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목 차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목 차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0 중소건설업체의 해외진출 현황 및 지원제도 해외건설협회 중소기업수주지원센터

1 목 차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목 차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4.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향후 전망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1. 중소건설업체 해외 진출 전략 2. 협회 지원 3. 향후 추진 계획 4. 회원사 혜택 1

2 I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해외건설촉진법 제1장 총칙 제2조 (정의)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해외건설촉진법 제1장 총칙 제2조 (정의) 해외공사 : 해외건설공사와 해외건설엔지니어링활동 해외건설공사 : 해외에서 시행되는 토목·건축·산업설비와 조경·전기·정보통신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공사 해외건설엔지니어링활동 : 해외건설공사에 관한 기획·타당성조사·설계·분석· 구매·조달·시험·감리·시운전·평가·자문·지도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활동 해외건설업 : 해외건설공사 또는 해외건설엔지니어링활동을 수행하는 사업

3 I 해외건설 공사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활동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해외건설촉진법시행령 제1장 총칙 제2조 및 3조 1.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4호의 규정에 의한 건설공사 해외건설 공사 2. 전기공사업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전기공사 3.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정보통신공사 1. 제2조의 규정에 의한 해외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 감리 · 타당성조사 · 설계 · 분석 · 구매 · 조달 · 시험 · 시운전 · 평가 · 자문 또는 지도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활동 2. 도시 및 지역계획의 수립 3. 지도의 제작 및 이를 위한 측량 등의 활동

4 ◈ 세계건설시장에서 당해국 건설업체가 아닌 외국건설업체에게 발주된 공사를 대상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 세계건설시장 중 해외건설시장 규모 ◈ 세계건설시장에서 당해국 건설업체가 아닌 외국건설업체에게 발주된 공사를 대상 - 그 비율은 시장 개방도로 표현 (6~7% 수준) : 매출기준 (단위 : 억불)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217 3,362 3,516 3,679 자료 : 해외건설협회 (해외건설 진흥계획 수립 연구) ◈ WTO체제와 함께 건설시장 개방의 가속화 ⇒ 해외건설시장 규모의 급속한 확대 전망 4

5 I ◈ 해외건설 연도별 수주 현황 (2009.5.22 현재)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 해외건설 연도별 수주 현황 ( 현재) (단위 : 억불) (단위 : 건) 목표 410 112 ′75 ′85 ′91 ′97 ′03` 개척기 중동 중심 조정기 아시아 중심 외환위기 산유국 중심 5

6 I ◈ 해외건설 수주 현황 (전체) ’08.12월 말 : 6,635건, 3,001억불 수주 (’08년 : 476억불)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1. 해외공사의 정의 및 해외건설 진출 현황 ◈ 해외건설 수주 현황 (전체) ’08.12월 말 : 6,635건, 3,001억불 수주 (’08년 : 476억불) - ′80년대는 중동, ′90년대는 아시아 지역이 주력시장 형성 - ′00년 이후 중동지역이 플랜트 건설을 중심으로 재부상 공종별로는 토목, 건축 위주에서 플랜트 공사 중심으로 전환 - 특히 ′00년 이후부터는 플랜트 건설이 주공종으로 부상 - ′05년 76%, ′06년 66%, ′07년 64%, ′08년 56% 외환위기 이후 대외신인도 저하 등으로 수주가 부진하였으나 - 신인도 개선, 중동시장 활성화 등으로 ′03년 이후 급상승세로 전환

7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 중소건설업체 해외건설 연도별 수주 현황 (최근 10년, 현재)

8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구 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누 계 비중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 중소건설업체 해외건설 공종별 수주 현황 ( 현재) (단위 : 억불) 구 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누 계 비중 토 목 79 2 3 18 20 5 127 31% 건 축 106 4 6 37 33 10 196 47% 산업설비 36 1 7 9 59 14% 전 기 17 4% 통 신 1% 용 역 11 3% 합 계 232 14 67 71 413 100% ※ 최근 전기공사 및 용역 증가추세 8

9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시사점
◈ 기업규모별 해외건설 수주 현황 (단위: 백만불) 년도 중소기업 대기업 수주 금액 업체수 업체당 수주액 02 377 43 8.8 5,848 27 216.6 03 276 55 5.0 3,446 31 111.2 04 426 74 5.8 7,163 39 183.7 05 915 95 9.6 10,102 42 240.5 06 1,335 132 10.1 15,475 46 336.4 07 6,700 228 29.4 33,871 61 555.3 08 7,118 303 23.5 41,858 76 550.8 증가율 (6년간) 1,888% 705% 267% 716% 281% 254% 시사점 지난 5년간 대기업은 산업설비가 70%에 육박하지만 중소기업은 건축 50%, 토목이 26%, 산업설비`13% 9

10 I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 해외건설 수주 – 중소기업 – 국가별 (1965~2009.5.2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 해외건설 수주 – 중소기업 – 국가별 (1965~ ) (단위 : 억불) 순위 2008년 전체누계 국가 수주액 1 카자흐 19.5 사우디 136.9 2 U.A.E 9.0 리비아 42.3 3 8.8 30.3 4 베트남 6.7 이라크 28.5 5 5.0 25.5 6 카타르 4.7 중국 17.6 7 3.1 쿠웨이트 17.5 8 태국 1.8 14.5 9 앙골라 11.6 10 알제리 1.5 인니 9.7 소계 61.9 334.4 순위 2008년 전체누계 국가 수주액 11 싱가포르 1.4 8.4 12 캄보디아 1.0 이란 6.0 13 탄자니아 0.8 요르단 4.6 14 쿠웨이트 0.6 필리핀 4.5 15 아프간 0.5 미국 4.3 16 몽골 앙골라 4.1 17 인도 말련 3.4 18 0.4 나이지리아 3.2 19 칠레 대만 기타 36.6 소계 9.3 78.0 합계 71.2 412.7

11 I `구 분 ~70년대 80년대 90년대 00년대 계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2.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 해외건설 수주 – 중소기업 - 연도별, 지역별 (1965~2009/04/30) (단위 : 억불) `구 분 ~70년대 80년대 90년대 00년대 중 동 74 84 19 105 282 아시아 3 6 24 76 109 기 타 1 2 7 12 22 78 92 50 193 413 ~80년대 90년대 00년대 중동 (93%) 아시아, 중동 (48% / 38%) 중동, 아시아 (54% / 39%)

12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공적 개발원조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중앙 및 지방 정부가 개발도상국 또는 국제기구에 공여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공적 개발원조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 및 복리증진에 기여가 주목적 이자율, 상환기간, 거치기간 : 시중 일반자금융자와 비교 차입국에 유리한 조건 DAC 회원국 가입 예정 경제 협력개발기구 (OECD)의 개발 원조위원회(DAC) 양허상 차관 (유상, 무상) : 증여율(Grant Element) 25% 이상

13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한국 ODA 실적 (2001- 2007)

14 I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우리나라의 ODA/GNI 비율 및 1인당 ODA 추이 (순지출 기준)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우리나라의 ODA/GNI 비율 및 1인당 ODA 추이 (순지출 기준) ※ DAC 회원국 평균은 0.33% 수준

15 I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 국가별 EDCF 지원실적 (총 45개국)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2008년말 현재) 순위 국가 승인액계 (억원) 개도국차관 해외투융자 건수 억원 백만불 비중 1 베트남 8,844 26 698.37 17.7% - 2 방글라데시 4,043 11 341.47 8.5% 3 스리랑카 3,889 19 365.27 8.2% 4 인도네시아 3,367 14 3,357 314.10 7.1% 10 5 캄보디아 2,536 8 219.25 5.3% 6 중국 2,336 22 236.10 4.9% 7 필리핀 1,681 1,674 172.19 3.5% 요르단 1,639 138.39 3.4% 9 앙골라 1,427 124.94 3.0% 우즈벡 1,240 107.00 2.6% 터키 1,131 95.00 2.4% 기타 15,484 72 1,462.00 33.4% 합 계 47,617 198 47,601 4,274.06 100% 16 2.14 15

16 I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 분야별 EDCF 지원실적 전체 (4.8조원) 2008년 (1.2조원)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 분야별 EDCF 지원실적 (2008년말 현재) 구분 승인액계 (억원) 개도국차관 교통 통신 에너지 수자원,위생 보건 교육 기타 1987년~2000년 13,343 3,466 2,536 2,171 1,484 1,610 766 1,311 2001년~2008년 34,258 10,237 2,326 2,922 7,197 3,717 3,300 4,558 합 계 47,601 13,703 4,862 5,093 8,681 5,327 4,066 5,869 전체 (4.8조원) 2008년 (1.2조원) 16

17 I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우리 기업의 MDB 수주율 ◈ MDB 발주사업 수주현황 구 분 WB ADB IDB EBRD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3. ODA 사업 해외진출 현황 ◈ MDB 발주사업 수주현황 우리 기업의 MDB 수주율 구 분 WB ADB IDB EBRD AfDB 본구매 (%) 1.20 2.93 0.00 0.51 컨설팅 0.34 우리 정부 출자비율 0.99 5.03 0.0022 1.017 0.448 신탁기금 출연액 (천미불) 30,000 20,000 140,000 1,500 7,000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18 I 주력시장이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 편중 신흥 에너지 자원 개발국에서는 SOC 투자사업 확대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4.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향후 전망 주력시장이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 편중 ’80년대-중동 => ’90년대-아시아 => ’00년대-아시아, 중동 신흥 에너지 자원 개발국에서는 SOC 투자사업 확대 도로, 철도, 공항, 항만, Oil & Gas의 Upstream 중동 산유국 중심의 플랜트 (정유, 담수, 발전) 주변 시설 확장 (발주 추세는 향후 4~5년 지속 예상) 아시아 투자개발형 PROJECT 참여기회 확대 MDB(World Bank, ADB 등) 지원사업 확대 EDCF 지원사업 확대

19 II 진출 국가 선정 및 진출 전략 수립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 자사의 경쟁력 진단 (해외진출 의지 및 수행능력 진단) - 적정 진출국가 선정 (발주 동향 파악 및 진출 장벽 분석) - 진출 방식의 결정 (현지업체와 동반진출 - 입찰 경쟁력 보완) 진출 국가 선정 및 진출 전략 수립 - ODA 자금 지원 프로젝트 참여 - 아시아 및 신흥 에너지 자원개발국가 - Package Deal에 의한 프로젝트 창출 - 소요 인프라 구축의 대가로 개발형사업 부지 확보

20 준비단계 사업확장단계 공동진출단계 단독진출단계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 - 발전단계 준비단계 진출가능 지역 선택과 집중 세부공종 선택과 집중 현지화 준비 계약관리 능력 배양 외국어 능력 배양 사업확장단계 원청수주로 확대 타 지역으로 사업확대 세부공종 확대 JV, 컨소시엄 수행 시도 공동진출단계 대기업을 통한 리스크 분배 해외현장 경험 축적 현지화 기반 구축 시장 인지도 축적 계약관리 능력 축적 단독진출단계 법인/지사 설립 현지업체와 네트워크 확보 시장인지도 확보 외국사 하청으로 확대 인근지역으로 사업확대 ※ 대·중소기업 공동진출이 단독진출에 비해 전체적으로 수익률 양호 20

21 II 개발형 공사 정부지원형 공사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공동진출 유형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공동진출 유형 개발형 공사 해외 SOC사업 : 신도시, 도로, 철도, 댐 금융기관 + 대기업 + 설계회사 + (중소건설회사) 공기업 + (금융기관) + 설계회사 + 시공사 시행사 + 설계회사 + 중소건설업체 정부지원형 공사 EDCF 자금 - 일반 중소건설업체가 진출할 수 있는 기회 -> 초기진출 활용 ADB, IBRD 등 - 한국 기여금 만큼 수주 -> 초기진출 활용 KOICA 자금 - 설계사가 F/S 또는 기본설계 후 대기업과 턴키 입찰 공동진출 21

22 II 현안 사항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 편중 (중소건설업체)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중동 및 아시아 지역에 편중 (중소건설업체) 년도 (%) - 해외건설 전문 인력의 부족 (전체) : '08. 말 기준. 8,850명 진출 (87국, 447개사, 1,253건 공사) => 향후 3년 약 3,000명 추가 소요. 현안 사항 - 역할분담을 통한 우리 기업간 연계 미흡 : 엔지니어링사, 시공사, 개발업체 (자원, 부동산) - 금융조달 여건의 미흡, 능력의 부족 - 이행성 보증 발급의 애로 (신규 진출업체) - 해외진출 우대정책 후퇴 (해외기술용역 실적확인 - 가점 축소)

23 I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ODA사업의 문제점 및 진출 확대 방안 문 제 점 진출 확대 방안 국제 경쟁력 부족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1.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 ODA사업의 문제점 및 진출 확대 방안 문 제 점 진출 확대 방안 국제 경쟁력 부족 전문가 전문성 공유 및 자문 제공 맞춤형 기술 협력 사업 개발 추진 사업 개발 리스크 증대 정부 지원 (매몰 비용 지원) 개도국 적용 프로그램 준비 부족 MDB 발주 사업 입찰 정보 시스템 구축 MDB 개발 이행 부족 MDB 및 수원국에 홍보 강화 MDB 및 수원국 평가 미흡 EDCF 와 협조 융자 연계, 구속성사업 발주

24 II http://www.icak.or.kr 2. 협회 지원 ◈ (1) 해외건설 종합정보 서비스 제공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2. 협회 지원 ◈ (1) 해외건설 종합정보 서비스 제공 ′95년 「해외건설 종합 D/B」구축 프로젝트 정보 : 150개국, 4,500여건 국별환경 : 45개국 개설(국별 90여개 항목) ㆍ건설관련제도, 공사수행환경, 진출절차, 시장전망 등 주요국 시장동향 : 진출국 정보원, 인터넷, 간행물, 대사관 제공 자료 등 해외건설통계 : 대외비 부분 제외하고 공개 주요인사, 선진건설업체, 국제금융기구 주요국별 자재/공사단가 ※ 재외공관 전용란 – 수주지원 네트워크 시스템

25 II 2. 협회 지원 ◈ (2) 시장개척자금 지원사업 지원사업의 대상 지원사업의 범위 (단위사업별 또는 포괄지원)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2. 협회 지원 ◈ (2) 시장개척자금 지원사업 지원사업의 대상 미 진출국 프로젝트 최근 5년간 수주실적 4억불 미만 국가의 프로젝트 ㆍ토목, 건축은 당해공종 수주실적 각각 2억불 미만 ㆍ2억불 이상 플랜트는 당해공종 5억불 미만 또는 10건 미만 지원사업의 범위 (단위사업별 또는 포괄지원) 타당성 조사 발주처 인사 초청 및 연수 현지 수주교섭 및 조사활동 지원금액의 범위 건당 한도액은 2억원 이내 지원비율은 총 사업 소요비용의 50% 이내(중소기업은 최대 80%) 지원 예산 03 : 5억원, ′04~′06 : 연간 10억원, ′07~′08 : 20억원, ′09 : 23억원

26 II 2. 협회 지원 ◈ (2) 시장개척자금 지원사업 – 중소기업 지원실적 구 분 계 2003년 2004년 2005년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2. 협회 지원 ◈ (2) 시장개척자금 지원사업 – 중소기업 지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 체 128.4 4.3 11.7 13.9 14.8 28.4 25.8 29.5 중소기업 77.3 1.2 4.8 5.5 7.7 18.7 17.3 22.1 비 중 60.2% 27.9% 41.0% 39.6% 52.0% 65.8% 67.1% 74.9% 26

27 중소ㆍ전문 건설업체 진출 상담(프로젝트 지원실)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2. 협회 지원 ◈ (3) 중소기업 수주 지원센터 운용 ′ 국토해양부 지원 하에 해외건설협회 내에 설치 중소ㆍ전문 건설업체 진출 상담(프로젝트 지원실) 일반 상담 (내부인력) ㆍ현지법인 설립절차 및 신고 ㆍ신시장개척지원자금 활용 ㆍ시장동향 등 진출국 상담 ㆍ해외공사 실적관련 ㆍ보증발급, 사업성평가 ㆍ공사수행단계별 상황보고 ㆍ기자재 반출입(무환반출) 확인 전문가 무료상담 (외부 자문위원) ㆍ계약/클레임/법률, 프로젝트 리스크. 보증/금융, 시장개척 및 F/S 등 분야별 자문위원 총 32인 위촉

28 II 2. 협회 지원 ◈ (3) 중소기업 수주 지원센터 운용 현지지원업무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현지 기술지원
ㆍ전문가 상담을 통해 자문을 받고있는 업체에서 동일한 사안으로 현지에서 자문위원의 기술지원을 필요로 하여 자문위원과 동행하여 출장시 자문위원 항공료 및 체제비의 50% 지원(500만원 한도) 현지법인 및 지사 설립지원 ㆍ진출국의 조세, 금융, 고용 등 제도와 관련된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현지 법률자문비용 지원(100만원 한도) 현지 기술시연회 개최 지원 ㆍ기술력이 우수한 중소업체가 현지에서 발주처 상대 기술시연회 개최시 홍보자료 제작, 통역, 차량 및 행사장 임대 등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300만원 한도) 28

29 II 2. 협회 지원 ◈ (3) 중소기업 수주 지원센터 운용 교육 훈련 사업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2. 협회 지원 ◈ (3) 중소기업 수주 지원센터 운용 교육 훈련 사업 해외건설 입문과정 해외건설 입찰, 계약, 금융 실무 과정 해외공사(수주) 성공 및 실패사례 설명회 신규 취업(예정)인력 실무 양성 과정 해외건설 관리자 전직·전환 취업과정 「해외건설공사 통합 리스크관리 시스템」구축 - 중소기업 전용「해외건설 종합정보 D/B」구축 - 「해외건설인재정보 D/B」구축 - 「해외건설기자재B2B D/B」구축 - 29

30 ′98. 03 : 보증 담보 해소를 위한 사업성 평가 시스템 발족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2. 협회 지원 ◈ (4) 해외공사 보증 발급 지원 ′ : 보증 담보 해소를 위한 사업성 평가 시스템 발족 ′ : 현재 249건, 247억불 상당 공사 보증 발급(보증금액 26억불) 수출보험공사 서울보증보험 금융기관 건설공제조합 업 체 해외건설협회 (프로젝트지원실) ⑤ 보증보험 인수통보 보증보험 인수의뢰 ④ (사업성평가서 첨부) Bond 발급신청 Bond 발급 지급보증 제공 지급보증 신청 - 보험미부보분(5%) - 대지급기간 이자 사업성평가 신청서제출 사업성평가 ② 의뢰 ③ 사업성평가 결과통보

31 II 3. 향후 추진 계획 CEO e-mail 서비스 실시 중소건설업체를 위한 정보 제공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3. 향후 추진 계획 CEO 서비스 실시 4/16 창간 매주 화요일 발송 중소건설업체를 위한 정보 제공 해외건설종합정보센터 운영 - 카자흐스탄 지부 설립 MDB 발주정보 수록 (한국수출입은행과 연계) 재외공관 수주지원 정보 제공 역할 분담을 통한 우리기업간 연계 강화 해외건설 Infra Fund 조성 - 해외 인프라 개발사업에 민·관협력 활성화 유도 - 규모 : 약 2조원 (’09년 : 50억, 10억은 타당성 조사 지원) 31

32 II 3. 향후 추진 계획 중소기업 현지지원업무 강화 시장개척 지원사업 확대 민간건설 협력외교 확대 해외건설 전문인력 양성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3. 향후 추진 계획 중소기업 현지지원업무 강화 중소기업수주지원센터 운영 - 현지기술지원, 현지법인 및 지사 설립 지원, 기술시연회 개최 지원 시장개척 지원사업 확대 초기 매몰비용 지원, 장기지원기능 강화 ’10년 억원까지 확대 추진 민간건설 협력외교 확대 시장개척단 파견 및 로드쇼 개최 현지 건설단체와의 MOU 체결 확대 해외건설 전문인력 양성 해외건설 관련 기본소양을 갖춘 인력의 배출 32

33 II 4. 회원사 혜택 대외 공신력 확보 해외건설종합정보 Data Base 서비스 협회 발간자료 우선 제공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4. 회원사 혜택 대외 공신력 확보 해외건설협회 가입으로 국내외 공신력 인정 ㆍ1976년 해외건설촉진법에 의거 설립된 유일한 해외건설지원 관련 단체 해외건설종합정보 Data Base 서비스 진출 유망 국가에 대한 국별 환경정보를 비롯한 프로젝트 발주 정보 등 제공 협회 발간자료 우선 제공 협회기관지(월간 해외건설, 격주간 WBB), 해외건설관련 각종 통계자료, 해외건설 연구조사보고서 등 대 정부 해외건설 정책 지원 건의 해외건설관련 제도, 진출국의 규제 등 회원사의 애로사항을 수렴하여 대정부 건의 및 정책 반영 33

34 II 4. 회원사 혜택 제반 수수료 절감 구 분 주 요 내 용 기성실적 확인 회비로 갈음(비회원사의 경우 별도 수수료 징수)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4. 회원사 혜택 제반 수수료 절감 구 분 주 요 내 용 기성실적 확인 회비로 갈음(비회원사의 경우 별도 수수료 징수) 실적증명 비회원사의 1/2 수준 수주실적 확인 면제 해외건설현장 인력고용확인서 무환반출 사업성 평가 비회원사의 2/3 수준 정부 포상추천 훈장, 표창 등 34

35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목 차 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현황 및 전망 II. 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전략 및 지원제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