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미숙아 만성 폐질환 - 기관지 폐 이형성증 (Bronchopulmonary dysplasia)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미숙아 만성 폐질환 - 기관지 폐 이형성증 (Bronchopulmonary dysplasia)"— Presentation transcript:

1 미숙아 만성 폐질환 - 기관지 폐 이형성증 (Bronchopulmonary dysplasia)
신생아실 이아정

2 1. 정의 1) 생후 28일 이후, 또는 재태 기간 36주를 지나서도 투여가 필요 하고, 특징적인 흉부 방사선소 견 을 보이는 경우 2) 첫 일주일간 호흡기 치료를 받 았던 RDS 미숙아에서 주로 발 생하며 기계적 환기치료 시 고 농도 산소 및 양압(삽관을통한) 에 의한 기도점막과 폐포의 압 력상해가 원인으로 폐쇄성 모 세기관지염 과 폐간질 섬유화 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점진 적 만성 폐질환이다.

3 2. 빈도 체중<1500gm 인공 환기 요법 환아의 15~38%가 주 로 발생한다

4 3. 병태생리 1) 산전의 감염이나, 산후 호흡기 치료로 인한 기도 및 폐포의 손상, 활성산소, 동맥관 개존증 및 감 염등에 의한 염증성 매개물질이 폐포와 폐혈관의 장애를 초래함으로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2) 초기에는 폐포나 간질의 부종, 기관지 점막의 손상 이나 화생, 비후 등으로 무기폐와 작은 기종이 여러 부위에 복합적으로 발생하면서 만성폐질환으로 이 행되면, 폐쇄성 모세기관지염과 폐 간질 섬유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5 4. 임상증상 1) 호흡곤란 빈호흡, 빈맥, 흉부함몰, 비익 확장, 저산소증, 고탄 산증, 천식음 2) 성장장애
체중증가 불량, 따라잡기 성장 실패

6 5. 진단 흉부 X선 소견 : 폐의 부종과 섬유화에 의한 무기폐 와 폐기종이 관찰된다.

7 5. 진단 <BPD 진단적 기준> 재태기간 32주 미만 32주 이상 평가시점
월경후 주령 36주와 퇴원시점중 빠른 시기에 21%가 넘는 산소를 적어도 28일 이상 투여 생후 28일에서 56일 사이 또는 토원 시점 중 빠른 시기에 21%가 넘는 산소를 적어도 28일이상 투여 경증 BPD 월경 후 주령 36주와 퇴원시점중 빠른 시기에 산소 투여 중단 생후 56일 또는 퇴원시점 중 빠른 시기에 산소 투여 중지 중등증 월경 후 주령 36주와 퇴원 시점중 빠른 시기에 30% 미만의 산소투여 필요 생후 56일 또는 퇴원 시점중 빠른 시기에 30% 미만의 산소투여 필요 중증 월경 후 주령 36주와 퇴원 시점 중 빠른시기에 30% 이상의 산소나 양압환기 둘 다 또는 어느 하나가 필요 생후 56일 또는 퇴원 시점 중 빠른 시기에 30% 이상의 산소나 양압환기 둘 다 또는 어느 하나가 필요

8 6. 치료 1) 산소투여 산소포화도 90~95% 유지 hood, nasal prong 이용 2) 호흡기 치료
가능한 빨리 호흡기 이탈을 유도하여 압력이나 산소독성에 의 한 기도 손상을 줄이도록 한다. 3) 수액요법 폐간질 수분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액공급은 최소로 유지한다. 4) 동맥관개존증은 발견 즉시 치료한다. 5) 영양공급 성장에 필요한 칼로리 공급, 120~150kcal/kg/일

9 6. 치료 6) 약물요법 (1) 이뇨제 ① 폐의 수분량을 줄임과 함께 기도확장을 시킴으로 폐 저 항을 낮추고 폐 탄력성을 호전시킨다. ② Furosemide, chlorothiazide (2) 기관지확장제 ① Beta-adrenergic agonist(NS와 섞어 nebulize함) ② Theophyline (3) 스테로이트 ① 통상적 사용은 금기이며, 적응증에 따라 최소기간 사용 한다. ② Dexamethasone

10 6. 치료 7) 수혈 : 산소의존이 있는 미숙아의 경우 Hct 30~35%로 유 지한다. 8) 만성폐질환 예방을 위해 항산화제인 Vit.E나 기관지 상 피세포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진 Vit.A등을 고려할 수 있 다

11 7. 합병증 1) 성장 지연, 신경운동지연, 부모의 스트레스, 신석증, 골 감소증, 성문하 협착이 올 수 있다.
1) 성장 지연, 신경운동지연, 부모의 스트레스, 신석증, 골 감소증, 성문하 협착이 올 수 있다. 2) 심부전과 감염이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이다. 3) 예후 : 대부분 1년 정도 후면 산소를 떼게되며 호흡 기계 감염이 높아 퇴원 후 재입원 가능성이 높다. (첫1년간 재입원 50%, 2차년도 37%, 이후는 비교적 예후가 양호함)

12 8. 환자교육 1) 부모에게 질병과정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교육한 다.
2) 습도조절, 호흡곤란증후군의 증상, 산소농도 조절, 모니터사용법, 투약법, Nebulizer사용법, 수유 방법, 위관 삽입법 및 위관영양, 질식 시 대처법 등을 교육 한다.

13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ownload ppt "미숙아 만성 폐질환 - 기관지 폐 이형성증 (Bronchopulmonary dysplasia)"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