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목 차 Ⅰ. 국내 뷰티산업 현황 Ⅱ.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Ⅲ.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Ⅳ.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목 차 Ⅰ. 국내 뷰티산업 현황 Ⅱ.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Ⅲ.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Ⅳ.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Presentation transcript:

0 뷰티산업 현황 및 선진화 방안

1 목 차 Ⅰ. 국내 뷰티산업 현황 Ⅱ.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Ⅲ.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Ⅳ.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Ⅴ. 뷰티산업의 비전 Ⅱ.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Ⅲ.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Ⅵ. 뷰티산업 선진화 방향 Ⅳ.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2 국내 뷰티산업 현황

3 국내 뷰티산업 현황 연관산업 뷰티산업의 개념 및 정의 인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한 산업 뷰티서비스 산업 헤어미용
피부미용 네일아트 메이크업 화장품, 스파, 관광 등 ※기타 미용업에 포함, 별도의 자격체계가 없음 1

4 ※ 면허(복지부)와 자격(노동부)이 분리된 이중적 구조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 서비스 자격 체계 자격 체계 미용 (종합) 미용 (일반) 미용 (피부) 고등학교, 대학, 대학교 등 졸업자 무시험, 면허증 부여 국가 기술 자격시험 합격자 자격증 부여 국가 기술 자격시험 합격자 자격증 부여 ※ 면허(복지부)와 자격(노동부)이 분리된 이중적 구조 2

5 < 연도별 미용서비스 매출액 (통계청) >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 서비스 산업 시장 규모 32% 성장 네일 등 기타 미용업 1,557억원 4조 5,068억원 피부미용 5,772억원 3조 4,030억원 헤어미용 3조 3,240억원 ‘05년 ‘08년 < 연도별 미용서비스 매출액 (통계청) > < '08년 세부업종별 매출액 (통계청) > ‘08년 기준 매출액은 약 4조 5,068억원 규모 (최근 3년간 연평균 10% 증가) ‘05년 3조 4천억원에 비해 최근 4년간 32% 성장 (통계청 서비스업 조사) 3

6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 서비스 산업 뷰티 서비스 산업 특징 4 웰빙 지향, 감성소비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 결합,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新 성장 산업 새로운 “문화 컨텐츠”로서의 높은 성장 잠재력 보유 뷰티 서비스 산업 화장품∙ 관광 ∙ 의료 등 타 산업과 연계 시 높은 경제적 파급효과 기대 해외시장도 급속히 성장, 해외 진출에도 유리한 여건 조성 4

7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8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정의 및 현황 뷰티샵, 스파, 네일샵 및 이발소를 포함하는 산업 (PBA: Professional Beauty Association, 2008) 미국 뷰티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중이며, 스파 등 타산업과 융합해 상당한 고용창출 및 부가가치를 유발하고 있음 -‘08년 매출액: 375억$, 사업체수: 835,635개, 종사자수: 1,103,000명 -‘09년 헤어, 네일, 스킨케어 관련 종사자는 약 50만 명, 바버샵 및 뷰티살롱 종사자가 약 46만 명, 네일살롱 종사자가 약 3만 명으로 조사됨 (US Department of Labor Statistics)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주로 뷰티살롱, 바버샵, 리조트, 스파, 너싱홈에 고용 한편 대부분의 타운에 바버샵 및 뷰티살롱이 있으나 주로 인구가 많은 주와 도시에 집중 -뷰티관련 종사자들의 약 44%가 자가 고용(self employed) 형태로 근무 -살롱소유자에게 부스(booth) 혹은 체어(chair)를 리스(lease)하고 소득세 및 월/주마다 리스비 지불 고용 형태 5

9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연봉 및 근무 여건 뷰티관련 종사자들의 수입은 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이 있으며, 살롱의 규모와 위치 등 많은 요인들이 총수입에 영향을 미쳐 편차가 큼 - 서비스 가격 혹은 근무시간에 기초해 급여를 받으며, 대부분의 종사자들은 그들이 판매한 제품에 대한 수수료(commission)를 받음 - 일부 살롱만이 휴가 및 의료 혜택(medical benefits)을 제공, 대부분의 자가 고용 및 파트타임 형태 종사자들이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음 [ 2010년 미국 뷰티관련 종사자의 평균 연봉 현황 ] (단위 : 달러, ‘10년 9월 환율 기준) 구   분 평 균 연 봉주1) Hair Designer 59,000$ (한화 약 6천 9백만원) Barber 44,000$ (한화 약 5천 2백만원) Skin Care Specialist Manicurist Pedicurist 66,000$ (한화 약 7천 8백만원) shampooer 18,000$ (한화 약 2천만원) 주1): 회사, 지역, 경력 등에 따라 변동 가능 출처: Simply Hired, Inc. ( 5

10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제공서비스 현황 미국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고객이 외모뿐 아니라 감정적인 측면에서도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종별로 전문화된 뷰티서비스를 제공 - 고객의 헤어 컬러와 스킨케어 등의 관리요법(regimens) 기록을 보관, - 고용, 감독, 해고, 사업 및 재고 기록, 상품 주문, 광고 등 경영 측면과 관련한 의무가 있음 구   분 제공서비스 비 고 이용사 남성고객의 컷(cut), 트림(trim), 샴푸(shampoo), 헤어스타일링, 부분가발(hairpiece), 면도(facial shaving), 두피트리트먼트(scalp treatment) 등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이용사들은 염색, 블리치(bleach), 퍼머에 대한 자격이 있으며, 스킨 케어와 네일 트리트먼트 서비스도 제공 헤어드레서 헤어스타일리스트 미용사 샴푸, 컷, 염색, 스타일링 등의 서비스 제공 고객들의 헤어관리에 대한 조언/상담서비스 매니큐어, 페디큐어, 두피와 얼굴 트리트먼트(메이크업, 가발클리닝, 스타일링, 부분 가발)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매니큐어, 페디큐어, 폴리싱(polishing), 네일 연장(extension) 등 네일관련 독점서비스 제공 샴푸어 샴푸잉, 헤어컨디셔닝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 피부미용사 다양한 피부클리닝 서비스(facial, full-body treatments, head&neck massages, makeup) 레이저 트리트먼트 훈련을 받은 경우 왁싱(Waxing) 서비스도 제공 5

11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업투특성 및 근무 환경
미국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직종 및 업무 형태에 따라 상이한 업무 환경에서 근무 -대부분의 풀타임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주 40시간 근무, 자가고용 종사자는 초과근무가 보편적 -08년 이용사, 헤어스타일리스트, 미용사의 약 29%가 파트타임으로 근무 약 14%는 변동스케쥴(variable schedule)을 가짐. -고객이 많은 뷰티살롱과 바버샵 경우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작업예정표(Work schedule)가 있음 자가 고용 종사자의 경우 스스로 작업예정표를 작성하고 근무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일반적으로 조명과 환기 상태가 양호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 -스파, 호텔, 리조트 등에서 일하는 일부룰 제외한 대다수의 종사자들은 살롱과 바버샵에서 근무 (직무 특성상 종사자들에게는 건강과 체력이 중요) -한편 헤어 및 네일과 관련된 화학물질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염증(irritation)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위생용 비닐장갑(plastic glove)이나 앞치마(apron) 등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복장이 요구 5

12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교육 훈련 미국의 모든 주가 미용사, 바버 등 뷰티관련 종사자에게 관련 면허 소지를 의무화 (샴푸어는 예외: formal training이 필요 없음)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해 주에서 허가 받은 뷰티관련 학교 졸업자에 한해 면허 취득의 기회를 제공 (일부 주는 고등학교 졸업장 혹은 GED 점수를 요구). -헤어 스타일링과 스킨케어 및 기타 뷰티서비스 관련 프로그램은 공립/사립 고등학교 및 고등과정 직업학교(post secondary vocational school)에서 개설될 수 있음. -이ㆍ미용 관련 풀타임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약 9개월이 소요되나 더 장기간의 프로그램도 있음,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준학사(associate degree) 학위가 인정되기도 함.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스킨케어 프로그램의 경우 대개 상기 프로그램보다 기간이 짦음. -대부분의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최신트렌드를 따르기 위해 상급강좌 및 마케팅 강좌를 수강함. 5

13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면허와 자격  미국의 모든 주에서는 이용사, 미용사 등 뷰티관련 종사자들의 면허를 요구함 (샴푸어 제외) - 자격 요건 : 주마다 상이하나 대개 고등학교 졸업장 혹은 GED 점수가 요구 연령은 최소 16살 이상, 주에서 인증받은 이용 혹은 미용학교를 졸업해야 함. 주가 인증한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이후 수강생들은 주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치름 - 시험은 주로 필기시험으로 구성, 일부 주는 실기시험 혹은 구술시험도 실시 대부분의 주에서 미용학 관련 수강 프로그램은 이용사 자격증에서 인정 (상호인정 가능) 한편 대부분의 주에서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스킨케어 면허시험을 분리 운영 일반적으로 면허 응시에 시험 수수료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면허갱신이 요구될 수 있음 - 일부 주는 이용사와 미용사가 별도 formal training 없이 다른 주에서 면허가 취득 가능한 상호협약(reciprocity agreement)을 체결 5

14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향후 전망 전반적인 뷰티관련 종사자의 고용은 모든 직종의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대부분의 살롱과 스파 오너들은 향후 뷰티산업을 낙관적으로 전망 (Professional Beauty Association, 2010) - 이러한 성장의 주요인은 뷰티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를 이끄는 인구증가임, 특히 베이비부머와 젊은이들의 수요가 최근 몇 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함. -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파와 네일 살롱의 지속적인 성장은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스킨케어 전문가들에게 취업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음 [ 미국 뷰티관련 고용 추정 자료 ] (단위 : 명, %) 구   분 '08년 고용 현황 '18년 고용 추정 증 감 증감율 Barbers 53,500 59,700 6,200 12 Hairdressers, Hairstylists, Cosmetologists 630,700 757,700 127,000 20 Manicurists and Pedicurists 76,000 90,200 14,300 19 Shampooers 22,900 26,300 3,4000 15 Skin care specialists 38,800 14,700 38 5

1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중국 미용, 미발, 문신 및 교육 등 관련 서비스를 포함하며 화장품, 미용미발 기계,
뷰티산업 정의 미용, 미발, 문신 및 교육 등 관련 서비스를 포함하며 화장품, 미용미발 기계, 전시회 및 마케팅 분야는 포함하지 않는 산업 (KOTRA, 2009) 자동차, 부동산, 여행, 전자통신에 이어 중국 5대 산업으로 성장 뷰티산업 규모 ‘06년 중국 미용서비스 산업은 총 2,200억위안 규모로 지난 3년간 연평균 32%의 고성장 지속 (보건산업진흥원, 2007) 헤어 시장 (‘07년 기준) * 서비스 업체 수 : 180여 만개 * 매출 : 2,000억 위안 (약 34조원) * 종사자 수 : 1,600만명 * 연간성장률 : 15% * 미용 교육 전문서비스 기관 : 600여개 * 연간 미용사 배출 수 : 25만명 네일 시장 (‘07년 기준) * 시장규모 : 700억 위안 (약 12조원, 전년대비 13% 성장) * 종사자수 : 30만명 * 중국 미용실의 2/5에 설치되어 있을 정도로 보편화 * 유명 프랜차이즈 기업 30여개, 민영기업 체인점 2만여개 6

16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17 뷰티산업의 문제점 낮은 경쟁력 : 노동생산성도 낮고 생산성 증가도 정체 뷰티 서비스 산업 구조
영세한 자영업 위주, 낮은 노동생산성 등으로 산업 구조는 취약 산업의 영세성 : 97%이상이 4인 이하 영세기업 [ 산업 규모별 기업 분포 현황 ] (단위 : 개소) 구 분 영세기업 (1-4인) 소기업 (5-9인) 중기업 (10-49인) 대기업 (50인 이상) 소 계 뷰티 서비스 98,311 (97.5%) 2,069 (2.1%) 485 (0,5%) 5 (0.0%) 100,870 서비스 전체 1,962,477 (85.8%) 199,277 (8.7%) 108,357 (4.7%) 17,278 (0.8%) 2,287,389 *’05년 서비스업 총조사. 통계청 (‘07년) 낮은 경쟁력 : 노동생산성도 낮고 생산성 증가도 정체 * (노동 생산성)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은 22백만원, 서비스산업 평균 134백만원의 1/6에 불과 (‘05년 통계청) * (서비스 생산지수) 뷰티서비스는 116.7, 서비스 전체 평균 125에 미달 ( ‘08년 통계청) < 뷰티 서비스 생산성 지수 추이 >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7

18 뷰티산업의 문제점 뷰티 서비스 내 양극화 심화 뷰티 서비스 산업 양극화 미용 프랜차이즈 확대 전체 미용실 중 미용프랜차이즈는
1.3%에 불과하나 시장 점유율은 24%를 차지 (‘06년 M&C 리서치) 미용 프랜차이즈 확대 연매출 1억 미만 사업체당 영업 이익은 16백만원으로 서비스업 평균(57백만원)의 1/4에 불과 일부 기업 중심의 규모화 ∙ 대형화 반면 연매출 1억 이상 사업체의 경우 178백만원으로 서비스업 평균의 3배에 달함 (‘05년, 통계청) 8

19 뷰티산업의 문제점 법ㆍ제도 측면 교육 시스템 등 타 제도 정비가 미흡 법ㆍ제도적 과도한 규제 산업적 측면에 대한 고려 미흡
일부 미용기기의 의료기기로의 분류 재심사 비용ㆍ기간 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사용시 불법 의료행위로 간주, 형벌ㆍ과태료 등 부과 교육 시스템 등 타 제도 정비가 미흡 법ㆍ제도적 과도한 규제 산업적 측면에 대한 고려 미흡 위생ㆍ안전 확보 위주의 서비스 평가 위생수준 제고에 미기여 평가준비 등을 위한 과도한 부담만 부여 면허 소지자 이외에 영업장 개설 불허, 1인 1사업장 원칙 경영 악화 초래 양극화 심화 9

20 경쟁력 있는 기업은 현실에 안주하거나 더딘 성장 경쟁력 약한 기업은 “실패 ⇨ 재창업”의 악순환 지속
뷰티산업의 문제점 정책지원시스템 측면 자영업 창업위주의 정책 지원 미용업소의 50%이상이 취약한 경쟁력 등으로 창업과 폐업을 반복 산업의 영세화ㆍ양극화 초래 대규모 창업ㆍ경쟁력 있는 해외 투자 및 창업 전ㆍ후 정책 지원도 미비 경쟁력 있는 기업은 현실에 안주하거나 더딘 성장 경쟁력 약한 기업은 “실패 ⇨ 재창업”의 악순환 지속 10

21 뷰티산업의 문제점 인력 과잉 전문성 결여 전문성 결여 질적 수준 저하 인력양성 측면 매년 약 4만명의 전공ㆍ능력 등과
전문인력 양성 대학 등 관련학과 개설 활성화 전공ㆍ능력 등과 무관한 일률적 무시험 면허 부여 자격 취득 과정 글로벌 수준에 미흡 취업ㆍ재교육 등 사후관리시스템도 미비 전문성 결여 질적 수준 저하 인력에 대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미비 재 교육 시스템 미비 11

22 뷰티산업의 문제점 관광 패러다임이 전환 수출ㆍ관광 자원화 지원 및 전략 부재 측면 기업의 해외 진출
경치․역사적 자원 등 “하드웨어 중심” 기업의 해외 진출에 대한 관심도 증가 미비한 지원 체계적 개발 부재 해외 진출 기업 시장 정보 부재 초기 시장 개척 어려움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지연 체험ㆍ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중심” 12

23 뷰티산업의 문제점 세계적 수준의 기술보유 선진국 대비 낮게 측정된 서비스 가격
가격경쟁 측면 기술 측면에서는 세계적 수준이나 경영 측면에서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서비스 가격이 선진국 대비 낮게 측정되고 있음 [ 미국, 일본, 한국의 주요 샵 커트 가격 비교 ] 세계적 수준의 기술보유 선진국 대비 낮게 측정된 서비스 가격 (단위 : 원 ‘10년 8월 환율 기준) 미 국 상 호 Roy Teeluck Salon Mark Arrison Sassoon Salon 가 격 110,370~417,795 103,851~155,181 일 본 etolie Hair mission Glow Un Hair 81,678 69,797 66,827 한 국 헤어펠리스 박준뷰티랩 이가자 헤어비스 15,000 15,000~28,000 25,000~30,000 13

24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25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미 국 뷰티 서비스에 대한 세액공제 (Cosmetologists Tax Fairness and Compliance Act) - 미국 salon의 경우 tip 문화가 보편적이나 타 산업(ex: 외식 산업 등)처럼 세액공제가 되지 않아 tip 소득을 낮춰서 신고하거나 미신고하는 관행이 만연 Hair Beauty Salon Guideline 제정 (New York State Auburn City Council) - salon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화상, 감염 등으로부터 고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서비스 질 향상 - 레이저, 칼날 등을 이용하는 미용기기의 사용 및 관리방법, salon위생기준 등 가이드라인 제정 ※ 세액 탈루 차단을 통한 투명성 확보 및 뷰티산업의 신뢰도 향상 ※ 뷰티 서비스 질의 질적 향상을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14

26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태 국 국가의 체계적이고 전폭적인 지원 (‘04년 Thiland as excellent international center for healthcare 비준) - 관광이라는 자산에 전통마사지ㆍ스파 등이 결합한 헬스케어산업을 통해 ‘07년 한 해 15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 서비스 인증 제도 (MoPH(Ministry of Public Health) 2호에 공고) - 건강과 미용 서비스 표준에 대한 원칙과 방법을 제정 [ 건강스파의 품질 인증 기준 ] Standard 1 Service Quality 서비스 품질 Standard 2 Skill Staff 전문기술 직원 Standard 3 Tool and Equipment 도구 및 장비 Standard 4 Organization and Management Quality 조직 및 관리 품질 Standard 5 Ambiance 분위기 ※ 뷰티산업의 진흥을 위한 범국가적인 지원 및 시스템적접근 15

27 뷰티산업의 비전

28 뷰티산업의 비전 뷰티산업시장 :‘05년 3조 4천억원⇒ ‘07년 4조 5백억원⇒‘13년 6조 8,852억원 (진흥원 내부자료)
시장규모 증대 뷰티산업시장 :‘05년 3조 4천억원⇒ ‘07년 4조 5백억원⇒‘13년 6조 8,852억원 (진흥원 내부자료) 시장규모 추계 근거 : ’05 ~ ‘07년 까지 연평균성장률 9.2% 추세 적용 (통계청) - 화장품생산규모 : ‘06년 3조 9,800억원 ⇒ ‘13년도 5.2조원 (연평균성장률 4.2% 적용; 진흥원 내부 자료) [ 뷰티산업 시장 규모 추계] (단위 : 억 원) (단위 : 억 원)  구 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 년 시장 규모 52,863 57,730 63,047 68,852 75,193 * 뷰티산업 시장 규모 추계, 진흥원 내부자료 (‘10년) 16

29 뷰티산업의 비전 뷰티산업 일자리 창출 전망 구 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 년 신규 일자리 수 최 대
구 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 년 신규 일자리 수 최 대 6,374 6,961 7,602 8,303 9,067 최 소 4,725 5,160 5,635 6,154 6,721 뷰티서비스 산업 시장의 규모를 추계한 후 고용유발계수와 고용계수를 이용하여 일자리 수 추계  구 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 년 고용인원 (누계, 명) 고용유발계수 75,593 82,554 90,156 98,459 107,526 고 용 계 수 56,034 61,194 66,829 72,983 79,704 뷰티서비스(개인서비스)의 고용유발계수(10억 원당) 14.3 적용, 고용계수(10억 원당)  10.6 적용 (한국은행 2007년 산업연관표 통합중분류 고용표, 2009) 최대 일자리수 : 해당산업+연관산업, 최소일자리수 : 해당산업에서만 발생하는 일자리 수 17

30 협회 자료 (‘08년), 보건산업진흥원 (‘07년) 등 자료 참고
뷰티산업의 비전 뷰티산업의 해외 진출 일부 대형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외 진출은 증가 추세 2008년 해외 진출 신규 법인수는 122개, 투자 금액은 2,539만$ 규모 (KOTRA) [ 뷰티산업 부문별 해외진출 현황 ] 구 분 브 랜 드 명 진 출 국 가 점 포 수 헤어 미용 이가자 헤어비스 중 국, 호 주 45 개소 리 치 중 국 30 개소 박준 뷰티랩 15 개소 블루클럽 중 국 (9), 미 국 (15) 24 개소 미 랑 컬 2 개소 리안헤어 피부 미용 이지은 레드클럽 화이트 클럽 필리핀 1 개소 네일 아트 세시네일 중 국, 미 국 11 개소 ※ 주로 중국에 진출 최근 미국ㆍ필리핀 등으로 다변화 추세 협회 자료 (‘08년), 보건산업진흥원 (‘07년) 등 자료 참고 18

31 뷰티산업의 비전 타산업에 비하여 생산활동으로 인한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음 경제적 파급효과 높은 산업
< 생 산 유 발 계 수 > < 부 가 가 치 유 발 계 수* > * 부가가치유발계수 : 뷰티산업에 1,000억원 투자 시 우리나라 경제 전체에 부가가치가 931억 유발됨 19

32 뷰티산업 선진화 방향

33 뷰티산업 선진화 방향 지원분야 추진 과제 □ 영세 뷰티업자 경영지원 □ 뷰티산업 DB 구축 인프라 개선
해외진출 확대 법 · 제도 개선 추진 과제 □ 영세 뷰티업자 경영지원 □ 뷰티산업 DB 구축 □ 뷰티관광 인프라 구축 □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해외시장 분석 및 해외진출 매뉴얼 개발 □ 코리아 뷰티 브랜드 구축 □ 자격시험 선진화 및 국제표준화 기준 수립 □ 미용기기 제도 개선 20

34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영세 뷰티업자 경영지원 ► 영세업자의 경영ㆍ서비스 교육 미비 및 비효율적인 경영 모델
배 경 ► 영세업자의 경영ㆍ서비스 교육 미비 및 비효율적인 경영 모델 - 전문경영 마인드, 매장 관리시스템, 경영모델, 운영 매뉴얼 등 미비 ► 홍보 및 마케팅 역량의 한계 - 초기 홈페이지 제작, 광고비 부담, 온ㆍ오프라인 홍보의 어려움 등 ► 낮은 제품 구매 경쟁력 - 낮은 이윤율 및 질 낮은 제품 사용 추진내용 ► 공동브랜드 경영모델(프랜차이징 모형) 개발 ► 운영 교육 및 관리 ► 브랜드 홍보 ► 시범운영을 통한 시장 적응성 평가 뷰티서비스 영세사업자의 규모화, 전문화 및 경쟁력 강화 21

35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뷰티산업 DB 구축 ► 국내 뷰티산업 관련 정보의 부족 배 경 ► 최신 산업정보에 대한 정부지원 필요
- 뷰티산업 전체 및 산업별 규모, 업체수 및 종사자 수 등 정보 파악의 어려움 - 뷰티산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구심점 부재 ► 최신 산업정보에 대한 정부지원 필요 - 신기술정보, 특허정보, 제도 및 정책정보, 국내ㆍ외 시장정보 등 시의적절하게 제공 - 뷰티산업 조사 및 분석체계 마련 시급 추진내용 ► 전문인력 DB 구축 및 운영 - 우수인력 DB를 구축하여 산ㆍ학ㆍ연ㆍ관 및 추진 사업등과 연계 ► 뷰티산업 통계 DB 구축 - 뷰티산업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통계 DB를 구축 및 운영 ► 뷰티산업 실태조사 - 산업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 22

36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뷰티관광 인프라 구축 배 경 - 한류 열풍은 있으나 한국의 뷰티산업을 체계적으로 홍보하는 방안은 미흡
► 새로운 관광ㆍ수출 자원으로 높은 잠재력 보유 - 체계적인 산업 개발 및 지원의 부재 ►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 하드웨어 중심의 관광 ⇒ 종합적인 체험과 서비스 제공의 소프트웨어 중심의 관광 ► 대외적 홍보 부족 - 한류 열풍은 있으나 한국의 뷰티산업을 체계적으로 홍보하는 방안은 미흡 ► 뷰티관광 전문가 육성 - 서비스 제공자와 해외 뷰티관광객 사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지원 ► 한국형 뷰티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지원 - 우수업소 ㆍ우수 서비스 인증 체계 구축 및 지원을 통한 우수 상품 개발 ► 뷰티 체험 투어 시행 - 주요 대상국 뷰티관련인 또는 유명인을 초청하여 한국의 뷰티서비스를 체험. 홍보대사로 활용 추진내용 23

37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배 경 추진내용
► 체계적인 마케팅 교육 부족 및 매출 증대의 한계성 - 체계적인 경영 및 마케팅 교육 기회 부족 ► 세미나 및 특강의 수도권 집중화 - 지방 순회 교육프로그램 미비 및 지방 종사자의 낮은 교육 접근성 ► 뷰티산업 종사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 시간 및 비용의 투자가 어려운 산업 추진내용 ► 4개 뷰티 분야 과정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 경영 및 마케팅 교육 ► 전국 교육을 통한 접근성 제고 ► E-Learning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뷰티산업 종사자의 질적 수준 향상 24

38 해외진출 확대 해외시장 분석 및 해외진출 매뉴얼 개발 배 경
► 해외진출에 대한 관심도 증가 - 중국, 베트남 등 주요국가로 진출코자 하는 업체 증가 ► 정보의 부재 - 해외시장에 관한 법ㆍ제도, 현황, 진출방안 등에 대한 정보의 부재 ► 한국 뷰티산업의 경쟁력 강화 - 한류, 국가 이미지 상승, 우수한 솜씨 등 높은 해외 진출 가능성 추진내용 ► 해외진출 전략국 조사 ► 해외진출 전략국 현지조사 ► 설명회 개최 ► 전략국 해외진출 매뉴얼 개발 및 발간 해외진출 준비에 기여 25

39 해외진출 확대 코리아 뷰티 브랜드 구축 배 경 추진내용 ► 국가 고유의 아이템 개발 노력 미흡 ► 국가 이미지 제고 필요
- 기술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품 개발 능력 ► 국가 이미지 제고 필요 - 박람회 및 대회의 참가ㆍ개최 지원 미비 ► 외국인들의 접근성 강화 필요 - 국내ㆍ외 방문객을 위한 토탈 정보 제공 미비, 정보 탐색의 어려움 추진내용 ► Korea 뷰티 브랜드 개발 및 홍보 - BI 개발, 뷰티 맵 제작, 패키지 상품 개발, 해외 로드쇼 참여 등 ► 국제 세미나 개최 및 참가 - 국제 세미나 개최 및 박람화 등 참가 지원 ► 코리아 뷰티 포털 구축 및 운영 - 국내ㆍ외 접근성 강화를 위해 한국뷰티서비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 26

40 법ㆍ제도 개선 자격시험 선진화 및 국제 표준화 기준 수립 배 경
► 국가자격 시험의 검증 능력 한계 및 국제 표준화 작업 미흡 - 현장업무 능력 및 자질 검증이 부족한 현 면허 제도 - 해외 자격증 시험 기준에 비해 미흡한 국내 기준 ► 새로운 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개발 필요 - 국가기술자격 종목개발을 통한 인력양성 및 신 직업군 형성으로 인한 고용창출 추진내용 ► 국가자격시험 검증능력 보강 - 90문항 이상의 문항수 채택(미국의 경우 100문항 다선형) - 무분별한 미용사 자격증 난립 방지 및 전문화된 인력 배출 ► 국제 표준화 기준 확보 - 국제 표준에 맞춘 미용분야별 필수과목, 교육시간 및 운영방안 설정 - 전문 분야별 특화된 기준 적용 27

41 법ㆍ제도 개선 미용기기제도 개선 배 경 추진내용 ► 미용기기 사용근거 및 시설ㆍ설비 기준 미비 ► 미용기기 관리방안 수립 28
- 미용기기 사용실태 및 설치기준 등 실태조사 필요 - 기초 미용기기의 비현실적인 의료기기 분류 - 국내제도 미비로 인한 국제기능올림픽 불참 및 수출 제한 추진내용 ► 미용기기 관리방안 수립 - 미용기기 정의, 범위 및 시설기준 설정 - 국내ㆍ외 미용기기 사용실태 조사 및 국내 미용기기 관리방안 수립 28

42 대단히 감사합니다 .


Download ppt "목 차 Ⅰ. 국내 뷰티산업 현황 Ⅱ.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Ⅲ.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Ⅳ.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