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03. 무신 정권과 농민, 천민의 봉기.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03. 무신 정권과 농민, 천민의 봉기."— Presentation transcript:

1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03. 무신 정권과 농민, 천민의 봉기

2 1. 무신 정권의 성립 학습 목표 1. 2. 문벌 귀족 사회가 동요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무신 정권의 전개 과정과 권력 기구의 변화를 알 수 있다. 2.

3 생각 열기 이자겸이 막강한 권력을 누릴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경원 이씨 가문은 오랫동안 왕실의 외척으로 권력을 독점하였다. 특히 이자겸은 자신의 생일을 인수절이라 부르게 하였다. ‘절’이란 황제나 국왕의 생일에 붙이는 칭호였다. 경원(인주) 이씨 가계도 이자겸이 막강한 권력을 누릴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이자겸은 자신의 딸들을 왕비로 들여보내는 등 왕실과 거듭된 혼인 관계를 맺어 권력을 독점하였다.

4 (1)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이자겸의 난 (1126)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배경: 경원 이씨(이자겸)의 권력 독점 → 인종과 측근 세력의 이자겸 제거 시도 과정: 이자겸과 척준경의 반란 → 개경의 궁궐 소실, 왕의 권위 추락 →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이자겸의 난 (1126)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전성기로, 11대 문종에서 17대 인종에 이르는 약 80여 년간 권력을 독점하였다. 이 기간 동안 경원 이씨는 5명의 왕에게 9명의 왕비를 들여 외척으로서 세력을 떨쳤다. 배경: 이자겸의 난과 금의 사대 압력으로 민심 동요 서경 세력의 득세: 묘청 등이 인종에게 서경 천도 주장, 왕을 황제로 높여 부르고 독자적인 연호 사용 주장, 금 정벌 건의 서경 세력의 반란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5 자료 더하기 - 개경 세력과 서경 세력 비교 개경 세력 서경 세력 중심인물 김부식 묘청, 정지상 지역 기반 개경 서경 사상
보수적 유교 정치 사상 자주적 전통 사상(풍수지리설) 중시 외교 사대 정책(금의 사대 요구 수용) 북진 정책(금 정벌 주장)

6 (2) 무신 정권의 성립 무신 정변의 배경 무신 정변(1170) 무신에 대한 차별 대우 의종의 실정
이의방, 정중부 등이 정변으로 명종을 내세우고 권력 장악(무신 정권 시작) 반대 세력의 반란과 무신 상호 간의 권력 다툼으로 정치적 혼란 지속 무신 정변(1170)

7 사료 돋보기 - 문신에게 모욕을 당하는 무신 어느 날 의종이 보현원으로 가는 도중 대장군 이소응 등에게 오병 수박희를 시켰다. 이소응은 비록 무신이기는 하지만 늙고 힘이 약해 이기지를 못하였다. 이때 젊은 문신 한뢰가 앞으로 나서며, 이소응의 뺨을 때리니 이소응이 섬돌 아래로 넘어졌다. 이 모습을 보고 왕과 신하들이 손뼉을 치며 크게 웃었다. - “고려사” *오병 수박희: 다섯 명의 군사가 한 조가 되어 주로 손을 사용하여 겨루는 무예 수박희

8 (3) 최씨 무신 정권의 확립 최충헌의 집권 무신 집권 기구 이의민 제거, 하층민의 봉기 진압 봉사10조의 개혁안 건의
교정도감: 국정 총괄, 정적의 감시와 숙청 정방: 인사권 장악 도방: 무신 집권자의 신변 보호를 위한 사병 집단 삼별초: 최씨 정권의 사병 집단, 공식적인 업무도 수행 서방: 문인 우대, 고문 역할 수행 무신 집권 기구

9 자료 더하기 - 무신 정권의 지배 기구 중방은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의 회의기구로서 무신 정권 초기에 막강한 정치 기구가 되었다. 그러나 최충헌이 교정도감을 설치한 이후 교정도감이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기구가 되었다.

10 자료 더하기 – 최충헌의 권력 기반 (1) 교정도감 무신 집권기의 최고 권력 기관으로, 원래 최충헌 부자를 살해하기로 모의한 반대파를 적발, 처벌하기 위해 설치했던 임시 기구였다. 이후 교정도감은 반대 세력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서무를 관장하고 국정을 총괄하는 중심 기관이 되었다. 나중에는 비위(非違)에 대한 규찰, 공물과 특별세 등 인사 행정과 세무 행정도 담당하였다. (2) 도방 강력한 사병 집단으로 경대승 때 설치되었다. 최충헌이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3,000명 이상의 사병을 6교대로 자신의 집에 숙직하게 하였으니 그 위세가 관군을 능가했다고 한다.

11 역사적 인물 이야기 - 무신 정권 시기에 등용된 문인들
최씨 무신 정권은 이전의 무신 집권자와는 다르게 문인을 등용하여 정치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우는 서방을 설치하여 문장과 실무 능력이 뛰어난 문인을 등용함으로써 문신들도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기에 등용된 대표적인 문인들로는 이규보, 최자 등이 있다.

12 자료 더하기 - 왜 무신들은 문신을 등용했을까? 무신들이 집권한 초기에는 많은 문신들을 처단하였다. 하지만 무신들로만 현실 정치를 이끌어나갈 수 없었기 때문에 무신 집권자들은 정권이 안정되자 문신들을 적극 이용하였다. 그리하여 무신 집권기에는 이전 시기보다 과거제가 더욱 활발하게 운영되었으며, 특히 최우 때는 적극적으로 문반을 우대하고 이들을 정치 운영에 활용하였다. 동국이상국집

13 농민과 천민의 봉기 2. 학습 목표 농민과 천민들이 봉기를 일으킨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14 생각 열기 만적이 말한 ‘노비 출신의 최고 무신 권력자’는 누구일까? 노비 만적이 다른 노비에게 말하였다.
“무신이 정권을 잡은 이래 하찮은 노비 출신으로 공경대부가 된 사람이 많다. 왕후장상의 씨가 어찌 따로 있겠는가? 누구나 때가 오면 할 수 있다. 어찌 우리만 채찍을 맞으며 힘들게 일해야 하는가?” - “고려사” 만적이 말한 ‘노비 출신의 최고 무신 권력자’는 누구일까? 이의민

15 (1) 무신 집권기의 사회 동요 12세기 전반의 농민 생활 무신 집권의 영향 하층민의 반란 귀족의 토지 수탈과 고리대로 고통
여진 정벌 등으로 무거운 세금 부담 → 고향을 떠나는 농민 속출 12세기 전반의 농민 생활 정치 문란: 무신 간의 권력 다툼 →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 약화 농민의 불만 고조: 무신 집권자의 농장 확대, 지방관의 백성 수탈 심화 하극상 풍조 만연, 신분 질서 해이 무신 집권의 영향 조위총의 난에 서북 지방 농민이 대규모 가담 → 전국에서 농민과 천민이 봉기 하층민의 반란

16 자료 더하기 - 무신 정권 시기 농민의 고통 “각지의 부강한 양반들이 빈약한 백성들이 빚을 갚지 않는다고 예부터 내려오는 백성들의 정전을 마음대로 빼앗고 있다. 이 때문에 백성들이 실업하여 더욱 빈곤해지니, 부호들이 백성들의 토지를 빼앗아 겸병하는 것을 금지하고 빼앗은 토지는 모두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해라.” - “고려사” ‘식화지’ “백성은 나라의 근본으로, 근본이 튼튼해야 나라가 편안해진다. 근래에 수령이 백성을 수탈하면서도 두려워하고 꺼려함이 없으니, 고통을 견디지 못해 유리하는 백성이 날로 늘어나고 있어 내가 매우 슬프게 생각한다. 오직 너희 관리들은 탐학한 이속들을 엄히 징계하여 뒷사람들이 경계하도록 하라. 만약 백성들을 가렴주구하고 뇌물을 받는 자가 있으면 비록 사소한 것이라도 중벌에 처하도록 하라.” -“고려사절요”

17 탐구 활동 - 무신 집권 시기의 농민의 생활 한평생 일해서 벼슬아치 섬기는 이것이 바로 농사꾼이다.
누더기로 겨우 살을 가리고, 온 하루 쉬지 않고 밭을 가노라. 볏모가 파릇파릇 자랄 때부터, 몇 번을 가꾸어 이삭이 맺었건만 아무리 많아야 헛배만 불렀지, 가을이면 관청에서 빼앗아 가는 걸. 남김없이 몽땅 빼앗기고 나니, 내 것이라곤 한 톨도 없어 풀뿌리를 캐어 목숨을 이어 가다가, 굶주려 마침내 쓰러지고 마는구나. -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고려 불화에 나타난 농민의 생활 모습 (미륵하생경변상도 일부)

18 탐구 활동 - 무신 집권 시기의 농민의 생활 이규보가 살았던 시기의 집권 세력을 알아보자. 과제 1. 무신 세력 과제 2.
무신의 집권 이후 농민 생활이 더욱 어려워졌던 이유를 설명해 보자. 예시 답안 무신들은 권력 투쟁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사병을 양성하고 백성을 가혹하게 수탈하였다. 그리하여 농민들의 삶이 이전보다 훨씬 어려워졌다.

19 (2) 농민과 천민의 봉기 특수 행정 구역 주민의 불만 농민의 봉기 천민의 신분 해방 운동
부곡, 소: 일반 군현의 주민보다 과중한 국역 부담 공주 명학소의 난: 망이 ∙ 망소이의 지휘 아래 봉기 특수 행정 구역 주민의 불만 김사미와 효심: 경상도 전역에 세력 확대 삼국 부흥 운동: 평양, 경주, 담양 지역에서 봉기 농민의 봉기 배경: 신분제 동요(천민 출신의 최고 집권자 등장) → 신분 상승에 대한 기대감 고조 만적의 난: 최충헌의 가노인 만적이 신분 해방 주장 노비의 봉기: 전주 등에서 공 ∙ 사 노비가 신분 해방 주장 천민의 신분 해방 운동

20 자료 더하기 – 무신 정권기 농민과 천민의 봉기 초기: 농토에서 벗어나 떠돌거나 초적이 되는 소극적 저항이 대부분
시작: 조위총의 난에 서북 지방 농민들이 대거 가담 확산: 전국 곳곳에서 농민과 천민의 봉기가 활발하게 전개(대규모 봉기로 연결)

21 ❶ 학습 내용 확인하기 다음 ( )에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
다음 ( )에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 (2) 인종 때 ( 이자겸, 김부식 )은 왕이 될 욕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묘청 등 서경 세력은 ( 금 정벌, 금의 사대 요구 수용 )을 주장하였다.

22 ❷ 학습 내용 확인하기 다음 중 서로 관련 있는 것을 바르게 연결하시오. (1) 중방 ㉠ 최우가 설치한 사병 기구 (2) 정방
(3) 삼별초 (4) 교정도감 ㉠ 최우가 설치한 사병 기구 ㉡ 무신 정권 초기 회의 기구 ㉢ 최충헌이 설치한 최고 기구 ㉣ 무신 정권의 인사 행정 담당 기구

23 ❸ 학습 내용 확인하기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2) (3) 공주 에서 망이 ∙ 망소이 형제가 봉기를 주도하여 한때 충청도 일대를 장악하였다. 명 학 소 경상도에서 운문의 와 초전의 이 연합하여 큰 세력을 이루고 봉기하였다. 김 사 미 효 심 최충헌의 사노비 은 신분 해방을 주장하며 봉기를 계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만 적

24 4 학습 내용 확인하기 무신 집권기에 하층민의 봉기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던 배경을 간단히 쓰시오.
예시 답안 무신 정권이 성립된 이후 무신 권력자들은 불법으로 농장을 확대하며 이전보다 더욱 가혹하게 농민을 수탈하였다. 또한 무신 정변 이후 하극상의 풍조가 만연하는 등 신분 질서가 해이해지면서 하층민의 봉기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Download ppt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03. 무신 정권과 농민, 천민의 봉기."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