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제 3 장 고문 제 1절 옛말의 표현
2
학습목표(필요시 작성) 1.1문자와표기법 공무원 국어(I) --옛말의 문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1.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
--국어의 흐름에 대해서 이해한다. --고전문학의 흐름에 대해서 이해한다. --고전시가에 대해서 이해한다. 1.1문자와표기법 1.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 1)예의(例義)-세종의 서문,발음과 운용법(훈민정음언해본) 2)해례(解例)-제자원리, 초성,중성,종성의 해설과 용례 3)정인지 서-훈민정음 창제의 경위 소개
3
1.1 문자 및 표기법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2/2) ㉢ 이체자(異體字) : 가획의 뜻이 없이 모양을 달리하여 만든 글자
1.1 문자 및 표기법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2/2) ① 초성의 제자 원리 : 발음 기관 모양의 상형 +가획의 원리 ㉠ 기본자(基本字)(2004. 경기도) :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글자 예) ㄱ(어금닛소리), ㄴ(헛소리), ㅁ(입술소리), ㅅ(잇소리), ㅇ(목구멍소리) ㉡ 가획자(加畫字) :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든 글자 예)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ㆆ․ㅎ ㉢ 이체자(異體字) : 가획의 뜻이 없이 모양을 달리하여 만든 글자 예)ㆁ,ㄹ,ㅿ ② 중성의 제자 원리 : 天․地․人 삼재(三才)의 상형 ③ 종성의 제자 원리 : 종성의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다시 사용한다.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4
1.1 문자 및 표기법 3. 훈민정음의 글자 운용 ① 이어쓰기[연서(連書)] : 순음 아래 ‘ㅇ’을 붙여서 순경음을 만든다.
1.1 문자 및 표기법 3. 훈민정음의 글자 운용 ① 이어쓰기[연서(連書)] : 순음 아래 ‘ㅇ’을 붙여서 순경음을 만든다. (예:ㅱ, ㅸ, ㆄ, ㅹ) ② 나란히쓰기[병서(竝書)] : 초성이나 종성을 합하여 쓸 때 옆으로 나란히 표기하는 방법이다. (예: ㄲ, ㅥ, ㄸ, ㅃ, ㅉ, ㅺ, ㅼ, ㅳ, ㅴ ) ③ 붙여쓰기[부서(附書)] : 중성을 초성에 붙여 쓰는 글자 운용법이다. (예: ㆍ,ㅡ,ㅗ,ㅜ,ㅛ—자음 아래에… ㅣ,ㅏ,ㅓ,ㅑ,ㅕ---자음 우측에 ) ④ 음절이루기[성음(聲音)] : ‘첫소리 + 가운뎃소리 + 끝소리’로 음절이 구성된다. (凡字必合而成音) ⑤ 점찍기[가점(加點)] : 방점으로 소리의 높낮이(성조)를 표시했다. ⇨ 평성(무정), 상성(2점), 거성(1점), 입성
5
1.1.1 소실 문자 1. ㆆ(여린 히읗) 2. ㅸ(ㅂ 순경음) 3. ㆅ(쌍히읗) 4. ㆀ(쌍이응)
소실 문자 1. ㆆ(여린 히읗) 특별한 소리값이 없으며, 세조 이후 소멸되었다. 2. ㅸ(ㅂ 순경음) ‘ㅂ’에 대립되는 유성 양순 마찰음[ß]으로, 세조 초까지 사용되었다. 3. ㆅ(쌍히읗) ‘ㅎ’과 ‘ㅋ’의 중간 음으로, 세조 이후 소멸되었다. 4. ㆀ(쌍이응) 사도·피동 접미사 ‘이’에서 ‘ㅣ’ 모음이 줄어든 형태로 독립된 음운이 아니다. 세조 이후 소멸되었다.
6
1.1.1 소실 문자 5. ㅿ(반치음) 6. ㆁ(옛이응) 7. ㆍ(아래 아)
소실 문자 5. ㅿ(반치음) ‘ㅅ’에 대립되는 유성 마찰음[ʑ]으로, 임진왜란 직전에 소멸되었다. 6. ㆁ(옛이응) 현대어의 받침 ‘ㅇ’과 같은 소리로, 임란 이후 소실되었다. 7. ㆍ(아래 아) 후설 저모음[ʌ]으로, 음가는 18세기(영․정조 이후)에 소멸되었고, 글자 표기는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공표 이후 폐기되었다.
7
1.2 음운과 단어 1. 초성[자음]의 음운 체계 소리의 성질 소리나는 위치 예사소리 (전청(全淸)) 거센소리 (차청(次淸))
1.2 음운과 단어 1. 초성[자음]의 음운 체계 소리의 성질 소리나는 위치 예사소리 (전청(全淸)) 거센소리 (차청(次淸)) 된소리 (전탁(全濁)) 울림소리 (불청불탁(不淸不濁)) 아음 (牙音, 어금닛소리) ㄱ ㅋ ㄲ ㆁ 설음(舌音, 혓소리) ㄷ ㅌ ㄸ ㄴ 순음(脣音, 입술소리 ㅂ ㅍ ㅃ ㅁ 치음(齒音, 잇소리) ㅅ, ㅈ ㅊ ㅆ, ㅉ 후음(喉音, 목구멍소리) ㆆ ㅎ ㆅ ㅇ 반설음 (半舌音, 반혓소리) ㄹ 반치음 (半齒音, 반잇소리) ㅿ
8
㉮자모의 명칭, 순서(‘ㄱ’---’기역’, ‘ㅏ’---’아’로 명칭) ㉯자음16자(ㆆ 제외)+ 모음11자=27자모 확립.
최세진의 훈몽자회(1527) *중종 22년(1527) 최세진이 편찬한 ‘훈몽자회’는 어린이 한자 교습서로 권두로 범례에 다음 내용이 담겨 있다. ㉮자모의 명칭, 순서(‘ㄱ’---’기역’, ‘ㅏ’---’아’로 명칭) ㉯자음16자(ㆆ 제외)+ 모음11자=27자모 확립. ㉰8종성법 규정 ㉱한글을 ‘반절’이라 칭함.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