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자동차산업 현황과 정책방향 2015. 12. 14.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자동차산업 현황과 정책방향 2015. 12. 14."— Presentation transcript:

1 자동차산업 현황과 정책방향

2 자동차 산업현황 글로벌 환경 변화 친환경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정책 방향 순 서

3 1. 자동차산업 현황 국가별 생산 대수 추이 (’14년) 주요국 판매 대수 순위 (’14년)
주요 국가별 수출 규모 (’14년)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1위 2위 3위 4위 5위 (자료출처 : KAMA) (단위 : 천대)

4 2. 글로벌 환경 변화 - 완성차 자동차 산업 메이커별 판매순위 (’14년) 1위 1023 2위 1014 3위 992 4위
(미국) ’14년 구매여건 개선 등으로 내수 시장은 회복추세이나 성장 속도는 다소 더딘 편 - SUV 등 소형상용 판매 확대를 통한 내수 회복 - ’14년 5.1% 성장에서 ’15년 1.0% 증가 예상 (단위 : 만대) 1위 1023 (Toyota, Lexus) 2위 1014 (VW, Audi, Bentley, Bugatti, Lamborghini, Scania) (중국) 자동차수요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9% 대의 높은 성장 예상 - 자동차 판매는 ’14년 기준 전년 대비 10.5%증가 했으며, ’15년엔 이보다 낮은 9.5%로 예상 3위 992 (Chevrolet, Buick, Cadillac) 4위 847 (Nissan, Renault, Infiniti) (EU) 환경보호강화 정책에 따라 ’15년에는 각 국에서 친환경차 시장 성장 가속화 예상 - EU 및 국가차원의 정책효과로 친환경차 수요 확대 - 독일은 17종의 전기차 출시 계획 5위 800 (Hyundai, Kia) 6위 632 (Ford, Lincoln) 7위 294 (Fiat, Chrysler) (한국) SUV와 신차 효과 중심의 판매증가로 ’02년 이후 처음으로 160만대 상회 - ’14년 자동차 판매는 전년 대비 5.3% 증가한 160 만 대 - 신차출시와 디젤라인업 확대가 판매 증가 요인 8위 288 (Suzuki, Maruti) * 각 社별 사업보고서를 참조 (자동차 분야)

5 2. 글로벌 환경 변화 - 부품 자동차 부품 산업 글로벌 자동차부품 기업 매출액(’13년) 1위 402 2위 358 3위
(단위: 억$) 부품의 모듈화 및 통합플랫폼 비율 증가로 역량 갖춘 대형 부품업체 위주로 생태계 변화 - 현기차 통합플랫폼 적용비율:23%(‘10)→81%(‘13) - Ford 부품업체 수:1,400여개(‘11)→750개(추진중) 1위 402 (독일) 2위 358 (일본) 3위 344 (캐나다)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가속화로 IT 산업군의 New Player 진입 가속화 - 국내 전자 및 소재 소재 기업들의 자동차 산업 진출 ▶ 삼성, LG 등 에서 자동차 부품 시장 진출 계획 및 활성화 4위 335 (독일) 5위 271 (일본) 연료 효율성 극대화를 통한 각국의 환경규제 대응 노력 - 엔진 다운사이징 추세 (배기량 ↓, 성능 극대화) - 차량 경량화 (무게 ↓, 성능 및 안전 동등 이상) 6위 247 35위 67 안전규제 강화에 따른 능동안전시스템 보급 확산 - ’14년 부터 유럽신차안전도평가(NCAP)에 긴급제동브레이크(AEB), 차선유지(LKWS) 등 능동안전시스템이 평가항목으로 추가 43위 51 (한국) 54위 HYUNDAI POWERTECH 38 76위 24

6 2. 글로벌 환경 변화 - 패러다임의 전환 자동차+타산업 융합 IT업체의 도전 자동차의 스마트화
전세계적으로 자동차와 타산업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 중 * 15년 CES(매년 1월)의 최대 화두는 ‘가전’이 아닌 ‘자동차’ IT업체의 도전 구글 (자율주행차 컨셉카 발표 : ‘14.12월) * 2009년부터 자율차 프로젝트 : 약 200만km 자율주행 시험 및 데이터 축적 애플 (i-Car : 타이탄프로젝트 공개 예정 : ’19년) * 자동차, IT, 에너지 등 다양한 전문가를 영입하여 자율주행차 프로젝트 가속화 자동차의 스마트화 자동차의 스마트화 (‘15.12월 최첨단 기술의 제네시스 EQ900 출시) 자동차업체와 IT 업체의 협업 강화 (도요타+도시바.파나소닉) 첨단기술 Super 부품업체 출현 (보쉬, 콘티넨탈, 모빌아이 등)

7 (참고) 산업 패러다임 : 산업혁명  정보화혁명  스마트혁명
(참고) 산업 패러다임 : 산업혁명  정보화혁명  스마트혁명 스마트혁명 가속화 고유영역 파괴, New Player 등장 (융합 속도전) 시장 트렌드 변화 융합방향 기술 트렌드 변화 스마트화 하드웨어 플렉서블화 에너지 고효율 / 온실가스배출 저감 (High Efficiency Low Emission) 맞춤형 안전·편의 친환경 제조 + 서비스 개인화 고령화 지구 온난화 대응 자동차의 경우 : Personal Mobility, 자율차, 커넥티드카, 그린카, 카셰어링

8 2. 글로벌 환경 변화 : 미래자동차 경쟁력 약화! 자동차(부품) 산업 위기감 빠른 추격자 전략의 한계
2. 글로벌 환경 변화 : 미래자동차 경쟁력 약화! 자동차(부품) 산업 위기감 최근 수출 부진 * ‘ 월 완성차 수출 5.8% 감소, 자동차부품 수출 4.6% 감소 (전년대비) 고임금 및 저생산성 * 국내 완성차 평균 임금(9,234만원) > 일본 도요타(8,351), 독일 폭스바겐(9,062) 빠른 추격자 전략의 한계 미래 자동차에서 선진국과 기술 격차 확대 * 세계 최고 기술대비 스마트카 기술 격차 : (’11년) 14.0%  (’13년) 16.2% 자동차 부품업체의 부족한 R&D 투자 * R&D 집약도(매출 대비 연구개발) 비교 : 독일(7.39), 일본(4.02), 미국(2.12), 한국(1.65) 1등 자동차 + 1등 IT = 3등 미래차? 자동차의 높은 진입장벽으로 타산업과 협업 미흡 * 제품 개발기간 차이, 안전 요구 수준 차이, 자동차산업의 수직계열화 등 산업간.업체간 분산 투자로 역량 결집 한계 * 업종간 협업(Open Innovation) 문화 정착 및 성공사례 발굴 등이 부족

9 3. 친환경자동차 주요국 친환경차 시장 현황 (미국) HEV는 소폭감소하였으나, EV, PHEV는 꾸준한 증가 추세
(EU) EV가 크게 늘어나고, EV, PHEV 차종 확대에 주력 HEV (3.2% 증가): 18만대(’13년) → 19만대(’14년), EV(59.8% 증가): 3.8만대(’13년) → 6.1만대(’14년) PHEV (34.7% 증가): 2.6만대(’13년) → 3.5만대(’14년) (BMW) i3 EV(’14년), i8 PHEV(’15년 예정) 등 출시, (벤츠) S500 대형차 PHEV 출시 (일본) 친환경차 성장세는 주춤하나, 내수시장 규모는 세계 최고(97만대) HEV가 친환경차중 97%(93만대) 차지, 이는’14년 전세계 시장의 57% 해당 도요타는 ’14.12월 세계 2번째로 수소차 양산체제를 구축(현재 1,500대 내수 선주문 상태) (중국) 현지 시장규모는 작으나, 각종 규제 및 지원으로 폭발적 성장 ’14년 전기차는 1만 7천대, PHEV는 1만 2천대수준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전기차 성장률은 88%, PHEV 700%나 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 향후 주요시장으로 평가

10 3. 친환경자동차 국내 친환경차 시장 현황 전기차는 공공기관 중심에서 민간공급으로 패러다임 전환중
출시차량 : 스파크, 레이, SM3, 쏘울, i3, 리프 등 6종 출시 국내 전기차 판매 대수 : 753대(’12년) ▶ 780대(’13년) ▶ 1183대(’14년) → ’15년 3,000대로 지원대상 대폭 확대 , 공공기관 의무구입제도 도입 급속충전기의 경우 금년중 100기를 설치하여 누적 337기 달성 예정 제주도를 거점으로 전기버스, 렌터카, 택시를 대상 배터리 리스 사업, 민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유료충전사업 실시(’17년까지 5830기 충전기 추가 설치) 현재는 경소형 위주이나, 중장기적으로는 주행거리 확대된 중형 모델로 다변화 수소연료전지차는 ’13년 최초 양산체계 구축 이래로 국내, 미국, 유럽 등 실증 차량으로 판매 초기시장 경쟁을 위해 투산 ix 가격을 1억 5천만 원에서 8천5백만 원으로 인하 (도요타 미라이 670만 엔(6217만 원))

11 3. 친환경자동차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각 지역별 연비규제 강화 중
(’20년) 한국 97g/km, 미국 44.8mpg, 유럽 95g/km, 중국 5ℓ/100km 한국 미국 CO2 / 연비 선택적 규제 CAFE 기업 평균 연비 규제 (승용평균 규제치) 평균 규제치 *연비(km/l) : (‘15) 17 → (‘20) 24.3 140 g/km 44.8 벌금 : 1g 당 1만 원 X 총 판매물량 ex) 100만대 판매, 1g 초과시 100억 원 벌금 : 0.1mpg 당 $5.5 X 총 판매물량 ex) 100만대 판매, 1mpg 미달 시 579억 원 97 36.2 mpg 31% 강화 24% 강화 ‘15 ‘20 ‘15 ‘20 유럽 중국 CO2 규제 4단계 (‘20) 연비규제 평균 규제치 평균 규제치 - 벌금 : €5~95(단계적 누진) X 총 판매물량 (’19년 이후 €95로 통일) ex) 100만대 판매, 1g 초과시 (’19년 이후) 1,329억 원 130 g/km 6.9 ℓ/100km 95 5 - 벌금 : 검토 중 27% 강화 28% 강화 ‘15 ‘20 ‘15 ‘20 * 적용환율 (’14년 평균 환율) : 1달러 = 1,053원 / 1유로 = 1,399원

12 3. 친환경자동차 친환경차 기술이슈 - 고효율, 무공해 동력원의 자동차를 지향 新 내연기관 기술 대체 연료 기술
대체 에너지 기술 엔진 효율 향상 - 커먼레일 시스템 - Hybrid EGR - 신연소기술 (HCCI 등) 배기가스 후처리 - 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 DOC (Diesel Oxidation Catalyst) - SCR (Selective NOx Reduction) - LNT (Lean NOx Trap) 대체 연료 - DME (Dimethyl Ether) - Bio-Fuel - GTL (Gas to Liquid) - 수소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 엔진+전기모터 +배터리 전기 자동차 - 배터리+전기모터 연료전지 자동차 - Fuel Cell +전기모터 * 메르세데스-벤츠 B클래스 ‘F셀’

13 3. 친환경자동차 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 지원 참고 ’15년도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지원 계획
중소∙중견 부품업체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그린카 산업 경쟁력 강화 * ’15년 84억 원 규모의 13개 그린카 관련 신규 과제 지원 예정 (’15년 총 472억 원 규모)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향상과 고효율의 전기자동차 대중화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하이브리드자동차 일본 수준의 하이브리드차와 경쟁하기 위한 저가 고연비 기술개발 및 동력장치 핵심 부품 국산화 연료전지자동차 스택, 연료저장장치 등 핵심부품 국산화를 통해 높은 차량가격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클린디젤자동차 핵심부품 수입의존도 저감을 위해 수입부품 대체기술과 환경규제 대응 가능한 핵심 기술 개발 천연가스자동차 에너지 수급 개선, 차량연비 효율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한 수입부품의 국산화

14 4. 자율주행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구현을 위해 필요한 기술의 발전을 지향 자율주행 단계 Level 0 Level 1
No-Automation 몇 가지 부품으로 안전운전 지원 Level 1 안전한 주행을 위해 자동차 스스로 제어 단, 운전자는 항상 주변 교통상황을 주시해야 함 Level 2 Level 2 OFF OFF ON Level 3 반 자율주행자동차 (필요 시 운전자 개입) OFF OFF ON or OFF Level 3 완전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는 목적지만 입력, 안전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자동차의 몫 Level 4 Level 4 OFF OFF OFF * 단계 구분 출처 : 美 NHTSA (도로교통안전국)

15 4. 자율주행자동차 국가별 안전규제 현황 참고 (기존) 패시브 세이프티  (미래) 액티브 세이브티 강화 추세
안전규제에 적용한 Active Safety 기술의 의무장착 도입 강화 의무 장착 Active Safety 기술을 적용하는 가점 제도 도입 * 스마트크루즈콘트롤(SCC), 차선이탈경보(LDW), 자동긴급제동(AEB 등) NCAP ※ NCAP : New Car Assessment Program (신차안전도평가) 유럽에서는 Euro NCAP 2013~2016 로드맵 이후, Euro NCAP 2016~2020 로드맵을 발표하고 AEB(보행자, 교차로, 자전거, 야간 등), 차선이탈방지(LKA, LDW), 속도제어(운전자 상태감지, 부분적 자율 주행 등)에 대한 프로토콜의 개발, 확정, 연도별 적용 시기 등을 오래 전 부터 준비하고 있음 선진국에서는 ‘소비자 안전’ 명목 하에 의무장착, NCAP 등 안전규제를 새로운 기술 장벽으로 활용

16 4. 자율주행자동차 자동차전용도로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사업 주요 내용 참고 1. 10대 핵심부품 2. 서비스 레이다
영상센서 V2X모듈 ADAS맵 복합측위모듈 스마트액츄에이터 HVI모듈 개인화 모듈 차세대IVN DCU ADR 2. 서비스 차로/차간거리 유지 차선변경 저속구간 자동운전 합류로/분기로 자동주차

17 4. 자율주행자동차 자동차전용도로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사업 주요 내용 참고 3. 평가∙검증 4. 실용화 핵심부품 평가
서비스 평가 실차(PG) 평가 4. 실용화 OEM 플랫폼 기반 실차 적용 기술 개방형 플랫폼 기반 실차 적용 기술 실도로 실증 표준화/인증 자율주행 실용화 기술 경진대회

18 1 2 3 5. 정책 방향 및 추진전략 추진 방향 추진 전략 자동차 융합 Alliance를 통한 협업 강화
국내 역량을 총 결집하도록 융합을 중심으로 자동차 정책 변화 정부 R&D 성과 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중심의 시스템으로 개편 1 자동차 융합 Alliance를 통한 협업 강화 추진 전략 2 시장 연계형 융합 R&D 기획으로 전환 3 융합 촉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AS-IS : 센터.장비 등 인프라 R&D 중심 To-BE : 시장연계형 융합 R&D 중심 타업종의 자동차 진출 한계 (진입장벽) 정부 R&D 예산간 칸막이 (회색지대 소외) 기업의 제한적 참여, 쉬운 R&D 과제 자동차 + 타산업 협업 (Open Innovation) 정부 R&D 예산간 칸막이 제거 (융합 & 확대) 기업의 적극적 참여, 도전적 R&D 과제

19 5-1. 자동차 융합 Alliance : 기업간 협업 강화
(구성) 완성차, 부품사, 타산업 등 자동차 융합.협업 R&D를 실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로 구성 ㅇ 출범(‘ ) : 현대기아차, LG전자, 네이버, KT, 한화첨단소재, 오비고 등  향후 참여기업 점차 확대 ㅇ 의의 : 다양한 연관산업 기업 연합체 구성, 다양한 시각에서 자동차 산업 발전 논의 참여 (역할) 1. 융합.협업 R&D 과제 기획 및 실행 * 산업부 R&D(KEIT)와 협력하여 기업 중심의 R&D 과제 기획 2. 자동차와 異업종 기업간 자발적 협력사업 발굴.추진 * 공동 R&D, M&A, JV, 규제.표준 대응, 인프라 구축 등 업체간 협력 프로젝트 R&D 과제 유형(안) (융합 R&D 중심) 선도형(First Mover), 시스템형(대+중소기업), 수요연계형(글로벌 수출) 등 융합 R&D 중심으로 개편 - (예시) 완성차+부품사+전자+전지+SW+반도체+통신+콘텐츠+서비스 중 일부 (창의적 R&D 확대) 품목지정형 자유과제, 비즈니스 아이디어 연계형, 사회문제 해결형 등 추진 - (예시) 한국형 개인 이동수단, 도심지역 친환경 택배 전기트럭, 아동 등하교 안전 시스템 등

20 (참고) 자동차+타산업 융합 모형 경량화 소재 친환경화 자동차 IT 전장화 인포테인먼트 네트워크 자율주행
디자인, 문화, 바이오, 나노 등

21 5-2. 시장연계형 융합 R&D 기획으로 전환 시장연계형 융합 R&D를 위한 기획 추진체계
(통합 PD실) 기존 스마트카PD실, 그린카PD실을 ‘자동차 PD실’로 통합하여 자동차 R&D 기획을 총괄 * PD실이 지역 자동차 R&D까지도 총괄.조정할 수 있도록 기능 강화 (업계출신 PD) 시장을 잘 아는 PD를 선발하여 글로벌 시장(업체) 수요에 부합 하는 도전적인 R&D 과제 기획 자동차 융합 Alliance 자동차 PD실 추진체계 구성 - 완성차 + 부품사 + 타산업(IT, SW, 소재,통신,콘텐츠,서비스 등) 기업 기능 - 공동 R&D 발굴.검증, M&A, JV, 규제. 표준 대응, 인프라 구축 등 구성 - 업계 출신 PD - Alliance 및 외부전문가 적극 활용 기능 - 자동차 융합 R&D 기획, 조정 - Alliance의 초기 사무국 (추후 이관) 협력 & 조정 (R&D 방향) 1. 자동차+타산업 융합 R&D 과제 최우선 발굴.추진 (기업(특히, 타산업)의 참여) 2. 업종간 R&D 예산 칸막이 제거 (각 업종별 재원의 공동 투입을 통한 총 재원 확대) 3. 도전적인 R&D 과제 추진을 통한 Open Innovation 촉진 및 기업 옥석 가리기

22 5-3. 융합 촉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기관 역할 재정립 기타 융합 촉진을 위한 제도 및 인프라
(융합 연구.촉진 강화) 자동차+타산업 융합 연구 및 지원 기능 강화, 타산업 기업의 자동차 분야 진입 지원 강화 등 * 융합 연구 및 기업 지원 강화를 위한 기존 지원기관의 혁신도 병행 추진 (중소기업 밀착 지원 강화) 인력 파견을 통한 기술 지원, 중소기업 위탁과제 수행, 기술이전 등 중소기업 지원 성과에 대한 평가 기준 강화 등 * (사례) 독일 연구프리미엄 제도 : 중소.중견기업 위탁 연구 수행시 프로젝트비의 25%를 보너스로 제공 기타 융합 촉진을 위한 제도 및 인프라 (규제개선 및 제도정비) 시험운행 허가제도, 실증지구 지정, 시범 서비스, 전기차 보급 확대, 융합.저가 충전소, 환친차 이용 인센티브 (지원인프라) 정밀 지도, 위성 항법, 도로 인프라, 주파수 분배, 표준, 보안 (융합 인력) 기업-대학 공동 R&D, 퇴직인력 활용(업종 교차), 교차 융합 재교육 (해외 진출) 해외 M&A 및 부품 직수출 플랫폼, 국제 공동 R&D 협력

23 <참고 : 융합의 잠재력...현실화되고 있는 변화>
융합을 위한 그간 노력 및 최근 변화 ◈ 국정과제 : “IT.SW 융합을 통한 주력산업 구조고도화” (경과) 차량 IT 혁신센터(’08년)  IT 융합 확산 전략(’10년) 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에 자율주행차 포함(’14년) 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 방안*(’15년)  챌린지 퍼레이드(‘15.11월) * 시험운행 허가, 실증지구 지정 등 규제 개선, 정밀 위치 파악 지형도 등 인프라 포함 ◈ 최근 기업의 성과 : Core Player + New Player 등장  성과 극대화 필요 업체명 주요 성과 현대자동차 고속도로 주행 지원 시스템(HDA) 탑재된 EQ900 출시 (‘15.12월) LG전자 GM에 ’16년말부터 전기차 분야 11종 부품 공급 예정 (‘15.10월) 삼성전자 아우디에 차량용 메모리 반도체 공급 전략적 제휴 체결 (‘15.11월) KT 5G통신,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활용 자동차 사업 추진 (’15년) 네이버 자율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 분야 연구 투자 참여 선언 (’15년) 한화첨단소재 자동차용 경량 소재부품 No.1 비전 및 해외 M&A 적극 전개 (’15년) 오비고 인도 완성차업체에 인포테인먼트 통합 솔루션 공급 계약 (‘15.9월)

24


Download ppt "자동차산업 현황과 정책방향 2015. 12. 14."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