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차 례 Ⅰ WiBro 서비스 개요 Ⅱ WiBro 기술개발 현황 Ⅲ WiBr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IV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차 례 Ⅰ WiBro 서비스 개요 Ⅱ WiBro 기술개발 현황 Ⅲ WiBr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IV"— Presentation transcript:

0 (ICAT 2005, 제10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 차세대 컨버전스 서비스 기술)
KT의 WiBro 서비스 계획 (ICAT 2005, 제10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 차세대 컨버전스 서비스 기술) 이 성 춘

1 차 례 Ⅰ WiBro 서비스 개요 Ⅱ WiBro 기술개발 현황 Ⅲ WiBr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IV
차 례 WiBro 서비스 개요 WiBro 기술개발 현황 WiBr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2 I. WiBro 서비스 개요 (1/8) ■ 무선데이터 시장은 2004년 매출 3조에서 2008년 6조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 유선 무선 무선 데이터 시장의 폭발적 성장세 - 1,800억원(2000년) → 1조9천억원(2003년) - 3조원(2004년) → 6조원(2008년) 2008년 1조원 이상 시장 형성 가능 (무선데이터 시장의 20% 점유시) - 종량제 서비스인 EV-DO가 2년 만에 무선 데이터 시장의 10% 점유 시장 특징 1000만 가입자 돌파 이후 시장포화 시장 특징 이동통신 사업자간의 경쟁과 유선사업자의 신규 Revenue 창출을 위한 경쟁적 진입 CAGR = 4.77% CAGR = 20.20% 데이터 CAGR = -6.23% CAGR = -3.08%  무선 데이터 시장 성장율 예측 예측기관 성장율(2005~2010) OVUM (2003) 20% (국내) IDC (2003) 31% (세계) ARC (2003) 45% (국내) 매출액 크기(동그라미) 조정 음성 시장 특징 이동전화 시장잠식으로 매출 감소 시장 특징 시장 포화로 매출 감소추세 [부문별 통신시장 규모 예측(KISDI)]

3 I. WiBro 서비스 개요 (2/8) 서비스 정의 ■ 유선 초고속인터넷 수준의 서비스를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 실외의 정지 및 이동환경에서도 고속으로 저렴하게 제공하는 개방형 무선통신서비스 다양한 서비스를 컨버전스 단말기를 통해 NESPOT, CDMA, DMB 등과 결합 스마트폰, PDA, 노트북 Communication Contents 정지 및 이동 중에도 엔터테인먼트 영상통신 정보 MMS 정지 및 보행, 중속(~60km)의 이동 물류/텔레매틱스 IM/SMS 채팅/P2P/WEB 교육 저렴한 요금으로 Commerce Community Customization 월 3 ~ 4만원 매출액 크기(동그라미) 조정 예약/결재 증권 멀티미디어 게시판 개인방송 개방형으로 제공 개인맞춤 서비스 금융 Web diary 바이오리듬 체크 web storage 등 개방된 All-IP망 기반 전자상거래/광고

4 ♪ I. WiBro 서비스 개요 (3/8) Seamless, Ubiquitous Experience 서비스 개념 Mobile
SD MMC E-Tower 게임기 Telephone PC DVD Audio TV STB DVC 지도정보 IC Card SIM Digital Contents Infra 정보 개인정보 자동차 Service Mobile Office 가정 실외 점포 F - 7

5 WLAN, CDMA 1x(EV-DO), IMT2000 의
I. WiBro 서비스 개요 (4/8) 서비스 포지셔닝 Mobility 가격경쟁력 WLAN, CDMA 1x(EV-DO), IMT2000 의 한계를 극복,장점만을 흡수한 서비스 형태 High 3G (IMT-2000) 이동성 전송속도 2G (IS-95, Cellular) 2.3GHz WiBro Nomadic 단말 휴대성 Cordless 무선전화 WLAN WiBro DATA Rate IMT-2000 Fixed 유선전화 초고속 인터넷(ADSL,VDSL ..) 타 서비스와의 비교 구 분 WiBro 초고속인터넷 무선랜 이동전화 이용지역 옥내외 옥내 옥내(핫스팟) 전송속도 고속 초고속 중저속 이동성 높음 없음 낮음 매우 높음 컨텐츠 유무선 컨텐츠 유선 컨텐츠 무선 컨텐츠 요 금 상대적 저렴 저렴 단말기 스마트폰, PDA, 노트북 등 데스크탑, 노트북 PDA, 노트북 핸드폰, PDA

6 I. WiBro 서비스 개요 (5/8) 타 서비스와의 관계 ■ 초고속인터넷, 무선랜
초고속인터넷: 일부 수요대체 가능(1인 가구 중심) 무선랜: 노트북 사용자의 실내 대용량 트래픽 분산을 수행하는 보완재 역할 ■ 방송서비스(위성DMB, 지상파DMB, EV-DO BCMCS, WCDMA MBMS) 서비스 영역이 상이하여 상호 보완적인 관계 형성 통신비 지출제약, 단말기 동시 휴대 문제 등으로 WiBro 수요의 일정 부분 축소 가능 ■ 이동전화 음성분야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 형성 무선인터넷 분야는 보완/경쟁 관계 형성 ■ W-CDMA(R5: HSDPA) 일정 수준 경쟁 예상되나 특정 서비스 우위여부는 예측 곤란 향후 세계 W-CDMA 활성화 추세, WiBro 초기 시스템/단말 안정성에 따라 변화 가능

7 I. WiBro 서비스 개요 (6/8) WiBro와 CDMA 기술 비교 구분 WiBro W-CDMA CDMA 2000 R4
R5 (HSDPA) 1x EV-DO 1x EV-DO Rev.A ㈜) Duplex TDD FDD Multiple Access OFDMA CDMA Bandwidth (FA) 9MHz 5MHz x 2 1.25MHz x 2 Frequency 2.3~2.4GHz UL:1.94~1.98 / DL:2.13~2.17GHz 800MHz/1.8GHz Max. Data Rate (1FA 1sector) DL Mbps 2 Mbps Mbps Mbps 3.072 Mbps UL 6.144 Mbps/User 2 Mbps/User 153.6 kbps/User Mbps/User Average Throughput (1FA 1sector) 5.95 Mbps 1.04 Mbps 5 Mbps 850 kbps 825 kbps 1.53 Mbps 1.21 Mbps 1.5 Mbps 266.1 kbps 465.4 kbps 표준화 802.16e D6 (05.02) 802.16e D7 (05.04) 2001.3 2002.6 2004.2 Network Deployment 2006년 서울 지역 운용 중 2005년 주: Revision A, the performance of 1x EV-DO is increased to that of 1x EV-DV.

8 I. WiBro 서비스 개요 (7/8) 고객 Needs
■ 고객은 주로 PDA와 노트북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 이메일, 게임, 정보검색 등의 서비스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 선호 단말기  PDA,노트북 선호 서비스  이메일>게임… 선호 이용장소  이동시 요구 PDA 노트북 핸드헬드PC 스마트폰 핸드폰 42.1% 학교/직장 59.5% 56.7% 50.6% 36.3% 버스/지하철 30.2% 9.3% 28.6% 길거리 실내장소 8.7% 정보 검색 출장중 3.5% 이메일 게임 메신저 MMS (출처: ETRI, 휴대인터넷 수요조사, ) (출처: 코리아리서치, ) ■ 현재 무선인터넷의 주 용도는 엔터테인먼트(58%), 커뮤니케이션(17.6%), 업무(9.3%) ■ CDMA 1x EV-DO는 낮은 서비스 질과 컨텐츠 부족, 비싼 요금이 불만사항 ■ 무선LAN은 커버리지 협소 및 ISM 대역 특성상 QoS 보장 어려움 ■ WiBro 잠재고객은 저렴한 요금과 고속 전송속도를 추구하는 고객군으로 정의됨

9 I. WiBro 서비스 개요 (8/8) Y+5년 기준, 가입자 890만명, 매출 3조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여 18조원의 산업 유발 효과와 약 27만명의 신규 고용 창출로 정체된 통신시장의 새로운 성장엔진 역할 기대 WiBro 매출 및 수요전망 경제효과 분석 50 100 150 200 250 300 350 Y Y+1 Y+2 Y+3 Y+4 Y+5 매출(백억원)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수요(만명) 매출 ( 백억 ) 수요 만명 통신/타산업 생산유발 17조 9,810억원 부가가치 창출 7조 4,295억원 총 수출 유발 6조 2,753억원 총 수입 유발 4조 6,317억원 <고용창출 효과>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Y Y +1 Y+2 Y+3 Y +4 Y +5 (출처 : KISDI-사업자 공동 수요조사 결과,2004.6) (출처 : ETRI, 정보화기술 동향분석, )

10 II. WiBro 기술개발 현황 (1/3) 기술 검증 기술검증 상용화 검증 기술개발
■ KT는 휴대인터넷 용도 확정 전부터 2.3GHz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한 기술개발 및 시스템 테스트 진행 기술검증 ■ Testbed 구축 : ~ 명동, 양평 2개 지역 구축 (ArrayComm사 iBurst) 가입자당 1Mbps 전송속도 및 무선LAN 연동 확인 ※ 정부 2.3GHz 대역 주파수의 휴대인터넷용도 확정 ( ) 상용화 검증 ■ Multi-Cell 동시 시험 실험국 구축: ~ 12 대상기술: iBurst (ArrayComm), flash-OFDM (Flarion), Ripwave (Navini), (Broadstorm) 규모: 각 기술 당 3개 기지국 및 30개 가입자장치 내외 설치장소: KT 중앙지사, KTF 필동, 봉익 기지국(3개) ■ Multi-Cell / Multi-System 동시 시험의 의미 Multi-Cell 시험을 통한 hand-over, 다중 가입자 수용 능력 등 검증 대도심지 (명동, 을지로) 환경 시험  최악 환경 시험 검증 기술개발 ■ 세계 최초 WiBro 무선망 설계Tool(Celltrek/OPT) 개발 : WiBro 기술 반영한 무선망 설계 최적화 가능  기존의 무선망 설계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개선

11 II. WiBro 기술개발 현황 (2/3) 국내외 표준화 주도 국내외 표준화 사업 개발 협력
■ 산업 활성화 및 국내개발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국내외 표준화 주도 ■ 범 WiBro 협의체 적극 참여로 사업자간 협력을 통한 서비스 활성화 모색 국내외 표준화 ■ 국내 기술 표준화(TTA) 및 HPi개발 프로젝트 주도적 참여 - WiBro 시장 확대 및 연관산업 발전을 위한 TTA 기술표준화 그룹 결성 주도 - 최단기간 국내기술 표준화 완료로 WiBro 조기상용화 기반 마련 - HPi 공동개발(ETRI) 과제 참여: 출연금 30억원(2003~2005) ■ 국제 표준화(IEEE) 중추적 역할 수행 - 해외사업자와 국제표준화를 위한 협력 포럼 구성(’ ) ☞ 서비스 사업자간 제휴로 Intel, 삼성 등 국내외 제조업체의 적극 동참 - 국내 표준기술의 국제표준화 주도로 WiBro 해외시장 진출 여건 조성 ☞ WiBro핵심기술 24건 IEEE 표준화 채택 ■ WiMAX 포럼 가입(’05.3) 사업 개발 협력 ■ 휴대인터넷 협의체 (PII; Portable Internet Initiative) 적극 참여 - PII 창립총회 개최 : (목) - 회원사 수 : 100여개 업체 ( 현재) - 주요 추진방향 사업자간 WiBro 관련 기술 및 서비스 분야의 활발한 교류 WiBro BM 발굴 등 수익성 있는 사업화 방안 마련 등

12 II. WiBro 기술개발 현황 (3/3) WiBro용 중계기 개발 중계기 개발
■ 음영지역 해소 및 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TDD 중계기 국내최초 개발 및 시연회 개최 중계기 개발 ■ 국내 중소기업과 TDD중계기 기술개발 WG 구성(2004.2) ■ 요소기술 개발을 위한 개발을 위한 중계기 공동개발 추진(5개 업체, 6개 시스템) - 광 중계기: 쏠리테크, 이스텔시스템즈, 네오텔레콤 - RF중계기 : 에이스테크놀로지, C&S Microwave ■ 중계기 개발 시연회 개최 - 국내최초 TDD고출력 RF중계기 시연회( ) - WiBro 중계기 개발 종합 발표회( ) 광중계기 Master 기지국 광중계기 Remote RF 중계기 시스템실 KT 광화문지점 시연용 차량 KT 중앙지점 RF 중계기 서비스 지역 (지상1~2층)

13 III. WiBro 기술 및 표준 현황 (1/6) WiBro 기술방식과 주파수 할당
■ WiBro 시스템은 IEEE , IEEE e D3 이상 표준과 5개의 성능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함 (2004.7, 정통부) 60km/h로 이동시 셀 경계에서 최소 하향 512kbps, 상향 128kbps 보장 채널대역폭 9MHz 이상 사업자 장비간 로밍가능 의무 주파수 재사용계수 1 이중화방식 TDD, 송수신 time slot 동기 일치 ■ WiBro 주파수 할당 ( , 정통부) 2300MHz 2327 2331.5 2358.5 2363 2390 2400MHz CH1 CH2 CH3 1st Band 2nd Band 3rd Band 보호대역 무선LAN 4.5MHz 10MHz

14 III. WiBro 기술 및 표준 현황 (2/6) WiBro 표준화 Roadmap TTA Phase I Phase I Rev.
WiBro 기술방식으로 IEEE e 결정 (2004.7) Phase I Phase I Rev. Phase II 2004.6 2004.4Q ~ Q OFDMA/TDD 1024 FFT, BW: 10MHz PHY Harmonization MAC Harmonization Enhanced PHY/MAC AAS, MIMO, LDPC, H-ARQ 802.16d/e 802.16d/e IOT Profile - Profile 작업 (2005.1Q) - 규격화 작업 (2005.2Q) - 규격 완성 (2005.3Q) TTA TTA IEEE 802.16e Issue 802.16e/D5 Issue 802.16e/D6 Issue 802.16e/D7 Publish 2004.9 2005.2 2005.4 2005.3Q (?)

15 III. WiBro 기술 및 표준 현황 (3/6) WiBro 구성도
■ 단말(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 WiBro 무선접속, IP 기반 서비스 접속 - IP 이동성, 단말/사용자 인증 및 보안 -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 타망과 연동 ■ 기지국(Radio Access Station: RAS) - WiBro 무선 접속 - 무선자원 관리/제어, 이동성(핸드오프) 지원 - 인증/보안(* 구현상 제어국에서 지원가능) - QoS 제공, 하향 링크 멀티캐스트 - 과금, 통계 정보 생성 및 통보 기능 (* 구현상 제어국에서 지원가능) ■ 제어국(Access Control Router: ACR) - IP 라우팅 및 이동성 관리, - 인증/보안(* 구현상 기지국에서 지원가능) - QoS 제공, IP 멀티캐스트, 과금 서버에 과금 서비스 제공 - ACR 내의 RAS간 이동성 제어, 자원 관리 및 제어 ■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 인증 및 과금, IP 이동성 지원, 타망과의 연동 Public IP Network 사업자 IP Network HA AAA ACR RAS PSS

16 III. WiBro 기술 및 표준 현황 (4/6) Key Features ■ RF Frequency: 2.3GHz
■ Multiple Access/Duplexing: OFDMA/TDD ■ Frame length: 5 msec ■ Bandwidth: scalable from 1.25MHz to 20MHz ■ Flexible subchannelization for band selection and diversity ■ Fast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ubchannel based on uplink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 Full diversity subchannel by multiple symbol grouping ■ Cell differentiation with different PN sequences ■ Pilot tone based downlink and uplink ■ Separate ranging channel time slot ■ More efficient channel code: convolutional (or block) turbo code ■ H-ARQ in the downlink and uplink ■ Modulation level: QPSK, 16QAM, 64QAM ■ Optional AAS (Adaptive Antenna System) support

17 III. WiBro 기술 및 표준 현황 (5/6) System Parameters Parameter Value
Channel spacing 9 MHz Effective bandwidth 8.75 MHz Number of used tones 864 out of 1,024 Number of data tones 768 Number of pilot tones 96 Tone spacing kHz Ratio of cyclic prefix time to basic OFDM symbol time 1/8 Basic OFDMA symbol time 102.4 μs Cyclic prefix time 12.8 μs OFDMA symbol time 115.2 μs TDD frame length 5 ms Number of symbols in a frame 42 TTG+RTG 161.6 μs

18 Average DL Data Throughput/sector Average DL Data Throughput/cell site
III. WiBro 기술 및 표준 현황 (6/6) System Capacity System Capacity Item Value Note Bandwidth Channel 9MHz Effective BW = 8.75MHz Total 27MHz 3 Channels Peak DL Data Rate 20Mbps Without AAS, MIMO Average DL Data Throughput/sector 6Mbps Multi-cell environments without AAS, MIMO Average DL Data Throughput/cell site 54Mbps ( = 6Mbps x 9) Macro cell site: 3FA/3Sector Cell Radius Macro Cell: 1Km Micro Cell: 400m Pico Cell: 100m 4 / 15

19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1/11) WiBro 사업 Vision 세계 10대 통신회사 도약을 위한 핵심 성장엔진
유무선 통합의 Ubiquitous 통신시장 선도 수요 기반 인프라 구축 전략적 Positioning 유무선 통합시장 핵심 서비스 All-IP 통합 망 구현 및 무선 사업 역량 증대 기존 유/무선 인터넷 User를 대상으로 Mass Market 형성 ADSL, Nespot 등 기존 고객 기반 Leverage 극대화 84개 시 전체에 Coverage 조기 완성 CDMA망과의 연계를 통한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 환경 통신 시장의 Paradigm 변화 (유선→무선, 유무선 통합) 매출 성장의 정체 (유선 중심 사업구조) 서비스간, 산업간 융합 (Convergence)

20 Subsystems & Service management system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2/11) Logis WiBro Network UsN FPGA Macro-RAS micro-RAS Contents Partner Service Center Information Center Public Offices Portable Entertainment PCMCIA Tablet ACR Voice Internet Handheld Enterprise CF SmartPhone Command Control pico-RAS/ Repeater Smart/MIMO-RAS Home Network Chipset Subsystems & Service management system Mobile Internet Telematics e-Shop ITS Bank User terminal Network Service/Contents

21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3/11) WiBro 망 구조 Hot Zone 전달망 인터넷 백본망 서버 Farm 지사/점
중앙노드 액세스망 ACR 인증서버/DHCP/포털 HA M/E RAS ADSL 모뎀 Nespot AP (통합형) WiBro 라우터 ■ 기존자원 활용을 통한 투자비 절감  인터넷 백본망, 가입자 광 케이블, 기지국 공용화 등 ■ 사업계획서 서비스 제공계획 및 시장 상황을 반영한 커버리지 확장  Y+2년 전국 커버리지 확보 ■ 상호 운용성, 적합성을 검증한 시스템 채용으로 WiBro망의 유연성, 개방성 확보

22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4/11) ■ WiBro 투자규모 및 시기는 WiBro 사업활성화를 위해 탄력적으로 조정 가능 망구축 계획 망 연동 구성도 서울 인천 WiBro 2G/3G AP 공항 Hot Zone Hot Spot 공원 대전 2단계 3단계 1단계 대구 울산 광주 부산 준비단계 (2005년): APEC 시연, 인프라 구축 1단계 (2006년): 서울 및 수도권, 광역시 등 20개시 2단계 (2007년): 중소도시 18개시 3단계 (2008년): 소도시 46개시 2G/3G: 음성 위주의 광역서비스, 협대역 데이터 WiBro: 도심지 위주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 Nespot: 가정 내, Hot Spot등 특정지역 서비스

23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5/11) ■ 상용 제품 일정
기지국 칩셋 및 단말 Vendor 삼성전자, LG전자, POSDATA, 오쏘트론 삼성전자, POSDATA, 오쏘트론, RunCom Schedule 2005년 말 2005년 말 ~ 2006 ■ : 부산 APEC 정상회담 장소 포함하여 이동성 포함한 WiBro 시연 ■ : 서울지역 부터 상용서비스 표준형 기지국 소형 기지국

24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6/11) 단말 제공 방안 도입기 성숙기 성장기 단말형태 단말 개발 Roadmap
Smart Phone 노트북 PDA 단말형태 도입기 단말 개발 Roadmap DBDM 휴대단말 WiBro+ WLAN WIBro+ DMB WiBro+ GPS 성숙기 성장기 ■ 이용자 층에 따른 다양한 단말 확보(카드 타입, Chip 내장 노트북, PDA, HPC형, 스마트폰 등) ■ 유무선 통합 환경을 고려한 전용 단말 개발(사용자 접근 및 이용이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 유사 서비스와의 결합을 고려한 단말 기획/제공(WLAN, CDMA, DMB 결합) 특화단말 - 개인/기업용 단말 - 지능형 융합 단말 - 서비스 전용 단말 WiBro 전용 휴대단말 DBDM휴대단말 (WiBro+ CDMA) TBTM 단말 WiBro + WLAN + CDMA WiBro+ CDMA+ DMB WiBro 전용 단말 -카드형,내장형 다중모드 단말 카드형,내장형 WiBro+ CDMA+GPS 등 One Chip 단말 제공 방안

25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7/11) ■ 초고속인터넷의 강점을 살려 멀티미디어/컨버전스형 Killer Applications 모델 개발 ■ 기존 서비스와 결합을 통해 소비자 이용편익 증대 및 수익창출 극대화 기존 인터넷 서비스 WiBro Killer Apps. 유선 서비스 정보검색, 등 Information 영화 VOD등 Entertainment 기타: e-Stock, e-Banking, e-Learning 핵심 서비스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High Quality 영상메일/메시징 Push형 서비스 그룹영상채팅, Ad & Coupon서비스 Game : IP기반의 다양한 네트워크 게임 LBS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 응용 서비스 IP Multicasting 서비스 고화질 VOD, 실시간 방송, 영화 진화/발전 멀티미디어화 컨버전스화 유무선 연계화 무선 서비스 단순문자메시지 (SMS) VOD, 단순 게임등 Entertainment e-Banking등 m-Commerce 결합서비스 Nespot 결합 서비스 CDMA 결합 서비스 DMB 결합 서비스 Megapass 결합 서비스 KT 기존 인프라 및 초고속 인터넷 축적 핵심기술 활용 유선(이동성요구) + 무선(광대역요구)  결합 서비스 기존 유무선 컨텐츠 + 인터넷 다양한 서비스  멀티미디어, 3D, 솔루션결합상품으로 Up-grade

26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8/11) Message based service
■ Messaging 서비스는 개인 및 기업고객에게 새로운 기회 제공 - 통신비 절감, 생산성의 증가, 새로운 수익 창출 등과 같은 Business Benefit 제공 ■ WiBro 초기의 유무선연동 Communication Tool로서 포지셔닝 ■ 이동통신 기반과 달리 WiBro망 이용시 이용료, 전송시간, 대역폭 등의 큰 부담 없이 MMS 이용 ■ 유무선 메신저 연동을 통한 Convergence 서비스화. ``` 유무선 통합포털 WiBro Client 유선 인터넷 Megapass Megapass Client KT WiBro (2.3GHz) 이동전화 무선 인터넷` ① 메신저를 이용하여 필요한 웹 Content 이용 ② 메신저를 이용하여 유선사용자와 Communicate ③ 메신저를 이용하여 무선사용자와 Communicate(MMS) Mobile Network CDMA Client

27 Location Based Service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9/11) Location Based Service ■ 무선 단말을 통한 사용자 위치와 주변정보 탐색이 GPS,GIS라면 사용자 주변정보를 기준으로 실질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휴대인터넷 LBS의 특징 ■ WiBro 기반 LBS는 콘텐츠 및 비즈니스 모델에서 이동통신 LBS에 비하여 우위 ■ WiBro의 차별성인 저렴한 비용을 최대한 활용한 멀티미디어 결합형 서비스 제공 시, WiBro 기반 LBS는 안정적 수익 창출 가능 분 야 이동통신 기반 LBS 휴대인터넷 기반 LBS 차별성 . 전국 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GPS나 지상파 LBS를 통한 정확한 위치추적 가능 . 위치관련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의 비용 우위 킬러 서비스 . 고속 이동환경에서 차량항법 서비스, 위치추적 . 차량항법, 위치추적 + 멀티미디어, 상거래의 결합형 고 부가가치형 서비스 핵심 고객 . [개인 고객] 일반 운전자 . [용도 시장] 택배 및 물류, 운수업 등으로 한정 . [개인고객] 운전자 -> Youth, 대학생, 20대 직장인 . [용도 시장] PDA 및 노트북을 활용, 위치기반 정보가 필요한 다양한 업종의 기업과 공공부문으로 확산가능 주수익원 . 이용횟수에 따른 요금 (월정액 또는 종량제) . 이용요금 + 멀티미디어 이용요금 + 상거래 수수료 비즈니스 모델 . 이용요금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 고객 이용요금 + 다양한 위치관련 광고주 확보에 따른 광고 수수료 12

28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10/11) Telematics Service
■ KT의 서비스 인프라와 결합한 통신망 연동을 통한 서비스 모델 확대 - 차량-개인단말-고객의 가정으로 연동되는 Seamless한 서비스 제공 - M-Commerce, Entertainment, Game 등으로 확대 → 고부가가치 Infotainment 모델 개발 안전/보안 서비스 (Safety & Security) 주행안내 서비스 (Navigation) 정보제공 서비스 (Internet)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Entertainment) . 자동 사고감지 및 긴급출동 . 긴급구난요청(SOS) . 사고대응(CAN) . 도난 감지 및 추적 서비스 . Turn by Turn Navigation . 위치안내(POI, LBS) . 경로탐색 . 교통정보 . 생활정보(날씨/뉴스/주식) . 여행정보/예약 . 웹 검색, 뉴스클리핑 . (Communication) . 음악(MP3, CD, DVD) . AOD/VOD(뮤직비디오,방송) . 게임(Mutiplayer, 비디오) CDMA 1x(EV-DO) Progress Broadband(WiBro) 2G/3G 셀룰러 WiBro(2.3GHz) GPS, DMB 지도 위치 교통 지도 정보 교통 정보 LBS 정보 CNS 안전 CRM 인터페이스 엔터테인먼트 LAN, 인터넷 상담센터

29 IV. WiBro 사업 추진계획 (11/11) KT의 WiBro 사업 추진일정
■ KT는 2005년 1월에 WiBro 사업권 획득 (사업계획서 심사결과 KT는 WiBro 1위 사업자로 선정됨) ■ KT는 2006년 4월로 예정된 상용서비스의 성공을 위하여 주도 면밀하게 사업을 추진 중 Q 시스템, 서비스 개발 Q 셀 설계, 기지국사 선정, 시스템/vendor 선정 평가 Q 계약, 시스템 확보 및 설치 Q 시스템, 플랫폼 설치 완료 시범서비스 상용서비스

30 감사합니다 !!


Download ppt "차 례 Ⅰ WiBro 서비스 개요 Ⅱ WiBro 기술개발 현황 Ⅲ WiBr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IV"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