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1장. 한국어능력평가검사의 개발실태 및 분석 김은영 박상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1장. 한국어능력평가검사의 개발실태 및 분석 김은영 박상은."— Presentation transcript:

1 11장. 한국어능력평가검사의 개발실태 및 분석 김은영 박상은

2 목 차 1. 머리말 2. 한국어능력평가검사의 현황 3. 한국어 및 외국어 능력 평가 제도 4. 한국어 능력 평가의 개선점
5. 맺음말

3 1. 머리말 한국어의 학습열기가 점차 높아지고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기위한 한국어 능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평가제도가 필요하다. 1997년 제 1회 시험이 실시된 이후 아직도 평가의 방법 및 제도적인 측면에서 아직도 미숙한 점이 남아있다. 수험생이 자신의 실력을 가늠해 볼 평가척도가 충분하지 않다.

4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2.1한국어능력평가 목적 응시대상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및 재외 동포들에게 한국어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 속에 한국어 보급을 확대 한국어 학습자 및 국내외 대학 유학 희망자 국내외 한국 기업체 및 공공기관 취업 희망자 외국의 대학 학교 재학 또는 졸업자

5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2.1한국어능력평가 시험주관기관(2008 기준) -시험 관리 및 시행 기관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지도 및 감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시험 출제, 인쇄, 채점 등 시험시행 총괄 한국시행기관 7개 지역 해외시행기관 30개국 94지역

6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2.1한국어능력평가 2.1.4 시험시기 -연 2회 시험실시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
상반기 4월중(토요일) 4월중(일요일) 하반기 9월중(토요일) 9월중(일요일)

7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2.2 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시험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주관하여 1997년부터 연 1회 시험 실시 -1999년 제 3회 한국어능력시험부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실시 -2007년부터 S-TOPIK과 B-TOPIK으로 나누어지고 연 2회 실시로 변경

8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2.2 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주목적 부목적 한국어 능력 평가를 위한 표준 제도를 확립한다.
-전문대 및 대학(원) 입학을 위한 표준적 시험제도를 확립 -기업체 및 기관의 취업을 위한 한국어 능력의 표준화 -국내외의 한국어 연수 및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평가 방법 등의 표준화

9 대상 종류 등급 문항수 점수 문제 및 답안형식 기출 시험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외국인 및 재외교민으로 한국어 학습자 국내외 대학에의 유학 희망자 국내외 한국 기업체 및 공공기관 취업 희망자 종류 일반 한국어 능력시험(Standard TOPIK, S-TOPIK) 초급(1,2급)/중급(3,4급)/고급(5,6급) 실무 한국어 능력시험(Business TOPIK, B-TOPIK) 급수 구별 없이 1종류 등급 등급결정: 1급에서 6급까지 여섯 단계 안에서 결정 합격: 하위급 1,3,5급은 50점 이상 / 상위급 2,4,6급은 70점 초과 이때의 점수는 각 등급별 총점 (공통400점)에서 각 영역별 평균 점수 과락: 각 영역별 1,3,5급은 40점 미만 / 2,4,6급은 50점 미만 문항수 각 영역별 30문항 정도, 네 영역 합쳐 모두 105~107문항/쓰기는15~17문항 문항수가 일정하지 않은 이유는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달라지기 때문 문제의 난이도에 관하여 모의시험을 통해 지속적 파악 노력 필요 점수 각 영역별 100점 만점제 / 합계 400점 만점 문제 및 답안형식 단답형 및 주관식 문제가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출제 주관식 비율을 높이는 문제는 채점의 정확선과 관련되어 신중한 접근 필요 기출 시험지 급수별 단행본으로 출판 7회부터는 한국어능력시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여 현재까지 실시된 시험의 문항 유형 및 난이도에 대한 정보 제공

10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제8회 한국어 능력시험의 국가별 지원, 응시, 합격 현황 국가명 지원자수 응시자 수 합격자 수
일본 6190 5513 3574 한국 3650 3324 2172  중국 2738  2573 1386  미국 1091 838  555  우즈베키스탄 765 607  301 러시아 729  400  263  베트남 660  563 379  카자흐스탄 368  287 151  태국 316 267  124  호주 292 268  242  몽골 289 234 141 브라질 203 184 118 키르키즈스탄 123 104 53  캐나다 72 63 59  영국 50 39 34 독일 18 15 6 총계  17545  15279 9558

11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제8회 한국어 능력시험 국가별 지원자의 연령별 현황 국가 10대 20대 30대 40대 미기재 계
10세미만 10대 20대 30대 40대 50세이상 미기재 한국 1 250 2520 651 187 32 9 3650 일본 461 2127 1971 796 815 19 6190 중국 381 2083 196 58 18 2 2738 미국 70 992 4 3 1091 카자흐스탄 161 171 21 6 8 368 키르키즈스탄 34 83 123 우즈베키스탄 245 388 35 53 756 몽골 110 159 289 러시아 275 406 11 17 729 호주 31 231 26 292 독일 7 브라질 24 167 203 베트남 136 465 42 15 660 태국 270 5 316 캐나다 56 14 72 영국 40 50

12 2.한국어능력평가 검사의 현황 제8회 한국어 능력시험 지원자의 응시 목적별 현황 국가 취업 관광 학술 실력확인 계 미기재 8
유학 취업 관광 학술 실력확인 기타 미기재 한국 803 270 8 58 2247 203 3589 61 일본 254 277 108 83 5200 257 6179 11 중국 18 28 26 3 227 4 306 2432 미국 10 138 701 234 1091 카자흐스탄 2 325 5 368 키르키즈스탄 29 94 123 우즈베키스탄 50 34 669 756 몽골 51 1 228 289 러시아 99 37 23 563 729 호주 291 292 독일 6 9 브라질 201 베트남 7 643 655 태국 31 91 171 314 캐나다 72 영국 46 1383 766 154 329 11673 15034 2511

13 3. 한국어 및 외국어 능력 평가 제도 일본 한국어검정능력시험 미국 SAT II(한국어) 일본어능력시험(JLPT)
한국어능력평가의 개선방안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 평가제도와 비교 선행되어야 한다. 비교대상 일본 한국어검정능력시험 미국 SAT II(한국어) 일본어능력시험(JLPT) 미국 iBT TOEFL

14 항목 한국어능력시험(TOPIK) 한글능력검정시험 SAT II(한국어) 일본어능력시험 (JLPT) TOEFL(CBT→iBT) 설립연도 1997 1996 1984 1964→2005 주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한국교육재단 미국 The college Board 일본국제교류기금  및 일본국제교육협회 미국ETS (Educational  Testing Service) 시험의 목적 한국어를 외국어나 제2언어로 하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 측정 한국어능력측정 미국 대학 수능시험에서 제2외국어 국내외의  비모국어 학습자의 일본어 능력 측정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의 영어 실력을 측정 기본 구성 등급제 (1-6급)6단계 (준1-2, 1-5급)7단계 점수제 등급제(1-4급) 평가  기준 각 급별 기준 점수분포 ( 점) (2-4급 240이상, 1급 280이상 합격) 점수대별로 소통 능력 인정 수준 있음 문항수 각 영역별 30 (쓰기:15-17) 합계: 필기:50-60 듣기/받아쓰기:30 총80-85 문자‧어휘:65 청해:30 독해‧문법:56 (급별, 시기별 문항수 다름) 독해: 42 듣기: 51 말하기: 6 쓰기: 2 (내용요약, 에세이쓰기) (시기별 문항수 다름) 배점 각영역 (4*100점) 계:400점 필기:총300점 듣기/받아쓰기 :200점 듣기:35% 용법:30% 독해:35% 총 점 문자/어휘:100점 청취:100점 독해/문법:200점 총400점 상대평가 문제 및 답안의 형식 객관식 (4지선다형) 주관식:10-30% 주관식: 써넣기 주관식: 에세이쓰기

15 4. 한국어 능력평가의 개선점 형식적 측면 내용적 측면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려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말하기 평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쓰기 평가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내용적 측면 -지문을 선정할 때 각급의 내용 수준에 맞는 것을 선정해야 한다. -지문 선정 시, 한국을 소재로 하는 지문을 늘리고 한국의 긍 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려는 노력과 지문에 대한 개발이 필요 하다.

16 4. 한국어 능력평가의 개선점 제도적 측면 시험 방법의 측면 -시험의 통과 여부가 대학입학 등에 반영되어야 한다.
대학의 입시나 정부 초청 장학생의 경우 한국어 능력 평가 의 성적을 요구한다면 한국어 능력시험의 효과와 관심을 높 일 수 있을 것이다. 시험 방법의 측면 -말하기 시험이 추가 될 경우 인터뷰를 포함해야 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시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제은행이 마련되어야 하며 문제의 난이도를 같은 수준으로 통일하고 주관식 문제가 포함될 경우 채점자의 전문성이 확보 되어야 한다.

17 5.맺음말 난이도 평가 앞으로의 과제 -정확한 분석을 위해 각 문항 마다 오답률 혹은 정답률을 조
사하여 문항별 오답률의 통계자료를 구축한다. 이것은 궁 극적으로 문제 은행식 출제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각 문항 문제 유형의 적절성, 시험난이도 편차 등이 논의 해야 할 과제들이다.

18 5. 맺음말 국가별 한국어 능력 수준 파악 앞으로의 과제 -매년 응시자의 수가 늘고 있고, 합격률도 증가하고 있는 추
세이다. 각국의 응시자들의 한국어 수준이 다르고 틀리는 문제의 유형도 다른 상태이다. -국가별 점수 분포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 진다 면 각국의 한국어 교육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

19 5. 맺음말 등급자료의 확정 앞으로의 과제 -현재 각급에 출제된 문제에는 어휘 및 문형의 기준이 명확 하지 않다.
-각 급에 필요한 어휘와 기본 문형의 선정이 절대적으로 필 요한 상태 이다.한국어 교육기관 담당자와 한국어 교육 전 문가 등으로 이루어진 어휘 문형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 다.

20 교 육 방 안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11장. 한국어능력평가검사의 개발실태 및 분석 김은영 박상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