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배출량 조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배출량 조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배출량 조사

2 배출량조사 방법 공정별 산정방법 결정 취급량조사 공정 파악 배출량 산정 산정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결과 보고

3 차례 1 취급량조사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3 배출량 산정 방법

4 조사대상 화학물질 제외되는 화학물질 조사대상 화학물질 1. 취급량 조사 사업장에서 생산하는 화학물질 및 제품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원료 및 첨가제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공정보조물질 사업장에서 보관·저장하는 화학물질 폐기물처리사업장에서 처리하는 폐기물 기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 제외되는 화학물질 시험, 연구 또는 검사용으로 제한된 장소에서 조사, 연구자에 한하여 사용 축전지와 같이 구입하여 사용하는 기계, 장치내에 내장되어 있는 있는 화학물질 시설의 도색을 위한 페인트, 건축자재와 같이 사업장의 시설자체의 일부분인 화학물질 사업장에서 운행 또는 가동하는 기기·장비의 가동과 유지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사무기기, 약, 화장품 등 종업원이 개인용도로 사용하는 화학물질 사업장 조경시설 등의 유지에 사용되는 살충제, 비료 등의 화학물질 중금속 및 그 화합물 중 고체로서 고유으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취급되며, 그 취급과정에서 용융, 증발 또는 용해되지 않는 화학물질 조사대상 화학물질 I그룹의 경우 연간 1톤이상 (발암성, 축적성 물질) II그룹의 경우 연간 10톤이상 (유독성 물질) … 총 388종 화학물질

5 Cadmium and its compounds
1. 취급량 조사 배출량 조사대상 화학물질(제4조 관련) 사전 취급량조사에 적용 본조사 배출량산정에는 이하도 포함 [Ⅰ그룹 - 취급량 1톤/년 이상인  배출량 조사대상 화학물질] 번호 CAS No. 화학물질명 조사대상범위 [무게함유율(%)] 한글명 영문명 1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0.1 이상 2 디에틸스틸베스테롤 Didthylstilbesterol 3 벤젠 Benzene . 15 NA-(주6) 카드뮴 및 그 화합물 Cadmium and its compounds 16 NA-(주7) 크롬 및 그 화합물 Chromium and its coumpounds (주6)Cadmium and its compounds(카드뮴 및 그 화합물)에 해당하는 주요 화학물질 종류는 아래 표와 같으며, 표에 나열되지 아니한 카드뮴화합물도 조사대상 화학물질의 종류에 해당됨 물질군명 CAS No 화학물질명 Cadmium and its compounds Cadmium oxide Cadmium sulfide Cadmium stearate Cadmium Cadmium oleate

6 Inorganic cyanide compounds
1. 취급량 조사 [Ⅱ그룹- 취급량 10톤/년 이상인 배출량 조사대상 화학물질] 번호 CAS No. 화학물질명 조사대상범위 [무게함유율(%)] 한글명 영문명 1 2,4-디니트로페놀 2,4-Dinitrophenol 1.0 이상 2 프로필티오우라실 Propylthiouracil 0.1 이상 3 메클로르에타민 Mechlorethamine . 371 NA-(주20) 아연 및 그 화합물 Zinc and its compounds 372 NA-(주21) 무기시안화합물 Inorganic cyanide compounds (주21)Inorganic cyanide compounds(무기시안 화합물)에 해당하는 주요 화학물질 종류는 아래 표와 같으며, 표에 나열되지 아니한 무기시안화합물도 조사대상 화학물질의 종류에 해당되며, 시안화수소는 개별 물질로 조사함 물질군명 CAS No 화학물질명 Inorganic cyanide compounds Sodium cyanide Potassium cyanide Potassium silver cyanide Copper cyanide Zinc cyanide Potassium copper cyanide

7 1. 취급량 조사 취급품이 혼합물인 경우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부터 조사대상 화학물질의 자료를 이용
MSDS에 성분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MSDS에 기재되어 있는 문의처나 판매자(제조자, 수입자 등)에게 조사대상 화학물질의 함유량 등을 문의 화학물질 수출입 관련 서류에서도 화학물질 구성 성분자료를 얻을 수 있음 제품 또는 공정 관리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료채취분석데이터를 이용 일정 농도 범위만 알고 있을 경우 아래 방법중 선택하여 농도를 결정할 것 - 상한값만을 알고 있다면, 상한값을 사용할 것 (예 : 톨루엔의 농도가 5%이하 일 경우 최고값인 5%를 사용) - 농도의 범위만을 알고 있다면, 중간값을 사용할 것 - 하한값만을 알고 있다면 상한값을 100%로 보고 그 범위 내에서 중간값을 사용할 것 (예 : 물 10%와 60%이상 톨루엔이 함유되어 있다면 톨루엔의 하한값은 60%이고, 상한값은 90%이므로 그 중간값인 75%를 사용) 위의 자료중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 자가측정 데이터를 활용

8 1. 취급량 조사 A제품 사용량 1,000톤 구분 물질명 CAS No. 함량(%) 1 PVC 9002-86-2 75~85 2
Toluene 15~25 3 Benzene 0.3 4 Boric acid 0.2 PVC는 대상 아님 Toluene 사용량 1,000톤x20%=200톤(대상) Benzene 사용량 1,000톤x0.3%=3톤(대상) Boric acid 사용량 1,000톤x0.2%=2톤(비대상) A, B제품 모두 사용의 경우 Boric acid 대상 B제품 사용량 20톤 구분 물질명 CAS No. 함량(%) 1 Boric acid 99%이상 Boric acid 사용량 20톤x100%=20톤(대상) C제품 사용량 3,000톤 구분 물질명 CAS No. 함량(%) 1 PVC 99%이상 2 Xylene 0.5%미만 3 Boric oxide PVC는 대상 아님 Xylene 사용량 3,000톤x0.5%=15톤(비대상) Boric oxide 사용량 3,000톤x0.5%=15톤(비대상) B, C제품 모두 사용의 경우 Boric oxide는 대상 D제품 사용량 8톤 구분 물질명 CAS No. 함량(%) 1 Toluene 98%이상 용제회수공정에서 Toluene을 연간 3톤 회수하여 공정중 제사용 Toluene 사용량 8톤x100%=8톤 용제회수 제사용량 3톤 총사용량은 11톤(대상)

9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대기오염방지시설점원 배출 비산 배출 제품제조 공정 폐기물로 배출 이송, 운반, 주입
폐 기 물 폐기물로 배출 이송, 운반, 주입 혼합 반응 분리 포장 자가 매립 저장 토양으로 배출 폐수처리시설 이송, 운반, 주입 수계로의 배출 폐수처리업체로 이동

10 배출량 이동량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대기로의 배출량 수계로의 배출량 토양으로의 배출량 자가 매립량 폐수처리업체로의 이동량
점오염원을 통한 배출 비산오염원을 통한 배출 수계로의 배출량 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 후 배출 우수, 사고 등에 의한 배출 토양으로의 배출량 취급시설, 장치 등에서 누출 사고, 부주의에 의한 배출 자가 매립량 사업장내 관리형, 차단형 매립지에 매립 이동량 폐수처리업체로의 이동량 폐수종말처리시설, 공동방지시설, 하수종말처리시설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경우 폐수에 함유되어 이송된 조사대상화학물질의 양 폐기물처리업체로의 이동량 발생폐기물을 폐기물처리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하는 경우 폐기물에 함유되어 이송된 조사대상물질의 양

11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12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보관저장 이송운반 주 입 혼합/반응 대기오염방지시설 분리정제 코팅공정 용기세정 열 처 리 검 사
주 입 혼합/반응 분리정제 코팅공정 열 처 리 검 사 포 장 제품저장 대기오염방지시설 용기세정 용제회수 폐기물처리 폐수처리시설

13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1. 휘발성물질 대기 배출량 2. 폐수 배출 및 이동량 3. 공정별 폐기물 이동량
각 공정별 대기오염물질로의 발생량 비산배출량 대기오염방지시설로의 이동량 점원배출량 폐기물발생량 2. 폐수 배출 및 이동량 - 폐수처리장 처리후 수계배출량 - 2차 폐수처리장으로 이동량 - 폐수처리장에서의 대기배출량 - 오니 등의 폐기물 발생량 3. 공정별 폐기물 이동량 - 공정중 폐기물 : 폐유기용제, 잔류물, 폐여과지, 폐용기 등 - 기타시설폐기물 : 폐수처리장오니, 활성탄, 분진 등

14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저장) (이송, 분배) (혼합/반응) (열처리/가공) (포장)
혼합 후 도색 작업시 배출량 - 물질수지법 폐인트류 제품 포장주입시 배출량 – 공학적 계산법 혼합 후 도색 작업시 배출량 – 물질수지법 안료, 접착제 등 코팅후 열처리시 배출량 - 물질수지법 (저장) (이송, 분배) (혼합/반응) (열처리/가공) (포장) 혼합/반응 중 배출량 – 공학적 계산법 용제회수공정에서의 발생량 – 용제회수량 취급량에 추가 이송장치(밸브, 플랜지, 펌프 등)의 배출량 – 배출계수법 계량시설 및 혼합/반응 시설로의 주입시 배출량 – 공학적 계산법 저장탱크의 배출량 – 공학적 계산법 보관저장량(드럼, 말통)의 용기잔여량 - 배출계수법

15 2. 대상물질별 공정조사 방지시설에서의 점원배출량 – 물질수지법 포집된 폐기물중 대상물질의 함량 – 직접측정법
방지시설(집진기, 활성탄) 폐수처리시설에서의 배출량 - 공학적계산법 폐수 및 발생폐기물 중 대상물질의 함량 - 직접측정법 폐수처리장

16 직접측정법 ① 물질수지법 ② 배출계수법 ③ 공학적계산법 ④ 3. 배출량산정 방법
실제로 배출되는 양(유량, 농도)을 직접 측정하여 배출량 산정 ※ 배출량 = 배출유량 x 배출농도 x 운전시간(배출시간) 물질수지법 사용된 화학물질의 유출입량을 사용하여 배출량 산정 ※ 배출량 = 유입량 + 생성량 - 소모량 - 유출량 배출계수법 통계적으로 산출된 평균배출량을 이용하여 유사한 배출원의 배출량 산정 ※ 배출량 = 조성 x 배출원수 x 배출계수 x 운전시간 공학적계산법 물리화학적성질, 공정설계자료, 오염방지시설 특성을 이용하여 배출량 산정 ※ 공학적방법, 산정프로그램 활용,

17 3. 배출량산정 방법 단위공정별 배출량 산정 우선순위 ①=직접측정법, ②=물질수지법, ③=배출계수법, ④=공학적계산법 공정명
저장탱크 ④②① 주물 ③①②④ 대기오염방지시설 ①②③ 창고 및 사일로 ②④① 탈지, 세정, 표뱍 ①②④③ 폐수처리시설 ①④② 노천야적시설 ①②④ 비철주물공정의 산세척 폐기물처리시설 ①③② 배관시스템 드라이크리닝 ③②①④ 폐기물처리업체 휘발성물질 재활용(대기) ③②① 소형용기, 탱크로리 등에 주입시 분리, 정제 ②④①③ 폐기물처리업체 휘발성물질 소각(대기) ②③① 혼합 기계적 가공 빗물을 통한 배출 화학반응 조립, 포장, 검사 ①② 장치세척, 청소, 점검, 보수 ④② 코팅 소분 ①④②③ 운반시 부주의로 인한 누출손실량 증발, 건조, 숙성 용제회수 사고나 재난 ①=직접측정법, ②=물질수지법, ③=배출계수법, ④=공학적계산법

18 3. 배출량산정 방법 1. 산정지침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지침 휘발성물질등 물질군별 배출량 산정지침
폐기물처리업체용 화학물질 배출량 산정지침 2. 배출량산정프로그램(TRIWIN) 사용 (TRI 지원시스템) 3. 전문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 사용 TANK2000 WWT2000 FUGITIVE2000 CHEM2000 기타 국내·외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19 3. 배출량산정 방법 4. 주의사항 배출량, 이동량 계산은 kg단위로 계산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253.6kg >> 254kg) 산·알카리성 수용액(가성소다, 염산, 황산 등)을 pH6~8로 중화하여 배출, 이동시는 “0”으로 산정 중금속(납, 망간, 수은, 니켈, 주석, 안티몬, 비소, 바륨, 베릴륨, 붕소, 카드뮴, 크롬, 구리, 바나듐, 아연, 셀레늄) 및 그 화합물과 무기시안화합물은 중금속 또는 CN자체의 질량만으로 환산하여 배출․이동량 산정 ◦ 크롬산납(PbCrO4․PbO)분자량 = - 납분자량(2Pb) = 207.2×2 = 납무게비 = 414.4/ = 75.85% ◦ 셀레늄산납(PbSeO4) 분자량 = - 납분자량(1Pb) = 무게비 = 207.2/ = 59.17% ◦ 납토양 배출량 : (무게비) × 14,000(납화합물 자가 매립량) = 10,619kg ◦ 납이동량 : (무게비) × 16,000(납화합물 폐기물처리업체로 이동량) = 9,467kg

20 저장시설 - 고정덮개탱크

21

22 이송시설 - 비산배출량 배관내 해당물질 0.1%이상에서만 적용 배출량 산정방법 이송시설 – 배출계수 종류 평균배출계수
배출량 = 배출계수(kg/hr) X 배출원수 X 조성 X 운전시간(hr) 이송시설 – 배출계수 종류 평균배출계수 누출/비누출 배출계수 농도분류배출계수 배출계수상관관계식 공장자체배출계수

23 평균배출계수 석유정제업용 모든업종 배 출 원 상 태 배출계수(㎏/hr/source) 밸 브 기 체 경질유 중질유 0.0268
상  태 배출계수(㎏/hr/source) 밸    브 기  체 경질유 중질유 0.0268 0.0109 펌프봉인 0.114 0.021 압축기봉인 기체/증기 0.636 압력안전 장치봉인 0.16 커넥터 (플랜지포함) 모두 개방식 라인 0.0023 샘플링 연결부 0.0150 공정배수구 0.0317 배 출 원 상     태 배출계수(㎏/hr/source) 밸    브 기체 경질유 중질유 펌프봉인 0.0199 압축기봉인 기체/증기 0.228 압력안전 장치봉인 0.104 커넥터 (플랜지포함) 모두 개방식 라인 0.0017 샘플링 연결부 0.0150 공정배수구 -

24 누출기준배출계수(연 1회이상 누출여부 점검자료 보관)
석유정제업용 모든업종 장     치 상     태 배출계수 (㎏/hr/source) 누    출 (10,000ppm이상) 비 누 출 (10,000ppm미만) 밸    브 기체 경질유 중질유 0.2626 0.0852 0.0006 0.0017 펌프봉인 0.437 0.3885 0.0120 0.0135 압축기 봉인 /증기 1.608 0.0894 압력안전장치봉인 1.691 0.0447 커낵터(플랜지포함) 모두 0.0375 개방식 라인 배  출  원 상     태 배출계수 (㎏/hr/source) 누    출 (10,000ppm이상) 비 누 출 (10,000ppm미만) 밸    브 기체 경질유 중질유 0.0782 0.0892 펌프봉인 0.243 0.216 압축기 봉인 /증기 1.608 0.0894 압력안전장치봉인 1.691 0.0447 커넥터(플랜지포함) 모두 0.113 개방식 라인

25 농도분류배출계수(연 1회이상 측정자료 보관)
장      치 상    태 배출계수(㎏/hr/source) 0~1,000ppm 1,001~10,000ppm 10,000ppm초과 압축기봉인 기체/증기 펌프봉인 경질유 중질유 밸    브 플랜지, 연결기 모  두 압력안전장치 개방식 라인

26 배출계수 상관관계식을 이용한 배출계수(C : 검지기 평균측정농도)
석유정제업용 ※ 펌프봉인부위 배출계수는 압축기봉인, 압력안전밸브, 교반기봉인, 중질유펌프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음. ※ 검지기의 측정농도를 배출계수 상관관계식에 입력하여 해당배출원의 배출계수를 구함. ※ 검지기의 측정농도가 “0”일 경우, 배출계수는 영점배출량을 이용 ※ 배출계수는 메탄을 제외한 유기화학물질을 기준으로 한 값임 ※ 경질유에 대한 펌프봉인부위의 배출계수는 교반기 봉인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음. 장  치 사용 배출계수 상관관계식(㎏/hr) 영점배출량  (㎏/hr/source)  밸  브 모두 2.28×10-6C0.746 7.8×10-6  펌프 봉인 4.82×10-5C0.610 2.4×10-5 커넥터 1.51×10-6C0.735 7.49×10-5 플랜지 4.44×10-6C0.703 3.1×10-7 개방식배관 2.20×10-6C0.704 2.0×10-6 기    타 1.32×10-5C0.589 4.0×10-6 모든업종 장  치 사용 배출계수 상관관계식(㎏/hr) 영점배출량  (㎏/hr/source)  밸  브 기체 경질유 1.87×10-6C0.873 6.41×10-6C0.797 6.56×10-7 4.85×10-7  펌프 봉인 1.90×10-5C0.824 7.49×10-6 커넥터 (플랜지포함) 3.05×10-6C0.885 6.1×10-7

27 혼합시설 – 물질 성질을 이용

28 출하시설 – 탱크로리 등 a : 주입계수 주입조건에 따른 출하시설의 주입계수(휘발성) 수송수단 주 입 조 건 주입계수 탱크로리
수송수단  주  입  조  건 주입계수 탱크로리 (용기)  빈 탱크, 액면 아래서 주입 0.5  빈 탱크, 액면 위에서 산포(散布)주입 1.45  통상적 주입시, 액면 아래서 주입 0.6  통상적 주입시, 액면 위에서 산포주입  통상적 주입시, 액면 아래서 주입, 압력조정실시 1.0  통상적 주입시, 액면 위에서 산포주입, 압력조정실시 탱커, 바지선  탱커, 액면위에서 주입 0.2  바지선, 액면위에서 주입

29 혼합시설 – 용기잔여량계수    20ℓ정도의 소형용기나 드럼 같은 용기에 들어 있는 물질을 저장탱크나 생산공정 등으로 이송시킨 후, 빈 용기에 잔류하는 양을 말하며 용기세척, 용기 폐기 등의 과정에서 발생량 산정에 사용 가능 이송 방법 용기종류 값(%) 용기의 잔류계수 등유 자동차오일 계면활성용액 펌프 이용 스틸 드럼 범위 평균값 2.48 2.29 2.06 3.06 플라스틱 드럼 2.61 3.28 2.30 해당자료 없음 들어 붓기 마개가 있는 0.404 0.403 0.737 0.485 덮개가 없는 0.054 0.034 0.350 0.089 중력 배출 바닥이 경사진 스틸 탱크 0.033 0.019 0.111 0.048 바닥이 접시모양인 스틸 탱크 0.038 0.161 0.058 바닥이 접시모양인 글라스라이닝 탱크 0.127 0.040

30 대기오염방지시설 - 제거율 증기회수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경우 제거율은 0.95 소각처리하는 경우 제거율은 0.99
처리장치의 종류 처리대상물질 분    진 가스상유기화합물 가스상무기화합물 사이클론 0.6 (0) 0 (0) 여과집진기 0.9 (0) 전기집진기 연소장치 0.995(0.995) 세정집진기 0.8 (0) 0.8 (0.8) 활성탄흡착장치 0.1 (0) 0.5 (0) 증기회수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경우 제거율은 0.95 소각처리하는 경우 제거율은 0.99

31 폐수처리시설 - 단위시설

32 === 배출량조사결과 검증 === 취급량 1. 물질수지에 의한 검증 대기, 수계, 토양 배출량 폐기물, 폐수 등 이동량
=== 배출량조사결과 검증 === 1. 물질수지에 의한 검증 대기, 수계, 토양 배출량 폐기물, 폐수 등 이동량 제품에 포함되어 출고됨 소각, 화학반응 등에 의하여 사라짐 2. 전문기관 활용검증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등 취급량


Download ppt "배출량 조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