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부존사료 자원 활용방안 박규리 김초롱 서혜원 안단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부존사료 자원 활용방안 박규리 김초롱 서혜원 안단비"— Presentation transcript:

1 부존사료 자원 활용방안 200653039 박규리 200763022 김초롱 200763039 서혜원 200763049 안단비
원미라 이도은

2 목차 부존자원 정의 사료의 조건 부존사료 자원 종류 부존사료 자원 이용 부존사료 자원 이용 시 문제점 사료이용 기술
한우 고급육생산 기술

3 정 의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자연 ·노동 ·자본 부존자원의 질이나 많고 적음은 경제발전의 유형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
인적자원 노동력 · 사기 자연적 자원 천연자원·기후·지형·지세 사회문화적 자원 자본재·지식·사회제도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자연 ·노동 ·자본을 총칭하는 말이다. 종래에는 자원을 인적 자원과 자연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보통 자원이라고 할 때에는 자연적 자원을 가리키고, 좁은 뜻으로는 천연자원만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부존자원을 인적 자원, 자연적 자원, 사회문화적 자원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인적 자원은 노동력 ·사기 등을 말하고, 자연적 자원은 천연자원 ·기후 ·지형 ·지세 등을 말하며, 사회문화적 자원은 자본재 ·지식 ·사회제도 등을 포함하여 말한다. 부존자원의 질이나 많고 적음은 경제발전의 유형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부존자원 특히 천연자원이 각국의 경제발전의 유형이나 세계경제 체제를 규정한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필요한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주도권을 장악해왔다는 사실로 입증된다. 그러나 반대로 천연자원이 부족한 국가가 인적 자원, 특히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독일의 화학공업, 일본의 인조견사공업 등이 그 예이다. 천연자원이 부족한 한국에서는 인적 자원이 경제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략 자원이 되어 있다.

4 사료 값 상승 부존사료자원의 중요성 부존자원 사료적 활용방안
한.미 FTA와 더불어 EU와의 국내 축산업계와 축산 농가들의 경쟁력 향상 방안은 사료값 절감 사료원료의 대부분을 국외에서 수입해오고 있는 국내 사료업계와 더불어 축산 농가들의 가장 큰 고민은 축산물 생산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료 값일 것이다. 지난 한․미 FTA와 더불어 다가올 EU와의 FTA에도 대비해야 국내 축산업계와 축산 농가들의 경쟁력 향상 방안은 사료 값 절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사료 값 절감의 차원에서 최근 관심이 집중되어 연구되어지는 것이 바로 국내의 부존자원의 사료적 활용방안이다.

5 종 류 농업부산물 : 주산물인 곡류를 수확하고 난 후에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잎과 줄기들로 초식가축의 조사료원으로 이용
농산 가공부산물 : 곡류의 도정과정에서 생산되는 강피류, 전분생산 부산물, 과즙음료 제조부산물, 기름을 짜고 남는 부산물 축산 및 수산 가공부산물 : 도축과정, 육가공, 수산물 가공공정부산물로 주로 동물성 단백질원으로 이용되며 가축분도 사료원료로 재활용 1. 국내 가용 부존 사료자원의 종류 ① 농업부산물 : 주산물인 곡류를 수확하고 난 후에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잎과 줄기들로 초식가축의 조사료원으로 이용 ② 농산 가공부산물 : 곡류의 도정과정에서 생산되는 강피류, 전분생산 부산물, 과즙음료 제조부산물, 기름을 짜고 남는 부산물. ③ 축산 및 수산 가공부산물 : 도축과정, 육가공, 수산물 가공공정부산물로 주로 동물성 단백질원으로 이용되며 가축분도 사료원료로 재활용. ④ 임업 및 임산 가공부산물 : 산림의 간벌과정에서 생산되는 생지엽 ⑤ 남은 음식물 ⑥ 산야초

6 종 류 사료화가 가능한 부존 자원들의 종류 분 류 종 류 농업부산물 고 간 류 짚 류 볏짚, 보리짚, 귀리짚, 밀짚 간 류
분 류 종 류 농업부산물 고 간 류 짚 류 볏짚, 보리짚, 귀리짚, 밀짚 간 류 콩깍지, 콩대, 서숙대, 옥수수대 근 채 류 고구마, 감자 농산가공 부 산 물 강 피 류 쌀겨, 보릿겨, 대두피, 옥수수겨 가공부산물 전분박, 맥주박, 주정박, 식혜박, 배지말박, 감귤박, 사과박, 포도박, 두부(바지박) 유 박 류 대두박, 임자박, 채종박, 아마박 제과․제빵부산물 과자박, 파과, 제빵박

7 종 류 축산 및 수산(가공) 부산물 도축부산물 육(골)분, 혈분, 제각분, 우모분, 가금부산물, 반추위내용물 가공부산물
어분, 어즙, 새우박, 피혁분, 잠용박 가 축 분 계분, 돈분, 우분 이업 및 임산(가공) 부산물 나 뭇 잎 떡갈나무, 뽕나무, 갈참나무 생 지 엽 나뭇잎과 줄기 두과수엽류 싸리, 아카시아, 칡 목재부산물 톱밥, 펄프 산 야 초 화본과 야초 바랭이, 수크령, 솔새, 개솔새, 억새, 새 두과 야초 개완두, 미듭풀, 자운영. 살갈퀴, 차풀, 돌콩

8 부산물의 특징 수분이 많다. 물리적 크기가 비교적 작다. 단백질 함량이 높다. 섬유소가 비교적 많다. 기호성이 양호하다.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중간형태를 나타낸다. 사료화가 가능한 주요 부산물의 종류는 다양하며 이들의 영양가치에 따라 조사료 대용 또는 농후사료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부산물의 특징은 ① 수분이 많고 ② 물리적 크기가 비교적 작으며 ③ 단백질 함량이 높고 ④ 섬유소가 비교적 많으며 ⑤ 기호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지며 영양가에 의한 사료분류로는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중간형태를 나타낸다

9 영양적 특성 제빵 부산물(Bakery Waste) 분쇄 옥수수보다 에너지 함량이 높고, 섬유소 함량은 매우 낮음
소금함량 1~3% 기호성 좋으나 너무 곱게 분쇄된 것을 급여하면 섭취량 감소 비스켓이나 케익 또는 빵을 만드는 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로 빵 과자 비스켓 부산물 등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주성분은 소맥분, 설탕, 지방으로 함유량은 매우 큰 변이성을 가진다. 특히 지방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매우 변이가 크고, 높은 당과 전분,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높은 에너지 함량을 지닌다. 제빵부산물은 분쇄 옥수수보다 에너지 함량이 높고 섬유소 함량은 매우 낮다. 소금함량도 매우 변이가 커 1~3% 정도 된다. 기호성이 매우 좋으나 너무 곱게 분쇄된것을 급여하면 섭취량이 감소한다.

10 영양적 특성 맥주박(brewers grains) 섬유소 소화율 높고, 비분해 단백질 함량 높으나 전분함량 낮음
다른 조사료원과 혼합하는데 이상적임 인의 공급원으로도 우수 맥주박(brewers grains) 영양적특성 섬유소 소화율이 높고 제조시 열과정을 거쳐 비분해 단백질 함량이 높으나 전분함량은 낮다. 건물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다른 조사료원과 혼하ㅂ하는데 이상적이며, 축우와 양에 있어 우수한원료이다. 인의 공급원으로도 우수하다. 4개월 이전의 송아지에는 권장되지 않으며 4개월 이후 송아지나 분만 후 4개월 전의 초임우 에게 급여할 때에는 총 건물함량의 20%로 습맥주박(건물기준)은 제한한다.

11 영양적 특성 감귤박(Citrus Pulp, Orange peel) 기호성 우수
반추위 소화불량 대해 적합한 pH와 알맞은 산을 가지고 있음 반추동물, 비육돈, 모돈, 산란계에 이상적 감귤박(Citrus Pulp, Orange peel) 오렌지 주스 등을 만들고 난 후 남는 부산물로 지역적으로는 수분이 있는 상태로 공급되거나 건조하여 분쇄나 펠렛 형태로 판매되기도 한다. 오렌지 박은 감귤박 중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반추위 소화불량 대해 적합한 pH와 알맞은 산을 가지고 있다. 반추동물에 이상적이며 비육돈이나 모돈, 산란계에도 좋다.

12 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효과 유기성 부존자원의 원물 직접급여 비육우에 대한 감귤박 급여효과 구 분 감귤박 급여수준
0 % 20 % 40 % 공시두수 체중(kg) 개시시 180일후 일당증체량(kg) 6 328.8 534.2 1.141 328.6 542.1 1.186 325.3 519.4 1.078 1) 수소 큰소비육우 한우수소 18두(평균체중 327.6kg)에 대해 배합사료, IRG건초, 생감귤박의 혼합수준(건물기준)에 따라 T1(50:50:0), T2(50:30:20) 및 T3(50:10:40)의 3처리를 두어 180일간 비육시험 실시결과 전기간 동안 일당증체량이 감귤박 20%구 1.186kg, 무급여구 1.141kg 및 감귤박 40%구 1.078kg 순으로 높았으나 처리구간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kg증체를 위한 조단백질(CP) 및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무급여구에 비해 20%구가 각각 10.4% 및 1.9%, 40%구가 각각 27.3% 및 14.3% 적어 감귤박 급여수준의 증가와 함께 CP 및 TDN 이용성이 증가되었다. 감귤박 혼합급여시 1일 1두당 생감귤박의 섭취량은 17.1kg으로 총사료급여 량의 33%(건물기준)이었고, 이때 절감되는 배합사료량은 1.31kg이었으며, 감귤박 혼합급여에 따른 소득은 무급여구에 비해 20%급여구가 48.3%, 40%구가 66.5% 증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큰소 비육시 생감귤박 급여가 바람직하며 감귤박 급여수준 및 증체량을 높이기 위해 CP 및 TDN 함량이 높은 사료를 혼합하여 급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13 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효과 구 분 감귤박 급여수준 0 % 20 % 40 % 사료 및 영양소섭취량(kg/일) 배합사료
IRG 건초 감귤박 DM CP TDN 사료효율(kg/kg 증체) 총수입 경영비 가족노임 소득 6.18 - 10.77 1.61 7.80 9.440 1.415 6.832 2,281.1 1,857.1 361.0 424.1(100) 6.14 3.56 12.19 10.23 1.50 7.95 8.623 1.268 6.705 2,436.4 1,807.4 629.0(148.3) 4.87 1.05 17.08 7.63 1.11 6.31 7.077 1.028 5.854 2,415.3 1,709.2 706.1(166.5)

14 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효과 2) 임신우에 대한 감귤박 펠렛 급여효과 구 분 펠렛내 감귤박 혼합수준(%) 20 40
20 40 사료 및 영양소섭취량(kg/일) 배합사료 IRG건초 감귤박 DM CP TDN 사료효율(kg/kg증체) 경제성분석 총수입 소득 3.07 5.01 - 7.08 1.02 4.96 2.17 10.53 601.8 161.6(100) 2.46 4.64 3.65 6.76 0.94 4.79 2.51 12.83 168.6(104.3) 1.84 4.51 7.28 6.63 0.88 4.74 2.61 14.12 178.0(110.1) 2) 임신우에 대한 감귤박 펠렛 급여효과 임신말기 한우 21두(평균체중 469.7kg)에 대해 분만전 90일간 pellet내 감귤박 혼합수준에 따른 3처리(처리 1, 농후사료 100% ; 처리 2, 농후사료 80%+감귤박 20% ; 처리 3, 농후사료 60%+감귤박 40%)를 두어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 임신우의 분만전 90일간 체중은 감귤박 40%구의 30.2kg 증가로부터 감귤박 무급여구의 42.4kg 증가까지 처리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임신기간 동안 감귤박 급여수준은 어미소의 발정재귀일수, 송아지의 생시체중 및 90일간의 증체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경제성분석에서 감귤박 급여수준에 따른 소득은 무급여구에 비해 20%급여구가 4.3%, 40%급여구가 10.1%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임신우 농후사료 요구량의 40%를 감귤박으로 대체 또는 1일 1두당 7.3kg정도의 감귤박 급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5 한우에 대한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효과 체중(kg) 분만전 90일(A) 분만직전(B) 분만직후(C) 분만후 90일(D)
구 분 펠렛내 감귤박 혼합수준(%) 20 40 체중(kg) 분만전 90일(A) 분만직전(B) 분만직후(C) 분만후 90일(D) 체중변화(kg) B-A(분만전 90일간) D-C(분만후 90일간) 전기간(D-A) 452.6 495.0 438.7 443.7 42.4 5.0 -8.9 484.7 518.3 462.1 471.0 33.6 8.9 -10.4 471.7 502.0 446.4 461.0 30.2 9.5 -8.6

16 고온발효기를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 이용 1) 임신우에 대한 고구마전분박 발효사료 급여효과 구 분 T1 T2 T3 공시두수
체중(kg) 개시시 210일후 일당증체량(kg) 사료 및 영양소 섭취량(kg/일) 배합사료 발효사료 목건초 TDN 사료비(원/두, 일) 8 367 429 0.26 4.72 - 4.88 5.54 2,899(100) 387 446 0.25 17.0 3.49 5.20 2,483(86) 376 424 0.20 23.5 1.0 5.44 2,175(75) 나. 고온발효기를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 이용 1) 임신우에 대한 고구마전분박 발효사료 급여효과 임신 70~120일된 한우에게 210일간, 고구마 전분박 66%+배합사료 10%+밀기울 7.3%+톱밥 16%+ 요소 0.1%+고토석회 0.1% + 미생물 0.5% 의 비율로 제조된 고온발효사료 급여시 어미소의 번식성적 및 송아지 발육성적 등이 관행사육 시와 비슷하였으나 사료비는 14~25%가 절감되었다. *T1 : 농후사료 체중의 1%+목건초 자유채식, T2 : 목건초 체중의 1%+전분박 발효사료 자유채식 T3 : 목건초 1일 1kg+전분박 발효사료 자유채식

17 고온발효기를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 이용 고온발효기에 의한 발효사료 제조 발효사료 번식우 급여
『고온발효기에 의한 발효사료 제조 발효사료 번식우 급여』 고온발효기에 의한 발효사료 제조 발효사료 번식우 급여

18 고온발효기를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 이용 2) 암소 노폐우 비육시 오징어 부산물 발효사료 급여효과 구 분 T1 T2 공시두수
체 중(kg) 개시시 종료시 일당증체량(kg) 사료 및 영양소 섭취량(kg/일) 배합사료 발효사료 볏짚 DM TDN kg 증체당 TDN요구량(kg) kg증체당 사료비(원/두) 8 488.1 611.3 0.926 11.80 - 1.97 12.09 9.35 10.10 3,537(100) 491.3 629.0 1.035 5.77 3.84 1.98 9.91 7.68 7.41 2,288(64.7) 2) 암소 노폐우 비육시 오징어 부산물 발효사료 급여효과 노령으로 번식에 공여하기 어려운 5산차 이후의 암소(체중 490.1kg)를 대상으로 133일간 오징어 부산물 발효사료 급여시 총증체량은 관행사육(T1)구가 123.2kg, 발효사료급여(T2)구가 137.7kg으로 발효사료급여구가 관행사육구에 비해 1일 증체량이 11.8% 증가하였으나 사료비는 35.3% 절감되었다. 공시기간 동안 관행사육구는 전기간 배합사료(비육후기)와 볏짚을 자유채식시켰고, 발효사료 급여구는 발효사료(오징어부산물 원물 40%+배합사료 60%를 무게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온발효기로 발효시킨 발효사료)와 배합사료(비육후기)를 40% : 60%의 비율로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19 영양소 첨가제 사료 영양소의 이용률을 향상시켜주는 첨가제 효소제 : 소화하기 어려운 사료를 이용하기 쉽게 만들어 줌
사료효율 8% 개선 파이테이즈(phytase)는 인(P)의 이용성 향상 ◎ 사료 영양소의 이용률을 향상시켜주는 첨가제 *효소제 : 소화하기 어려운 사료를 이용하기 쉽게 만들어 줍니다. - 사료효율 8% 개선 - 파이테이즈(phytase)는 인(P)의 이용성 향상(환경오염방지) 파이테이즈 : 식물체에 들어 있는 유기태 인(燐)인 피틴(phytin)을 분해하는 효소.

20 고간류 이 용 볏짚은 연간 약 630만 톤 생산 반추가축의 조사료원으로 37%정도만이 이용
① 고간류 : 벼 보리 밀 조와 같은 곡류의 수확후 남은 잎과 줄기를 말하며 이를 짚 이라고 부르기도 함 전국적으로 생산과 이용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볏짚을 제외하고는 지역적으로 소량씩 생산되어지고 있고 이용도 농가단위로 수거되어 이용되어지고 있어 정확한 통계조사가 이루어지기는 매우 어렵다. 볏짚은 연간 630만톤 정도가 생산되고 37% 정도만이 한우와 젖소 등 반추가축의 주요 조사료원으로 년중 이용되어지고 있다.

21 이 용 농산물(식품포함) 2억 4천 8백만 톤 ② 농산물(식품포함) 가공!#@!~#~#~#
농산물 가공 과정에서 생산되어지는 부산물은 2억 4천 8백만톤 정도로 1997년 배합사료 생산량 1,600만톤과 비교할 때 적은 양은 아니지만 극히 일부만이 사료원료로 이용되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이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잠재되고 있다. 2억 4천 8백만 톤

22 도축 및 도계부산물 이 용 사료 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것들은 혈액, 내장 또는 내장 부산물, 닭 털 등
혈액과 내장부산물의 생산량은 260천 톤 사료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것들은 혈액, 내장 또는 내장 부산물, 닭 털 등으로 혈액과 내장부산물의 생산량은 360천톤 정도가 생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원은 일부 혈분, 육분 생산원료의 이용되어지고는 있으나 많은 양은 아직 폐기되고 있어 환경오염이 되어지기도 한다.

23 이 용 우리나라 도축부산물의 년간 생산량 추정치 구 분 한우 젖소 돼지 닭 계 도체두수[천두(수)] 1.008 257
구 분 한우 젖소 돼지 도체두수[천두(수)] 1.008 257 12,422 318,042 생산량 (톤/년) 혈액 17,440 4,449 27,328 - 49,227 내장산물 35,487 9,051 86,953 188,916 320,407 52,927 13,500 114,281 369,624 백분비(%) (14.32) (3.65) (30.92) (51.11) (100.0)

24 이 용 가축분 년간 발생량은 4천 7백 만 톤 대부분이 퇴비로 이용되거나 정화조를 통하여 배출 소량의 계분은 사료자원으로 이용
④ 가축분 가축분의 년간 발생량은 4천 7백 만톤 정도로 이들중 대분분이 퇴비로 이용되거나 정화조를 통하여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며 소량의 계분이 사료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가축분은 소화되지 않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다.

25 이 용 우리나라 가축분뇨의 년간 생산량 추정치 구 분 한우 젖소 돼지 닭 계 사육두수[천두(수)] 2,927 545 6,589
구 분 한우 젖소 돼지 사육두수[천두(수)] 2,927 545 6,589 101,499 분뇨 생산량 (천,M/T) 16,025 4,373 6,012 4,816 31,226 5,342 1,987 8,417 - 15,746 21,367 6,360 14,429 46,972 백분비(%) (45.5) (13.5) (30.7) (10.3) (100.0)

26 년간 약 4백 70만 톤 발생 이 용 남은 음식물 남은 음식물의 재활용은 퇴비와 사료형태로 사료 이용율이 점차 증가
⑤ 남은 음식물 남은 음식물은 년간 약 4백 70만톤 정도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토양에 매립되거나 소각방법으로 처리되어지고 있어 토양 및 대기 및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남은 음식물의 재활용은 퇴비와 사료형태로 IMF 관리체제 이후 사료 이용율이 점차 증가되어 1997년도에는 5.6%가 사료로 재활용되었고 2002년도의 사료이용 목표를 38%로 정하고 있다. 남은 음식물은 사람이 먹기 위해 음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부산물과 먹고 남긴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이들을 깨끗하고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배출하면 훌륭한 사료자원이 될 수 있다. 남은 음식물의 안전한 사료화를 위해서는 음식물 재료의 수집과정이나 제조과정에서 혼합될 수 있는 흙, 끈, 비닐 등의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가정이나 식당 등 사람이 먹다가 남긴 남은 음식물에는 쇠붙이, 비닐, 뼈, 나무토막, 프라스틱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배출하여야 한다(표 1). 특히 여름철에는 부패된 음식물이 혼합되지 않도록 배출하여야 가축의 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

27 이 용 톱 밥 연간 648천 톤 생산 축산용으로는 대부분 축사의 깔짚용, 축분 발효를 위한 수분 조절재로 이용 ⑥ 톱밥
연간 648천톤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축산용으로는 대부분 축사의 깔짚용, 축분 발효를 위한 수분조절재로 이용되고 있다. 일부 발효사료 제조 과정에서 부형재로 이용되어지고 있으나 톱밥 자체는 소화율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다.

28 이 용 감귤박 TMR사료에 혼합하여 가축에 급여 농가에 감귤박 저장용 사일로를 설치하여 이용함으로써 사료비와 우유생산비 절감
감귤박의 사료화 방안 감귤박을 T.M.R(완전혼합사료)사료에 혼합하여 가축에 급여한다. 특히 감귤박은 젖소 사육 농가에 적합하며, 농가에 감귤박 저장용 사일로를 설치하여 이용함으로서 사료비와 우유생산비가 절감되고, 우유생산량이 증가되어 젖소 사육농가의 경쟁력이 제고되며, 1일 두당 20kg을 T.M.R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면 년간 감귤박 생산량의 20%를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 축산의 원료역할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9 이 용 제주시, 감귤박 활용사례 제주시에서는 제주도의 부존자원인 감귤박을 사료자원화 함으로써 부존자원을 실용화하고 환경
오염을 사전예방 하기 위하여 TMR사료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제주시는 배합사료의 가격급등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축농가들에게 부존자원인 감귤박 TMR사료의 실용화 및 활성화 를 도모코자 사업비 5000만원을 투입하여 2,500톤 을 축산 농가에게 공급키로 했다. 사업추진 내용으로는 양축농가 중 감귤박 TMR사 료를 구입하는 농가에 보조지원 함으로써 양축농가의 사료비를 경감시키고 유휴자원을 실용하 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감귤박 TMR사료는 젖 소농가 뿐만 아니라 한육우 사육농가에서도 선호 도가 높아 공급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제주시, 부존자원(감귤박)활용 제주시에서는 제주도의 부존자원인 감귤박을 사료자원화 함으로써 부존자원을 실용화하고 환경오염을 사전예방 하기 위하여 TMR사료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제주시는 배합사료의 가격급등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축농가들에게 부존자원인 감귤박 TMR사료의 실용화 및 활성화를 도모코자 사업비 5000만원을 투입하여 2,500톤을 축산 농가에게 공급키로 했다. 사업추진 내용으로는 양축농가 중 감귤박 TMR사료를 구입하는 농가에 보조지원 함으로써 양축농가의 사료비를 경감시키고 유휴자원을 실용화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감귤박 TMR사료는 젖소농가 뿐만 아니라 한육우 사육농가에서도 선호도가 높아 공급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30 사료이용기술 1. 농산 부산물 1) 가성소다 처리 일반적으로 세절 또는 분쇄된 볏짚에 3~5% 가성소다 용액을 분무 처리한 후 풍건하여 급여한다. 가성소다 처리 후의 펠렛화는 성형시의 압력과 온도에 의하여 사료밀도가 증가하고 섭취량이 증가하는 상승효과가 있다. 문제점 : 음수량과 배뇨량의 증가가 일어나며 이로 인해 깔짚의 소요량의 증가 및 토양오염의 잠재성 우리나라 농가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부산물인 볏짚은 조단백질 함량이 4~5% 정도로 매우 낮고 소화율이 낮은 세포막 구성물질이나 소화를 저해하는 리그닌, 실리카 함량은 높아 사료가치가 낮다. 짚류의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세계적으로 오래전부터 연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알카리성 화학물질인 가성소다, 암모니아등을 이용한 방법과 사일리지 제조방법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31 사료이용기술 2) 암모니아 처리 암모니아로부터의 질소는 반추미생물에 의한 단백질 합성 원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볏짚에 부족한 단백질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건물섭취량, 건물 및 조섬유 소화율을 개선함으로써 증체속도와 산유량을 향상시키는 효과 있다. 암모니아 처리볏짚의 제조는 볏짚 건물기준 3~4%의 암모니아를 주입하여 일정기간 저장하였다가 잔류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한 뒤 가축에게 급여토록 하는 것으로 사료가치 개선효과가 인정. 2) 암모니아 처리 암모니아 처리도 가성소다 처리와 유사하게 리그닌과 셀룰로오즈 등의 세포막 구성성분의 결합을 파괴하며 반추미생물에 의한 분해속도를 촉진시킨다. 암모니아로부터의 질소는 반추미생물에 의한 단백질 합성 원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볏짚에 부족한 단백질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건물섭취량, 건물 및 조섬유 소화율을 개선함으로써 증체속도와 산유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암모니아 처리볏짚의 제조는 볏짚 건물기준 3~4%의 암모니아를 주입하여 일정기간(겨울철 8주이상, 봄․가을 4주이상) 저장하였다가 잔류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한 뒤 가축에게 급여토록 하는 것으로 사료가치 개선효과가 인정되어 80년대부터 많은 농가에 보급되어 이용되어지고 있다.

32 사료이용기술 3) 미생물을 이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볏짚 등 고간류의 가치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볏짚 등 고간류의 사료가치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리그닌과 셀룰로오즈의 결합 상태에서 리그닌만을 분해하는 균주만을 찾아서 응용하거나 또는 셀룰로오즈나 헤미셀룰로오즈의 자화능력이 높일 수 있는 미래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33 사료이용기술 4) Silage 제조 가 공 방 법 방 법 개 선 효 과 silage제조 감귤박 : 예건, 10% 밀기울 첨가,
방 법 개 선 효 과 silage제조 감귤박 : 예건, 10% 밀기울 첨가, 10% 볏짚 첨가, 10% 야건초 첨가 감귤외피, 내피, 착즙박의 혼합 pH 발효품질 : 양호 밀기울20% 대체 조단백 함량 : 11.3% pH 3.4 NBDMD : 90%

34 가 공 방 법 방 법 개 선 효 과 silage제조 감귤박+보리짚(8%, 10%) 인삼박+볏짚(10%) 야생칡+당밀(0~8%) 맥아증류폐액(10%~15%) +수수겨, 땅콩피, 옥수수겨, 보리 등 pH 3.6 NBDMD : 71~73% 양질목초 50% 대체 건물섭취량 34% 증가 pH 5.0~4.2 DMD 30%증가 기호성 양호 유량 16% 증가

35 사료이용기술 2. 농산가공 부산물 당과 섬유질 함량이 풍부한 과일가공부산물, 단백질 함량이 풍부한 곡류가공부산물 등 사료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한 부산물이 다량 생산되고 있다. 부산물의 대부분이 수분 함량이 높고 계절적으로 일시에 다량 생산되는 것들이 많아 저장을 해서 이용하게 된다. 가공산업의 발달과 함께 당과 섬유질 함량이 풍부한 과일가공부산물, 단백질 함량이 풍부한 곡류가공부산물 등 사료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한 부산물이 다량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부산물의 대부분이 수분 함량이 높고 계절적으로 일시에 다량 생산되는 것들이 많아 저장을 하였다가 이용하게 된다.

36 사료이용기술 3. 가축분의 사료 이용 산란계분은 에너지 함량이 낮지만 수분이나 돈분 보다 질소 함량이 높다.
육계분은 높은 에너지 함량으로 사료자원 많이 이용. 가축분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위생문제와 악취문제로 사료로 직접 이용할 수 없다. 주로 사일리지나 발효사료 원료로 이용. 수분조절이나 발효축진을 위하여 당밀, 강피류 등을 첨가. 돼지나 닭 등 단위가축의 분속에는 소화되지 않은 단백질(12~40%)과 탄수화물(40~70%)이 비교적 높게 함유되어 있다. 산란계분은 비교적 에너지 함량이 낮지만 수분이나 돈분보다 질소 함량이 높고 육계분은 높은 에너지 함량으로 사료자원으로 비교적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가축분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위생문제와 악취문제로 사료로 직접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사일리지나 발효사료 원료로 이용되어진다. 수분조절이나 발효축진을 위하여 당밀, 강피류 등을 첨가하며 계분의 경우 20~30%까지 첨가를 하여도 건물섭취량이 증가되고 조단백질의 소화율의 개선효과의 함께 배합사료와 양질조사료 대체 이용의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37 사료이용기술 4. 임산 부산물 벌채와 간벌, 목재의 가공공정, 사용 후의 건축 폐자재로 구성. 조 단백질 함량이 낮다.
목질화 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는 헤미셀룰로오즈와 등이 리그닌과 결합되어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는 섬유질이 대부분. 탄소/질소 비율이 200~500 정도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낮다. 임산 부산물은 벌채와 간벌, 목재의 가공공정, 사용 후의 건축 폐자재로 구성된다. 이들은 조단백질 함량이 낮고 목질화 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는 헤미셀룰로오즈와 등이 리그닌과 결합되어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는 섬유질이 대부분이고, 탄소/질소 비율이 200~500 정도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낮다.

38 사료이용기술 물리적 처리 : 파쇄, 세절 및 분쇄과정을 통하여 입자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반추위내에서의 미생물 작용 면적을 넓게 하여주는 효과가 확인. 화학적 처리방법 : 주로 가성소다와 암모니아를 이용, 소화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확인, 처리작업의 위험성과 섭취 시 소의 배뇨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사료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리그닌과의 결합구조를 변경 또는 파괴시키기 위한 물리적,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물리적 처리는 파쇄, 세절 및 분쇄과정을 통하여 입자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반추위내에서의 미생물 작용 면적을 넓게 하여주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화학적 처리방법으로는 주로 가성소다와 암모니아를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소화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확인되기도 하였으나 처리작업의 위험성과 섭취시 소의 배뇨량이 증가되는 단점도 있다.

39 사료이용기술 미생물이나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사료가치를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각종 소화효소를 혼합하여 만든 발효제를 이용하는 연구도 진행. 탈리그린화법에 의한 사료가치 증진효과도 기대. 실용화 되기까지 처리공정의 단순화, 경제성 문제 등이 해결과제. 한편 미생물이나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사료가치를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고초균, 국균, 효모 그리고 반추위에서 순수분리된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과 각종 소화효소를 혼합하여 만든 발효제를 이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탈리그린화법에 의한 사료가치 증진효과도 기대된다. 그러나 실용화 되기까지 처리공정의 단순화, 경제성 문제 등이 함께 해결과제로 남아 있다.

40 사료이용기술 목재 부산물에 대한 각종 처리방법의 효과 구분 처리방법 소화율(%) 미처리 처리 증감 물리적 처리
분쇄(톱밥)후 감마선조사(포플러) 7.9 13.4 69.2 생물학적 세절 후 사일리지 (닥나무) 32.8 51.0 55.5 탈리그닌 화후 반추미생물 처리 10.4 62.4 500

41 사료이용기술 구분 처리방법 소화율(%) 미처리 처리 증감 물리 · 화학적 분쇄(톱밥)후 가성소다 9% 처리 7.9 37.0
368 세절․압착후 암모니아 3% 처리 48.2 55.6 15.4 세절․압착후 요소 2% 처리 48.7 1.1 분쇄(톱밥)후 암모니아 3%처리 8.7 49.6 470 분쇄(1㎜)후 가성소다 1% 처리 19.3 26.9 39.4 분쇄(1㎜)후 가성소다 5% 처리 31.3 62.2 분쇄(1㎜)후 가성소다 10% 처리 38.9 102

42 한우 고급육 생산 기술 개발배경 국제 곡물가격 상승 및 고 환율에 의한 국내 배합사료 가격 인상
'07년 1월 대비 '08년 1월 : 옥수수 38%, 밀 111%, 대두 74% 상승 한우농가 부산물 활용 사양체계 및 자가 사료배합 프로그램 미비 ○국제 곡물가격 상승 및 고환율에 의한 국내 배합사료 가격 인상 - '07년 1월 대비 '08년 1월 : 옥수수 38%, 밀 111%, 대두 74% 상승 ○ 한우농가 부산물 활용 사양체계 및 자가 사료배합 프로그램 미비

43 한우 고급육 생산 기술 개발내용 농산부산물 활용 고품질 한우고기 생산 사양체계 및 전산 프로그램
- 성장단계별 사양체계, 부산물 활용 사료배합 및 사료진단 전산프로그램 ○ 농산부산물 활용 고품질 한우고기 생산 사양체계 및 전산 프로그램 -성장단계별 사양체계, 부산물 활용 사료배합 및 사료진단 전산프로그램

44 한우 고급육 생산 기술 현장적용 시 효과 농산부산물 활용으로 사료비 절감(20%) 및 한우 고급육 출현율 개선
- 육질 1++ 등급 출현율 향상 : 15 → 37% ⇒ 농가소득 향상 : 2,000억원/년 3. 현장적용 시 효과 ○ 농산부산물 활용으로 사료비 절감(20%) 및 한우 고급육 출현율 개선 - 육질 1++ 등급 출현율 향상 : 15 → 37% ⇒ 농가소득 향상 : 2,000억원/년

45 한우 고급육 생산 기술 현장적용사례 양평군 농업기술센터, 퓨리나 코리아 기술이전(‘05), 개군한우 현장 접목
- 육질 1+ 등급 출현율 : 33 → 70% 경기도 광주시 자연채 한우 600 기술이전(‘09) - 육질 1+ 등급 이상 출현율 : 40 → 70%

46 결 론 부존사료자원은 종류는 다양하나 실제적 이용되는 양은 매우 제한적
부존사료자원의 폐기에 따른 환경공해와 손실을 방지 대책 마련 부존사료자원은 종류도 다양하고 생산량도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사료로 이용되는 양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는 많은 자원들이 저장성이 떨어지고 운반이 어려우며,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가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주변의 자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부족하고 이용경험이나 개발된 이용기술 정보의 부족도 원인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제 생산 비용을 낮추는 방법으로 원료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사료작물의 생산 확대이다. 보다 효율적인 TMR 사양을 정착시키고 전문가 집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내 부존자원의 폐기에 따른 환경공해와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47 참고문헌 및 자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기광석 농학박사 TMR연구소장 논문/박덕섭
축산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오영균 농협사료 Webzine 2003년 가을호 한국낙농육우협회/사료비 절감을 위한 국내 부존자원 활용방안

48 최일 교수님 메일 담주시험끝나고


Download ppt "부존사료 자원 활용방안 박규리 김초롱 서혜원 안단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