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물, 똑똑하게 사용하려면? 비인초등학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물, 똑똑하게 사용하려면? 비인초등학교."— Presentation transcript:

1 물, 똑똑하게 사용하려면? 비인초등학교

2 차 례 물 부족의 현황 - 물! 부족하다고? 물 부족의 원인 - 왜 부족할까? 물 부족의 해결방안 1 - 과학기술로 해결할까?
차 례 물 부족의 현황 - 물! 부족하다고? 물 부족의 원인 - 왜 부족할까? 물 부족의 해결방안 1 - 과학기술로 해결할까? 물 부족의 해결방안 2- 우리도 해볼까? 물 부족의 해결방안 3 – 함께 실천해요 결론 및 느낀점 – 알게되었어요

3 Ⅰ. 물 부족 현황 1. 물 부족의 고통 10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맑은 물을 마시지 못해 고통을 겪고 있다.
26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물 부족으로 인해 공중위생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일부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 등에서 매년 1천400만 명에 달하는 어린이들이 맑은 물을 먹지 못하고, 씻지 못하는 환경 속에서 죽음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4 Ⅰ. 물 부족 현황 2. 국외 사례 아프리카는 동물들이 사용하는 웅덩이의 물을 생활용수나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프리카는 동물들이 사용하는 웅덩이의 물을 생활용수나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케냐의 이뇨뇨리 학생 300명 중 3분의 1정도가 물을 구하러 다니기 위해 아예 학교에 나오지 못한다.

5 Ⅰ. 물 부족 현황 3. 국내 사례 1)섬주민들의 물부족 2)태백시 가뭄
2011년 1월 군산시 무녀도 상수원은 갈라진 저수지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저수량이 적었다. 이에 40일 동안 취수가 중단되고 임시 저장한 지하수를 정수하여 닷새마다 제한 급수로 공급하였다. -SBS뉴스 2)태백시 가뭄 2009년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은 극심한 가뭄으로 식수난을 겪었고, 대구시에서 병 입 수돗물(350㎖) 2만 5000병을 공급해 주었다. –세계일보

6 Ⅰ. 물 부족 현황 4. 대한민국은 물 부족 국가 1)국민 1인당 연간 물 이용 가능 량
=평균 강수 중 하천으로 흘러 들어오는 양÷ 인구수 2)물 이용 분류 1인당 연간 물 이용 가능 량 분류 비고 1,000㎥미만 물기근국가 1,000㎥이상~1,700㎥미만 물 부족국가 한국 (약 1,550㎥ ) 1,700㎥이상 물풍요국가 국제 인구 활동 연구소 PAI(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7 Ⅱ. 물 부족 원인 1. 지구상 물의 분포 지구의 14억㎦의 물 가운데 바닷물은 97.5%
지구의 물 가운데 바닷물 을 뺀 나머지 2.5%가 담수인데 그 중에서 이용하기 어려운 빙하나 만년설 등을 빼면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총량의 1%정도만 이용가능

8 Ⅱ. 물 부족 원인 2.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징 국토의 약 65%가 산지 여름철 집중호우로 연중 강수량의 31%가 바다로
흘러가 버린다

9 Ⅱ. 물 부족 원인 3. 우리나라의 기후적 특징 연평균 강수량 우리나라 연간 강수량은 약 1,245㎜로,
세계 평균치인 연간 880㎜보다 1.4배 가량 많다. 1인당 연간 강수량 세계 평균 의 1/8 수준 2,591m³/년 정도이다. (19,635m³/년)

10 Ⅱ. 물 부족 원인 4. 물 소비 습관 우리나라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독일의 3배
프랑스(281L)와 영국(323L)보다 많이 사용한다.

11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1. 해수의 담수화 해수의 담수화란? 바닷물의 염분을 제거하여 담수로 바꾸어 주는 것
해수의 담수화 방법? 증류법, 역삼투법, 전기투석법

12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1. 해수의 담수화 증류법 바닷물을 가열해 바닷물에서 순수한 물만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이 증기를 차갑게 냉각시켜 다시 담수를 얻는 방식

13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1. 해수의 담수화 역삼투법
물은 통과시키지만 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통과시키지 않는 삼투막을 이용하여 바닷물의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역으로 가하여 소금을 걸러내는 방법

14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1. 해수의 담수화 전기투석법 -역삼투법과 비슷하나 전기를 이용하여 염분을 제거하는 방법
-바닷물처럼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에너지 소비량이 매우 높아진다.

15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2. 강변여과장치 흐르는 강 옆에 위치한 땅 속 모래층에서 깨끗한 물을 끌어올리는 방법

16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3. 중수도 설치 중수도란? 깨끗한 물 상수도와 더러운 물 하수도의 중간 사용되는 곳
장점 하수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강물을 깨끗하게 지킬 수 있다. 댐을 덜 만들어도 된다.

17 Ⅲ.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4. 빗물모으기 빗물 이용과정 : 집수→저류→침투→처리→활용 빗물이용의 구성요소
장점 홍수나 가뭄 등으로 인한 재난을 방지 하천이나 하수도로 흘러가지 않아 물 저장 가능 화장실 세정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으로 사용

18 Ⅳ. 우리들의 과학적 탐구 1. 바닷물을 민물로 바꿀 수 있을까? 증류법의 실험장치 꾸미기
50ml의 소금물을 가열하여 25ml의 증류수를 얻었다

19 Ⅳ. 우리들의 과학적 탐구 2. 강변의 대수층으로 이물질이 걸러질까? 모래와 자갈로 실험장치 꾸미기
모래와 자갈의 여과장치를 거친 후 흙탕물의 색이 연해지고 물에 떠 있던 물질들이 보이지 않았다.

20 Ⅳ. 생활 속 물절약 방법 1. 화장실에서 물을 절약하는 방법 6, 9리터급 변기를 설치한다.- 1인 45~50ℓ 절약
물을 채운 병이나 벽돌을 물탱크 안에 넣어 둔다. 대소변 버튼이 따로 있는 절수형 변기를 설치한다. -소변 세척 시 대변세척에 비해 30%물을 덜 쓰게 된다 물탱크 안에 ‘절수기’라는 양변기용 절수 부속을 설치한다. -기구가 알아서 대변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양의 물만 나오도록 함

21 Ⅳ. 생활 속 물절약 방법 2. 주방에서 물을 절약하는 방법 설거지통을 사용하면 60%이상 물절약 가능
수도꼭지의 끝은 샤워기 모양으로 최대유량 미리 조절해두기

22 Ⅳ. 생활 속 물절약 방법 3. 세탁실에서 물을 절약하는 방법 적절한 용량의 세탁기 선택 빨랫감은 모아서 한꺼번에 세탁
세탁기에 설정된 헹굼수로만

23 Ⅳ. 생활 속 물절약 방법 4. 욕실에서 물을 절약하는 방법 샤워시간을 절반으로 줄이기 절수형 샤워헤드 설치 레버잠그기

24 Ⅴ. 물절약 실험 1. 기름 묻은 페트리접시 닦기 A접시는 화장지로 기름기 제거 후 B접시는 바로 설거지 하기
휴지로 닦은후 설거지를 하면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었다.

25 Ⅴ. 물절약 실험 2. 양치컵 사용에 따른 물절약 실험 A학생은 양치컵 사용 B학생은 양치컵 미사용
양치컵을 사용하지 않으면 훨씬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

26 Ⅵ. 결론 및 느낀점 아낌없이 사용했던 물이 사실은 많이 부족한 자원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구상에 물이 많지만 실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전체 물의 양의1%이며, 담수로 바꾼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강변여과수나 중수도 설치로도 물을 얻을 수 있었지만 이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생활방식에 따라 물 사용량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소중한 물 자원을 아껴서 사용해야겠다.


Download ppt "물, 똑똑하게 사용하려면? 비인초등학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