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올바른 고대사 교육을 위한 모색 다물교육연구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올바른 고대사 교육을 위한 모색 다물교육연구회."— Presentation transcript:

1 올바른 고대사 교육을 위한 모색 다물교육연구회

2 Ⅰ. 모색의 필요성 중국의 역사 왜곡 일본의 역사 왜곡 교육 현장에서의 대응책 고구려, 발해의 중국 역사화(동북공정)
한반도 남부의 일본 세력화(임나일본부) 교육 현장에서의 대응책 양국 역사 왜곡의 내용 파악 우리 교과서의 문제점 파악 및 새로운 학습 방법 모색 다물교육연구회

3 Ⅱ. 지도를 통해 본 역사 왜곡 秦 영역 중국 화동대 출판사 만리장성이 평안도지역까지 있다고 설정
근거 : 중국 사서에 만리장성은 낙랑군 수성현까지 이어짐 우리 학계도 수성현을 황해도 수안으로 비정 다물교육연구회

4 漢 영역 중국 지도 출판사 : 만리장성 평안도지역까지 표시 및 한반도 북부의 漢 영역화
대만 일하용서 : 한반도 북부 漢 영역화 홍콩교육도서공사 : 한반도 북부 漢 영역화 다물교육연구회

5 대만일하용서 홍콩교육도서공사 다물교육연구회

6 3세기 동아시아지도 중국 인민교육 중국인민교육 : 魏 영역 북한. 대만 남일서국 :魏 영역 북한.
일본 동경서적 : 낙랑군, 대방군이 한반도 소재. 남부는 삼한시대 우리 교과서는? 중국 인민교육 다물교육연구회

7 대만 남일서국 일본 동경 서적 다물교육연구회

8 국사교과서와 역사부도의 차이점 국사교과서는 낙랑, 대방의 존재를 무시
검인정인 역사부도는 낙랑과 대방 인정(대방은 204년 설치되었다고 기록) 즉 우리 사학계도 낙랑, 대방의 한반도설 인정 다물교육연구회

9 4세기 상황 국사 교과서 : 4세기는 백제의 전성기로 중국, 일본 진출 표시
일본 동경 서적 : 낙랑, 대방의 晉 영역화로 평안, 황해지역 중국 영역으로 인식 홍콩 교육도서공사 : 평안, 황해 지역 晉 영역으로 인식 다물교육연구회

10 일본 동경 서적 홍콩교육도서공사 다물교육연구회

11 6세기 국사 교과서 알본 실교출판사 512년 임나 할양 표시(전남 지역) 다물교육연구회

12 발해 영역 국사 교과서 국사 교과서 : 구 고구려 영토 거의 지배 대만 남일서국 : 발해를 당의 영토로 표기
홍콩 교육도서공사 : 고구려, 백제를 기미주로 인식 중국 화동대학 : 발해를 말갈로 표시 일본 동경서적 : 발해를 당의 영토로 표기 국사 교과서 다물교육연구회

13 대만 남일서국 홍콩교육도서공사 다물교육연구회

14 Ⅲ. 한일교과서 서술 괴리 한, 중 고대사를 기록한 사서는 공통된 사실을 서술한 경우가 많음.
한, 중 고대사를 기록한 사서는 공통된 사실을 서술한 경우가 많음. 한, 일 고대사를 기록한 사서는 공통된 사실을 기록한 경우가 극히 드믊. 한, 일 교과서의 상대국 서술 내용도 극명한 차이를 보임 다물교육연구회

15 1. 일본 - 임나일본부설 예전 일본 교과서 – 신공의 신라 정벌과 가라 7국 정벌을 교과서에 수록.
광개토왕비문 신묘년조 수록 5세기 중국 ‘宋書’ 왜 5왕의 작위 : 왜,백제,신라,임나,가라,모한, 진한 7국왕 작위 요구 왜왕 武 상표문 : ‘渡平海北95국’을 조선국 95국 정벌로 기록 6세기 계체왕조 백제에 임나4현 할양 기록 다물교육연구회

16 2. 한국 – 문화의 전파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 문화’ 단원에 집중
고구려 : 불교, 회화, 종이, 붓(담징) 백제 : 유학, 불교, 회화, 천문, 역법(아직기, 왕인, 노리사치계) 신라 : 조선술, 축제술 가야 : 스에기토기 문제점 : 전적으로 일본서기, 고사기에 의 존(지도용 전문자료 미비) 다물교육연구회

17 Ⅳ. 현행 국사 교과서 모색 올바른 서술을 하는가 모색 – 근초고왕예
교과서 : 1. 4세기 근초고왕은 마한의 나머지 세력을 모두 정복하여 남해안에 이르렀고, 가야를 지배권에 둠. 칠지도 외교, 중국, 왜에 진출 위 내용은 어느 사료를 근거로한 것일까? 삼국사기는 아님 일본서기 신공기와 중국 송서를 예로 들음. 다물교육연구회

18 삼국사기 신뢰성 문제 3세기 우리나라를 서술하는 사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지 동이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삼국사기는 3세기 고구려, 백제, 신라 3국의 역사를 서술 삼국지 동이전은 마한, 변한, 진한의 3한을 서술 중국은 삼국지를 신뢰하여 서술 일본은 삼국지를 신뢰 : 타율성 강조 우리나라 학계는 무엇을 신뢰? 다물교육연구회

19 교과서 서술 : 고려할 점 : 대단원 2의 국가의 형성 중 ‘여러 나라의 형성’은 삼국지 동이전을 기초로 함.
대단원 3의 고대 국가 성립 이후는 삼국사기를 기초로함. 교과서의 기본 인식 : 3세기 이전은 삼국지 동이전을 정설로 보고 서술. 3국왕 실명 및 활약 : 고구려 태조왕, 백제 고이왕, 신라 내물왕(6차교과서까지 이전 왕들의 재위연대 없음) 고려할 점 : 일본 학자 津田의 설 – 백제 근초고왕, 신라 내물왕 이전 기록 불신에 우리도 동화되지 않았는가 고려 필요 다물교육연구회

20 낙랑군, 대방군의 문제 중국 : 낙랑, 대방이 한반도이 있다고 기록
일본 : 4세기까지 낙랑, 대방이 한반도에 있다고 기록. 즉 두 나라는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다고 생각함 한국 : 교과서는 ‘고조선 일부 지역에 한의 군현이 있다가 곧 철수함’ 역사부도는 다수가 낙랑, 대방을 한반도에 표시 우리 학계에서도 낙랑의 요서설, 평양설이 혼재 중국, 일본의 역사 왜곡은 낙랑군의 위치에 근거를 두고 있음. 따라서 낙랑의 위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 다물교육연구회

21 Ⅴ. 현장에서의 방법 모색 중, 일 양국의 역사 왜곡을 알고 대항하기 위해서는 우리 교과서에 대해서 아는 것이 필요함.
고대사 부분은 타시대에 비해 연구물이 적어 교수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교사들이 개발하는 것이 필요. 교사들의 1차사료 접근 필요 : 삼국사기, 삼국유사, 중국 사서의 동이전, 일본서기 등 다물교육연구회

22 고고학등 인접학문과 자연과학 학문을 접목하여 올바른 고대사 인식 필요
245년 기사 : 삼국사기 백제 고이왕의 낙랑 공격, 삼국지 한의 신지가 대방 기리영 공격 488년 삼국사기 북위가 백제 공격, 490년 남제서 북위가 기병으로 백제 공격 기사 등을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재조명할 수 있음.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처하는 방법 일본서기에는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는 보이지 않는 사실이 풍부하게 있음. 이런 사실을 기본으로 일본고대사를 접할 때 일본의 역사왜곡의 실상을 알고 대처할 수 있음. 고고학등 인접학문과 자연과학 학문을 접목하여 올바른 고대사 인식 필요 다물교육연구회


Download ppt "올바른 고대사 교육을 위한 모색 다물교육연구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