용성이 높고 정확한 성과평가의 설계가 필요함 소속 조직의 성과평가 결과 개인 종합 평가 결과 개인성과 평가결과 개인역량 보상에 대한 기초 자료 역량 개발을 위한 특별 인센티브 성 과 급 기본급 조정 승 진 역량 개발 포인트 제시 기타 인재 육성 자료

49 5. 단계별 성과관리 운영 및 정착방안 통합성과관리시스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2011년에는 통합성과관리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성과관리평가단과 규정집이 마련되어 2013년까지 3단계의 계획적 추진이 요구됨 시스템 통합성과관리 시스템 재구축 개인평가 시스템 연계를 통한 자료연결 타 시스템(인사, 과제)과 부분적 연계 및 반영 도입 수준 성과관리 주요사업평가의 통합 활용 조직평가에서 개인평가로 확대 내부 평가제도의 통합 (부서장 평가 일부 반영) 평가 보상 시범운영으로 성과금 지급 및 근평 기초자료로 활용 인사기초자료(승급, 보직 등)로 확대도입 성과금 지급 활용 비율을 높임 지표 및 목표 주요사업 위주의 개발 가중치, 중요도, 난이도 산정 조직문화에 맞는 성과관리 방법 정착 과별 BSC전문가 양성 업무기준항목 운영 보완 직무성과 평가위원회 구성 재정성과관리 시범사업 추진 사업과 환경변화에 따라 매년 성과지표 고도화를 위한 보완작업을 시행 2단계: 성숙기 3단계: 정착기 기본 방향 1단계: 도입기 2011년 2012년 2013년

50 * 자료원 : Balanced Scorecard Collaborative, WesleyQuest Research
6. 성과관리 운영의 장애요인 통합성과관리가 전략실행과 혁신의 도구로 많은 조직들에 도입되었지만, 과반수 이상의 성과관리 도입 조직들은 관리층의 참여부족, 하위조직으로의 캐스케이딩 실패, 보상과의 연계부족, 커뮤니케이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도입 후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구체적인 비전 및 전략 부재 통합성과관리 성과지표개발을 위한 도구로 제한하여 적용 체계적 의사소통 및 변화관리 프로그램 부재로 인한 지표 수용성 저하 성과관리개발에 소수만이 참여, 최고 경영층의 지원 부족 지표와 자원배분 간의 연계 부족 전략 수립으로의 피드백 체계 취약 타 경영 프로세스 및 경영혁신 기법과의 연계 부재 * 자료원 : Balanced Scorecard Collaborative, WesleyQuest Research

51 6. 성과관리 운영의 장애요인 통합성과관리 장애요인 조사결과 성과관리 설계단계의 장애요인 성과관리 운영단계의 장애요인 전략
* 자료원 : 2003 BSC Online Members Survey 성과관리 설계단계의 장애요인 성과관리 운영단계의 장애요인 전략 목표 전략합의 수준 부족 혁신기법 간 통합연계 부족 조직 단위별로 수행되어야 하는 전략적 과제 정의 부족 최고관리층의 지원 결여 프로젝트의 수행이 중간 관리팀에게만 위임되면 조직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와 체계를 전환하여 전략과 연계시키기 어려움 성과 지표 결과중심의 지표 설정 부족 기존 업무 중심의 지표 개발 지표 합의 시, 커뮤니케이션 실시 미흡 조직원 참여부족 몇몇 간부에 의해서 성과관리가 구축되는 경우 조직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움 성과 모니터링 목표 대비 실적 개선 동인 파악 부족 성과관리 지표와 자원 배분간 연계 부족 경영 의사결정을 위한 전략회의 활용 미흡 일부 구성원의 제한된 사용 성과관리를 전 조직에서 활용하지 않을 경우 직원의 혁신과 독창성 및 학습의 기회 상실 전구성원의 공유가 필수 성과 평가 성과관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관리 프로세스이므로 목표, 측정지표들을 정교화하고, 데이터 집계 프로세스를 관리해야 함 성과 평가 기준에 대한 공정성, 합리성 이슈 미해결 지표별 목표값 수준과 가중치 정의 부족 일회성 프로젝트로 간주 보상 및 피드백 평가 및 보상에 지나친 집착 성과평가 결과가 전략 수정에 반영되지 못함 조직전체 차원의 성과관리 운영 및 지원 체계 미흡 시스템 구축으로만 간주 성과관리에 대한 개념과 구축과정에 대한 커뮤니테이션 및 변화관리 필요

52 7. 성과관리 성공의 기본원칙 통합성과관리 기본원칙
통합성과관리를 기반으로 탁월한 성과향상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구축 초기단계부터 전략 집중형 조직이 되기 위한 원칙들을 적용하여 체계적인 성과관리 구축 및 운영 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함 성공적인 통합성과관리도입을 위해서는 조직의 비전과 전략이 명확히 수립되어야 하며, 조직전체의 변화 방향에 대한 최고관리자의 확고한 의지가 조직전체에 의사소통되어야 함 조직전체의 성과가 창출되는 과정과 주요 의사결정 영역에 대한 정의가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언어로 기술되어 전 조직에 전달되어야 함 통합성과관리 기본원칙 변화에 대한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리더십 전략목표와 성과지표의 구체화 및 명확화 지속적인 관리 프로세스의 정착 기관의 전략과 하부조직의 전략을 연계 조직 구성원에 대한 동기부여 전략수립, 성과관리, 예산관리 및 조직운영의 각 부분별로 유기적인 피드백 프로세스를 통해서만 전략의 지속적 업데이트, 실행과정의 모니터링, 전략실행 결과의 평가와 차기 전략수립으로의 피드백을 통한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조직전체의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사업부서, 지원부서 등 부서별로 각각 실행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조직전체 전략으로부터 Top-Down으로 연계되어 정의되어야 함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전략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 실행해야 함 조직 단위의 성과지표와 연계된 개인 단위의 성과지표를 정의하고, 성과평가와 연계된 보상 체계 설계가 필요

53 8. 성과관리 성공 요인 공공부문 성과관리 운영 성공요인 기관장 및 관리자의 의지와 구성원들의 열의가 무엇보다 중요
훌륭한 성과관리체계는 경쟁우위의 조직관리와 인재육성에 핵심 통합성과관리시스템구축 = 만병통치약이라는 사고는 금물 (훌륭한 운영이 중요)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한 전 구성원들의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선결 현업업무와 연계되지 않은 평가는 곤란(업무 따로, 평가 따로) 잘못된 평가체계의 후유증에 대한 심각성 고려 통합성과관리시스템과 성과지표의 질은 의지와 노력의 산물 조직내부의 인프라 수준을 고려한 운영도 중요(한번에 완벽 추구 곤란) 성과관리는 제도에 못지 않게 운영 수준의 Level Up도 매우 중요

54 Thank You! 고객과 함께하는 가치 창조 !!


Download ppt "BSC성과지표 고도화 사업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2011. 7.."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