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12주 어린이의 운동처방법 건강생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12주 어린이의 운동처방법 건강생활."—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12주 어린이의 운동처방법 건강생활

2 학 습 목 표 어린이의 특성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어린이의 골격계, 신경계, 근육계, 심폐계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체력관리의 필요성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4. 어린이의 근력과 근지구력 그리고 생리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건강생활

3 어린이의 특성 다양한 형태의 운동에도 참여할 수 있으며 운동유형에 따라서는 성인 수준의 탁월한 기능까지도 습득할 수 있다.
어린이는 호기심과 모험심이 강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욕구가 강하다. 다양한 형태의 운동에도 참여할 수 있으며 운동유형에 따라서는 성인 수준의 탁월한 기능까지도 습득할 수 있다. 건강생활

4 골격계의 발달 어린이의 뼈조직은 부드럽고, 유연하며, 상처나 충격에 대한 회복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너무 심한 타격이나 과도한 중량을 관절에 가하는 경우는 피해야 한다. 건강생활

5 신경계의 발달 뇌의 기능은 3-4세경에 매우 빠른 발달을 보이는데, 8세경이면 뇌의 크기는 성인 수준에 달하고, 6세경의 뇌의 중량은 성인의 약 90%에 달하게 되며, 12세 경에 이르면 약 95% 정도로 성장하게 된다. 건강생활

6 어린이의 뇌 특성 어린이는 신경계의 중추를 이루고 있는 뇌는 대뇌와 소뇌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대뇌는 정보기능을 통제하고, 소뇌는 자세를 통제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건강생활

7 유아기에는 대뇌보다 소외의 발달이 현저하며 운동반응의 잠재력이 크게 증가한다.
어린이와 유아의 특성   유아기에는 대뇌보다 소외의 발달이 현저하며 운동반응의 잠재력이 크게 증가한다. 건강생활

8 근육계의 발달 근육조직의 성장은 5세 내지 6세에 시작되지만, 7세부터 11세나 12세까지 점진적이고 계속적인 성장을 보이며, 12세가 되면 정상적인 어린이의 경우 6세때 근육조직의 2배 정도까지 성장한다. 신체발달의 측면에서 보면 5세나 12세 사이에는 대체로 남아가 여아보다 빠른 발달을 보인다. 건강생활

9 심폐계의 발달 성장과정에 따른 연령, 심박수, 호흡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심박수와 호흡수의 비율은 5세를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낮아지기 시작하여, 9세가 되면 심박수는 1분에 90회 정도가 된다. 이 때의 호흡수는 대략 1분에 20회 정도이다. 건강생활

10 운동기능의 발달 어린이의 운동기능은 공통적인 발달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6세 이전까지의 단계이다. 이 시기에선 모든 기본적이며 기초적인 운동기능의 습득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단계는 7세에서 9세까지의 단계로 이 시기에서는 기본적인 운동기능의 조화와 협응이 이루어진다. 건강생활

11 근력과 근지구력 또한 근력과 근지구력이 강하면 용기와 자신감, 그리고 적극적이고 활기찬 생활태도가 함양된다.
근력과 근지구력은 어린이에게 강인한 힘을 길러주며 균형 잡힌 체격을 만들어 준다. 또한 근력과 근지구력이 강하면 용기와 자신감, 그리고 적극적이고 활기찬 생활태도가 함양된다. 건강생활

12 생리적 특성 어린이는 여러 가지의 격렬한 지구성의 활동을 극복해 낼 수는 있지만, 그들은 단조로운 장기간의 활동보다는 매우 다양하고 흥미있는 짧은 간헐적 활동을 좋아한다. 건강생활

13 생리적 특성 어린이들은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인 관점으로 볼 때 운동 사이사이에 짧은 휴식시간이 있는 단시간의 반복성 운동이 적합할 것이다. 생리적 관점으로 볼 때 어린이들에게 가장 알맞은 운동형태는 10-90초간을 지속하는 높은 강도의 활동이다. 건강생활

14 체력관리의 필요성 아동의 체력이 약화된다는 것은 곧 건강이 나빠짐을 의미하는 것이며, 병에 전염될 가능성이 크고, 심할 경우 생명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체력이 왕성한 아동은 외모로 보아도 매우 튼튼해 보인다. 건강생활

15 체력관리의 필요성 체력이 약한 아동은 외모가 볼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매우 위험하다는 사실이다. 건강생활

16 다음 시간 수업내용 제13주 여성의 운동처방 건강생활


Download ppt "제12주 어린이의 운동처방법 건강생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