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구문론 문장의 5형식 문장을 해석하는 순서 동사,분사,부정사가 서로 어울려서 나타날 때 주어를 찾아라 목적어를 찾아라 보어를 찾아라 헬라어의 용법들 분사의 용법 동사의 기능면에서 분사의 우설적 용법 속격분사 구문 명령 분사 부정사용법 부정사의 우설적 용법 절대 부정사 지시 대명사 관사의 용법 비교급(비교급 형용사, 비교급 부사 형용사를 사용한 비교급 문장 비교급 부사를 사용한 비교문장 비교급 부사를 이용한 강조문장 최상급 형용사와 최상급 부사를 사용한 강조문 관계 대명사 관계 대명사 용법 명사절이 될 때 관계부사=접속사+지시대명사 의문문과 부정어 부정어
2
. , 구문론 kai 문법 분해 기호를 이용한 문장해석 법 (Parsing )
절(문장)은 단어들의 나열에 위해서 구성되지만 또한 절과 절을 접속시켜 완전한 문장을 만들기 때문에 문장을 끊어서 그 끊은 문장(절)안에서 단어들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면 해석은 가능해진다. * 초기 사본에는 절과 절을 끊는다든지 기호,부호가 없었기 때문에 끊을 때 이런 점을 유의. 가. 끊어라 1 = 피리오드 뒤에서(문장마침표) 2 = 컴마 뒤에서( 에 해당) 3 = 접속사(문장을 이끄는)앞에서 4 = 관계대명사 앞(절을 이끄는) 5 = 호격은 독립된 문장으로 보아 끊어야 한다. = 문장을 끊는지 단어를 끊는지 알려면 접속사를 사이에 두고 앞 뒤에 나오는 요소가 단어면 단어, 구면 구 , 절이면 절 그 요소끼리 를 관계 짓는 접속사가 된다. 나. 묶어라 (기능적인 면) 품사와 품사를 나누고 그 품사를 꾸며주는 것은 하나로 묶는다. 형용사는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하는 것까지만 묶는다.) 부사는 동사와 묶는다. 전치사는 뒤따라 나오는 명사와 묶는다( 왜: 전치사는 격만 지배한다.) 전치사구가 형용사구면 앞,뒤에 있는 명사와 묶고 부사구면 동사와 묶는다. 관사 없는 부정사는 동사의 보족어 역할을 하므로 동사와 묶는다. 유 관사 분사와 명사를 묶는다.(성 수 격일치) 부 관사 분사 주격과 동사를 부사적 관계로 묶는다. 종속절이 나오면 그 절의 기능과 역할(접속사를 보고)명사절이면 그 자체 독립적으로 끊어 앞 절의 주동사의 주 목 보로 보고 형용사절이면(관계 절) 앞 절의 선 행사, 또는 뒷 절의 후 행사와 묶고, 부사절이면 주절의 동사와 (이유,목적,때, 장소……….등등) 의 부사적 관계로 묶는다. . , kai
3
동사를 찾고 ( 이때 동사를 꾸며주는 부사와 또 간계를 맺는 구 절 )
다. 찾아라(역할적인 면) 문장 5형식에 집어 넣어라. 동사를 찾고 ( 이때 동사를 꾸며주는 부사와 또 간계를 맺는 구 절 ) 주어를 찾고( 격을 보고) * 속격 분사구문에서는 소유격 명사가 주어가 된다. 목적어를 찾고 (격을 보고 여격,목적격) * 때로는 소유격지배가 소유격을 목적어로 취한다. 보어를 찾는다.( 주격보어는 주격, 목적보어 : 여격 목적격) ㄱ. 동사 문장인지 명사문장인지 파악 ㄴ. 주어가 2개일 때 (2형식) ㄷ. 목적어가 2개 일 때 = 두 목적어가 의미상 같으면 5형식 두 목적어가 의미가 다르면 4형식 라. 문장의 형식 문장의 요소 1. 주 요소 = 주어(명사), 목적어(형용사 또는 관사 ) 보어(동사) 2. 종 요소 = 주 요소를 뺀 나머지 :부사, 소유격, 전치사구 (부사구 형용사구 )부사절, 형용사절 :주 요소와 관계를 맺고 있는 요소 주격 보어 목적격 보어
4
문장의 5형식 eimi ginomai arcomai eimi ginomai arcomai
1형식 = 주(명사) +동사 = ~ 하다 . 2형식 = 주어(명사) + 동사 + 주격보어 = ~ 이다. 3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형용사 or 관사 ) = ~ 를 하다. 4형식 = 주어 + 동사 + 직접 목적어 ( 형용사 or 관사) + 간접 목적어 ( 관사or형용사) = 주어(명사)는 간접 목적(관사,or형용사)에게 직,목(형용or관사)하다. 5형식 = 주어(명사) + 동사 + 목적어(형용or관사) + 목적 보어(형용or관사) = ~ 을 ~ 로 ~ 하라 . 약1:2 * 1형식 = 완전자동사 ( , , )가 쓰이지만 완전 타동사가 쓰일 수 도 있다. 2형식 = 불완전 타동사 ( , ) 3 ,4형식 = 완전 타동사 5형식 = 불완전 타동사 자동사 = 목적어가 없다. 타동사 = 목적어가 있다. eimi ginomai arcomai eimi ginomai arcomai
5
eimi 문장을 해석하는 순서 문장을 해석하는 순서 동사를 찾아라 1= 문장을 끊고 2= 품사별로 끊고 묶어라 3= 찾아라
ㄱ= 동사를 찾아라 ㄴ= 주어를 찾아라 ㄷ= 목적어를 찾아라 ㄹ= 보어를 찾아라 (주격보어, 목적보어) 4= 문장의 5형식 해석 방법으로 해석 * 형식을 벗어날 때에는 그 문장 조건을 해석한다. 요1:6, 요18:10, 요3:1 동사를 찾아라 동사가 될 수 있는 품사 1. (동직 , 동가 , 동명 , 동소 ) 표기된 품사 = 원동사, 주동사 , 본동사 , 정동사 , 사역동사 . 고후5:21, 약1:5 * 명사를 꾸며주는 품사가 2개 이상일 때는 명사를 꾸며줘라 2. 분사(무 관사) 주격 = 1,2인칭은 대부분 표기 되는데 3인칭은 표기되지 않는다 – 분사의 숨어있는 인칭이 주어가 된다. 빌3:6 , 롬12:9~13 , 엡5:16 , 요:4:47 3. 부정사(무 관사) = 명령법으로 해석 (주어는 2인칭으로 ) (인칭이 표기 안되기에) = 부정사가 동사로 쓰이면 명령법. 엡4:22,23,24, 약1:1 4. 명사문장 (동, 동분,동부) 가 없을 때 – 무 관사 명사 주격이 동사역할 . 마1:1, 롬7:25 , 막1:1 , 고후9:15 , 계20:12 5. 동,동분,동부 와 무 관사 명사가 없을 때 무 관사 형용사의 주격이 동사역할 (롬12:9,약1:12,계21:11,빌1:24,눅14:34,계19:9 6. 4항과 5항이 안될 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본다 . 요1:29 eimi * 꾸며주는 말은 꾸미는 말보다 먼저 해석한다.
6
} 동사,분사,부정사가 서로 어울려서 나타날 때 skopo" *
1. 동사……..+ 부정사 = 부정사가 동사의 보족어가 된다. * 비인칭 동사에서는 부정사가 비인칭 동사의 주어역할을 한다. 빌3:13,골1:27,마8:29,롬15:27,롬12:1,빌3:14:4649번 감독자=1985 벧전2:25:감독 되신 이다. 2. 동사………+ 분사(주격) = 분사 은 동사 와 부사적 관계를 맺고 있다. * 골4:2=기도 안에서 감사함 안에서 기도로 꽉 잡아라. 약5:15 = 믿음의 기도는 병든 자를 구원하리니. (행위가 살리는 것이 아니라 기도가 살린다) 3. 동사……부정사…….+ 분사 = 부정사 는 동사의 보족어가 되고 분사는 부정사 또는 동사의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문맥에서 따져봐라) 골1:19-20 4. 동사…….+ 분사(주격) +부정사 = 분사는 동사와 부사적 관계(분사는 주격) 부정사는 분사 또는 동사의 보족어가 된다. 롬15:14,24,롬10:3 5. 분사(주격)…….= 부정사 = 분사는 동사역할 부정사는 분사의 보족어가 된다. 롬9:22 6. 부정사…….+ 분사(주격) = 부정사는 동사역할(명령법 역할) 주어는 2인칭 복수 분사(주격)은 부정사와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골1:10 ,엡4:3 7. 부정사……….부정사=앞 부정사는 동사역할 뒤 부정사는 앞 부정사의 보족어 역할 . 마8:28 * 앞 동사와 뒤 부정사의 뜻이 같을 때 = 절대 부정사라 하고 그 의미는 필연적으로 앞 부정사사건이 일어날것을 말한다. 요2:7 , 눅14:35 8. 동사……부정사1……부정사2 = 부정사 1은 동사의 보족어 부정사 2는 부정사의 보족어 역할. 요6:52 * 위 모든 경우 무 관사 분사 무 관사 부정사는 동사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 동사의 주 목 보가 아닌 자신들의 주 목 보 부사적 수식어귀를 가질 수 있다. 요1:12,롬7:21, 요3:27 부정사 는 보족어 분사 는 부사적 skopo" * } 관계를 맺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7
주어를 찾아라 주어를 찾아라 격을 보고 (주격= 은, 는, 이, 가) 동사 속에 숨어있는 인칭도 주어이다.
예. 동사 직설법 현재 능동태 1인칭 단수 , 동사 가정법 현재 능동태 2인칭 단수 * 동사의 숨은 주어의 인칭과 수가 본문에 나타난 주어와 일치해야 한다. 문장에 나타난 주어가 명사인 경우 동사의 숨은 주어와 수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도 있다.(그러나 일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드물게 모든 것 이 일치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요10:30, 엡2:18 (동사) * 나(1인칭)과 아버지(3인칭 단수)동사의 숨은 명사는 1인칭 복수. 왜 내가 주체이기에 .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 명사 주격(관사 유무 없이) 무 관사 명사가 = 롬7:13 가. 속격 분사 구문에서는 – 소유격 명사가 주어가 된다. 나. 부정사의 주어는 목적격이 주어가 된다. 2. 대명사 주격 = (명 대, 형 형 부, 형 형 의, 형 형 기, 형 형 서, 형 형 관, 형 형 지, 형 형 비 주 ) 다 들어감. 3. 형용사=유관 사 형용사 주격 . 마19:17 . * 무관 사 형용사 주격이 주어 or 주격보어가 될 때가 있다. 롬7:12,마5:48,고전1:25 1,2형식 문장에서=마10:26, 요1:26, 행26:14, 요1:9 4. 분사(유관 사 분사 주격) 수식하는 명사(성 수 격 일치)가이든 없든지 상관없이. 요8:47, 요6:47, 요6:54,56, 빌2:13, 요2:9 5. 부정사(유관 사 부정사 주격) * 부정사는 성(性)이 표기되지 아니한다.(될 경우 중성명사). 롬7:18,마20:23,막14:28,빌1:21 * 어떤 품사이든지 관사가 붙으면 명사화(절,구는 중성관사가 온다) 6. 절이 명사절일 때= 절은 중성으로 간주(절은 주로 주어로 쓴다) * 절은 접속사에 의하여 이끌린다. ㄱ. 역할 접속사(우위접속사,대등접속사)가 이끄는 절 . 요16:7, 요10:6, 요4:34,35(형용사) 형 형 관 절이 명사절이 되는 경우 = 요1:5, 요4:34,요16:7,요7:25 ㄴ. 기능접속사가 이끄는 앞 절이 명사절이면 기능 접속사가 이끄는 절은 명사절이 된다. 요4:34,35 * 요3:16,17=역할 접속사 뒤에 기능 접속사가 나오면 앞 절의 성격에 따라간다. ㄷ. 관계대명사,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이 선행사가 없을 때에는 명사절이 된다(주어가가 된다). 요1:15,요7:25,요10:6요4:6 * 절 앞에 중성 관사가 와서 그 절을 끌 때 그 절은 명사가 된다. 갈5:14,롬13:9,눅22:37,마19:18,갈4:25,엡4:9,히12:27 주어
8
목적어를 찾아라 ton qeon qeo" 목적어를 찾아라(격을 보고) 목적격
* 여격=간접 목적어도 되고(으로,~에게) 직접 목적어도 된다(~을,를) 명사=빌1:25,22 빌3:2 ,요1:32,14, 요1;41,43,45,47, 요2:9,10,요4:34 분사=엡5:12,요1:5, 부정사=빌2:13,6, 빌1:21,22, 마20:23 의문사=빌1:22,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와 동일하며 단 격만 다르다. 한 문장에는 목적아가 최고 2개밖에 올 수 없다.(4,5형식) 2개 이상이 될 때는 분명히 그 문장에는 분사 또는 부정사가 나오며 이 분사나 부정사의 목적어, 또는 주어가 될 수 있다. 예.롬12:1 분사 또는 부정사는 동사 성분때문에 주,목,보를 가진다. 빌2:3,요1:48,요4:34,요5:10 목적어와 목적의 개념은 다르다. 목적어=문장의 주요소임(~을,~를),요2:4 목적= 문장의 주요소가 아닌 종 요소에 들어감(~을 위하여) 요1:7 인용문도 목적어로 취급된다.요1:6,요2:4 명사절이 목적어가 될 수 있다. 요2:3,요14:10, 요4:22, 요5:21, 요4:47 . * 소유격 명사가 소유격 지배동사의 목적격이 될 수 있다.(소유격을 목적어로) 요8:52,요8:6, 요14:5,6 ton qeon qeo" * 요1:1= 과 는 다르다. * 요6:48(관사 있는 명사 주격도 보어로 사용)
9
보어를 찾아라 보어를 찾아라 (격을 보고) 주격보어= 주격 문자 2형식에서 주어를 보충,보조
주격보어= 주격 문자 2형식에서 주어를 보충,보조 목적보어= 목적격(여격) 문장5형식에서 목적어를 보충,보조함. *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와 같다. 1. 관사가 없는 명사 주격과 형용사 주격이 주격보어로 쓰일 때도 있다. 요1:1 , 요1:15 (절이 주격 보어 또는 주격도 가능) 요6:55,요6:60,요4:37 * 유 관사 명사 주격이 주격보어로 쓰일 수 있다. 요6:48,50 * 유 관사 , 형용사 주격이 주격보어로 쓰일 수 있다. 요4:37 2. 명사절이 주격 보어로 쓰일 수도 있다. 요4:34, 요7:25, 요1:15 * 목적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 목적어가 될 수 있는 품사와 같다. 행2:36
10
헬라어의 용법들 용법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하나로 묶어라
2가지이상 서로 다른 품사가 성 수 격이 일치할 때 이들 관계는 용법으로 묶여있다. 한 개의 명사에 2개 이상의 수식하는 품사가 있을 때는 2개 이상의 품사들이 1개의 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용법으로 해석 . 벧후1:9,벧전2:6, 약2:7, 요3:15, A .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 앞 관사유무,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 유무)= 가장 기초 되는 용법이다. 한정적(수식적=형용적)용법=명사의 본질. 1. 형용사 앞에 관사가 있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관사를 가지고 있을 때 (명사가 형용사 뒤에 올 때는 명사 앞의 관사는 생략되기도 한다.) 2.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준다. 벧후3:16, 요2:25, 요10:11, 마5:48. B . 서술적 용법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 앞에 관사가 있을 때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주지 않고 오히려 명사의 술어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즉: 명사를 먼저 해석하고 형용사를 뒤에 해석한다.) 마5:5,8,9, (온유한자는 복을 준다는 의미) 엡1:3 (하나님은 찬송이시다) C . 선택적 용법(한정적 또는 서술적으로)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 앞에 관사가 없을 때= 일반적으로 뒤에서 앞으로 해석. 요6:40, 벧후1:20. D . 독립적 용법 = 형용사가 명사화 된다. 1 형용사 앞에 관사가 있다. 2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없다. 3 형용사 앞에 관사가 붙어 명사화 되었다. E . 특수한 역할 1.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없이 주격일 때 1, 2형식에서 주어 또는 주격보어로 쓰인다. 요7:18,21, 요13:10 2. 동사가 없는 명사문장에서 관사 없는 형용사 주격이 동사로 쓰인다. 롬12:9, 3. 형용사의 용법이 전치사에 이끌릴 때. 벧후1:18,21,약3:4,요5:43, 요11:24
11
분사의 용법(用法) 분사의 용법2 분사는 동사 + 형용사의 성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품사이다. 1 . 형용사 기능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을 때는 이 명사와 관계를 맺기 때문에 이 분사 자신은 성 수 격을 가진다. * 관계 맺는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함. 2 . 동사의 기능 분사는 동사기능 때문에 시상 태 인칭을 가지며 분사 자신만의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적 수식어귀를 가진다. 가. 분사가 관사 없이 주격으로 주 동사가 없을 때 문장의 주 동사역할을 한다. 이때 분사에는 인칭이 표기된다.(1인칭, 2인칭만) 3인칭은 없다. 나. 분사가 관사 없이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와 서술적 관계일 때 분사가 서술어(명사)역할을 한다. 다. 분사의 속격 분사구문에서 관사 없는 분사의 소유격이 부문장의 동사역할을 한다. 3 . 명사의 기능 분사는 형용사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형용사의 용법에서처럼 분사가 관사를 가지고 단독으로 있을 때는 명사가 될 수 있다. 요11:45, 요10:1 분사의 용법2 분사 앞의 관사유무와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유무(형용사용법과 같음)를 따져보고 형용사의 기능과 동사의 기능으로 나누어 용법을 생각한다. 형용사의 기능면에서 1 . 한정적 용법(수식적,형용적 용법) 분사 앞에 관사가 있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관사를 가지고 있을 때 분사가 명사를 꾸며준다. (때로는 명사 앞의 관사는 생략될 수도 있다) 요6:41,44, 마25:34,요6:27,요9:11 ,요6:7, 요8:34,
12
2 . 서술적 용법 분사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분사 앞에 명사가 있을 때 분사가 명사를 꾸며주지 않고 오히려 명사의 술어(서술)위치에 놓임. * 단 서술적 용법에서 분사가 주격일 때는 주 동사와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주격 = 요4:6,요8:4 목적격 = 요1:29,32:33, 6:62, 6:19 요4:6 = 부사적 = 시간 나타냄 시상적 = 곤한 후에 (먼저 일어남) 요6:62 = 인자가 (올라가고 있는 것을 초점) (삼위일체?) 요17:3,마28:20,고후13:13,요13:20 3 . 선택적 용법(한정적 또는 서술적) 분사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관사를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뒤에서 앞으로 꾸며준다. * 서술적 용법이 될 때는 분사가 주격이면 주동사와 서술적 용법일 때와 같이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분사가 주격일 때는 위치와 상관없이 명사와 서술적 용법으로 해석(왜 : 명사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분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는 주 동사와 연결이 안 된다. 약1:14,요10:40,요6:60,마27:48,요1:6,38,48 마27:49 = 시상적 = 구원하는 것은 미래이고 오는 시제는 먼저 일어남 부사적 = 구원하기 위하여 * 선택적 용법의 예 : 요1:38,48 4 . 독립적 용법 = 분사가 명사화 된다. (마25:24) 분사 앞에 관사가 있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없을 때 분사 앞에 있는 관사 때문에 분사가 명사가 되고 문장에서 격에 의하여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될 수 있다. 요6:39 보내신 자의 , 4:34, 6:58, 5:10, 2:4,6,7, 6:47,54,56, 7:18 9:4, 12:6, 1:22, 마20:12, 10:40, 22:4, 히11:6 5 . 부사적 용법 관사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도 없고 분사가 주격일 때 동사와 분사는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맺으면서 해석 * 동사와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맺는 이유는 = 분사가 주격이므로 동사의 숨은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 서술적 용법에서 분사가 주격일 때와 부사적 용법은 모두 주 동사와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요8:6,7, 4:47, 7:37
13
동사의 기능면에서 동사의 기능면에서 분사가 위의 용법들과 상관없이 동사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사 자신의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적 수식어구를 가질 수 있다. 요8:6(부사) 요9:11(분사의 주어) 요9:8(목적보어) 요1:33 (형용사) 요9:8 = 절을 목적어로 단어는 목적 보어로 (상황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 * 부지런하다 = 동사 부지런함 = 명사 부지런하게 = 부사 부지런한 = 형용사
14
분사의 우설 적 용법 eijmiv ginomai arcomai eijmiv eijmiv eijmiv eijmiv
분사의 우설 적 용법(부드럽게 한다, 자세하게 풀어준다 강조 의미도 포함) 관사 없는 분사주격이 주로 동사와 합성 시상관계를 이루는데 때로는 나 와 합할 때도 있다. 문법 분해 기호상에 분사와 동사가 “ + + ” 표시로 서로 연결되어 우설 적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가, 현재 분사와 동사와의 관계 (관사 없는 분사가 단독으로 주격이 나타날 때) 우설 적 현재=현재 현재 분사 완전한 현재진해의 뜻을 나타낸다( ~ 하고있는 중이다 ) (원래 현재시상은 진행적인 의미와 그렇지 못한 의미가 다 있지만 여기서는 현재 진행 뜻만 나타난다) 마1:23,골1:6,고후2:17, 분사는 시간 의미는 없다 다만 습관적, 반복적인 동작 상태만 의미한다. 나, 우설 적 미완료 = 미완료 현재분사 = 현재진행의미를 강조한다. ( ~ 하고 있다) 막10:32, 눅24:32, 눅6:12, 13:23, 1:9 다, 우설 적 미래= 미래 현재분사 미래의 진행적 동작을 나타낸다.( ~하고 있을 것이다 ) 미래시상은 진행적인 의미와 그렇지 못한 의미가 있기에 진행적인 동작을 강조 한다. 마13:25, 눅5:10, 눅21;17,24 미래에 별들이 반복적 습관적으로 넘어질 것이다. eijmiv ginomai arcomai eijmiv eijmiv eijmiv eijmiv
15
eijmiv eijmiv eijmiv eijmiv 라. 현재완료 분사와 동사의 관계
라. 현재완료 분사와 동사의 관계 우설 적 현재완료 = 현재 현재 완료 분사이다. 완료된 동작의 현재 결과적으로 남아있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 결과의 강조 = 완성의 개념을 강조 ) 눅20:6, 고후4:3, 히4:2, 요4:12, 요2:17, 요6ㅣ31,37, 행2:13 ( ~ 하여져 있다) 마. 우설 적 과거완료 = 미완료 현재 완료분사 전에 완료된 결과가 현재 계속 남아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적으로 완료된 결과가 우설 적 현재완료보다 시간이 휠씬 전이다 과거 현재 현재 (~ 하여져 있는 중이다) 완료 완료 눅2:25, 마26:43, 행21:29 바. 우설 적 미래완료 = 미래 현재완료분사 미래완료의 전형적인 형식이가. (이미 ~ 하여져 있을 것이다 ) 마18:18, 눅12:52, 히2:13 eijmiv eijmiv eijmiv
16
속격 분사 구문 주 문장의 주어와 부 문장의 주어가 다를 때 이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묶는 형태로서 부 문장의 동사는 관사 없는 속격분사로 주어를 속격명사로 나타내어 하나의 문장이 되게 하는 구문 법. 마27:17,19, 24:3, 13:6, 막13:1 * 부문장의 동사가 분사이므로 주 문장의 동사와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가진다. 부사 구문은 부사절로 보라. * 마27:17 시상적 = 언제 일어났는가, 어느쪽이 먼저 일어났는가? 부사적 = 무슨 목적이냐, 이유냐, 방향이냐 . * 소유격(속격) 분사는 소유격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해야 하고 명사 없이 소유격 분사만으로는 소유격분사구문이 형성되지 않는다. * 또한 소유격 명사와 소유격 분사가 있다고 해서 모두 소유격 분사 구문이라 할 수 없다. 예 요4:14, 7:38 아닌 이유=주어가 일치하기 때문 주어가 달라야 속격 분사구문 이다. 한정적 용법 = 살아있는 물의 근원이 되리라. 만일 속격 분사구문으로 보면 = 물이 살아있을 때에 영생하는. 이 된다. * 계21:6 = 속격 분사구문이 주 문장이 없이 독립된 문장으로 쓰임. ( 주 문장이 생략된 것으로 보라) * 속격분사구문에서 관사 없는 속격 형용사가 예외적으로 명사로 주어로 쓰일 수 있다. 마8:16
17
명령 분사 명령 동사와 같으나 시간과는 무관하고 동작의 진행상태만을 나타낸다. 주격 밖에 없다. 롬12:9~14 분사의 시상
* 분사의 용법에서도 부사적 서술적 용법에서 주격일 때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가진다. 분사는 동사의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상 태 인칭을 가지고 있다. (분사는 인칭이 없지만 필요에 따라 가질 수 도 있다) 주 동사와 분사사이의 시상적 부사적 관계이다. 분사의 서술적 용법에서 분사가 주격일 때와 분사의 부사적 용법에서 주 동사와 시상적 부사적 관계를 가진다. 시상적 관계 = 주 동사의 시제와는 상관이 없다. 현재분사 = 현재분사 + 동사 분사의 동작 (분사에 나타나있는 동작)이 주 동사의 동작과 동일한 시간에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시상이다. ( ~ 하면서 ). 요1:9,15, 약1:14 현재 완료적으로 외치고 있다. 미래분사 = 미래분사 + 동사 분사의 동작이 주 동사의 동작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일어날것을 나타내는 시상이다. (동사의 동작 후에 분사의 동작이 일어날 것이다) 마27:49 = 구원하러 올 것인지 안 올 것인지를 보자 부사적 * 시간적 = 주 동사보다 나중 일어남 과거분사 = 과거분사 + 동사 분사의 동작이 주 동사의 동작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일어난 것을 나타내는 시상이다. ( ~ 한 후에 ) 요1:38, 2:15, 마27:50, 약1:15 완료분사 = 완료분사 + 동사 분사의 동작이 주 동사의 동작 전에 이미 일어났고 그 결과가 주 동사의 동작이 일어날 때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시상이다. 요3:28, 6:61, 마6:20
18
부사적 관계 주격분사가 주 동사와 시상적 관계를 맺으면서 부사적으로 시간, 때, 장소, 양보, 이유등의 관계가 되는 것을 말한다. 목적을 나타낼 때 ( ~ 위한 ) = 마27:49, 롬15:25 시간을 나타낼 때 = 롬4:10, 고후2:13 이유를 나타낼 때 = 요4:45, 딤전4:8 조건을 나타낼 때 = 히2:3, 행15:29 양보를 나타낼 때 = 히5:12, (비록 ~ 할지라도)
19
부정사 용법 부정사는 = 동사 + 명사의 성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품사다.
명사기능과 + 동시기능으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다. 1.동사의 기능 부정사는 동사기능 때문에 시상과 태를 가진다. ㄱ. 무 관사 부정사는 동사가 없는 문장에서 주 동사 역할을 한다. ( 이때는 주로 명령법으로 쓰인다) 엡4:22,23,24, 롬12:15, 빌3:16, 딛2:2, 골1:10, 약1:1 ㄴ. 무 관사 부정사는 주 동사가 있는 문장에서는 주 동사의 보족어 역할을 한다. 마7:5, 요1:12, 13:36, 롬9:22,15:20, 7:21(분사의 보족어), 막5:17, 마8:28, 5:7 ㄷ. 무 관사 분사는 주 동사와 상관(관계)없이 분사나 부정사의 보족어 역할을 산다. 요6:52 ㄹ. 주 동사와 관계없이 자신만의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적 수식어귀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부정사 자신의 주어는 목적격(형용사)가 된다. 약1:18 부정사가 주 동사의 주어와 일치하지 아니할 때는 격이 다르다. = 롬7:21, 요1:12 부정사가 주 동사의 주어와 일치할 때는 주 동사의 주어와 격이 같다. 2. 명사의 기능 명사의 기능 때문에 관사 격을 가진다. ㄱ. 부정사가 관사를 가지고 명사화 되어 문장에서 주 동사의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역할을 말하며 이때 부정사의 격을 앞의 관사와 동일한 격이 되며 성은 중성이 된다. 롬7:18(주어), 마3:15(주어), 마20:23(주어), 엡5:12(주어), 빌1:29, 고후8:11(형용사), 빌2:6(간접 목적), 롬1:24(속격) ㄴ. 이때도 부정사 자신은 동사성분 때문에 주 동사와 관계없이 자신만의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적 수식어귀를 사질 수 있다.
20
부정사의 우설 적 용법 mellw mellw mellw mellw mellw mellw mellw
3.부정사의 우설 적 용법(원동사가 기준) + 부정사 = 필연적으로 일어날 것이 결정된 사실이나 사건을 표현하는 법이다. (하나님이 하신 것이 결정되어진 것들=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는 것 는 혼자서는 해석이 안 되며 뒤에 부정사가 따라온다) ㄱ 의(동사 직설법 현재) + 부정사는 = 필연적으로 ~을 하려고 한다 이다. 미래 직설법과 유사(지금 발생하고 있는 사실이 이전에 이미 운명적으로 결정된 사실을 나타내는 법이다) 눅9:44, 마17:12, 20:22, 요14:22, 롬8:13, 살전3;4, 요7:35 ㄴ 의(동사 직설법 미완료) + 부정사 = (이전,지금,미래)일어났고 현재 일어나고 일어날 사건이 이미 훨씬 이전에 운명적으로 결정되어진 사실을 나타내는 법이다.(확대되는 것의 의미) 요7:39, 18:32, 6:71 ㄷ 의(분사 현재) + 부정사 = 계속 반복되고 있는 상태이다.(시간적 의미는 없다) ㄴ 의(동사 직설법 미완료)와 차이점 = 현재 분사의 의미는 시간을 압축시킨 것이고 동사 직설법 미완료는 확대시킨 것이다. 요12:4, 갈3:23, 히1:14, 벧전5:1 가룟 유다가 주님을 팔려는 것이 예정 시제를 알리기 위하여 마3:11 = 세례요한이 내 뒤에 오고있는 자 = 예수 그리스도가 있었지만 아직은 아님 마4;12-7 = 세례 요한이 죽은 후에야 예수 그리스도의 시대이고 17절에서 비로소 천국 복음이 전파되기 시작 하니라 분사, 부정사는 = 시간의미가 없다 과거 = 단희적 현재 = 반복, 계속 미래 =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가리킴 ㄹ 의(부정사) + 부정사는 = 행11:28, 24:15, 28:6 행11:28 = 주 동사가 중점 (현재 일어나고 있음이 우선이 되고 뒤에 부정사는 보족어) ㅁ 의(동사 가정법) + 부정사는 = 가상적인 사건을 표현한다. 마13:4, 눅21:7, 계10:7 mellw mellw mellw mellw mellw mellw mellw
21
절대 부정사 en tw ei" to pro" tw dia to dia tou pro tou prin h] meta to
4.절대 부 정사 절대 부 정사 = 같은 뜻을 가진 두 동사가 하나는 주 동사로 하나는 주 동사의 보족어 역할 하는 부정사로 나타날 때이다.(좀더 강조하는 의미이다) 뜻 = 필연적으로 주 동사의 동작을 해야 함을 나타낸다. 눅14;35, 요2:6 5. 부정사의 관용구(숙어) = 일반적으로 부사구로 쓰임 가. 부정사 구 + 부 정사 = ~ 할 때 , ~ 할 동안에 (시간) 마13, 14:1, 눅1:21, 행2:1 + 부 정사 = ~ 을 위하여(목적), ~ 할려고 . 눅5:17, 롬3:2 6, 4:18, 갈3:17, 약1:18,19 + 부 정사 = ~ 하기 위하여(~ 하려고). 마6:1, 23:5, 눅18:1 + 부 정사 = ~ 때문에 . 요2:24, 행4:2, 28:18, 눅2:4, 6:48, 마13:5,6, 24:12 + 부 정사 = ~ 을 통하여, ~ 동안에. 히2:15 + 부 정사 = ~ 하기 전에. 마6:8, 요17:5, 행23:15 + 부 정사 = ~ 하기 전에 . 요14:29, 4:49, 8:58, 마1:18, 26:34, 막14:30, 행2:20 + 부 정사 = ~ 한 후에.(~한 뒤에) 마26:32, 막14:28, 행1:3 + 부 정사 = ~ 대신에 . 약4:15 + 부 정사 = ~ 로 부터. 고후8:11 + 부 정사 = ~ 때문에 . 고후7:12 + 부 정사 = ~ 때까지. 행8:40 en tw ei" to pro" tw dia to dia tou pro tou prin h] meta to anti tou ek tou eineken tou $ew" tou
22
$wste $wste ton edei egeneto egeneto exestin prevpw prevpw
+ 부 정사 = 결과 부정사 마8:24,28, 10:1, 롬7:6 + 부 정사 = 그래서~할 만큼, 그 결과 . 약1:10 + 부 정사 = ~ 하기 위하여(목적) , ~한 결과 (결과). 마 3:13, 11:1, 롬6:6, 7:3, 고전10:13, 눅5:7 $wste ton 나. 비인칭 +부정사 = 비인칭 동사의 주어는 부정사가 된다. edei + 부 정사 =부정사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 18:33, 눅13;16, 15:32, 요9:4, 4:20 + 부 정사 = ~ 하는 것이 일어났다. 눅66,12 = 하나님의 기도 안에 있었다. 눅3:21,22 = 21절의 =22절의 부정사 + 부 정사 = 부정사 하는 것이 허락되었다. 옳다. 가하다, 합당하다. 마12:2, 10:12, 19:3, 요18:31, 눅6:9, 20:22 egeneto egeneto exestin + 부 정사 = 부 정사 하는 것이 유익하다. 마19:10, 요18:14 * 요11:50, 16:7, 고후8:10 = 절이 동사의 주어가 될 때 + 부 정사 = 부정사 하는 것이 적합하다, 알맞다, 적당하다. 히2:10, 마3:15, 고전11:13 + 명사 여격 = 명사 여격은 옳다, 적합하다. 부 정사 = 시간 , 때, 부사구 부사절이 오면 이것이 동사의 주어가 된다. (실 예=부정어 뒤봐라) * 비 인칭 동사에서는 관사 없는 부정사가 주어 역할을 한다. prevpw 원형 prevpw 원형 egeneto en to egeneto
23
estin areston estin dunatov" ejstin dunatovn kalon estin eijmiv
다. 무 관사 형용사 (주격 중성) 부 정사 = 부정사 하는 것이 형용사 하는 것이다. 부정사= 부정사 하는 것이 기뻐하는 것이다. 행6:2. (부정사가 형용사의 보족어 역할) 부정사= 부정사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눅14:31.형용사 주격 남성 단수 + 행2:24, = 상태적인 것. 부정사 = 부정사 하는 것이 선한 것이다. 마15:26, 17:4, 18:8, 롬14:21, 고전9:15 ( * 남성일 때는 사람자체를 설명 ) 라. 무 관사 형용사(남성 주격) 부정사=2형식(부정사할, 형용사할 자이다) 행13:25 * 부정사가 형용사의 보족어역할 부정사 = 부정사 하도록 합당한 자이다. (2형식으로 봐라) 행13:25, 눅15:19,21 부정사 = 부정사 할 능력자이다. 또는 부정사 하도록 가능한 자이다. 눅14:31, 롬11:33 부정사=부정사 할 준비가 된 자이다. 눅22:33 부정사 = 부정사 할 적당한,만족할, 감당할 자이다. 마3:11, 막1:7, 고전15:9 마. 무관사 명사(주격) 부정사 = 부정사 할 동사이다. + 부정사 = 부정사할 능력이 있다. 요14:17, 6:65, 7:36, + 부정사 = 부정사 하기를 원하다. 요12:21, 요5:40 areston estin dunatov" ejstin 남성일 때는 존재로 보고 부정사가 보족어 dunatovn kalon estin eijmiv axio" eijmiv dnato" eijmiv $etoimov" eijmi @ikanov" eijmi; eijmi; duvnamai qevlo
24
{ 지시 대명사 auto" ekeino" auto" auto" tiv" auto" auto" auth auth auto"
지시대명사 와 인칭 대명사 의 특별 용법 ㄱ. auto" 용법 tiv" auto" = 가까운 것을 지적. * 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 문법분해기호가 형용대명사로 나타난다. 마3:7 auto" (남성) = 이사람(남성을 지적) 요1:34, 계19:9, 요8:7 auth (여성) = 이 여자가 (여성을 지적) 요5:3, 8:4, 1:19 auth (중성)이것이 (중성을 지적) 요6:29,52, 행2:16, 요5:11, 롬9:9, 히7:1 * 선행사가 있다면 지시대명사는 성 수가 일치한다. auto" 가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을 때 그 명사를 꾸며주므로 형용사로 표기된다.눅18:11 ekeino" ㄴ. 용법 (저것) 멀리 있는 것을 지적할 때 ekeino" 가 단독으로 쓰일 때 = 형용대명사로 표기되며 지시 대명사 역할을 한다. ekeino" (남성) = 저 사람이 ekeino" (여성) = 저 여자가 ekeino" (중성) = 저것이 요5:11, 10:1, 마9:22, 행2:16, 요1:39 ekeino" 가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을 때 그 명사를 꾸며주므로 형용사로 표기 된다. 요5:9, 4:53, 마7:22, 9:22, 눅6:48
25
{ auto" auto" auto" auto" egw ㄷ. 의 특별 용법 = 3인칭 대명사로 표기된다.(사물 표기)
1.한정적 용법 auto" 앞에 관사가 있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을 때 = 바로 그. 고전12:4,5,6 (한정적일 때 대명사가 아니고 형용사로 꾸며주는 명사가 있다는 표시다) 형용대명사=서술적, 독립적이때 대명사=독립적 2.서술적 용법 (꼭 용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문맥에 따라) auto" 앞에 관사가 없고 성 수 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을 때 형용 대명사로 표기된다. (그 자신, 그 자체) 살전5;23, 롬8:21, 고후10:1, 요2:2, 4:2, 2:24, 4:44, 3:28 * 엡2:20 = 고유 명사일 때는 앞에 관사가 없다. 그러나 관사가 있는 것처럼 보고 해석한다. 3. 독립적 용법 auto" 의 주격이 관사가 없고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 동사의 숨은 주어와 문장의 나타난 주어를 강조하거나 재귀적으로 쓰인다. 강조 = 나 자신이 = 눅24:31, 요17:8, 살전5:2, 재귀적=나 자신이 나 자신을 위하여 *모든 인칭대명사 주격은 동사의 숨은 주어를 강조한다. 마24:5, 요10:9,11, 11:25 (강조) 눅24:31, 요17:8, 살전5:2 { 주격 = * 눅11:4 (인칭과는 상 없음) 우리자신 들이 요3:28 (너희 자신들이) 롬15:14 (대명사가 2인칭 단수인데 를 강조하기 위하여 ) egw
26
{ } autou autw autou auton 주격이외의 격 소유격 = 그의 강조 그 자신의 강조 할 때는 주어와
= 그의 강조 그 자신의 강조 할 때는 주어와 가 일치할 때 쓴다. 롬1:2,3, 요10:11, 마7:11, 약1:12 autw autou 마24:4 여격 = 그에게 강조 그 자신에게 auton 요10:8 목적격 = 그를 강조 그 자신을 동사의 숨은 주어와 일치하지 않을 때는 = 단순한 인칭대명사이며 . 마6:8, 요5:18 일치할 때는 = 강조이다(자기 자신) { } 마8:3 = 그 자신의 손을 요14;10,13 =그 자신의 일을 요10:11 = 그 자신의 목숨을 롬1:2,3 히6:7 일치할 때 (자신의) 강조의미
27
관사의 용법 ta rhmata ....pnuema !Egwv eijmi @h @odo;" diav ejmou'
관사란 = 어떤 대상을 지적하거나 한정시키는 기능과 또는 사물을 지시하는 지시대명사역할과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 영어와 같이 부정관사는 없고 정관사만 있다. 어떤 품사 앞에 붙어서 그 품사와 관계를 맺는 관사는 서로 성 수 격이 일치한다. 지적 하거나 한정 시키는 기능 = (관사 + 명사) 요1:1,4,5, 요6:63, 요14:6 을 서로 비교 ta rhmata ....pnuema 요6:63= =(관사없는) = 내용 요14:6 = = (관사 있는) = 존재. = 나를 통하여 = 좁은 문(주님)을 통하여 하나님께로(마7:13) diav ejmou' * 요10:30, 마19:17, 7:14, 눅822-25, 막4:35,41, 눅18:8 2. 지시대명사 역할 한 문장 안에서 관사 뒤에 따라오는 명사가 없고 그 관사가 지시하는 선행사가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 마2:5, 22:5, 행14:4:, 17:28, 갈5:24 3. 관계 대명사 역할 한 문장 안에서 관사 뒤에 따라오는 면사가 없고 그 관사가 지시하는 성 수 격이 일치하는 선행사가 있을 때 요13:1, 로3:24, 고전1:18, 계1:4, 행8:1, 고후1:18, 마7:11, (겔18:21-24 한번구원은 영원한 구원이 아니다) * 관사의 특별기능 가. 관사가 명사가 아닌 다른 부사 앞에 붙어서 명사를 만든다. 눅5:10, 요8:11, 행5:38, 18:6, 고후1:17,20, 5:16, 히3:13, 고전5:12,13 나. 문장 앞에 중성관사가 붙어서 문장 전체를 하나의 단어로 만든다. * 고유대명사 앞에는 관사 생략(엡2:20) apo tou nun 눅5:10 주님 = 존재 마19:18 롬13:9 엡4:9 눅22:37 갈4:25 히12:27
28
#h #h 1. 비교급 (비교급 형용사, 비교급 부사)
일반적인 형용사 (원급 형용사)와 비교급 형용사 또는 비교급 부사를 사용하여 두개의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 단어와 문장을 비교하고 ,비교급 품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비교가 아닌 “보다 더욱더” 라는 강조를 나타내기도 한다. * 최상급+ 형용사, 최상급 부사 = 지극히, 대단히, (강조할 때 사용) * 비교급 단어는 두개의 사물이나 사실을 서로 비교하는 “부사보다 형용사가 더욱~하다” 라는 강조를 나타내는 문장을 만든다. 1. 형용사의 급, 부사의 급 가. 형용사의 급 원급(형) 선한 악한 큰 적은 비교급(형 비, 형 형 비) 더욱 선한 더욱 악한 더욱 큰 더욱 적은 최상급(형 최, 형 형 최) 지극히 선한 지극히 악한 지극히 큰 지극히 적은 나. 부사의 급 #h 원급(형 부, 형 지) 안전하게 의롭게 강하게 비교급(형 부 비, 형 형 비) 더욱 안전하게 더욱 의롭게 더욱 강하게 최상급(형 부 최, 형 형 최) 지극히 안전하게 지극히 의롭게 지극히 강하게 #h * 비교급 문장에서 “~보다” 에 해당하는 접속사가 있을 때는 2개의 개체를 서로 비교할 때 사용하여 단어와 단어일 때는 동일한 격과 격을 구와 구 절과 절을 서로 비교한다. (예외 : 단어와 절도 가능)
29
2. 형용사를 사용한 비교급 문장 #h eimi ginomai #h parav @upevr @w"
원급 형용사 (일반적 형용사)와 비교급 형용사를 사용하여 “부사보다 형용사가 더욱 어떠하다” 라는 비교를 나타내는 문장을 만든다. 이때 비교급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 없이 독립적 또는 서술적으로 쓰일 때는 문법 분해 기호가 “형 형 비” 로 수식하는 명사가 있을 때는 한정적인 용법을 나타내는 “형 최” 로 표기 된다. 또 비교급 형용사의 격은 격의 성격을 그대로 살려서 해석 한다. #h 가. 원급 형용사(형용사) + 형용사(단어,문장) (~ 보다) + 부사 = 부사보다 형용사가 ~더(원급 형용사)하다. 막9:43,45,47, 마18:8,9 (절과 절 비교) * 원급 형용사가 있는 비교급 문장은 , 동사가 온다. eimi ginomai 나. 원급 형용사 + 형용사 + 대격 전치사 + 부사 = 부사보다 형용사가 ~ 더욱(원급 형용사) 가 된다. 눅13:2, 마10:37 다. 비교급 형용사 + 소유격 명사(명사화 된 단어) = 소유격 명사 보다 ~ 더한(비교급 형용사) 막1:7, 요5:36, 7:31, 13:16, 고전1:25, 13:13, 히1:4(2형식) #h 라. 비교급 형용사 + 형용사 부사 = 부사보다 형용사가 ~ 더욱 (비교급 형용사) 하다. 마11:22,24,눅10:12, 요4:1=예수와 요한의 비교 요4:4 고전14:5 = 단어와 단어 마10:15(구와 구) 마9:5(=막2:9, 눅5:23) 절과 절 마. 비교습 형용사 +형용사 + 대격 지배전치사 + 부사 = 부사보다 형용사가 ~ 더욱(비교급형용사) 하다. parav @upevr 히1:4, 3:3, 9:23, 11: 눅16:8, 히14:12 눅6:40 요6:51, 10:11, 11:52 @w" 10:25 마10:24 요13:15 가 있으면 비교급이 생략 될 수도 있다 의 근거.
30
ma'llon #h ma'llon ma'llon ma'llon #h posw pollw ma'llon ma'llon
3. 비교급 부사를 사용한 비교문장 = 형용사를 사용한 비교급 문장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교를 나타낸다. ma'llon 가. 원급(형비) = 형용사 부사(절,단어) = 부사보다 형용사가 더욱더 원급(형비) 하다. #h ma'llon ( ~ 보다( )가 없기에 에 붙임) 막9:42, 행4:19, 20:35 ma'llon 나 (형부비) + 소유격명사 = 소유격 명사보다 더욱더 동사하다. 마6:26, 고전14:18 ma'llon #h 다 (형부비) + 형용사 부사(구,절,단어) = 부사보다 ~ 형용사가 더욱더 동사하다. 요3:19, 행4:19, 5:29, 20:35, 27:11, 딤후3: 절 = 마18:13, 요12:43, 갈4:27. 4. 비교급 부사르 이용한 강조 문장. = 비교급 부사가 단독으로 또는 질과 양의 크기를 나타내는 대명사여격 ( , )과 함께 “ 얼마나 더욱 많게,(크게)” posw pollw 또 비교급부사가 비교급부사와 또는 비교급부사가 최상급 부사와 함께 “보다 더욱더” 라는 강조를 나타내는 문장을 만든다. ma'llon 엡4: = 비교급이기보다는 단순부사로서 강조의미 ma'llon 가 (형부비)이 단독으로 = “보다 더욱더” ~ 하다. 마10:6, 29:9, 막14:31, 15:11, 눅10:20, 요5:18, 고전5:2, 갈4:9, 엡4:26, 딤전6:2 ma'llou 나. 여격 대명사 (형부비) = 양과 질을 나타내는 대명사와 함께 povsw ma'llon ㄱ (형형지여) : 의문문으로 = “얼마나 많게 더욱더(크게)” ~ 하지 않겠느냐? povsw = 양과 질을 나타내는 대명사 (히10:29). 마7:11, 10:25, 누12:24,28, 롬11:12,24, 히9:15. pollw ma'llon ㄴ (형형-여) (형부비) = 평서문 : “얼마나 더욱더 크게(많게) ~ 하다. 마6:30, 막10:48, 눅18:39, 롬5:9,10,15,17, 고후3:8,9,11, 빌2:12, 히10:25, 12:9 , * 히10:29
31
posw pollw ma'llon ma'llon ma'llou povsw ma'llon povsw pollw ma'llon
4. 비교급 부사를 이용한 강조 문장. posw pollw = 비교급 부사가 단독으로 또는 질과 양의 크기를 나타내는 대명사여격 ( , )과 함께 “ 얼마나 더욱 많게,(크게)” 또 비교급부사가 비교급부사와 또는 비교급부사가 최상급 부사와 함께 “보다 더욱더” 라는 강조를 나타내는 문장을 만든다. ma'llon 엡4: = 비교급이기보다는 단순부사로서 강조의미 ma'llon 가 (형부비)이 단독으로 = “보다 더욱더” ~ 하다. 마10:6, 29:9, 막14:31, 15:11, 눅10:20, 요5:18, 고전5:2, 갈4:9, 엡4:26, 딤전6:2 ma'llou 나. 여격 대명사 (형부비) = 양과 질을 나타내는 대명사와 함께 povsw ma'llon ㄱ (형형지여) : 의문문으로 = “얼마나 많게 더욱더(크게)” ~ 하지 않겠느냐? povsw = 양과 질을 나타내는 대명사 (히10:29). 마7:11, 10:25, 누12:24,28, 롬11:12,24, 히9:15. pollw ma'llon ㄴ (형형-여) (형부비) = 평서문 : “얼마나 더욱더 크게(많게) ~ 하다. 마6:30, 막10:48, 눅18:39, 롬5:9,10,15,17, 고후3:8,9,11, 빌2:12, 히10:25, 12:9 , * 히10:29 ma'llon ma'llon 다 (형부비) (형부비) = “보다 더욱더”~하다. 막7:36, 고후7:13, 빌1:9. ma'llon 라 (형부비) + 최상급 = “보다 지극히”~하다. 고후12:9
32
5. 최상급(형용최) 형용사와 최상급(형부최) 부사를 사용한 강조 문
5. 최상급(형용최) 형용사와 최상급(형부최) 부사를 사용한 강조 문 가. 최상급 형용사를 사용한 강조 문. 마11:20, 25:40, 행17;15, 벧후1:4, 고전15:9, * 마5:19 나. 최상급 부사를 사용한 강조 문. 행20:38, 갈6:10, 딤전4:10, 딛1:10, 벧후2:10 6. 비교 설명문 두개의 사물이나 사실을 서로 “크거나” “작다” 라고 비교하는 단순 비교문이 아니라 “마치~와 같다” “~와 같은” 이라고 비교 설명하는 (비유 설명)문장이다. @omoivw @omoiwma @omoia 가 동사나 명사 형용사 @omoivw @omoiw" =는 관사관계 관사는 에게 가 아닌 “~과” 해석 부사를 사용한 비교 설명문 @omoivw ㄱ 동사 = ~ “와 같다” . 마6:8, 7:24,26, 13:24, 18:13, 22:2, 막4:3, 눅7:31, 13:18,20, 롬9:29, 히2:17 @omoiwma ㄴ 명사 = ~ “와 같다”(같음). 롬1:23, 5:14, 6:5, 8:3, 빌2:7, 계9:7. @omoia ㄷ 형용사 = “~같은” . 마11:16, 13:21, 33:44, 35:47,52, 20:1, 22:39, 눅7;31, 12:32, 요3:2. @omoiw" ㄹ 부사 = “~같게” . 마22:26,35, 27:41, 눅3:11, 10:37, 13:31, 17:31, 요5:19, 히9:21, 약2:25. @w" 나 점속사를 사용한 비교설명문(~처럼~같이) . 마6:12, 10:16,25, 19:19, 막4:31, 6:34, 눅6:40, 17:28, 24:32, 요1:14, 15:6, 고전3:15, 고전13:11, 갈4:12,14, 엡5:8, 빌2:8, 골2:6 outw" $ $wsper 다 (종속접속사) 형용사…… 부사 = 마치 형용사같이 이렇게 부사하다. 마12:40, 13:40, 24:27, 요5:21,26, 롬5:12, 6:4,19, 고전15:22, 고후1:7, 갈4:29, 엡5:24, 살전5:3, 약2;26.
33
관계 대명사 관계 대명사란? 문장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것이 일반적인 형식인데 형용사가 아닌 한 개의 절(문장)이 명사를 꾸며줄 때 삽입 절 하나의 형용사로서는 명사를 꾸미는 표현이 부족할 때 그 형용사를 확장하여 하나의 절로 만든다. 이 절을 관계대명사절(형용 사절) 이라 하고 이 절 맨 앞에 놓여서 절(문장)을 이끄는 단어를 관계 대명사라 한다. 관계대명사는 이렇듯 뒤따라 오는 절과 앞 명사를 관계 지어 주므로 “접속사” 와 “지시대명사” 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접속사의 기능은 앞 명사(선행 사)와 관계대명사절과의 관계를 맺어주는 것이고 지시 대명사의 기능은 관계대명사절의 내용이 앞 명사를 지하여 설명하는 것을 나타낸다. (꾸며주는 것을 나타냄) 가. 관계대명사가 명사를 꾸며줄 때는 바로 그 명사 선 행사 뒤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 관계대명사와 앞 명사(선 행사)는 성 수는 일치하고 격은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마1:23, 요2:8, 갈4:19 * 관계대명사가 선 행사의 내용을 지시할 때와 또 앞 절 전체를 선 행사로 가질 때 이때는 관계대명사가 중성이 된다. 라. 꾸밈을 받는 명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놓여있을 때 그 명사를 선 행사라 하고 관계대명사절 뒤에 올 때는 후 행사라 한다. 선 행사:요1:9, 14: 후 행사:요1:12, 3:34 * 선 행사나 후 행사는 관계대명사절 앞에 올 수 없다.
34
2. 관계 대명사 용법. 관계대명사절이 앞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절로, 또는 앞 명사를 꾸며주지 않고 주 동사(주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하는 명사절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관계대명사가 절을 이끌지 않고 단지 지시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 전치사 바로 뒤에서 전치사에 이끌려(즉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전치사 뒤에 관계대명사절이 오면 이 절은 명사절이 되고 (전치사+ 명사절)절이 오지 않고 관계대명사만 오면 지시 사로 쓰인 것이다. * 관계대명사 가. 절을 이끌 때 = 선, 후 행사가 없을 때는 = 명사절이며 . 선, 후 행사가 있을 때는 = 형용사 절이다. 관계대명사절은 주(원)문장 안에서 한 개의 요소로서 쓰이고 있기 대문에 동사가 관계대명사를 중심으로 앞 뒤에 각각1개씩 또는 관계대명사 뒤에 2개의 동사가 있을 때이다. * 관계대명사가 절을 이끌 때는 관계대명사는 해석하지 않는다. 나. 절을 이끌지 않을 때는 = 동사가 1개이며 관계대명사가 절을 이끌지 않고 단순히 지시대명사 역할을 하여 주 문장의 요소가 된다.(주 문장 내에서 동사가 1개있을 때 관계대명사의 격을 그대로 살려서 해석하며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동사가 없다). 요1:3, 1:13,27, 4:14, 14:17, 1:12,14. * 관계대명사가 문장 맨 앞에 와서 절을 이끌 때는 = 명사절 또는 후 행사를 가진 형용사절, 절을 끌지 않을 때는 지시사의 역할을 보편적으로 많이 한다. 지시 사 : 요1:3, 4:14 명사절 : 요3:11, 4:6 형용사절(후 행사) : 요3:34, 5:19
35
$oti $ina oujai; ejn *h @hmevra/ 다. 전치사 뒤에서 =
다. 전치사 뒤에서 = ㄱ. 절을 이끌 때는 = 절을 이끌지라도 전치사구이기에 형용사구인지 부사구인지 확인 한다. ㄴ. 절을 이끌지 않을 때는= 동사1개와 지시사가 있다. * 명사절인 지시 사 인지는 말씀의 의미에 따라 달라진다. 관계대명사 절이 나오면 먼저= 1 동사 유무, 2 선, 후 행사 유무 확인 ㄷ. 전치사 유무 = 동사 2개의 명사절은 = 전치사구로 여겨라. 동사 1개의 지시 사 는 = 소유격 전치사 + 관계대명사 인데 관계대명사가 중성일 경우 지시 사 로 여겨라. ㄹ. 일반적으로 전치사 뒤에는 전치사 격과 동일한 격의 명사가 온다. 이 명사 대신에 관계대명사 또는 관계대명사 절이 오면 관계대명사는 지시 사 역할을 ,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이 된다. ㅁ.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오는데 1개의 명사로 의미를 다 나타내지 못할 때 이 명사를 확장하여 관계대명사절을 만들어 명사 대신에 쓴다. ㅂ. 관계대명사절은 주 문장의 한 개의 요소가 되므로 해석 시에는( )를 쳐서 주 문장의 주 요소를 먼저 찾고 다음에 관계 대명절이 명사절인 형용사 절인지를 결정한다. ㅅ. 소유격 전치사+관계대명사=동사가2개=명사절이면 주 문장의 전치사구로 여기며, 동사가1개면=지시 사(대개 중성)로 나타난다. * 예외 : 딤후3:14 의문대명사절이 격을 지배 ㅇ. 전치사 뒤에 관계대명사 절이 오는 이유는 = 전치사는 격을 지배하고 격을 가진 관계대명사에 이끌리는 절이기 때문이다. (일반접속사절은 = , 는 격이 없다) . 명사절 : 마26:24, 눅22:7, 요4:52, 6:29, 9:14,18, 10:35, 비교 : 행7:4, 요5:28, 지시 사:요1:33, 4:45,53, 롬5:11,12 중성이면 = 지시 사. 예:롬5:12 마26:24 = (동사로) 요9:14 = 핵심 요11:6 = 핵심을 더 설명하기 위하여 뒤에 절이 옴. $oti $ina oujai; ejn
36
라. 명사절이 될 때 = 원㈜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된다. ㄱ. 관계대명사의 선, 후 행사가 없다. ㄴ. 관계대명사의 격은 무시하고 이 관계대명사의 절은 주문장의 주요소가 된다. ㄷ.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를 명사 꼴로 고친다. * 주어로 쓰일 때=요10:6, 주격보어로 쓰일 때=요1:15, 7:25, 목적어로 쓰일 때=요2:5, 3:11, 4:22,38 부정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요4:38, 분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요11:45 * 절을 이끌 때는 관계대명사는 해석을 안 한다.(의미는 없다.) 절을 이끌지 않을 때는 관계대명사는 해석한다(왜: 지시 사 역할을 하기때문) 마. 형용사 절이 될 때 1. 주 문장의 명사를 꾸며준다.(명사=선,후 행사) * 선행사가 전치사구의 명사가 될 수도 있다. 요4:14 ㄱ. 선, 후행사가 유. ㄴ. 관계대명사의 격은 무시하고 해석하지 않는다. ㄷ.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를 형용사 꼴 “~한, ~할” 로 고친다. 선 행사를 꾸며줄 때 = 요1:9,26, 2:22, 5:32, 36:14, 후 행사를 꾸며줄 때 = 요3:34(동사의 숨은 주어) , 요11:3, 5:19, 6:14, 8:26 * 선 행사는 관계대명사 바로 앞, 후 행사는 관계대명사 바로 뒤에 있다. 2. 관계대명사가 절을 이끌지 않을 때 : 관계대명사가 절을 이끌지 않고 단순히 지시대명사 역할을 하여 주 문장의 요소가 된다. ㄱ.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동사가 없다.(주 문장 내에서 동사가 1개 있을 때) ㄴ. 관계대명사의 격을 그대로 살려서 해석한다. 요1:3,12,13,14,27, 4:14, 14:17 * 관계대명사가 문장 맨 앞에 와서 절을 이끌 때는 명사절, 또는 후 행사를 가진 형용사절, 절을 끌지 않을 때는 지시사의 역할을 보편적으로 한다. 지시 사: 요1:3, 4:14 명사절: 요3:11, 4:6 형용사절요3:34, 5:19 (후 행사) 3. 전치사 뒤에 관계대명사가 올 때 : 일반적으로 전치사 뒤에는 전치사 격과 동일한 격의 명사가 온다. 이 명사 대신에 관계대명사 또는 관계대명사 절이 오면 관계대명사는 지시 사 역할을 ,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이 된다. *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오는데 1개의 명사로 의미를 다 나타내지 못할 때 이 명사를 확장하여 관계대명사절을 만들어 명사 대신에 쓴다.
37
$oti $ina oujai; ejn *h @hmevra/
* 소유격 전치사 + 관계대명사 가 동사가 2개인 명사절이면 주 문장의 전치사구로 여긴다. 동사가 1개 = 지시 사(대개 중성명사)로 나타난다. 예외 : 딤후3:14 의문대명사절이 격을 지배한다. 전치사 뒤에 관계대명사 절이 오는 이유는 전치사는 격을 지배하고 격을 가진 관계대명사에 이끌리는 절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접속사절 , 는 격이 없다) 명사절:마26:24, 눅22:7, 요4:52, 6:29, 9:14,18, 10:35, 비교 요5:28, 9:14, 11:6, 13:38, 행7:4 지시 사: 요1:33, 4:45,53, 롬5:11, 12, 중성이면 지시 사 : 예 롬5:12 마26: (동사로) 요9:14 = 가 핵심 요11:6 = 핵심을 더 설명키 위하여 뒤에 절이옴 $oti $ina oujai; ejn
38
바. 관계부사(접속사+부사) = 접속사 + 지시대명사
: 관계대명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접속사 + 지시대명사이지만 관계부사는 접속사 +부사로 관계부사가 자신이 이끄는 문장에서 부사역할을 한다 하여 관계부사가 되는 것이다. 즉 관계 대명사와 부사 역할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관계부사가 관계 대명사 역할을 못할 경우에는 접속사 기능만 한다. 이것이 이끄는 절이 부사절이 되어 주 동사와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이것은 집이다. 1 거기서 내가 태어났다 거시서 는 동사= 태어났다 의 부사역할 절 자체는 관계부사 자체는 (접속사+부사) 이것은 집이다. 2 그 집에서 내가 태어났다. 관계부사역할(접속사+지시대명사) 과 2가 다르다. 관계부사 관계대명사의 의미인 관계부사로 씀 * 관계대명사는 정해진 형태가 있지만 관계부사는 정해진 꼴(형턔)이 없이 역할 접속사가 관계부사 역할을 한다. ei $ina $oqen $opou $opw" $otan $ote $oti wv" ou| 관계부사의 종류 (원래는 역할 접속사인데 과거부사의 역할을 못할 경우에는 원래대로 돌아간다) * 관계부사로 나타날 때 형용사절이 된다. 접속사로 나타날 때 부사절이 된다. $opou 마6:19,20, 가 보물을 수식 (관계부사) “ 의 부사로(거기는)
39
$oqen $oqen $otan $ina $oti ou| $oqen $oqen $oqen ejxh'lqon ei tou'to
마8:19 , 요4:46, 마13:5, 요14:3,4, 마12:44, 25:24,26, 행2:13, 히3:1 . 이 맨 앞에 오면 결과 나타내는 부사접속사 $oqen $otan 막2:20 관계부사 때 부사로 이용 = 빼앗긴다면 빼앗길 때에 $ina $oti ou| 요3:11,23, 4:21, 5;3, 6:29, 15:8 (관계부사) 요3:19, 딤후1:15 마28:16 $oqen $oqen 마12;44 = 이 관계부사 역할도 하고(집을 수식) 이 (거기로 부터) 동사의 ( )부사가 된다. $oqen ejxh'lqon ei tou'to ei 벧전2:19(관계부사 수식 종속접속사로 보면 부사절이 되어 동사가 없고 명사문장 이라서 를 (종속접속사로) 보면 부사절로 되어 주 동사에 걸려야 하지만 명사에 걸리기에 관계부사로 본다. 그런데 앞 문장에 가 생략 된 걸로 보면 종속접속사로 가능하다. eimi * 관계부사는 1= 관계부사로 쓰일 경우 형용사절로 보면서 2= 관계부사 자체는 부사로 사용되어서 동사와 부사적 관계를 맺는다. 3 = 관계부사 역할을 못할 경우에는 부사절 (종속접속사)로 주 동사와 부사적 관계로 이용한다.
40
_ povso" tiv" diativ deiknuvw @oravw ei\don oujci ouj a\ra a\ra mhv
의문문과 부정어 _ : 의문문은 의문대명사를 통하여 (누구,무엇,왜…)를 나타내는 문장으로 문장 끝에 의문부호( )가 있는 직접의문문과 의문부호가 없는 간접의문문이 있는데 의문 대명사가 아닌 다른 품사(부사,접속사)를 의문 불변 사를 표시하여 직,간접 의문문을 만들기도 한다. * 의문문은 의문사의 격과 상관없이 의문사 또는 의문 불변사가 문장 맨 앞에 온다. 1. 직접의문문: 의문대명사나 의문 불변 사로 만들어지는 의문문으로 의문부호가 있다. 가. 의문 대명사에 의한 의문문= 마6:23, 7:11, 10:25, 12:12, 막6;38, 8:5,19,20, 눅11:13, 12:24, 16:5 마3:7, 7:9, 10:11, 막1:24,27, 2:7, 눅3:7, 4:34, 5:21, 요1:19, 4:10, 5:13 마9:11,14, 13:10, 15:2,3, 마2:28, 7:5, 11:31, 눅5:30, 5:33, 19:23, 요7:45, 8:43,46 * 마19:16, 15:2,3, 18:1, 막8:12, 눅11:11, 10:29, 18:26, 요2:18, 4:10, 6:28, 9:2, 롬7:7,8:34, 고후2:16, 살전4:2, 행9:4, 갈3:1, 약3:13. povso" tiv" diativ deiknuvw @oravw 마16:1~ 와 의 차이점 ei\don 눈으로 보는 것 영적인 눈으로 보는 것 요14:8, 마16: 요14:7,9, 마3:16 주님이 열어주신 눈으로 봄. 요1:1 나. 의문불변 사 에 의한 의문문: 마7:22, 12:5, 18:12, 13:27, 요6:42,70 28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강한 부정)마5:46, 6:25 고전9:1 , 살전2:19 눅18:8( ) , 갈2:17( ), 눅22:35요3:4( ) 요7:51( ), 8:53( ), 마12:10( ) = 선택적인 요소로 마19:3, 눅13:3 oujci ouj a\ra a\ra mhv mhv mhv Ei * 의문사 = 이게 무엇이냐(구체적) 부정사 = 어떤 자들이냐(불특정 다수)
41
} …… …… …… ouj< mh Ei Mh; oujk< para; en an ei Ei Ei povteron h]
= 이중부정어가 의문접두사로 표기될 때는 강한 긍정을 의미한다. 눅18:7, 요18:11, 롬10:18,19, 고전9:4,5, 고전11:22 가 의문불변 사로 표기된 의문문은 선택적인 의문문을 나타낸다. 마12:10 Ei Mh; oujk< 이중부정어 중에서 하나는 의문불변 사로 또 다른 하나는 부사로 표기될 때 는 두 부정어가 서로 상쇄되어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롬10:18,19, 고전9:4,5, 11:22 2. 간접의문문: 딤후3: 전치사구는 격을 지배하는데 의문대명사절이 격의 지배를 받는 경우 동사 접두사 환기 시킬 때 불확실성 요9: 의문 접두사 para; en an ei 의문 대명사( )나 의문불변 사( 의문접두사)는 있으나 의문 부호가 없는 의문문으로 의문부호가 없는 이유는 의문대명사와 의문불변사가 있는 절이 명사절의 기능을 하여 주 문장의 목적어가 되기 때문이다. 요9:21(의문부사), 요10:6(의문대명사) 딤전3:15 의문 불변사 (의문접두사)는= ~인지, ~아닌지 선택을 요구 시 사용. 마6:25, 막1:24, 눅6:11, 요6:6,64, 살전4:2, 요3;2, 2:9, 눅23:6, 막15:44, 요9:25, 고후13:5,( 불변사) 의문부사 의문대명사 Ei Ei 의문 대명사나 의문 불변사가 없고 의문부호도 없이 선택을 요구하는 문장이 주 문장의 목적어로 쓰인 문장 } povteron h] …… 요7:17 Ei h] …… 마18:8 ~ 이든지 , 또~이든지 ei[te ei[te …… 고전3:22, 10:31, 13:8,살후2:15 롬12:6,7,8 ei[ pw" 가 부사와 함께 쓰여 의문문이 아닌 “가능성” 을 기대하는 문장을 만든다. (혹시, 아무쪼록, 어쩌면……) 즉 가능, 기대를 말함). 롬1:10, 11:14, 빌3:11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의문부호가 나타난다. 마13:28, 눅14:3, 막1:24, 눅9:54, 요1:50,
42
} ouj , mh; , uomh , mhou a , nh uomh mh; mhou ou mh; uomh mhou ou ou[
사. 부정어(否定語) 부정어에서는 분리형 부정어와 비분리형 부정어가 있다. 분리형 부정어 ………… 비분리형 부정어 ………… 단어 앞에 붙어서 부정어를 나타낸다.(부정접두어) ouj , mh; , uomh , mhou a , nh 분리형 부정어는 부사의 한 종류 ㄱ. 서술문 –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어떠하다. * 와 같은 이중부정어는 부정을 강조 = 직설법 외에 사용 와 같은 이중부정어는 부정을 강조 uomh mh; mhou ou ㄴ. 의문문: 긍정을 요구하는 의문문에 사용 - 부정을 요구하는 의문문에 사용 - 이중부정어 에서는 강한 긍정을 나타내는 의문문에 사용 - 부정적 답변을 요구 시 액센트가 추가됨(고후1:17,19 mh; uomh } mhou ou ou[ 2. 이중부정 - 강한 긍정을 나타내는 의문문.눅18: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서술문 - 강한 긍정을 나타내는 의문문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서술문 ㄱ. ㄴ. ou mh ou mh 의문접두 의문접두 부사 부사 mh ou mh ou 의문접두 의문접두 부사 부사
43
mh ou ou mh ou ou mh mh ou mh mh de ou mh mh de pote ouv de mh de pw
단어 이중 부정어들이 서로 상쇄되어 강한 긍정을 나타내는 서술문. ou mh 단어 부사~부사 의문접두~부사 = 강한 긍정(의문문) . 히4:15, 요2:22 ou ou ㄱ. 직설법이 아닌 법에 와 로 시작되는 부정어가 올 때는 부정을 강조. ㄴ. 직설법에 와 로 시작되는 부정어가 올 때는 부정을 강조. ㄷ. 이중부정어가 서로 나란히 나타나지 않고 떨어져 나타날 때는 이중 부정어들이 상쇄되어 강한 긍정문(강조긍정문)이 된다. ㄹ 와 는 합성어로 씀. mh mh ou mh mh de = ~도 아니다. = 어느 때도 아니다. = 아직까지도 아니다. = 더 이상 아니다. = 아직 아니다. = 어쨌든~하지 않다. ou mh = 결코~가 아니다 = ~도 아니다. = 어느 때도 아니다. = 아직까지도 아니다. = 더 이상 아니다. = 아직 아니다. = 역시 아니다. mh de pote ouv de mh de pw ouv de pote mhketi ouv de pw mh pw ouketi mh pw" oupw oute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