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009 중국경제와 비즈니스 현안 시사점 및 대응과제 2009. 1 Kotra 박한진 차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009 중국경제와 비즈니스 현안 시사점 및 대응과제 2009. 1 Kotra 박한진 차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2009 중국경제와 비즈니스 현안 시사점 및 대응과제 Kotra 박한진 차장

2 Inside China 황금 이야기 : 체면과 실리 사이에서                              招财进宝                              钱海

3 2009년 중국경제 1. 중국의 대내외 경제상황

4 글로벌 경제 동향 : 침체 장기화 글로벌 경제 동향 글로벌 위기에 따른 중국 금융부문의 직접적 충격은 크지 않음
글로벌 주가급락으로 불안심리 확산 -회복시기 전망 불투명 국제금융시장 불안 경제침체 장기화 세계 교역여건 악화 금융시장의 불안이 실물경제로 본격 전이 -선진국 - 성장 가능성 교역량 위축으로 수출 여건 급랭 -09년 증가율 4%선 對중국 영향 글로벌 위기에 따른 중국 금융부문의 직접적 충격은 크지 않음 그러나 수출 및 FDI는 직격탄 - 오더감소 따른 수출기업 줄도산, 외국인투자 급감으로 성장 타격우려 - 대외의존도 높은 중국으로서는 개혁개방 이후 최대의 위기

5 중국경제 동향 : 경기하강의 신호들 기업 경영여건 급속 냉각 수출 성장률 경기 둔화 급락 증시 부동산 내수 침체 부진
5분기 연속 하락세 -2008년 3분기 9.0%, 연간 10%내외 예상 -수출환경 악화로 당분간 투자에 의한 성장률 유지 불가피 수출 경기 급락 2003년 이후 지속하락 -수출산업 구조 조정 -위앤화 평가절상 -원부자재 값 상승 -임금 급등… 증시 부동산 침체 주가지수 단기 급등 후유증 표출 -고점대비 70% 폭락 주요 도시 부동산 경기 급락 -1~8월 북경 주택판매 55.5% 감소 -철강.원자재.가전.금융 등 경제전반에 악영향 내수 부진 소비심리 위축 여전 물가 급등 및 불안요인 상존 *의료비, 교육비, 부동산비용 고용 불안, 사회안전망 미비 자연재해 빈번 기업 경영여건 급속 냉각

6 중국경제 동향 : 주요 부문별 동향 성장 수출 외자 환율 임금 자산 물가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첫 하락세 반전
수출증가율 2004년 35.4% 이후 지속 하락 *08년 17.2% 수출 2008.1~10월 신규 FDI 건수 26.2% 감소 *제조업 부문 지속 감소 외자 2005.7월 이후 21.4% 절상 *10% 절상 시 수출 7% 하락 요인 환율 2008년 상반기 평균임금 18% 인상 *기업 경영부담 가중 임금 증시.부동산 침체 장기화로 소비심리 타격 *단기 반등 어려움 자산 CPI 단기 급등 후 급락 *디플레(단기)와 인플레(장기) 요인 병존 물가

7 Inside China 알 수 없는 깊이, 다가오는 위험

8 년 중국경제 전망

9 글로벌 경제환경 및 중국의 정책 요인에 따른 3가지 성장 시나리오
성장 전망 글로벌 경제환경 및 중국의 정책 요인에 따른 3가지 성장 시나리오 - 글로벌 환경 : 미국, 유럽, 일본 저성장, 유가.곡물가 다소 하락; 금융 등 돌발요인 없을 경우 - 중국 요인 : 재정정책+통화정책 조합 효과 양호; 부동산 경기 및 금융 완만한 회복세 ☞ 산업생산, 수출입, 투자, 소비 소폭 하락 *물가 상승률 4% 내외; 등록 실업률 5% 이상 유지 : 9% 내외 성장 (50% 가능성) - 글로벌 환경 : 선진국 경기 빠른 회복세; 유가.곡물가 하락; 금융.재해 등 돌발요인 없을 경우 - 중국 요인 : 재정정책+통화정책 효과 양호 및 추가; 부동산 급속 회복세 *대규모 국채발행 ☞ 산업생산, 수출입, 투자, 소비 : 미폭 하락 *4%선의 물가 상승률과 등록 실업률 호조 : 9.5% 성장 (20% 가능성) - 글로벌 환경 : 선진국 경기 본격 추락; 유가.곡물가 불안; 금융.재해 등 돌발요인 발생 - 중국 요인 : 물가 재상승; 부동산 경기 급랭 및 신규 투자 부진; 재정정책 효과 부진 ☞ 산업생산, 수출입, 투자, 소비 대폭 하락 *고물가.고실업.저성장 쇠퇴 : 8% 또는 그 미만 성장 (30% 가능성)

10 3대 수요 및 물가 전망 수출 40% 투자 소비 20% 큰 폭 하락 우려 조정압력 확대 성장률 둔화 GDP 내 물가 추세
선진국시장 비율 70% 신규시장 발굴 곤란 환율 요인 지속 기업 경영압박 지속 수출 GDP 내 40% 조정압력 확대 외수관련 수요 위축 부동산투자 하락 기업 이윤 폭 하락 신규 프로젝트 감소 투자 성장률 둔화 개인 가처분소득 감소 성장 하락과 실업 증가 자산시장 혼조세 지속 저축률 지속 상승 소비 20% 경제성장 유지를 위한 3대 수요 모두 부진 요인이 호조 요인을 압도 3대 수요별 하락 폭 및 GDP 내 구성비율에 따라 2009년 성장률 결정 물가 추세 식품 가격 하락 : 수급 개선으로 08년 3월 이후 지속 하락세, 풍작 요인 등 PPI(생산자물가)의 CPI(소비자물가) 전이 가능성 크지 않음

11 3. 중국 정부의 정책 대응

12 상황 인식과 대응 전략 상황 인식 대응 전략 정책 처방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능가하는 충격
- 원인 : 중국 산업구조조정 및 긴축정책시기가 글로벌 위기와 맞물림 대응 전략 兩防(과열방지, 물가억제)에서 一保一控(성장유지, 물가억제)로 선회 - 목적 : 대대적인 내수진작을 통한 경제성장 동력 유지 정책 처방 과감한 재정정책(主) + 지속적 통화정책(補) - 정책 회귀 : 구조조정정책 잠정 중지 및 긴축정책 종료 과도하게 높은 저축률 : 미래 불안 심리 의료비 부담 과중 : 93~05 기간 도시민 개인당 의료비 지출 9.6배 증가 *소비지출 총액내 의료비 비율 7.6% 교육비 지출 과다 : 07 개인소비지출 총액 내 교육비 비율(都 6.4%, 農 9.5%) *불법 교육비 징수 등 요인 사회안전망 미비(보험 가입율 저조) : 기본양로보험 45.2%, 의료보험 50.2%, 실업보험 26.1%, 공상보험 27.5% 중국 소비시장 성장을 가로막는 기반 요인

13 주요 정책 조치 Policy Mix(정책조합) Fine tuning(미세조정) 재정정책 통화정책 4조 위앤 규모 경기 부양책
- 성장 OR 긴축의 한쪽으로 쏠리기 어려움 - 급격한 경기 변동 억제 필요성 급선무 - 취업 확대 위한 최소한의 성장 유지 필요 - 수출 진작, 내수 확대, 물가관리 등 과제 산적 Policy Mix(정책조합) Fine tuning(미세조정) 재정정책 광범위한 세제개혁 - 수출 증치세 : 환급률‘인하⇒인상’선회 - 개인소득세 : 기산점 인상 및 징수방식 조정 - 기업소득세 : 환경보호설비 도입 등에 적용 - 2009년 대대적인 증치세제 개편 : 효과 클 듯 - 금리 : 인하 주기 진입 - 지준율 : 추가 인하 가능성 - 위앤화 환율 : 절상 폭 둔화 및 절하 가능성 - 중소기업 금융지원 : 선별적 자금지원 확대 통화정책 금리 및 환율 수단 4조 위앤 규모 경기 부양책 - 인프라 건설, 농촌기반시설 확충 등 10대 내수진작 조치 - 2010년까지 투입…재정.통화정책과 병행한 후속조치 예상

14 중국진출기업 경영현황 高인력의존업종 경영기반 급랭 수출기업보다 내수기업 안전 업계 구조조정 필요성 확대
- 의류, 악세서리, 가방 등 해외수요 급감 - 2008년보다 2009년 상황 더욱 심화 - 중국계.홍콩계.대만계 기업 등 국적불문 타격 - 산동.요녕 등 신규투자 급감, 대량실업 우려 高인력의존업종 경영기반 급랭 수출기업보다 내수기업 안전 - 내수판매 비중 50%이상 시 상대적으로 영향 적어 - 연해보다 내륙소재 기업 상대적으로 영향 적어 - 원.위앤화 환율급등->내수용 원부자재 일부 호기 - 다수 기업의 내수전환으로 시장경쟁 갈수록 심화 - 경영환경.금융위기 영향->한계상황 직면 증가 우려 - 감원, 이전, 철수 등 포함한 대대적 구조조정 불가피 - 3大 장벽 상존 : 진입장벽, 정착장벽, 전환장벽 - 마케팅 정보 + 구조조정 관련 정보 필요성 확대 업계 구조조정 필요성 확대

15 2. 수출->내수 전환

16 수출환경 악화와 내수시장 전환 ○ 비용 급등-해외시장 위축 맞물려 중국 내 수출업계 경영난 가중 - 대외무역기업의 이윤율은 2006년 6%에서 2007년 2%로 낮아졌고(홍콩중문 대 郞咸平 교수 조사) 수출의존도가 특히 높은 방직업종은 2007년말 2%였던 평균 이윤율이 2008년 상반기 0.6%로 하락(중국방직공업협회 자료) ○ 수출이 부진할 때 이론상으로는 고부가가치 상품 또는 신상품 개발 등 대책 이 가능하지만 해외수요 자체가 급감한데다 금융조달 여력도 급격히 악화 ○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수출형 기업들이 내수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 중 - 지난해 캔톤페어 참가 수출형 기업의 70% 이상이 내수판매로의 전환 의사 ○ 중국 정부도 수출 부진이 ‘경기 침체→기업 연쇄도산→대량 실업→사회 불안’으로 연결되는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대대적인 내수 진작에 나섬 ○ 중국기업의 내수시장 진출 관련 동향을 살피고 중국내수시장의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우리기업에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임

17 중국 내수시장의 특수성 ○ 중국 내수시장진출은 중국기업들에게 조차 매우 어려운 과제임 - 중국의 대표적인 의류업체로 베이징올림픽 공식 스폰서인 헝위앤샹(恒源祥)그룹 劉瑞旗 총재 “의류 브랜드 하나를 정착시키려면 최소 7천만 위앤(140억)이 소요” - 연간 무역액 2천만 달러인 深圳市永豊源實業有限公司 “중국내수시장에 진출 12년 이 됐지만 처음 8년 동안 적자였고 아직도 내수판매망을 충분히 개척하지 못함” - 深圳市榮利進出口有限公司(타월류) “최근 수출 부진으로 중국내수판매를 하고 싶지만 경험이 없어 시장 특성을 모르기 때문에 섣불리 나설 수 없다” - 深圳市齊心文具有限公司 “수출의 내수 전환은 한 번에 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기 간이 거쳐야 하며 내수시장은 규모는 크지만 경쟁이 매우 치열하기 때문에 모든 기 업이 다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내수판매에 매우 신중한 입장 년 부터 광동성 광주(廣州)에서 내수판매를 시작한 홍콩의 유명 시계업체인 得利 “현지 위탁판매상과 대리상들이 대금결제를 차일피일 미루어 미결제 금액이 650만 달러에 달했고 기타 투자비용(1,350만 달러)까지 포함해 10년 남짓한 기간 동안 중국 내수시장 개척 수업료로 2,000만 달러가 소요됨”

18 중국 내수시장의 특수성 ○ 일반적으로 중국내 기업의‘수출’과‘내수’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 - 경쟁력 요소의 차이 . 수출기업들은 대부분 자체 브랜드보다는 OEM에 기반, 브랜드 경쟁력 미미 . 중국 내수시장에서는 비용보다는 브랜드가 기업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써 브랜드 파워가 약한 기업들은 내수시장 진출이 어려움을 의미함 - 고객 수요의 차이 . 첫째 가치 요소의 차이 : 대부분 대리상 또는 중간상인 해외 수입상은 비용 과 품질 안정성 등의 요소를 중요시 하지만 중국내수시장에서는 대리상 외 에도 직접 수요자가 많으며 브랜드와 상품의 가치, 가격대비 품질을 중시 . 둘째 소비수요의 차이 : 수출 물량은 대개 해외의 단일 소비수요에 초점을 맞추지만 중국 내수는 소비수요가 다원화.다층화돼 있음.(장강삼각주의 동일 권역 내에서도 16개 주요 도시별로 쇼핑 장소와 시간 등 구매습관이 제각각) - 마케팅 채널의 차이 . 수출은 고객 집중도가 비교적 높고 안정적임(신제품 개발 내지는 마케팅망 구축을 위한 투자 부담 크지 않음) . 내수시장에 나설 경우 대리상 선정, 매장 입지, 판촉 등 마케팅 채널이 수 출기업보다 훨씬 복잡하고 자금 부담이 큼

19 중국 내수시장의 특수성 ○ 지재권 보호문제 : 복제품, 짝퉁 문제 ○ 자금운영 곤란 : 대금결제기간, 과도한 입점료.판촉비 - 광동실크수출입공사 왕용리(王勇力) 부총경리는 “의류는 내수판매 이윤이 금액으로는 OEM 수출보다 많지만 판촉 등 부대비용을 감안하면 내수판매이윤이 수출에 훨씬 못 미침” - 내수판매기업은 수출형 기업보다 금융기관의 자금지원을 받기 어려움 ○ 만성적 공급과잉 : 이윤 폭 하락 ○ 물가하락세 : 물가.상품값 하락->기업이윤 감소->국가재정감소->… ○ 법제도 미비 ○ 진입 장벽과 잠규칙(潛規則) - 행정 권력의 직간접적인 간여에 따른 행정성 독점장벽, 각 지방정부 차원의 지방보호주의 장벽, 국영기업의 독점장벽, 중국 국내 시장보호를 위한 각종 비무역 장벽, 기타 눈에 보이지 않는 각종‘잠규칙’여전

20 중국 내수시장 진출 체크 포인트 ○ 시장의 특수성 고려 - 최근 일련의 경기 부양책은 기계획된 SOC 조기 집행 및 농촌기반 조성사업 등을 중심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여 단기간 내 직접적인 소비 활성화 효과 보다는 경제 성장률 및 고용 유지 효과가 보다 클 것임 - 내수 확대를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임금 추가인상이지만 이는 최근의 급격한 비용 상승으로 이미 한계상황에 내몰린 기업들의 경영환 경을 더욱 어렵게 하기 때문에 추진 가능성이 크지 않음 - 중국인들의 높은 저축률과 비싼 의료비, 교육비도 소비 확대를 가로막는 요인이어서 내수는 아직 수출부진의 공백을 메울 정도로 탄탄하지 않음 - 따라서 중국진출 수출형 기업들은 당장 수출물량을 내수로 전환하기 보다는 중국 내수시장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이에 기초해 전략적 방향을 설정 해야 할 것임

21 중국 내수시장 진출 체크 포인트 ○ 시장 트렌드 적기 파악 - 중국 유명 가구업체인 深圳現代風家具公司는 심천(深圳)지역 부동산 대폭락 으로 아파트를 사면 가구를 끼워주는데 착안해 대리상에만 의존하지 않고 부동산 개발상들과의 관계를 강화해 매출을 대폭 확대 ○ 온라인쇼핑몰 적극 활용 - 내수시장 진출 시에는 대리상 활용, 전문점 개설, 백화점 입점 등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자금력 부족 기업은 온라인.TV 쇼핑몰을 적극 활용 - 최근 중국에서는 위앤화 평가절상과 수출증치세 환급률 인하, 인건비 상승으 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내 제조업체들의 제품을 인터넷 직판을 통해 내수판매로 전환하는 업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음 . 최근 상하이에서 영업을 개시한 ‘수취’( 중국 내 유명 수출기업이 생산하는 가구, 주방용품, 침구류 등을 시장가격보다 최대 50% 까지 저렴한 값에 판매하고 있는데 중국에서 만들었지만 세계시장에 판매되 는 제품이란 점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와 '인터내셔널 브랜드'를 결합한 새로운 판매방식으로 평가 받음 ○ 브랜드 확보, 지재권 보호, 비용절감 방안, 자금조달 계획

22 3. 멜라민 파동이 남긴 과제

23 중국 유가공식품시장의 뉴 트렌드 ▲중국 브랜드 보다는 수입품, 외국브랜드 선호 ▲두유, 요구르트 등 우유 대체품 인기
▲가격 비싸도 고급품 선호 ▲DIY형 건강식품 제조기 인기 ▲소형 매장 보다 대형 마트 선호 멜라민 파동은 주요 유제품의 시장 동향에도 변화를 몰고 옴 중국 소비자들은 분유를 구입할 때 종래에는 외국 브랜드인지 중국 브랜드인 지만을 구분했으나 최근에는 외국 브랜드라도 직수입품인지 또는 중국 내 생산품인지를 꼼꼼하게 따지기 시작(액상우유 시장에서는 중국기업 제품이 멜라민 충격에 빠진 사이 홍콩 브랜드와 일본산 수입품이 약진) 한국기업들에게도 새로운 시장기회로 부상 중

24 한국산 제품의 현주소 □ 교민 위주의 얇은 고객층 ○ 베이징 왕징(望京) 소재 한국식품점 A사에는 주 1회 200~300개의 한국산 우유가 입점 되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음 - 멜라민 파동 이후 수입되기 시작한 S사의 흰 우유는 최근 입점 당일 전량 판매되고 있어 예약하지 않을 경우 구입할 수 없을 정도이며 멸균우유와 기타 액상 우유류도 아직 수량은 많지 않지만 입점 후 3~4일이면 매진 - 한국산 우유 판매는 칭다오(靑島)와 상하이에서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 그러나 한국산 우유를 찾는 고객의 절대 다수가 한국인 교민과 주재원이며 중국인 고객층은 매우 얇은 상황임 - 상하이 소재 대형 마트인 C사에 따르면 최근 한국산 유가공 식품의 판매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교민 밀집지역 한국식품점 중심 현상 - 왕징 소재 한국식품점 A사의 고객은 90%가 현지 거주 한국인이며 또 다른 한국식품점 B사(칭다오)도 고객의 80% 이상이 한국인임.

25 한국산 제품의 현주소 □ 취약한 유통 구조 ○ 한국산의 현지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유통채널 취약으로 매출확대에 장애 - 한국산 제품의 판매처는 소수의 한국계 마트와 소형 한국식품점에 국한돼 있고 현지 대형 유명 마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움 - 분유는 중국산 제품의 수요가 급감해 시장진출을 타진해볼만한 품목이지만 한국산 중에는 D社 제품이 유일하게 동북지방을 통해 수입된 후 유통 중 ○ 현재 중국 내 한국식품점에서 판매되는 유가공식품 가운데 적지 않은 물량 은 이른바‘따이궁(带工.보따리상)’에 의한 소규모 유통 형태임 - 현지 매장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산 식품은 아직 브랜드 파워가 약해 정식 통관 시 각종 비용 상승으로 인해 가격경쟁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큼 □ 경쟁기업들 사이에서‘넛 크래킹’우려 ○ 베이징‘러요우(樂友)’매장 판매원에 따르면, 한국산 아기분유는 품질경쟁 력과 가격경쟁력 모두 갖추지 못한 외국산 브랜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

26 [SWOT 분석] 주요 경쟁국 유가공식품 기업의 중국 내 경쟁력 비교
한국산 제품의 현주소 [SWOT 분석] 주요 경쟁국 유가공식품 기업의 중국 내 경쟁력 비교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기) -고급품 이미지 -제품의 섬세한 맛 -新상품 개발능력 우수 -신중․보수적인 경영 스타일 -M&A기회 -일본인 인재 부족 -중국 내 고급품 선호 경향 확산 -일본 유통·물류업계 거점 -유사ㆍ복제품 증가 -중국인의 뿌리깊은 반일감정 -높은 브랜드 파워 -자금력 풍부 -스피드 경영 감각 -지리적 요인 (우유 등 수출 곤란) -중국과의 문화적 거리감 -중소도시 경제, 유통망 성장 -중국 내 M&A기회 확대 -기존 제휴처와의 관계 악화 -중국의 對선진국 감정 불안 -문화․언어 동질성 -중소도시 기반양호 -歐美 유경험 인력 -일본상품 학습경험 -자금력 제약 -브랜드이미지 취약 -新상품 개발능력 취약 -중소도시 경제 및 유통망 성장 -일본기업과의 제휴 강화 -일본기업의 중소도시진출 -선진국기업의 경쟁상품 출시 -지리적 인접성(수출 용이) -한류인기 접목가능 -시장진출 경험일천 -취약한 유통채널 -시장포지셔닝 애매 -교민중심 인기상승 -유통업계 중국진출 확대 -선진국기업의 중국집중공략 -특정정서 확대

27 대응방향 □ 선택과 집중 전략 구사 ○ 외국 기업 간 경쟁이 치열로 우리 기업들로서는 선택과 집중 이 바람직 □ 유망 타깃품목시장 공략 ○ 멜라민 파동 이후 현지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품목 가운데 우리기업의 시장진출 확대가 유망한 품목으로는 액상우유, 두유, 요구르트 등이 있음 - 신선도가 중요한 액상우유의 경우 한국은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해 중국 현 지 생산을 하지 않고도 직수출이 가능한 조건을 갖고 있음 - 최근 중국 소비자들은 유아에게 우유 대신 두유를 먹이고 싶어 하지만 마땅 한 제품을 찾지 못하고 있어 유아용 두유 시장진출도 유망함 □ 식품관련 설비․기계류 유망 ○ 멜라민 파동 이후 중국정부의 유가공제품 검사강화 조치로 향후 관계 당국 및 생산 업계의 식품 유해물질 검사 설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임 □ 고객 세분화를 통한 타깃 마케팅 전개 □ 유통망 확보 노력

28 4. 중국발 무역사기

29 중국출장유도 무역사기 대응법 단계 전형적 특징 판단 및 대응법 내륙지역소재 업체의 접근 -대형 수입오더 제시
-계약체결 미끼로 중국출장 강력 요구 -내륙지역 일부 도시는 최근 무역사기 다발 지역임에 주의해야 ▶KOTRA에 업체 실체파악 요청 현지 도착 시 정체불명의 비용 강요 -접대비, 선물비 강요 -계약서 공증비용 강요 -구매의향서 서명 요구 -수입관세부담 요구 -중국 업체의 말만 믿고 따르는 것은 금물 ▶KOTRA에 현지 관행, 제도적 규정 등 사실 확인 요청 실체․정체 파악 및 확인 -영업허가증 제시 요구에 불응 -영업허가증 제시 불응 업체는 사기업체로 간주해도 무방

30 시사점 및 대응방향

31 시사점 유례없는 內憂外患 비용상승 박리구조 딜레마 속 政策多變 구조조정 업계재편 2009 중국 경제

32 대응방향 확장 보다는 “생존” 구조조정강화 학습형 조직 변신 순익위주 경영 전환 내수형기업 유망틈새시장 발굴 시나리오 경영
(인력, 사업 등) 학습형 조직 변신 순익위주 경영 전환 내수형기업 유망틈새시장 발굴 시나리오 경영

33 감사합니다 谢谢


Download ppt "2009 중국경제와 비즈니스 현안 시사점 및 대응과제 2009. 1 Kotra 박한진 차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