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융합기술을 적용한 고품위 향장제품의 사업화 기반 구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융합기술을 적용한 고품위 향장제품의 사업화 기반 구축"— Presentation transcript:

1 융합기술을 적용한 고품위 향장제품의 사업화 기반 구축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융합기술을 적용한 고품위 향장제품의 사업화 기반 구축 총 사 업 기 간 : ~ (60 개월) 당해년도 사업기간 : ~ 주 관 기 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 화장품 산업 현황 기 본 현 황 (2003) □ 생산규모 : 3조 4천 370억원 (GDP대비 0.6%, 2004년)
□ 수출·수입 : 수출 1억 7천6백만불, 수입 5억 4천만불 (무역수지 △3억4천4백만불) □ 최근 국내기업의 인지도 향상, 한류 열풍에 등 힘입어 중국 등 동남아 시장으로 수출 급증 □ 관련업체 : 제조업체 350개, 수입업체 659개 □ 산업연관(전 산업평균대비): 부가가치율↑, 경제파급효과↑, 취업유발효과↓ □ 세계시장에서의 위치 : 9위(2.67%, 국내48억불/세계1,800억불) □ 국내 화장품 시장은 전부 개방되어 있어 세계적인 무한 경쟁 체제에 있음.

3 문화적 상품특성을 고려한「명품브랜드화」기반 조성
이슈 분석 - 한류와 화장품 브랜드인지도 제고 및 수출시장 개척의 기회 - 현 황 - 한류열풍 등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활용한 해외 홍보전략 개발 필요 목표시장에 대한 민간, 정부 차원의 교류 미흡 주요국 수출시장의 정보 및 해외박람회 참가 등의 지원부족 - 추진방향 - 전방위 지원체제 구축 문화적 상품특성을 고려한「명품브랜드화」기반 조성 수출가능품목 발굴 및 틈새시장 공략을 통한 수출확대 우수 화장품 개발을 위한 화장품 기초 기술 인프라 구축 ( NT•BT 융합기술, 피부과학] - 과제 추진 - + 세계 초일류 기업의 브랜드전략 벤치마킹 및 보급 수출 전략품목 발굴 및 차세대 일류상품 발굴, 지원 주요 수출국의 시장 및 통관정보 제공 해외시장 개척단의 파견 및 박람회 개최지원 확대 세계목표시장에 대한 민간, 정부차원의 교류 활성화 지원 우수 화장품 생산을 위한 과학적 성능 평가 시스템의 도입 + 우수 화장품 판매를 위한 세계적 신뢰 수준 브로셔 제작

4 경험 의존적 제품개발, 소재개발 체계적, 과학적 첨단 융합기술 응용 개발
제안 배경 감성적 판단 근거 피부가 부드러워 졌다. 피부가 윤이 난다. 피부가 수분을 먹고 있는 것 같다. 피부가 하얗게 되었다. NT+BT 과학적 측정 신뢰성 자료 확보 감성평가 피부투과 평가방법 다양화 신제형 개발 유효성분이 얼마나 침투하였나? 유효성의 안정성은 유지되었나? 세포의 활성은 얼마나 증대되었나? 효능평가 NT+BT 원료 개발 향장 제품의 과학화, 고브랜드화 기업 Know-how 기업 비밀 국내 화장품 업체 인프라 구축 희망 경험 의존적 제품개발, 소재개발 체계적, 과학적 첨단 융합기술 응용 개발 연간 매출액 30억 이하 기업 70%, 자체연구소 10% 미만

5 사업추진의 필요성 □ 국산 화장품의 품질이 기능 • 효과면에서 선진국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주된 요인
   - 신소재 개발 부진 - 안전성 및 효능, 효과의 전문측정기관 부족    - 기초피부과학(피부생리) 및 피부응용분야 연구 부진    - 감성지향적 아이덴티티 투영 부족 등을 지적 기술 디지털 TV 휴대폰 자동차 선진기업 시계 기반 구축 필요 국내기업 화장품 감성 자료: SERI ( ) □ 개발된 화장품의 성능 및 피부에서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가지고 있지 않음. -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식약청고시품목 외 특정 효능에 대한 실험법 등은 첨단 융합기술 인프라를 가진 선진외국기업에 서만 부분적 확립하여 실시하고 있어 국내기업이 벤치마킹하기엔 어려움. 예) 잠재적 시장성이 높은 신기능성(예, 아토피) 화장품제품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유효성 및 기초 피부과 학 관련 인프라 부족으로 제품판매에 필요한 신뢰성 있는 증빙 자료를 제시하기 어려움.

6 국내외 관련 현황 ○ 국내 화장품산업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7%이며, 이중 자체연구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10%정도 : 제품의 고브랜드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은 어려운 상황 ○ 국내와 해외를 비교시 가장 기술적으로 근접한 분야가 제형 개발 분야이며, 소재 개발이나 평가법 개발 분야에서는 국내의 기술이 세계 수준을 크게 뒤떨어져 있어 국내의 전체 화장품 분야의 평균 기술 개발 수준은 선진국의 약 50% 수준을 밑돎. ○ 현재 기능성화장품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전문 벤처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각 기업 제품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효능 평가 어려움 및 관련 전문가 부재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활용도가 낮은 편임. : 대기업의 경우에도 평가해야 할 대상 시제품 개수가 많아 상당수 외부에 용역을 주고 있음. ○ 세계적인 화장품회사에서는 신기능에 대한 자체 개발된 독자적인 안전성 및 유효성 시험법 보유. ○  화장품 산업의 최우량기업인 프랑스 로레알의 경우 화학, 생물학, 의학, 물리학, 독성학 등 30여 분야의 전문 연구원 2,500명의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에 매출액의 3%를 연구개발에 투자.      ⇒ 화장품 제품의 고브랜드화를 위한 신뢰성 데이터로 이용

7 최종 목표 화장품의 고브랜드화, 고품질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품의 감성 및 인체 특성의 객관적 자료 확보를 통한
기술력 향상과 수출경쟁력 확보 □ 화장품 소재/원료 특성 분석장비 구축  및 관련 공동기기 활용 인프라 구축    □ 화장품 시제품별 맞춤형 효능평가 시스템 구축    □ 제품의 감성적 성능 및 신기능 유효성 평가의 과학적 데이터 확립을 위한 첨단기기 구축    □ 화장품 기초과학 (피부기초 및 응용과학) 전문기기 및 전문가 인프라 구축 □ 제품성능의 세계적 신뢰수준 문서화를 통한 글로벌 제품으로의 서비스

8 최종 목표 향장 제품의 과학화, 고브랜드화 첨단 융합기술 적용 신소재 특성검사 기업 맞춤형 유효성 평가
신소재 특성 분석 제품별 맞춤형 유효성평가 기능별 효능평가 프로토콜 확립 피부과학 Infra 구축 감성의 과학화 데이터 확보 기초성분분석 연계 안전성시험 연계 CGMP시설 연계 선택적 피부흡수 화장품 고시 유효성 평가 후보물질 효능성분 피부흡습도 DDS 응용기술 신기능 유효성 평가 피부 효능시험 난용성 물질 가용화 피부구조분석 국내 천연물 해외 유효성분 나노운반체 신소재 특성검사 기업 맞춤형 유효성 평가 감성의 과학화, 피부과학 첨단 융합기술 적용

9 추진 체계 참여기관 주관기관 운영위원회 사업화 기반 지원팀 원료 특성 분석 지원팀 산업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한화장품협회
대한화장품학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효성 평가 지원팀 주관기관 피부과학 전문가 pool 산학연관 전문가 10명 피부과학 기초연구지원팀 운영위원회

10 추진전략 및 기대효과 ○ 산업계 수요 중심의 연구개발기반구축을 통한 시장 친화적 생산기술 지원체제 구축
    - 대기업 및 중소기업 회원사 확보 및 향후 회원사 확대 - 산학연 외부전문가의 검토와 검증을 통한 사업추진의 객관성 및 전문성 확보 ○ 관련 시설 및 기관 연계강화     - 산업계 요구사항 원스톱 처리체제 구축을 위한 화장품 관련시설연계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      (예: 기초성분분석-화학연구원, 안전성시험 연계-안전성 시험기관, CGMP 시설 연계 - 생기원 송도 등) ○ 국내 기술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 공동협력 연구체제 확보 및 확대 추진     - 연구협약 체결 등을 비롯한 해외 선진 연구소와의 국제 공동연구 체제 구축 ○ 기대효과 - 연구 인프라가 절대 부족한 영세중소기업 화장품제조업체의 고브랜드화 제품 개발 가능 - 새로운 유효성 평가 프로토콜의 확립을 통한 국제 표준 규격 획득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의 고품질 시제품 개발에 따른 화장품 업체의 신제품개발 촉진 동기부여 - 정밀화학산업의 고급기술 인프라보급에 따른 기존산업과 신산업 (NT/BT)의 융합발전

11 기반구축 관련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울대의대 동국대의대 한양대의대 의학계 화장품 관련업체 산업자원부 산업계 정부부처
유효성평가 프로토콜 피부과학 데이터 산업계 연구자금 지원 정부부처 제품화 결과활용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요업기술원 원자력연구소 천연물 연구소 KIST KRICT 대한화장품협회 대한화장품학회 한국공업화학회 응용 기술 - 소재 및 원료 특성 분석장비 구축  - 화장품 시제품의 맞춤형 효능평가 시스템 구축 - 피부과학 전문기기 및 전문가 인프라 구축 연구회 구축 연구소 관련 협회 국제공동 연구 기초 기술 Rice University (US) SUNY (US) Waseda (Japan) De Rennes University (France) Frankhoper (Germany) NRC (Canada) 인력 양성 Pilot plant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산업기술대학 CGMP 국제협력 기관 국내대학 기존 Infra 시화연구센터 파일롯 플랜트 송도연구센터 CGMP시설 안산연구센터


Download ppt "융합기술을 적용한 고품위 향장제품의 사업화 기반 구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