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A Thought on Carbon Neutral Jeju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A Thought on Carbon Neutral Jeju"— Presentation transcript:

1 A Thought on Carbon Neutral Jeju
탄소중립 제주를 위한 구상 A Thought on Carbon Neutral Jeju 양 승 룡 교수 식품자원경제학과

2 목 차 1. 탄소중립 제주? 2. 탄소중립도시 추진 동향 3. 왜 제주인가? 4. 추진 전략 5. 결 언

3 1. 탄소중립 제주? 2. 탄소중립도시 추진 동향 3. 왜 제주인가? 4. 추진 전략 5. 결 언

4 ≒ 탄소중립 제주(Carbon neutral Jeju)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흡수량
■ 제주의 산업 및 경제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다양한 감축활동과 자발적 구매를 통해 완전 상쇄(offset)함으로써 순 배출량 제로의 탄소중립적인(carbon neutral) 제주를 의미 - 대부분의 탄소중립도시는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목표지향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나, 탄소중립 제주는 달성 가능한 실천목표로 추진될 수 있음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흡수량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절약 에너지 효율화 배출권 구매 탄소포집저장 녹지, 숲 조성 탄소배출권 거래

5 기대 효과 ■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청정 제주 이미지 극대화 ■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기조를 선도하는 지자체로 부상
■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기조를 선도하는 지자체로 부상  ■ 제주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 - 탄소중립도시 언론홍보 및 해외마케팅에 따른 컨벤션산업 활성화 - 풍력발전단지, 탄소중립마을 등 관광상품 개발을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 - 탄소중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쟁력 강화 - 친환경이미지 제고에 따른 제주특산물의 경제적 가치 증가 행원풍력발전단지 국제컨벤션센터

6 1. 탄소중립 제주? 2. 탄소중립도시 추진 동향 3. 왜 제주인가? 4. 추진 전략 5. 결 언

7 해외 동향 ■ CO2 World Cup : Who becomes the World's 1st Carbon Neutral Country? Sri Lanka by 2018 (Nov 20, 2008) Maldives by 2019 (Mar 15, 2009) New Zealand by 2020 (May 20, 2007) Costa Rica by 2021 (June 7, 2007) Norway by 2030 (Jan 17, 2008) Sweden by 2050 (Mar 18, 2009)

8 해외 동향 ■ 세계 유수의 도시와 지자체에서 탄소중립도시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유엔환경계획(UNEP)을 중심으로 가칭 ‘탄소중립도시연합’의 결성 추진 ■ 영국 : 뉴캐슬 - 에너지와 도시환경전략 수립(1992) - 에너지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2010년까지 45% 감축 - 열병합발전, 교통체계 관리, 에너지 효율 향상, 폐기물 에너지화 추진 ■ 중국 : 상하이 인근 동탄 신도시(2007) - 유엔세계도시포럼의 온실가스제로도시 모델로 계획(2007) - 물과 에너지의 자급자족, 제로에너지 빌딩 설계, 생태친화적인 도시계획 - 자전거 등 지속가능 공공교통수단체계 수립 - 자동차는 전기자동차 및 수소자동차만 허용 추진 ■ 아랍에미레이트(UAE) : 마스다르 탄소중립 신도시(2008) - 220억불 투입, 2012년 완공 목표 - 재생에너지(태양, 풍력, 바이오)로 전체 동력 공급 - 도심 자가용 진입 금지

9 해외 동향 ■ 탄소중립도시 – 마스다르 사례 <마스다르 개괄> < 2016년 이후 마스다르 운영체제>
<마스다르 개괄> ◆ 위치 : UAE 아부다비 동쪽 30km 지점 ◆ 면적 : 6㎢(여의도 : 8.35 ㎢) ◆ 인구 : 5만명 ◆ 입주예정 기업 : 1500개 ◆ 투입예산 : 220억 달러 ◆ 완공예정 : 2016년 ◆ 특징 : 온실가스 , 쓰레기, 자동차가 없는 도시 탄소 제로 도시’ 마스다르의 조감도 < 2016년 이후 마스다르 운영체제> ◆ 태양열, 풍력, 수력 등을 이용해 전력생산 - 태양광 82%, 쓰레기 17%, 풍력 1% ◆ 지하에 저장한 빗물로 녹지 조성 ◆ 쓰레기 100% 재활용 ◆ 공기 순환 방식의 천연 에어컨 가동 ◆ 자기부상열차, 전기 버스 상시 운행 ◆ 자동차 대체 수단으로 세그웨이, 자전거 제공 ◆ 유비쿼터스 센서 설치 - 에너지 사용량 체크, 초과한 시민에게 벌금징수 마스다르 시티 세계 최초 전기택시

10 해외 동향 ■ 프랑스 : 파리 - 2006년 5월부터 모든 자동차 영업소에 에너지/탄소라벨 게시 의무화
■ 프랑스 : 파리 년 5월부터 모든 자동차 영업소에 에너지/탄소라벨 게시 의무화 - 자동차의 CO2 배출량에 따라 기준치 이하 차량은 자동차 구입가격 할인해주고, 초과하면 세금을 부과하는 CO2배출 할인/할증제 실시 이산화탄소 130g/km 이하 저배출차량 : 판매량 30% 증가 이산화탄소 160g/km 이상 고배출차량 : 판매량 12% 감소

11 국내 동향 ■ 기후변화대응시범도시 - 광역자치단체 4개(제주, 부산, 광주, 울산), 기초자치단체 5개(과천, 창원, 여수, 원주, 천안) 등 9개 지자체와 환경부간 협약 체결 - 지역별 특화 대책 추진 탄소중립도시 추진도시 기후변화대응시범도시(환경부) 화성시 동탄 2지구 신재생에너지, 녹지확충, 저에너지 건축계획 등 검단 2신도시 - 2천 가구 규모의 제로에너지 시범단지 행정중심복합도시 - 온실가스 타도시의 40% 수준 배출 - 도시계획, 건설, 건축, 에너지, 교통별 가이드라인 수립 과천시 - 2015년까지 온실가스 5% 감축 광주광역시 - 2015년까지 온실가스 10% 감축 - 가정과 상업시설, 탄소은행제 시범사업 울산광역시 - 2012년까지 온실가스 2005년 수준 동결 - CDM사업, 공익형 탄소펀드 조성 전남기업도시 탄소제로도시 조성위해 신재생에너지 확대 부산광역시 - 2015년까지 온실가스 10% 감축 - 공공기관 탄소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여수시 - 2015년까지 온실가스 10% 감축 - 탄소제로건물 건설 및 탄소포인트제도 제주도 - 2012년까지 온실가스 10% 감축 - 풍력에너지 및 바이오디젤 확대

12 국내 동향 ■ 탄소중립도시 – 동탄, 검단 신도시 <동탄신도시> - 한국토지공사, 국토해양부
◆ 자전거 이용활성화 - 자전거 전용도로, 임대자전거 도입 - 자전거 교통분담 20% 이상 목표 ◆ 패시브하우스 조성 - 공공디자인 개념 적용 - 화석연료 최대한 억제 - 태양광, 지열 등 재생가능에너지 사용 ◆ 환경친화적 도시 - 수자원 및 바람길을 통한 미기후 조절 <검단신도시> - 인천시, 한국토지공사 ◆ 제로(zero) 에너지 시범단지 조성 - 신재생에너지 이용 최대화 - 태양광, 지열, 수소에너지 등 보급 - 에너지절약형 제품 사용 ◆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 철도 등 대중교통 수송분담율 40% - 자전거 수송분담율 30% (자전거 전용도로 130km 계획) ◆ 생태친화 에너지 절약형 도시 - 녹지축 보존, 옥상 녹화 - 바람길을 고려한 건물배치 - 생태환경 보호와 냉난방에너지 절약 도모 임대자전거 스테이션 지열을 이용한 패시브하우스 검단신도시 조감도

13 1. 탄소중립 제주? 2. 탄소중립도시 추진 동향 3. 왜 제주인가? 4. 추진 전략 5. 결 언

14 탄소중립 최적조건의 제주 ■ 청정제주 이미지의 높은 브랜드 가치
- 이미 구축된 청정제주 이미지로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의 참여 극대화 가능 ■ 저탄소 전력공급 체계 - 제주지역 소비전력의 약 50%를 해저케이블을 통해 내륙으로부터 공급받고 있음 - 온실가스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유발전시설이 대부분이며, 석탄발전시설은 전혀 없음 -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풍력 발전비율이 높음 ■ 저탄소 산업구조 - 농업, 수산업, 관광산업 등 저탄소산업 중심의 산업구조 - 제주 인구 1인당 탄소배출량은 전국 평균의 32% 수준에 불과 - 관광산업 발달과 도서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산업시설 및 공정 배출물 적음 ■ 기후변화대응도시로 선정되어 기반 구축 중 - 감축 목표 : 2012년까지 2005년 대비 온실가스 10% 감축 - 에너지 분야 : 풍력에너지에 의한 전력 공급율 10% 이상 확대 - 농업 분야 : 유채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을 전체 경유사용량의 40%까지 확대 - 폐기물 분야 : 폐식용유 에너지화(바이오디젤) 사업

15 제주도의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 ■ 제주도는 전국 시·도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규모가 가장 작음
- 전국의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약 백만 tCO2e/년 - 제주지역은 1.54 백만 tCO2e/년으로 전국 순배출량 대비 0.37%의 비중을 차지 제주지역 순배출량 1.54 백만 tCO2e/년의 경제적 비용 = 77억원/년 (국내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실적 KCER(5,000원/tCO2e) 기준) = 262억원/년 (2009년도 CER 평균가격 10유로/tCO2e, 환율 1,700원/유로 기준) ■ 배출·흡수원별 배출량 및 시·도 지역별 비중(2005년) 단위 : 백만 tCO2e, % 순배출량 에너지 농업 폐기물 토지이용·산림 전국 411.72 (100.00) 408.30 13.27 16.76 -26.60 제주도 1.54 (0.37) 2.39 (0.59) 0.17 (1.27) 0.07 (0.40) -1.08 (4.08) 제주시 1.02 (0.25) 1.49 0.02 (0.13) 0.05 (0.31) -0.54 (2.04) 서귀포시 0.52 0.90 (0.22) 0.15 (1.14) (0.09) 순배출량 제주 비중 0.37% 총배출량 제주 비중 0.60% 총흡수량 제주 비중 4.08%

16 제주도의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 ■ 인구 1인당 온실가스 순배출량 또한 전국 시·도에서 가장 낮음
1인당 순배출량 : 2.8 tCO2e/인.년 (전국평균 대비 32%) = 1인당 총배출량 : 4.7 tCO2e/인.년 (전국평균 대비 52%) 인당 총흡수량 : 1.9 tCO2e/인.년 (전국평균 대비 380%) ■ 시·도 지역별 배출 흡수원별 인구 1인당 배출량(2005년) 단위 : tCO2e/인.년 구분 배출량 농업 폐기물 흡수량 토지이용·산림 에너지 석유 전력 도시가스 열에너지 석탄 전국평균 8.4 9.0 2.6 3.0 0.8 0.3 1.7 -0.5 제주도 2.8 4.7 4.3 2.1 2.2 0.0 0.1 -1.9 제주시 2.5 3.9 3.7 1.8 1.9 -1.3 서귀포시 3.4 6.9 5.8 2.9 1.0 -3.5

17 제주도의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 ■ 제주지역의 온실가스 집약도 (0.20 tCO2e/백만원) 또한 가장 낮음
시·도 지역별 온실가스집약도(2005년) 단위 : tCO2e/ 백만원 1.62 온실가스 집약도 = 온실가스배출량 / GDP 1.60 1.40 1.20 1.00 0.86 0.82 0.80 0.64 0.59 0.56 0.56 0.60 0.50 0.49 0.49 0.42 0.39 0.35 0.36 0.33 0.40 0.22 0.20 0.20 0.00 평균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8 제주도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 ■ 제주도의 기온은 전세계 평균기온보다 빠르게 상승
- 1930년대 겨울철 평균기온 5.6℃ → 2000년대 7.2℃로 1.6℃ 상승 - 세계 평균 기온은 0.6℃ 상승 ■ 제주도 연안의 해수면은 40년간 22cm 상승 : 세계 평균 상승치의 3배 - 제주연안의 연평균 상승치 : 5.6mm (서귀포 6mm, 거문도 5.9mm, 제주 5mm) - 국내연안의 연평균 상승치 : 남해안 3.4mm, 동해안 1.4mm - 세계 평균 해수면 1.8mm 상승 출처 : 문일주 외, 2008

19 제주도 기후변화 피해 사례 ■ 서귀포시 용머리해안 침수 - 1987년 조성된 해안산책로 만조 시에도 물에 잠기지 않았으나,
최근 하루 8시간 이상 물에 잠김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육지가 물에 잠기는 국내 최초 사례

20 제주도 기후변화 피해 사례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면적 및 간척소요비용 추정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면적 및 간척소요비용 추정 - 해수면 1미터 상승 → 전체 한반도 면적(99,720㎢) 중 1.9%인 1,917㎢ 침수 예상 → 제주도 면적(1849㎢) 중 1.9%에 해당하는 면적은 36㎢ → 제주도 침수면적(36㎢)에 대한 간척비용 : 2천1백억~4천2백억 원 ※ 공유수면매립(간척) 비용 : 제주 이호유원지 매립비용 제곱미터 당 약 5,800원 새만금 매립지 매립비용 제곱미터 당 약 11,900원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2001년 국토포기를 선언한 남태평양 투발루 전경>

21 제주도의 기후변화 피해 사례 ■ 남해안의 해수온도 상승값은 지구평균 상승값의 2배 ■ 해수온도 상승에 따른 바다 사막화 진행
- 해수온도 상승 : 남해 1.04℃, 동해 0.8 ℃, 서해 0.97℃ (1968~2006년 : 39년간) - 최근 100년간 전지구 평균 수온은 약 0.5 ℃ 상승 ■ 해수온도 상승에 따른 바다 사막화 진행 - 1998년 : 바다사막화라 불리는 ‘백화(白化)현상’ 제주바다에서 최초 발견 - 2007년 : 10년 만에 제주 전역으로 ‘백화현상’ 확산 ※ 백화白化 현상 (갯녹음, Whitening event) 탄산칼슘(CaCO3) 성분의 무절산 호조류가 바다 암초를 뒤덮어 하얗게 보이는 현상 해조류와 어패류의 사멸에 따른 바다생태계 황폐화 백화현상의 원인인 무절산호조류가 (아)열대종이기 때문에 백화현상은 수온상승과 밀접한 연관 <백화현상이 발생한 제주 바다> 암반이 하얗게 변하여 해조류가 자라지 않고 불가사리와 성게만 서식

22 1. 탄소중립 제주? 2. 탄소중립도시 추진 동향 3. 왜 제주인가? 4. 추진 전략 5. 결 언

23 실행 원칙 ■ 탄소 순배출 zero(탄소중립) 목표 ■ 실행 주체별 의무참여와 자발적 참여 병행
■ 실행 주체별 의무참여와 자발적 참여 병행 - 강제적 의무 참여 : 지자체, 공공기관, 대학 등 - 자발적 의무 참여 : 산업(에너지산업, 유통업, 농업, 축산업, 수산업, 교통, 관광산업) 분야 자발적 참여 : 지역주민, 관광객 및 방문객 ■ 기후변화대응전략 및 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단계적 접근 - 준비 및 시범단계 - 산업 및 공공기관 참여단계 - 전 부문 참여단계 등으로 나누어 시기별 추진 ■ 탄소배출권 확보를 통한 경제적 접근 - Program CDM, 국내 온실가스감축실적 등록사업, 자발적 배출권 거래 및 탄소상쇄프로그램 등

24 기본 정책 ■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 온실가스 흡수·배출원 파악 및 배출량 산정은 기후변화대응과 탄소중립 전략 수립의 기초
■ 에너지 효율화 및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 에너지 효율화 기술개발 및 실천 방안 수립 - 신재생에너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 및 인프라 구축 ■ 저탄소형 교통 - 교통체계 효율화,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자전거 이용 확대 등 ■ 저탄소형 농림수산업 - 유기농법 확대, 유채 바이오디젤 공급, 축분 등 바이오에너지 자원화, 탄소중립마을 조성 ■ 폐기물 자원화 - 폐기물 발생 최소화하고, 에너지 회수 및 재활용율을 높이는 물질 순환형 폐기물 정책 수립 ■ 흡수원 확충 - 산림경영, 옥상녹화 등을 통한 탄소 흡수원 ■ 탄소배출권 거래제와 탄소포인트제 도입을 통한 경제적 접근방법 도입 -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전 방위적 참여 유도

25 세부 추진 전략 (among many others)
■ 폐기물 에너지자원화 ■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 고효율조명기구 교체 ■ 산림경영 및 목질계 바이오매스 활용 ■ 바이오에너지 탄소중립마을 ■ 탄소성적표지제도(탄소라벨링)와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 녹색전력 가격 제도 ■ 자발적 배출권 거래제도

26 폐기물 에너지자원화 열에너지 전기에너지 열에너지
■ 폐기물의 소각열에너지 회수, 매립가스 발전, RDF연료화 → 기존 화석연료 대체를 통한 탄소중립 - 폐기물 소각시 폐열 회수 및 열병합발전 - 폐기물 매립 가스를 포집하여 발전 - 가연성폐기물을 분리, 건조, 압착한 RDF연료 생산 소각장 열에너지 폐열회수 열병합발전 폐기물 전기에너지 매립장 매립가스발전 RDF 연료화 시설 (Refuse Derived Fuel) RDF전용발전 RDF전용보일러 열에너지

27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전기에너지 열 에너지 액상 비료
■ 축분/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 - 축분 혐기성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메탄) 생산 및 열병합발전 - 음식물류폐기물의 혼합투입을 통한 처리효율 향상 및 바이오가스 생산량 증대 축산 분뇨 전기에너지 혐기성소화조 시설 열병합발전 메탄가스 열 에너지 소화액 소화액 저장조 음식물류폐기물 액상 비료

28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도시폐기물 자원지도> <축산분뇨 자원지도>
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29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전기에너지 열병합발전 열 에너지
■ 간벌목/농업부산물 열병합발전 - 간벌목, 폐목재 우드칩, 우드펠렛, 감귤나무 전지목 등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열병합발전 전기에너지 열병합발전 열 에너지

30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임산물 자원지도> <농산부산물 자원지도>
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31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유채/폐식용유 바이오디젤 사용 - 제주도의 유채는 관광자원으로 경관가치가 높으며, 식용기름으로 사용 후 발생한 폐유채유로 바이오디젤 생산 시 환경성, 경제성 제고 효과 - 바이오연료를 이용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은 열대우림 파괴, 식량자원의 에너지화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국제적으로 등록된 사례가 없으나, 제주도의 경우 유채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 사용 시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등록 가능성 높음 제주 첨단과학 기술단지(바이오디젤제조시설 설립 예정지)

32 BD20 : 자동차용 경유 80%와 바이오디젤 20%를 혼합한 연료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BD20 : 자동차용 경유 80%와 바이오디젤 20%를 혼합한 연료 ■ 제주도에 한하여 바이오디젤 혼합유(BD20) 주유소 설립 전격 허용 - “이용 및 보급 확대 연료의 인정에 관한 고시” 제 호( 지식경제부장관) - BD20 전용주유소 : 운영주체는 제주도지사의 사전 승인과 중앙 정부의 승인을 득해야 하며, BD20 주유소에서는 다른 석유제품을 판매할 수 없음 - BD20 보급대상 차량 : 제주특별자치도 내 자가 정비시설을 갖춘 BD20 전용주유소로부터 BD20을 공급받는 버스, 트럭 및 건설기계로 제한됨  ■ 유채재배 관련 지원정책   - 경관보전직불제 : 제주시 우도면 유채밭, 17만원/10a - 유채 시범재배 보조금 : 제주지역 유채밭 500ha, 170만원/ha - 채소수급안정화사업, 제주형 밭농업 직접지불제 시범사업 등 ■ 제주지역 바이오디젤 원료공급 현황 및 문제점   - 현재 제주지역 유채 생산량 < 제주지역 디젤 소비량 (약 28만 KL/year) - 해외수입 BD원료(대두유/팜유 등)는 대규모 플랜테이션재배에 따른 열대우림 파괴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여 탄소중립 제주에 적합하지 않음 - 경관가치가 높고 식용이 가능한 장점을 살려, 제주유채 재배면적 확대 방안 마련 필요

33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화 ■ 오스트리아 뮤렉 시(인구 5천명) 에너지 자급자족 사례
- 유채재배 농민 오백여 명이 공동 출자한 조합형태의 신재생에너지회사 SEEG 운영

34 고효율조명기구 교체 기존 전구 기존 가로등 기존 메탈할로이드 집어등 LED 전구 태양광LED 가로등 LED 집어등

35 산림경영 및 목질계바이오매스 활용 ■ 마을숲 가꾸기 및 목재의 기후변화대응 사용 극대화 - 신규조림 및 산림경영활동을 통한 탄소고정 효과 증대 - 목재 이용(주택, 가구 등), 재이용, 재활용, 연소 시 에너지회수에 따른 화석연료 대체효과 극대화

36 - 에너지 집중형인 도시지역보다 에너지 분산형인 농촌지역에서 탄소중립마을 추진 용이
바이오에너지 탄소중립마을 ■ 경종농가와 축산농가의 물질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통한 탄소중립마을 조성 - 에너지 집중형인 도시지역보다 에너지 분산형인 농촌지역에서 탄소중립마을 추진 용이 전기/열 에너지, 연료 바이오연료시설 에너지작물 (유채) 경종농가 축분 액비 농업부산물 축산 농가 바이오가스시설 시설농가 퇴비 퇴비화 퇴비화시설 메탄 가스화 연료화(간벌목 포함) 열병합발전시설 사료화

37 바이오에너지 탄소중립마을

38 탄소라벨링 제도 ■ 탄소성적표지제도(탄소라벨링)
-제품의 전과정(Life Cycle)에 걸친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감축량을 산정하여 소비자에게 제공 → 저탄소제품의 구매 촉진 → 저탄소 소비문화 확산 -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2009년 1월부터 시행 - 식품, 내구재, 수송 서비스 등 경제/일상활동에 대한 탄소배출량 파악 및 저탄소제품 선택 용이

39 탄소라벨링 제도 ■ 제주 특산품의 탄소성적표지제도(탄소라벨링) 운영 개념도 환경부 기업 소비자 관광객 제주도 탄소라벨 인증
■ 제주 특산품의 탄소성적표지제도(탄소라벨링) 운영 개념도 환경부 기업 소비자 관광객 탄소라벨 인증 제주 특산품 온실가스량 공개 저탄소제품 생산 홍보, 마케팅 지원 제주(저탄소)특산품 구매 탄소포인트/인센티브 제주도 제주 특산 저탄소제품 생산/소비 활성화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40 탄소라벨링 제도 ■ 제주 특산품의 탄소성적표지제도(탄소라벨링) 운영 모식도 환경부 기업 소비자 관광객 제주도 탄소라벨 인증
■ 제주 특산품의 탄소성적표지제도(탄소라벨링) 운영 모식도 환경부 기업 소비자 관광객 탄소라벨 인증 제주 특산품 온실가스량 공개 저탄소제품 생산 홍보, 마케팅 지원 제주(저탄소)특산품 구매 탄소포인트/인센티브 제주도 제주 특산 저탄소제품 생산/소비 활성화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41 녹색전력 가격 제도(Green Pricing)
■ 소비자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기존 전기요금보다 높은 ‘녹색가격’으로 구매 - 신재생에너지의 친환경성에 주목하는 소비자가 높은 가격을 자발적으로 부담 - 조성된 기금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의 이용과 보급 확대를 위해 사용 ○ 녹색가격제도 자발적 참여 의사 소비자 18.9% ○ 녹색전력가격 = 녹색전력프리미엄 14.16원/kwh (현행 발전차액지원제도 지원액 기준) + 자발적 참여부담금 α원/kwh 녹색전력 가격 84.16+α원/kwh 신재생에너지 발전회사 녹색소비자 단일계통망 송배전시설 (한국전력) 녹색전력 혼합전력 혼합전력 화석에너지 발전회사 일반전력 일반소비자 일반전력 가격 70원/kwh

42 자발적 배출권거래 제도 ■ 탄소라벨링제도, 탄소포인트제도, 탄소상쇄(offset)제도 등을 연계한 자발적 배출권거래제도
탄소라벨링제품 구매 탄소라벨링제품 제품/서비스 기업 유통 업체 소비자 탄소포인트 적립 온실가스 배출 정보 탄소포인트 이전 탄소라벨링 인증 탄소포인트 이용 물품 구매 제주도/환경부 /농식품부 탄소포인트 운영기관 정보제공 탄소배출통계 / LCI DB 구축 탄소포인트 제공 탄소포인트 기부 탄소기금 중앙정부, 지자체 탄소포인트 혜택 사회책임경영 기업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탄소배출권 구매 탄소배출권 판매 자발적 배출권 거래소 탄소포인트 판매

43 1. 탄소중립 제주? 2. 탄소중립도시 추진 동향 3. 왜 제주인가? 4. 추진 전략 5. 결 언

44 결 언 ■ 탄소중립 제주(carbon neutral Jeju)
제주의 산업 및 여러 경제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다양한 감축활동과 자발적 구매를 통해 완전 상쇄(offset)함으로써 온실가스의 순 배출량이 0인 탄소중립 (carbon neutral)적인 제주를 의미 ■ 제주의 기후변화피해 가시화 - 제주의 기온과 해수온도, 해수면의 상승은 전 세계 평균값을 훨씬 상회 -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어 적극적이고 선도적 역할 필요 ■ 제주도는 탄소중립적인 친환경도시를 추구하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음 - 제주는 전국 시·도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규모가 가장 작음 - 인구 1인당 온실가스 총배출량 전국평균의 32% 수준에 불과 - 지역경제가 저탄소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

45 결 언 ■ ‘탄소중립제주’는 새로운 성장동력 - 청정 이미지 극대화를 통해 제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관광산업과 컨벤션산업의
 ■ ‘탄소중립제주’는 새로운 성장동력 - 청정 이미지 극대화를 통해 제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관광산업과 컨벤션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경제적, 비경제적 효과가 기대됨 ■ ‘탄소중립 제주’는 실행 가능한 목표임 - 탄소중립(0) 목표는 지자체와 지역산업,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달성할 수 있음 ■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국가 추진전략과 별도로 탄소중립 제주는 국제 사회에 제주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국가 브랜드를 제고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임 ■ 제주도가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도시들의 세계적 모델로서의 탄소중립제주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을 기대함

46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A Thought on Carbon Neutral Jeju"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