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역학조사관의 역할 경기도 보건위생정책과 역학조사관 임 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역학조사관의 역할 경기도 보건위생정책과 역학조사관 임 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역학조사관의 역할 경기도 보건위생정책과 역학조사관 임 수

2 역학(疫學)조사관 (Epidemic Intelligence Service Officer)
임무: 전염병의 원인 규명, 환자 관리, 전파 차단을 위한 방역 조치 잘못된 인식 力學 ? 易學 ? 歷史 조사관 ? 먼저 역학조사관이란 명칭에 대해 생소하실 것 같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역학조사관의 임무는 전염병의 원인 규명, 환자 관리, 전파 차단을 위한 방역 조치를 수행하는 일종의 질병 탐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역학조사를 하면서 가장 힘든 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역학조사관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친구들은 힘 역자 역학인 줄 알고 전공을 언제 바꿨느냐고 물었고, 일반 사람들은 흔히들 점을 보는 역술가로 오인하였습니다. 드물게는 역사 history를 조사하러 다니는 사학자로 오인되기도 하였습니다.

3 역학조사관 선발방법 군대 군대 훈련기간 훈련기간 중 중 ( ( 장교자원 장교자원 ) ) 또는 또는 후 후 ( ( 사병자원
제도 제도 설명회 설명회 전염병관리 전염병관리 역학에 역학에 관심있는 관심있는 자원자 자원자 모집 모집 국립보건원 국립보건원 인선위원회에서 인선위원회에서 서류심사 서류심사 직무교육평가 직무교육평가 시도배치 시도배치 결정 결정 ( ( 시도배치에 시도배치에 우선권은 우선권은 없음 없음 ) ) 시군배치시 시군배치시 자원자 자원자 선발된 선발된 사람 사람 우선 우선 선발 선발 정원 정원 미달시 미달시 자원자 자원자 중에서 중에서 추가 추가 선발 선발

4 역학 조사관 지원 동기 의사로서 특별하고 의미 있는 경험 공공기관의 업무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
세계보건기구/미국 CDC등 국제기구와의 교류 현지역학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 ! 국제학회 발표 기회(TEPHINET)

5 목차 역학조사관 제도의 개요 추진경과 역학조사관 현황 역학조사관 직무 역학조사관 교육, 훈련

6 역학조사관 제도의 개요 국가의 전염병 관리 필요성 증가 과거에 사라졌던 전염병의 재등장:말라리아
신종전염병의 등장 : 에이즈, 에볼라 바이러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SARS 등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 국가의 전염병 관리 필요성 증가 현장경험이 풍부한 현지역학전문인력 필요 세계각국의 동향 : FETP (Fi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개발 및 운영 -중국: 2001년부터 미국CDC지원으로 역학조사전문가과정 운영 태국: 11년 전부터 역학조사 전문가 과정개발 일본: 1996년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유행 후 역학조사 전문가과정 개발운영

7 추진 경과 (1) 1999 : 신종, 재출현 전염병 대비 정책연구로 전염병 전문가 양성 및 전염병 관리요원의 개발 연구사업
1999 : 신종, 재출현 전염병 대비 정책연구로 전염병 전문가 양성 및 전염병 관리요원의 개발 연구사업 : 역학조사관 선발계획 수립 : 16개 시도 위탁교육기관 선정 :역학조사관 교육훈련 계획 수립 및 교육내용 개발 : 제1차 역학조사관 모집 및 기본전문교육실시 : 전염병예방법 시행령 개정으로 역학조사관 법적 근거 마련

8 추진 경과 (2) 2001.3 : 미국 CDC의 FETP 교육과정 담당자 초청 및 자문 : 우리나라 FETP 평가
: 제2차 역학조사관 모집 및 기본교육 실시 : 역학조사관 교육훈련계획 수립 및 교육내용 개발 : 제3차 역학조사관 모집 및 기본교육 실시 2003년 2월 : 역학조사관제도 평가 및 발전 워크샵 : 제4차 역학조사관 모집 및 기본교육 실시

9 년도별 역학조사관 배치현황 ( )는 국립보건원 근무자수임
년도별 역학조사관 배치현황 ( )는 국립보건원 근무자수임 구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시범 운영기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 수료자수(명) 19 20 10 23 12 근무자수(명) 19(4) 22(6) 26(9) 35(12) 34(13)

10 2002년 기본교육 수강현황

11 ‘03년 역학조사관 세부배치내역 부서명 정원 역할 전염병관리부 사무국 2명 역학조사관 활동 지도 및 기본교육 계획 수립
역학조사과 3명 전염병 역학조사전반 전염병정보관리과 전염병 신고 보고 및 표본감시 전반 세균부 장내세균과 1명 음식물매개질환 역학조사 리케치아과 급성열성질환 내성세균과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병원감염 바이러스부 소화기바이러스과 간염(ABC형) 및 두창 호흡기바이러스과 호흡기매개전염병(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인플루엔자 등) 면역결핍연구실 AIDS 및 성병 국립보건원 13명 16개시도 보건과 22명 합계 34명 전체 역학조사관의 소속은 역학조사과임

12 역학조사관의 직무 (1) 가. 역학조사 시도 전염병 역학조사반 참여 및 역학조사 시도 역학조사 필요성 판단
시도 역학조사의 필요성이 있을시 방역관과 협의하여 시도 역학조사반이 출동하여 역학조사 수행 해당 시군에 방역조치 건의 역학조사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국립보건원에 보고 해당 시군구 보건소에 환류 생물테러 의심상황 또는 환자발생시 중앙역학조사반과 합동역학조사 수행

13 역학조사관의 직무 (2) 2. 예방접종 이상반응 역학조사 - 시.도 역학조사의 필요성 검토
- 시.도 역학조사 필요성이 있을시 방역관과 협의하여 시 . 도 역학조사반이 출동 역학조사 수행 - 역학조사결과보고서 작성후 국립보건원에 보고하고, 해당 시. 군. 구 보건소 환류

14 역학조사관 직무 (3) 나. 전염병 감시 1. 법정전염병 보고 시.군.구 보건소 전염병발생 보고내용 검토 - 국립보건원 보고
- 보고내용이 미흡할 경우 보건소에 재조사 지시 - 전염병 발생 자료 분석 - 전염병 유행발생 여부를 파악 - 전염병유행이 의심되는 경우는 역학조사 수행여부를 결정

15 역학조사관 직무 (4) 2.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보고 시.군.구 보건소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보고내용 검토 -국립보건원에 보고
2.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보고 시.군.구 보건소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보고내용 검토 -국립보건원에 보고 -보고내용이 미흡한 경우는 보건소에 재조사 지시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자료 분석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발생의 집적성 여부를 파악 -국가보상제도 기준 합당 사례나 이상반응의 집적 발생이 있는 경우는 역학조사를 지시

16 역학조사관 직무 (5) 3. 표본감시 결과 보고 (예: B형간염, 인플루엔자) 시.군.구 보건소 표본감시결과 보고내용 검토
- 국립보건원에 보고 - 보고내용이 미흡한 경우는 보건소에 재조사를 지시 표본감시 결과 분석 표본감시 체계 평가

17 역학조사관 직무 (6) 다. 시도(시.군.구) 전염병 예방에 대한 교육 및 홍보활동 지원
지방자치단체 전염병관리 담당자 교육 및 훈련 지역의사회, 약사회, 양호교사 등 보건의료 관련 인력 교육 및 훈련 전염병관련 교육 및 홍보사업 지원 라. 시.군.구 보건당국 전염병 예방 및 관리활동 지원 시.군.구 보건소 전염병관리사업 지도. 점검 사.군.구 보건소 전염병관리 담당자 교육 시.군.구 보건소 전염병관련 교육 및 훈련업무 지원 시.군.구 역학조사 활동지원 마.전염병 연구사업 참여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연구사업 참여 지역사회 토착전염병 연구사업 참여

18 역학조사관 직무 (7) 2. 국립보건원 역학조사관 직무 가. 유행시 역학조사 나. 전염병 표본감시 운영
1. 중앙역학조사반 참여 2. 시.도 역학조사반 지원 3. 해당 전문분야 자문 나. 전염병 표본감시 운영 1. 표본감시 자료 분석 2. 표본감시 자료 분석 결과 환류

19 역학조사관 직무 (8) 다. 전염병 연구사업 참여 라. 전염병 관리지침 및 정책개발 1. 해당 전문 분야 지침서 개발 참여
2. 해당 전문 분야 전염병 관리 정책 개발참여 마. 전염병 관련인력 교육, 훈련

20 Outbreak Investigation
Causal association Counseling contact persons

21 Surveillance and Monitoring
Reporting data by EDI Surveillance of disease Analysis of disease occurrence

22 SARS 발생시의 역할 역학조사팀의 리더로 전 직원과 함께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유지
사스 신고자에 대한 상담 및 역학조사 실시 특히 사스 추정 환자 및 의심환자로 격리 입원된 20명에 대하여는 현장에 출동하여 환자 면담, 이송 결정, 접촉자 관리 시행 SARS 의심 환자의 인후도말, 혈액채취 담당

23 공항에 차출되어 입국자 검역 담당

24 개인적인 어려움 실제로 감기 증상이 있었을 때의 불안감 나로 인해 다른 사람이 감염되지는 않을까? 가족들에 대한 미안함
환자들을 접해야 되는 기회가 점점 많아지면서 개인적으로도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5월 말에는 실제로 몸이 좋지 않았는데 그 때의 불안감은 이루 말 할 수 가 없었습니다. 혼자 생각으로 사스로 죽으면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나 고민하기도 하였습니다. 사스 환자를 접한 홍콩 의료진이 많이 사망했다는 소식은 이러한 불안을 더욱 가중시켰습니다. 또한 가족 및 친구들에 대한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5월에 예정이던 어머니 생신 모임은 저로 인해 취소되었고, 동료 및 친구 들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따돌림도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족들에 대한 미안함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집사람과 아이에게 외출할 때 다른 사람들에게의 전염시킬수도 있으니 마스크를 꼭 착용하도록 하였는데, 집사람은 꼭 이렇게 까지 해야 되느냐고 반문하였는데 할 말이 없었습니다.

25 사스로 숨진 의료진의 장례식

26 역학조사관 교육, 훈련 교육훈련목적 교육훈련개요
역학조사 및 질병관리에 대한 전문교육훈련을 통하여 전염병 관리를 위한 현장 역학전문가를 양성함. 교육훈련개요 과정 교육목적 교육형태 기본교육과정 역학 및 전염병 관리에 대한 기본 지식 및 기술 습득 임용후 4주간 심화교육과정 전염병관리 전문성 강화 분기별 1회 지속교육과정 업무수행능력 향상 활동사례토의를 통한 경험, 지식 공유 활동보고, 평가

27 교육 내용 (1) 가. 기본교육과정(Introductory Course)
교육목적 : 역학 및 전염병 관리에 대한 기본 지식 및 기술습득 교육시기 : 임용후 4주 교육주관 : 위탁교육 (연세대 의대) 교육형태 : 문제중심 (Problem-based learning) 교육내용 : 역학 및 통계학 개론, 국가전염병 관리체계(조직, 법규, 정책), 전염병감시체계, 유행역학조사, 생물테러 역학조사, 질병관리, 컴퓨터 활용

28 교육 내용 (2) 나. 심화교육과정(Advanced Course)
교육목적 : 세부주제별 전문적 심화교육과 자체 활동사례에 대한 토의를 통한 경험, 지식 공유 교육시기 및 기간 : 분기별 1회(연 4회, 1박2일) 교육주관 : 교육위원회 교육내용 - 활동보고, 역학조사결과발표 및 토의 - 당시 유행 전염병 관련분야에 대한 강의 및 토의

29 교육 내용 (3) 다. 지속교육과정 (On-the-job training)
교육목적 : 계속교육으로 업무수행능력 향상 및 전문성 강화 교육기간 : 2년간 교육주관 : 시.도별 위탁교육기관, 국립보건원 교육실무위원회 교육내용 - 활동보고 및 점검, 토의 : 감시체계운영, 역학조사, 질병관리 등 - 정기적인 업무수행사항에 대한 평가 교육방법 - 권역별 지속교육 - 지역별 지속교육

30 교육 및 지원행정체계 (1) 가. 역학조사관 사무국 (국립보건원) 나. 교육위원회 구성: 공중보건의사 2명
역할: 역학조사관 교육, 훈련 지원, 역학조사관 활동지원 나. 교육위원회 구성: 전염병관리부(방역과, 역학조사과, 전염병정보관리과, 사무국), 보건복지연수부, 시도 역학조사관 자문교수 역할: 교육과목 개발 및 교육자료 개발, 교육운영 및 평가

31 교육 및 지원행정체계 (2) 다. 교육실무위원회 구성 : 역할:
전염병관리부(방역과, 역학조사과, 전염병정보관리과, 역학조사사무국) 보건복지연수부 전염병교육담당 연구관 역할: 실제 교육수행 및 평가업무 전체 교육에 대한 세부계획 작성:기본교육, 심화교육, 지속 및 현지교육 직무수행 중 문의사항 해결 교육평가 관련 행정업무 수행 및 예산집행

32 교육 및 지원행정체계 (3) 라. 교육자문위원회 구성 역할: 교육, 훈련 전반에 관한 자문 국내: 관련학회
국외: CDC, 일본 FETP 담당자, WHO 역할: 교육, 훈련 전반에 관한 자문

33 역학조사관 활동상황 (2002) 총 102회 역학조사 (5월부터 12월까지)

34 월별 역학조사 종류

35 원인균별 역학조사 유형

36 시도별 역학조사 현황 * : 인지도조사 2건 포함

37 역학조사관은 지원할 만한가? 근무 여건 업무량: 한 철 장사 (?) vs. 내공 수위 차 (?) 대도시 근무 및 공무원 생활
보수 기본급 + 활동비(35만원) 출장비…. 업무량: 한 철 장사 (?) vs. 내공 수위 차 (?) 국립보건원 vs. 시도 역학조사관 평시 업무 (의무실, 각종 행사 지원) 유행 발생시 업무 (적극적인 지원 vs. 혼자서 해결)

38 역학조사관은 지원할 만한가? 새로운 경험 자기 개발 가능성 다른 공중보건의 보다 힘든가 ? 전염병, 역학 등등
각종 학회 참석 – 국외 학회 참여(2-3명/년) 전염병에 대한 심화학습 및 논문화 통계 프로그램 및 기타 전염병 분야 교육의 기회 다른 공중보건의 보다 힘든가 ? 낯선 환경 적은 보수

39 기별 전공과목 및 수료자, 탈락자 2 20 1기 (2000) 22 탈락: 5 (5/25, 25%) 17 9 2기 (2001)
기존 역학조사관수 신규 역학조사관수 수료( ): 2년 근무 후 수료한 인원 기별 전공과목 및 수료자, 탈락자 내과10 예방 2 재활 1 방사선2 가정 3 신경 1 비뇨기1 일반의 2 2 20 1기 (2000) 22 탈락: 5 (5/25, 25%) 내과15 예방 3 미생물1 일반의 2 가정 3 신경 1 비뇨기1 17 9 2기 (2001) 26 수료: 11(10/11, 91%) 탈락: 3 (3/9, 33%) 내과27 예방 2 소아과1 미생물1 가정 1 신경 1 비뇨기1 일반의 1 12 23 3기 (2002) 35 수료: 8 (3/8, 38%) 탈락: 5 (5/23, 22%) 내과28 예방 1 소아과2 가정 2 비뇨기1 일반 1 22 13 4기 (2003) 35

40 역학조사관제도의 문제점 역학조사관 관련 법률 및 제도 미정착 직무규정 미비 – 책임 소재 불분명 훈련지원체계 부족
선발인력의 한계 (공중보건의) 기본교육 및 지속교육의 효과 재고 역학조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41 역학조사관제도 발전방향 관련 법률 및 조직 개편 지원동기 부여 및 선발 대상 확대 역학조사 활동 지원 강화
역학조사관 제도에 대한 인식전환 국립보건원 및 시도 역학조사관간 지속적 대화 창구 마련 교육훈련기회 확대 및 훈련지원체계 강화 국제협력강화

42 결론 역학조사관제도의 3개년간 운영 결과 제도의 필요성은 시도 및 국립보건원에서 인정됨
정원 확보 및 기본적인 업무는 안정화 단계 시도 및 국립보건원에서의 역학조사관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역학조사관 제도를 성숙단계로 전환할 시점

43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역학조사관은 죽어서 구멍난 신발을 남긴다. -역학보감-

44 감사합니다 !


Download ppt "역학조사관의 역할 경기도 보건위생정책과 역학조사관 임 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