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고령친화산업 현황 및 정책과제 2007. 11.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고령친화산업 현황 및 정책과제 2007. 11."— Presentation transcript:

1 고령친화산업 현황 및 정책과제

2 목 차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고령친화산업의 현황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3 평균수명 증가 및 세계 최저수준 출산 등으로 인해
I.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가. 초고속 고령화 진행 추이 평균수명 증가 및 세계 최저수준 출산 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 진행 ’83 ’05 2.08 1.08 (명) ’80 87만명 44만명 절반 수준 4.53 합계출산율 (명) 3.47 2.83 1.67 1.60 1.65 1.47 1.30 1.17 1.19 1.16 1.08 출생아수 (만명) 88 87 66 64 56 50 49 48 101 72 44 '70 '75 '80 '85 '90 '95 '00 '01 '02 '03 '04 '05

4 I.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나. 사회 ∙ 경제적 여건 변화 수명 및 노인비중 증가 65∼74세 75세 이상
20년새 평균수명 세계최고 : ’83년)69.8세→’05년)78.6세(男75.1세, 女81.9세) 노인비중 증가 : ’95년) 5.9% -> ’00년)7.2% -> ’06년) 9.3%(456만명) ※전국 234개 시군구 중 초고령지역 : ’05년)63개(30%이상지역 14개) ’05 ’35 ’40 ’45 ’5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65∼74세 75세 이상 노인인구 (만명) 437 1,190 1,494 1,579 782 200 400 ’10 ’15 0.0 40.0 비율(%) 5.0 10.0 35.0 25.0 30.0 15.0 20.0 ’25 ’30 ’20 10.9% 12.9% 15.7% 19.9% 24.1% 32.0% 28.0% 34.7% 37.3% 9.3% 고령화율 75세이상 인구비율

5 I.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나. 사회 ∙ 경제적 여건 변화 노인부양부담 가중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노인부양부담 증가 - ’05년) 8.2명당 노인1명→’20년) 4.6명당 1명→’30년) 2.7명당 1명→’50년)1.4명당 1명 요양대상 노인증가 : ’05년) 53만명 → ’08년) 60만명 → ’20년) 95만명 전체 의료비 중 노인의료비 비중 : ’99년) 10.8% → ’04년) 22.9% - 설문조사 결과, 만성질환 보유(87%), 장기요양 필요(12%이상)

6 I.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나. 사회 ∙ 경제적 여건 변화 초혼연령 지연ㆍ 신생아수 감소
20대 여성 혼인율 : ’70년) 65% → ’80년) 60% → ’00년) 35% → ’04년) 31% ※사교육비 부담, 결혼관ㆍ자녀관 변화, 여성 고학력 및 경제활동 증가 등 신생아 수 급감소 : ’70년) 102만명 → ’00년) 64만명 → ’05년) 44만명 - 초등학생 수 : ’05년) 402만명 → ’15년) 278만명 → ’30년) 230만명

7 I.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나. 사회 ∙ 경제적 여건 변화 공공지출 증가 경제성장율 둔화
공공지출 중 노인지출 비중 : ’04년) 12.8% → ’20년) 32% → ’50년) 55% ※국민연금, 의료보험, 기초노령연금, 장기요양보험제도, 요양시설 확충 등 재정수지 악화로 경제성장율 둔화 : ’00년) 5% → ’20년) 3% → ’40년) 1.5% 자본시장의 변화 : 국민 총저축 감소 및 자본투자 위축

8 I. 인구구조의 고령화 실태 및 그 영향 나. 사회 ∙ 경제적 여건 변화 근로자 연령 상승 중·장년층 소비 증가 기타 분야
’94년) 31.3세→’04년) 38세 ※현대중공업(43세), 대우조선(42세), A사(50세 이상) 고령자 고용확대,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등 요구증대 노동 생산성 저하, 기업의 인건비 가중, 조직 활력 감퇴 등 중·장년층 소비 증가 40대 이상 카드소비 비중 : ’02년) 43% → ’05년) 54% - 특히, 50대 이상은 ’02년) 9.9% → ’06년) 18%로 대폭 상승 기타 분야 고령친화산업의 수요 증가 기대 : 노인관련 용품, 주택, 요양, 여가, 금융 등 교육체제 개편 : 학생수 감소 → 교원수 조정, 중·장년층 교육수요 증가 등 안보 위협 : 군 인적자원 감소 신·구세대간 갈등 표출 - 노인에 대한 부양 부담을 젊은 세대에 전가한다는 불만

9 II. 고령친화산업의 현황 가. 고령친화산업의 정의 및 대상 고령친화산업 □ 수요대상 □ 공급 분야
생물학적 노화 및 사회 ∙ 경제적 능력 저하를 보이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정신·육체적 건강 유지 ∙ 증진, 편익 향상, 안전 도모 등을 위하여 민간이 시장경쟁 원리(영리추구)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 인간적 삶을 영위하기 어려운 자(극빈 노인, 장애인 등)를 대상으로 인도적 차원에서 정부나 종교단체들이 행하는 비영리 구호활동인 「사회사업(사회복지사업)」과 구분 고령자(65세 이상) ;’06년 456만명 예비 고령자(베이비 붐 세대) ;약 900만명(’55년생~’63년생) □ 수요대상 □ 공급 분야 <생물학적 노화> 실버용품/요양/보건•의료/장묘 등 <사회 ∙ 경제적 능력 저하> 주거/ 자산관리/ 여가 ∙ 문화/ 교통/교육 등 고령친화산업 다품종 소량생산 중소기업에 적합 공익성과 수익성 병존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

10 II. 고령친화산업의 현황 나. 고령친화용품의 범위 고령친화제품 Ⓑ Ⓐ Ⓓ Ⓔ Ⓕ Ⓒ 재활보조기구
Ⓐ 욕창방지용구, 의류ㆍ신발, 이동변기, 간이변기, 기저귀, 목욕의자, 미끄럼방지용품, 이동욕조, 지팡이, 보행기, 특수자동차, 취사ㆍ식사 용구, 휴대용 경사로, 손잡이, 경보시스템, 레크레이션 용구, 독서보조기, 전화기, 신체운동훈련ㆍ치료용구, 자세변환용구 Ⓑ 고령자용 보행보조기, 문화 콘텐츠, 쑥 뜸 등 비교적 장애가 없거나 건강한 고령자 용품 Ⓒ 의지ㆍ 보조기(팔 의지 ㆍ보조기, 다리 의지 ㆍ보조기, 척추보조기 등), 장애인 전용품(점자혈압계, 목발, 전자 안내장치 등) Ⓓ u-health care 등 Ⓔ 휠체어, 스쿠터, 보청기, 침대, 혈압계, 체온계, 혈당계, 개인용 온열기, 저주파 자극기, 리프트 등 Ⓕ 인공호흡기, 산소호흡기, 복막투석장치 등 ※관련법규 : 장애인복지법, 의료기기법, 고령친화산업진흥법, 산업표준화법(KS. 단체표준),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전기용품안전관리법, 국민건강보험법 (장애인보장구 급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환자 급여),국가유공자예우 등에 관한 법률 의료기기

11 급속한 고령화는 우리에게 커다란 위기이자 새로운 수요 창출의 기회라는 양면성
II. 고령친화산업의 현황 다. 고령친화산업의 위협요인과 기회요인 급속한 고령화는 우리에게 커다란 위기이자 새로운 수요 창출의 기회라는 양면성 위협요인 기회요인 ○ 복지수요 증가에 따른 국가 재정부담 가중 ○ 노동생산성 저하 및 노동시장 구조개편 요구 ○ 제도적 뒷받침 부족 - 고령친화산업 표준화 등 미흡 ○ 고령친화산업의 수요기반 취약 - 영세성 및 시장 불투명으로 기업의 진출 주저 - 고령자의 인식부족 및 소비문화 미성숙 ○ 외국 판매, 유통업체의 본격 진출 ○ 고령자 수요층 증가 및 노인소득 향상 - 연금 및 보험수혜 증가, 노인일자리 확대 등 ○ 노인의료비 증가 및 건강 관심 증대 ○ 기업 등 민간 부문의 참여 분위기 성숙 ○ 노인복지시설(주거, 요양, 병원 등) 확충 ○ 거대 중국시장 : ’06년) 노인1.5억명(인구의 11%) ○ 베이비붐 세대 등장 : 실질적 노후대비 첫 세대 - 현 노년층과 차별화된 소비양태 및 실리위주 사고 (교육수준 및 구매력 高, 서구적·개인주의적 가치관 등)

12 미래 먹거리 창출과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가. 고령친화산업의 비전 및 추진전략 미래 먹거리 창출과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 고령친화산업의 선진강국 실현 비젼 2010년 고령친화산업 성장기 진입 (시장규모 : ’02년 6.4조원→’10년 30조원) 목표 고령친화산업의 차세대 성장동력화 시장성 확보 및 국제경쟁력 강화 공공성 증진으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 R&D 및 제조활성화 - 기술개발 및 클러스터 구축 - 관련협회 육성 품질 관리 - 표준화 및 우수제품 표시 - DB 구축 -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지정 구매 활성화 - 종합체험관 구축 - 공적급여 확대

13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나. 고령친화산업의 발전과정 ’08 연도 노인 비중 개화 시점 비전 및 정책 방향 제시 기 반
베이비붐세대 노인인구 편입 ’08 ’05 ’06 연도 ’07 노인 비중 10% 9% 12% ’20 14% ’10 ’18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국민 연금급여 확대 개화 시점 고령사회 진입 베이비붐세대 은퇴 1인당 국민소득 2만불 시대 전입 비전 정책 방향 제시 ※ 선진국의 경우, 산업의 본격적 성장기는 1인당 국민소득 2만불시점

14 ※일본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시책 사례 및 시사점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일본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시책 사례 및 시사점 정부가 견인차 역할 실버마켓 규모 노인복지 로드맵 계속적 마련 90조엔 골드플랜(1990 ~ 1999) 39조엔 신골드플랜(1995) 3배 성장 골드플랜21(2000 ~ 2004) [2001년] [2005년] ○ 골드플랜으로 노인복지와 ‘실버산업’육성을 동시에 추진 ○ 후생성 실버서비스진흥지도실 설치(1985) 및 사단법인 「실버서비스 진흥회」설립(1987) ○ 1993년 법 / 제도 정비로 복지용구실용화 개발비용 지원 ○ 공적개호보험제도 실시 이후 특히 요양 및 용품 · 기기 산업 급성장 ○ 개호보험제도 개혁(경증 요양대상 대폭 감축 → 예방체제로 전환) 걸음마단계에 머물고 있는 고령친화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강력한 모티브 제공과 민간의 적극 참여유도가 관건 (구동엔진 : 정부 + 민간)

15 재경부, 교육부, 법무부, 행자부, 문화부, 농림부, 산자부, 복지부, 노동부, 여가부, 건교부, 예산처장관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① : 저출산ㆍ고령화 추진체계 정비 및 법적기반 마련 ⁇ 주기능 : 저출산•고령사회 주요정책의 심의, 조정 및 평가 - 고령친화산업 등 4개 전문위원회 및 고령친화산업팀 등 신설 ▣ 대통령 직속 「저출산ㆍ고령사회위원회」발족(’ ) ▣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 제정(’ 시행) 대통령 재경부, 교육부, 법무부, 행자부, 문화부, 농림부, 산자부, 복지부, 노동부, 여가부, 건교부, 예산처장관 민간위원 12인 저출산고령사회정책본부 정책총괄관 노인정책관 인구아동정책관

16 다. 세부과제 ① : 저출산ㆍ고령화 추진체계 정비 및 법적기반 마련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① : 저출산ㆍ고령화 추진체계 정비 및 법적기반 마련 고령친화산업진흥법 제정(’ 시행) 고령친화산업의 발전기반 조성을 위한 지원 • 육성 - 고령친화 연구개발 장려, 표준화 추진, 국제협력 강화, 산업화 지원센터 설립 - 우수제품 및 우수사업자에 대한 지정ㆍ표시제 도입 - 고령친화산업 발전 기본계획 및 세부계획의 수립 및 추진

17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② : 기술개발 및 클러스터 구축 Road Map 단계별 추진 전략
준비단계(’05-’07년) 활성화단계(’08-’09년) 해외진출단계(’10년-) 발전방안 제시 제도 및 규정 정비 표준화 기반 조성 종합체험관 운영 제품상용화, R&D 촉진 표준화(규격)의 본격 확대 국제경쟁력 확보 고부가가치화∙고기능화 국제표준 선도 단계별 추진 전략 시장 Needs 기술성 Feasibility 단기 기술개발 과제 수요조사를 통해 단기 상용화 용이한 단순 기능부가 제품 개발 우선 추진 다목적 전동침대, 다기능 실내외 이동장치, 실내이동 및 입욕겸용 리프트 노인용 콘텐츠, 원격경보(행동 모니터링 및 응급호출) 시스템, 노인질환 예방기술 정보통신 보조기기, 한방관련 약제∙화장품, 의료(진단) 기기 중ㆍ장기 기술개발 과제 기술 파급효과가 크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능성 제품 - 다생체기능 모니터링시스템, 주거환경지원시스템, 원격진단∙진료 건강 정보시스템 지능형 운동치료∙운동기능 증진시스템, 지능형 신체기능 지원시스템 지능형 특수전동 휠체어, 만성통증환자 치료기, 인체 감각형 체질 진단기기 인간기능 지능로봇, 노화 및 수명조절 유전자 연구 등 기술개발시 ‘UD(Universal Design)’ 개념 도입, 보편성, 편익성 증진

18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② : 기술개발 및 클러스터 구축
UD란 “노인이 편리하면 모든 사람이 편리하다(Design for all)”라는 취지에서 노인의 선호(편리성과 안전성)를 우선 고려하여 개발한 범용성 있는 기준으로 EU 등 선진국에서는 고령친화제품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보도턱을 제거한 도로 노인이 사용하기 편리한 욕실 문턱을 제거한 현관

19 산업클러스터 구축 및 Star Company 육성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② : 기술개발 및 클러스터 구축 ⁇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개발, 기술지도, 인력양성, 장비활용, 마케팅 등 복합 지원 - 지역 전략사업과 연계한 고령친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RIS 사업 등) - 고령친화용품 산업화지원센터 기능 강화(부산산업화지원센타 등) ⁇ 국제경쟁력이 있는 유망업체를 발굴, 타업체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모범사례로 제시 산업클러스터 구축 및 Star Company 육성 ▣ 세계적 수준의 Star Company 육성 우수제품 전시기회 확대 ⁇ 국내 개최 국제박람회 규모 확대 및 내실화 ⁇ 국내 기업의 해외박람회 참가 적극 유도로 해외 마케팅 전략 강구 ※日) 동경, 오사카 獨) Düsseldorf, 美) Atlanta 등

20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③ : 표준화 및 우수제품 표시 제품(서비스) 표준 확대 우수 제품(서비스)
※국내 고령자배려 표준규격 절대부족 고령자 ∙ 장애인 복지표준화 종합계획으로 국가표준(KS)등 제정 추진 용품, 주택 등 산업수요가 큰 품목부터 단계적으로 표준화 (매년 5개 이상 규격 제정) 국제표준 활동 (ISO기술위원회 등) 에 적극 참여 및 대응 ※ 일본은 ‘고령자ㆍ장애자 배려 표준 작성지침’을 마련하여 국제 표준화 주도 한∙중∙일 표준협력회의 (일명 S-Dialogue) 활성화 동북아 3국의 표준협력 및 국제표준에 대응(20여개 사안 중 노인ㆍ장애인 표준 논의중) 우수 제품(서비스) 표시제 도입 우수 제품(서비스) 및 사업자에 대한 표시제도 도입 우수실버마크 부여로 시장 신뢰성 확보 고령자 배려요인 ※Barrier-Free 꽉 잠긴 병뚜껑이 잘 안 열린다 가전제품의 조작이 어렵다 수납장이 높아 물건을 내리기 힘들다 가사가 중노동이다

21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④ : 종합체험관 구축
고령친화제품(서비스)을 종합 전시∙체험하고, 각종 정보(지식) 제공 공간을 구축, 고령친화산업 수요진작에 기폭제 역할 ⁇ 대내외 여건개선으로 고령친화산업의 성장여력은 충분 ⁇ 국내 종합 전시ㆍ체험관 부재로 고령친화산업 발전에 한계 - 일본 등 선진국은 체험관을 수요창출에 역점 * 일본은 전국 116개 체험관 운영 중 - 국내에 체험관이 전무하여 고령친화제품 수요 활성화에 역부족 건립 필요성 ※일본 오사카 “ATC Ageless Center” 전시실

22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④ : 종합체험관 구축 추진개요 구축내용 기대효과
⁇ 대상지역 : 성남, 대구 2개 지역 ⁇ 예산확보(국비기준) : 2개소 총150억원 계획(’07~’12) - 정부 및 지방비 Matching으로 총사업비는 개소당 300억원 이상 추진개요 ⁇ 제품의 전시 및 직접 체험(노인신체특성, 편익성과 안전성, 생활환경 등) ⁇ 각종 노인관련 정보(제조, 요양, 주거, 문화/관광, 자산관리 등) 제공 ⁇ 간소 진단(혈당, 혈압, 신체기능 체크 등), 기술개발 교류ㆍ네트워킹, 마케팅 등 구축내용 ⁇ 고령친화제품(서비스) 인식확산·홍보·마케팅 및 기술개발의 거점(Hub) ⁇ 학습ㆍ교육 장소(학생, 노인, 일반인, 전문종사자) 및 관광 명소화 기대효과

23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④ : 종합체험관 구축 종합체험관 전시실 구성(안) 정보거점 전시기능 체험기능
교육 훈련 기업지원 지역연계 보급확산 - 거주공간별 품목분류별 테크노하우스 기획전시 - 산업육성 사용성평가 마케팅 지원 개발기업입주 -산업정보 QOL 정보 기업교류 -생애체험 Barrier Free 체험 - 일반일 교육 전문종사자 교육 -강좌 기본진료 커뮤니티 -현장판매 판매알선 상담지원 핵심기능 부가기능

24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 급여대상 : 중증요양노인(1-3등급) 중 재가서비스 대상자 ※ 1-3등급은 노인의 약 3% 추정 ⁇ 급여한도액 : 100만원 내외(공적급여 85%, 본인부담 15%) ※ 재가서비스 :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기타 재가 ⁇ 공급품목 : 15개 품목 내외 (대여와 판매 병행) ⁇ 동 제도 시행에 앞서 시범사업 실시 중 (’06.11~ ) ○ 3개지역(부산북구, 수원ㆍ광주남구)에 지역당 4개 사업소 개설 ○ 판매 : 목욕의자, 간이 변기 등 / 판매 또는 대여 : 휠체어, 침대, 욕창방지용품 등 ○ 급여한도액 : 90만원 ▣ ’08.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사업에 포함

25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시범사업 구입 전용품목(7품목) 이동형 좌변기
- 비교적 저렴한 품목 - 타인이 재사용하기에 저항감을 가질 수 있는 품목 수발대상자의 용변 해소 이동형 좌변기 입욕시의 자세 유지 목욕의자 노인 스스로 보행이 가능하도록 보조 보행보조기

26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안전 손잡이 자세 유지 및 안전사고 방지
휴대용 배변기 수발대상자의 용변 해소 미끄러짐을 미연에 방지 보행시의 자세 보조 미끄럼 방지용품 지팡이

27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시범사업 구입·대여 품목(7품목)
- 비교적 고가의 품목 - 소독 등을 통해 타인이 재사용하는 데 큰 문제가 없는 품목 스스로 보행이 곤란한 수발대상자가 이용 휠체어(수동형) 수발시 일어서는 동작을 보조하여 부상을 방지 전동형 침대

28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수동형 침대 욕창방지매트리스 욕창방지방석
수발시 일어서는 동작을 보조하여 부상을 방지 수동형 침대 체중을 분산하고 통풍을 원활히 하여 욕창 방지 욕창방지매트리스 장시간 앉아있거나 휠체어를 이용할 경우 욕창 방지 욕창방지방석

29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이동 욕조 목욕 리프트 침대 위, 거실 등에서
편리하게 목욕 실시 이동 욕조 입욕시 높낮이 조절 및 자세 유지 목욕 리프트

30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⑤ : 고령친화용품 공적급여 확대 ▣ 기대효과
복지용구 이용절차 급여 대상자가 사업소 방문, 복지용구 구입ㆍ대여 (본인부담금 15% 지불) 사업자의 급여비용 청구 (보험자 부담금 85%) 급여비용 심사ㆍ지급 (공단 -> 사업자) 한도액 초과 이용시 사후정산 실시 ⁇ 고령친화용품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수요 진작의 계기를 마련 ⁇ 장기요양 대상(치매 등 중증환자) 노인에게 편익 제공 및 노인의 삶의 질 향상 ▣ 기대효과 ▣ 향후 추진과제 (본격 제도도입에 앞서 사전준비) ⁇ 품질관리 및 서비스 전달체계 정립, 제품분류 적정화 및 코드화, 제품규격 확대 및 우수제품 표시제도 도입, 소독지침 마련, 공정한 유통질서 확립, 전문요원 양성교육 program 제시

31 다. 세부과제 ⑥ : 기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여건 조성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⑥ : 기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여건 조성 ⁇ D/B 대상분야 : 노인관련용품(제조업) 중심으로, 요양, 주거, 여가, 자산관리 등 ⁇ 산·학·연 간 지식·정보 교류 증대 및 업무협력 시스템 강화 ▣ D/B 구축 및 인적·물적 Networking ⁇ 생산업체·품목 및 시장규모에 대한 실태조사, 이를 시책자료로 활용 ⁇ 고령친화용품의 정의·범위·분류체계 정비 및 체계적 정립 ▣ 고령친화용품에 대한 시장조사 및 분류 적정화 ▣ 사업자단체(협회 등) 및 기관(센터, 연구원 등)의 활성화 여건 조성 ⁇ 신문, TV 등 각종 홍보매체에 적극 참여 ⁇ 간담회, 워크샵, 포럼 등의 활성화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 제고 ▣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공감대 확산 ⁇ 우수제품 권장 및 우선 구매제도 검토, 기술개발사업 참여폭 확대 등 ▣ 우수 제품 신규개발 및 사업화 품목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32 고령친화산업의 시장성, 성장가능성, 경쟁력 등을 감안, 6대 분야에 전략부문 발굴
III. 고령친화산업의 정책과제 다. 세부과제 ⑦ : 고령친화산업의 전략과제 발굴 및 육성 고령친화산업의 시장성, 성장가능성, 경쟁력 등을 감안, 6대 분야에 전략부문 발굴 제조 보행기, 배변기, 실내외 이동기기, u-Health 등 고령친화용품 ※ 노인에게 편리하고 유익하며 안전하고 다양한 제품 제공 역모기지, 자산관리, 보험, 컨설팅 등 ※ 역모기지(’07.7 도입), PB 노인상담 강화, 효도자산상품 개발 등 금융 노인복지주택, 주택 신ㆍ개축, 임대주택, 소규모 그룹홈 등 ※ 실버타운의 활성화 여건 조성(실버타운의 유인책 제공 등) 주 택 노인요양시설 및 서비스(간병ㆍ수발, 목욕, 간호, 가사지원) ※ 치매 등 장기요양 환자에게 편안한 시설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 요 양 휴양, 취미, 여행, 오락, 체육 등 ※ 휴양단지,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ㆍ서비스, 실버관광, 노인건강운동, 동호회 등 여 가 교통, 의류, 교육, 장례 등 ※ 저상버스, 교통체계(신호등, 보도턱 등), 중장년층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등 기 타


Download ppt "고령친화산업 현황 및 정책과제 2007. 11."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