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3강 영국의 일반침례교회와 특수침례교회의 시작.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3강 영국의 일반침례교회와 특수침례교회의 시작."—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3강 영국의 일반침례교회와 특수침례교회의 시작

2 ■ 개요 정치적 배경 스튜어트 왕조시대(Stuart Dynasty, 1603-1688)
1603년 제임스 I세의 즉위 ~ 1688년 명예혁명(Revolution of Glory)으로 제임스 II세가 물러난 시기 종교개혁으로 인해 로마 가톨릭(교황포함)의 권위가 실추되고 그 자리를 영국 국교회가 대신함 제임스 I세에 의한 “왕권신수설”에 의해 그 밖에 모든 다른 분파들은 이단으로 정죄 핍박을 위해 네덜란드로 피난을 갔던 존 스마이스(John Smyth)와 그 추종자들이 1609년 암스테르담에서 신자의 침례에 기초한 교회를 네덜란드에 최초로 창립 ⇒ 최초의 일반침례교회 •이들 중 1611년 혹은 1612년에 영국으로 다시 돌아와 런던의 스피탈필드(Spitalfield) 지역에서 새로운 침례교회를 시작 ☞ 최초로 런던에 세워진 침례교회(일반침례교회의 시작)

3 • 특수침례교회는 1616년 헨리 제이콥(Henry Jacob)이 런던 근교인 사우스워크 (Southwark)에 세운 독립교회(independent church) 혹은 반분리주의 교회(semi-Separatist church)로부터 기원하여 1638년 존 스필즈버리(John Spilsbury)등이 대륙의 칼빈주의에 기초하여 런던의 또 다른 교회 설립 ☞ 최초로 런던에 세워진 특수침례교회 ※ 영국의 일반침례교회와 영국의 특수침례교회는 서로 다른 시대, 다른 장소, 다른 배경으로 탄생하였다. 이후 300여 년 동안 다른 길을 걷다가, 1891년 양자가 연합하여 영국 침례교연합(British Baptist Union)으로 재탄생. •미국의 침례교는 18세기의 제1차 대각성운동(the First Great Awakening Movement, )의 영향으로 ⓵ 분리침례교(Separate Baptists: 회중주의 출신으로 침례교인 된 그룹, 칼빈주의의 신학과 부흥을 강조, 성령을 통한 개인의 영감과 계시 강조, 신광침례교라 불림)와 ⓶ 정규침례교(Regular Baptists: 기존의 침례교인들로 칼빈주의 신학을 가졌으나 부흥운동의 감정주의를 비판) ☞ 1801년 양자 통합 •교회론: 청교도(칼빈주의 + 주로 장로정체); 분리주의자(칼빈주의 + 회중정체); 독립주의자(칼빈주의 + 회중정체) •영국 국교회에 대한 태도: 청교도(true but corrupt); 분리주의자(totally corrupt and false); 독립주의자(true but corrupt= 반분리주의)

4 Ⅰ. 영국의 일반침례교회의 시작 생애 존 스마이스(John Smyth. c. 1570-1612) :
튜더 왕가의 엘리자베스 1세와 스튜어트 왕가의 제임스 1세 때. 1) 영국 성공회 신자(혹은 청교도)로서의 스마이스 생애 게인스보르(Gainsborough)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남 성공회 사역자가 되기 위해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크라이스트 대학(Christ's College)에 입학하여 1590년 학사 대학 시절, 당시 분리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던 프란시스 존슨(Francis Johnson)교수에게서 개혁주의 사상 영향 받음 ☞ 존슨은 분리주의자들의 책들을 폐기 처분하라는 명령을 홀란드 주재 영국 대사로부터 받아 모든 책들을 불태울 때 이들의 주장에서 잘못을 발견하고자 두 권의 책을 남겨놓음

5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 비교

6 ☞ 존슨에 대한 추가적 내용 헨리 바로우(c )와 존 그린우드(John Greenwood, c )의 책들을 면밀히 읽은 존슨은 내용에 크게 감명 받음 헨리 바로우와 존 그린우드는 1587년 혹은 1586년에 투옥, 1589년에 감옥에서 “하나님 말씀에서 나온 가시적 교회의 참된 진술”이라는 간단한 신조를 보내옴 ☞ 이 신조에서 성경이야말로 교리와 치리에 관한 모든 문제에 있어서 최종적인 권위이며, 교회 자체는 그리스도와의 교제, 그리고 서로 간의 교제로 연합된 믿는 자들의 모임이라 정의 존슨은 런던의 감옥에 갇혀 있는 저자들을 방문하여 대화한 후 모든 의심 사라짐 1589년 10월, 영국 국교회의 <감독제도>를 비판하고 <장로정체>를 성경적인 형태의 교회정체로 주장함으로써 교수직에서 쫓겨남 1591년부터 분리주의 운동에 가담하기 시작 1592년에 런던의 여명의 분리주의자들이 모이는 교회의 목사가 됨 1592년 12월 5일에 존슨은 체포되어 감옥에 갇힘 1593년 봄에 그들의 교인 56명도 그를 따라 런던의 감옥에 갇힘

7 감옥에서 존슨은 헨리 에인스워드(Henry Ainsworth)와 함께 “참 신앙고백서”(A True Confession)작성 ☞ (영국 국교회의 부족함, 그들의 각종 직분 비판, 칼빈주의 기조, 회중주의 주장) ☞ 런던의 7개의 특수 침례교인들이 1644년에 그들의 최초의 신앙고백서인 런던 신앙고백서(The London Confession, 1644)를 작성할 때 이 신앙고백서가 모델로 사용됨 ☜ 분리주의 신앙고백서가 침례교의 일상으로 들어옴 1593년 4월 6일 분리주의자들인 헨리 바로우와 존 그린우드가 교수형, 이어서 5월 29일에 또 다른 분리주의자인 존 펜리(John Penry, )도 교수형 지도자들을 제외하고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사람들을 당국은 이민 추진 대부분의 비국교도들은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으로 이민 감 1595년에 그곳에서 교회가 재 결집, 소위 “고대교회”(the Ancient Church)형성 ☞ 존슨이 감옥에 있기 때문에 헨리 에인스워드를 목사로 선임 먼저 출소한 에인스워드가 암스테르담에서 1596년에 “참신앙고백서” 출판 ☞ 분리주의자들의 헌장 역할 1597년에 존슨과 그의 동생인 조지 존슨(George Johnson)은 석방후 네덜란드로 이주

8 • 스마이스의 생애( ~ 계속)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1594년부터 1598년 까지 그곳에서 신학과 철학을 학생들을 가르침(정식 교수는 아니었음) ☞ 석사과정의 주요 과목들은 신학이었지만 의학도 공부함, 후에 생활에 상당한 도움(무면허) 1594년 34세의 나이에 링컨 시의 감독이었던 윌리엄 윅컴(Wlliam Wickham)에게 영국 국교회의 목회자로 안수 ☞ 크라이스트의 전임강사 자리를 위한 안수 1598년 대학원을 중도에서 그만둠 ☞ 영국 국교회에 순응할 수 없었던 자신의 신념 때문일 것으로 추측 그 당시의 주교로부터의 임명을 거부하려고 했음 1600년 링컨 시(the city of Lincoln)는 스마이스를 그 도시 교회의 목사로 고용 ☞ 경쟁 후보자인 토마스 러딩턴(Mr. Thomas Luddington)과 8:7로 선출 1602년 링컨 시의 종신 설교자로 임명 스마이스의 열정과 직선적인 설교 스타일은 문제를 일으킴 설교시간, 죄와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호명하며 비난 1602년 10월 14일, 그 교회는 스마이스를 해고

9 동시에 링컨 시의 교구 감독은 스마이스의 목회자와 설교자로의 자격을 박탈
화이트(White)나 이스텝(Estep)교수는 링컨 시내의 정치 파당 싸움의 희생자로 간주 1602-6년까지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음 1606년에 고향인 게인스보르에 사무실을 열고 의료행위 실시(그 당시 의사 면허증은 교구의 감독이 내어줌) 자신이 국교회와 아무런 다른 점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시편 22편을 주석한 네 편을 모아 “광명한 새벽별” 제목으로 출판 캔터베리 대주교인 존 휫기후트(John Whitgift)로부터 링컨시를 포함한 캔터베리 지방의 어느 곳에나 설교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음 그러나 링컨 시의 감독인 채더턴(Bishop Chaderton) 이 다시 캔터베리 대주교에게 호소하여 1603년 7월 6일 설교자격 다시 취소 제임스 1세는 1604년 11월 30일부터 효력을 발생하는 141개 조항의 법률을 발표 ☞ 36조항에 따르면, 모든 성직자들은 영국 국교회 안에 남으려면 “영국의 국왕이 교회의 머리인 것과 39개 조항 뿐 아니라 교회의 감독 정체와 공동기도서”를 따르겠다는 서명을 하도록 요구

10 - 스마이스는 첫 번째 책을 출판한 후 2년 후인 1605년에 주기도문 강해서인 “진정한 기도의 유형”(A Patern of True Prayer)출판
- 이 책에서 영국 국교회에 대한 자신의 충성심을 드러냄 - 그러나 자신을 “하나님의 말씀의 사역자이며 설교자”라고 부름으로써 링컨 시의 설교자로 돌아갈 가능성이 희박함을 우회적으로 표현 - 1605년 경에 링컨 시의 북서쪽에 위치한 게인스보르로 이주해서, 생계를 위해 의술활동 계속 - 1606년 스마이스와 헬위즈(Thomas Helwys)를 포함한 청교도들이 코벤트리(Coventry)에 위치한 보우스 공작 부부(Sir and Lady Bowes)의 집에서 모이는 청교도들의 모임에 참석하기 시작 - 보우스 공작 부부는 막대한 재정을 이 모임에 후원 - 그 곳에서 로버트 버나드(Robert Bernard: Worksop에서 사역), 로버트 기포드(Robert Gifford: Laughton에서 사역), 존 로빈슨(John Robinson: Sturton-le-Steeple에서 사역), 리처드 클리프톤(Richard Clyfton: Babworth에서 사역), 휴 브롬헤드(Hugh Bromhead: North Wheatley에서 사역)과 깊은 교제를 나누었음 ☞ 헬위즈만 유일한 평신도, 나머지는 국교회 사제

11 이 모임에서 스마이스는 영국성공회는 어떠한 개혁도 원치 않으며, 교회자체도 썩었고, 그 교역자들도 썩었고, 예배도 썩은 것이 들어났기 때문에 그 자신이 썩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바벨론” 밖으로 나와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 선언 스마이스는 동료들에게 유일한 선택은 영국 국교회를 떠나 분리주의자가 되는 것이라 선포 이 때 스마이스와 헬위즈를 따른 사람들은 브롬헤드, 로빈슨, 클리프톤, 버나드(후에 영국 국교회로 되돌아가 스미스와 헬위즈의 교회론에 끝까지 대적이 됨) 등 스마이스는 게인스보르의 감독 보조인 제롬 필립스(Jerome Phillips)가 교구 교회에서 예배, 영적인 의식들, 직무에 소홀하다고 생각하여 허가 없이 교구 교회에서 설교 곧 영국 국교회의 당국에 알려지게 되어 당시 켄터베리 대주교였던 리처드 뱅크로후트(Richard Bancroft, 재위 )의 명령에 의해 비공식적 사역도 금하게 됨 1606년 경, 게인스보르에 분리주의 교회를 설립하고 이 교회의 목사로 선출

12 스마이스의 신학사상 년 까지 스마이스는 강력한 칼빈주의 신학에 근거한 청교도로서, 분리주의와 재침례교를 배격하며, 영국 국교회를 옹호 그의 책 “진정한 기도의 유형”에서 영국 국교회 옹호 종교의 자유와 종교의 관용 거부 종교와 정치의 일치, 분리주의에 반대(존슨 지칭?) 재침례교에 대한 분명한 반대

13 2) 분리주의자로서의 스마이스 1605-6년 동안 스마이스가 중병을 앓았을 때 휄위즈의 집에 머물며 치료를 받음
이 때 영국 국교회에 대한 의문 깊어짐 두 사람의 교제 속에 종교적인 권위, 교회의 특성, 양심의 자유, 특별히 영국 국교회의 정당성에 대하여 깊은 대화를 나누었을 것으로 추측 이 9개월 동안 스마이스는 영국 국교회의 정당성을 부인하고 분리주의자가 됨 휄위즈도 역시 분리주의자가 됨 둘이 내린 결론은 다음: “진실한 교회는 오직 그리스도에 의해서만 통치되어야 하며, 그러므로 교회는 국가의 지배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스마이스 자신이 이제 분리주의자가 됨 헬위즈, 브롬헤드(Hugh Bromhead), 토마스 피고트(Thomas Pygott)과 같은 영국 국교회 사제 출신, 헬위즈, 제르베이스 네빌(Jervase Nevil), 제인 싸우스월스(Jane Southworth)와 같은 귀족들, 존 멀튼(John Murton)과 같은 상인들, 하인들 그리고 존 로빈슨, 클리프톤, 버나드와 함께 1606년 경 분리주의 교회 설립

14 몇 차례 설교 후 게인스보르 교회는 스마이스를 담임목회자로 선출
그러나 교회 내부적으로 이미 스마이스를 따르는 그룹들과, 존 로빈슨(John Robinson)를 따르는 사람들로 나뉨 교회론의 기본원리는 구약의 “언약”(covenant)사상(역대기상 1:3, 4, 12, 15; 열왕기하 23: 3; 느헤미아 10:29) 이 교회의 구성원은 60-70여명 정도로 게인스보르의 올드 홀(Gainsborough Old Hall)에서 비밀스럽게 모임(농장 형태의 건물) 스마이스는 1607년에 자신의 교회론을 밝힌 “가시적 교회에 관한 원리와 추론”발표 ☞ 이 곳에서 스마이스는 영국 국교회를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불법의 비밀과 음녀 바벨론”이라고 비난, 교회는“하나님과 그의 백성으로서의 계약”에 근거한 교회, 유아세례 인정, 게인스보르 교회의 분리주의 교회의 헌장이 됨 ⇐ 이때 까지는 침례교의 원리를 갖지 못했음, 단지 교회와 국가의 분리 주장 후에 핍박을 피해 스마이스 그룹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로빈슨 그룹은 라이덴으로 피난 로빈슨 그룹에 속해 있었던 윌리엄 브리스터와 윌리암 브래드포드는 1620년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신대륙으로 건너가 필그림 조상들이 됨(미국의 청교도사상의 시조)

15 또 다른 스크루비(Scrooby) 회중은 리처드 클리프톤(Richard Clyfton), 윌리엄 브루스터(William Brewster), 존 로빈슨(John Robinson)등이 지도자가 됨 1607년 암스테르담에 도착한 스마이스 그룹은 그곳에 있던 메노나이트 교회들과 교제하며 신앙적인 영향 받기 시작 1608년 후반부터 이미 암스테르담에 존재해있던 프란시스 존슨과의 계속되는 논쟁 중에 자신을 포함한 분리주의 교회의 정당성에 대해 의심을 품기 시작 프란시스 존슨(고대교회)과 스마이스의 차이점 ☞ (1) 교회직분론: 존슨 3직분론(감독, 장로, 집사), 스마이스 2직분론(감독 = 장로, 집사); (2)예배서 사용: 존슨은 성경은 예배에서 사용 가능, 스마이스는 번역성서는 불완전하므로 예배에서 사용할 수 없다); (3)헌금의 출처: 존슨은 불신자의 헌금도 수용가능, 스미스는 헌금도 예배이므로, 불신자의 헌금은 받을 수 없다 순수한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영국 국교회로부터 분리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결론에 도달 영국 국교회의 잘못된 행습으로부터 철저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유아세례를 거부하고, 진정한 뱁티즘을 받아야 할 필요성 인식

16 유아세례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구약의 할례는 신약에 나오지 않았으며 신약에서는 자신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님을 구주와 주님으로 고백한 사람들만이 뱁티즘을 받았다는 결론에 도달
오직 신약성서의 교회들은 이렇게 뱁티즘을 받은 사람들로 구성되었다는 결론에 도달 스마이스의 논리적 결과 ☞ (1) 영국 국교회의 유아세례에 근거하였던 자신들은 “진정한 교회”가 아니었다. (2) 진정한 교회는 신자의 뱁티즘에 근거해야 한다. (3) 누군가는 신자의 뱁티즘에 의한 진정한 교회를 시작해야 한다. (4) 우리가 신자의 뱁티즘을 새롭게 시작함으로써 진정한 교회를 시작할 수 있다. 1609년 스미스는 이 깨달은 바를 실천에 옮겨 먼저 자신에게 침례를 주고, 그 후에 토마스 휄위즈와 나머지 40여명에게 관수례를 통하여 침례를 베품 ☞ 유아세례에 기초하지 않고 신자의 뱁티즘(관수례)에 근거한 최초의 침례교회를 종교적인 망명지인 네덜란드(화란)에서 세움 이 교회는 영국 일반침례교회의 모체가 되었으나 이때는 스마이스의 신학이 칼빈주의에서 알미니안주의로 아직 바뀌지 않았을 시기.

17 스크루비 회중의 일원이었다가 프란시스 존슨의 고대교회의 교사가 된 리처드 클린후톤(Richard Clyfton)과의 논쟁의 결과, 스마이스는 유아세례와 신자의 뱁티즘을 다룬 “짐승의 특성”(1609)을 저술 이 곳에서 “유아들은 뱁티즘을 받아서는 안 된다.” ☞ “한 사람이 자신을 위하여 교회를 세우는 것에는 충분한 정당성이 있다. 두 사람이 각자 홀로 있는 것은 교회가 아니다. 그래서 두 사람이 자신들에게 뱁티즘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로마 가톨릭은 할머니 짐승이고, 영국 성공회는 어머니 짐승이다. 유아세례를 주는 모든 교회는 짐승이다”라고 주장

18 3) 메노나이트로서의 스마이스 1609년부터 3 - 4개월 후 그는 누군가가 뱁티즘을 베풀어주지 않고 자신이 스스로 행한 뱁티즘에 대하여 회의를 품기 시작하고, 창립한 교회가 성서적이며 참교회인지 자문하게 됨 “뱁티즘이 완전하려면 사도적 계승을 지니고 있으며, 완전한 뱁티즘을 회복한 집단이 시행하여야 한다.”고 믿음 그러나 스마이스가 후회한 것은 자신이 스스로에게 뱁티즘을 행한 사실이지, 신자의 뱁티즘을 회복한 것이 아님 이 당시 네덜란드에는 메노나이트의 한 파인 “워터랜더 메노나이트”(Watherlander Mennonite) 교회들이 있었음 ☞ 약 100년 동안 신앙고백에 근거한 뱁티즘을 시행해 오고 있었다. 이들과 교제한 스마이스는 이 교회들이야말로 사도적 계승에 가까운 교회로 생각 1610년 스마이스와 그의 회중 31명이 워터랜더 메노나이트 교회에 가입을 청원 이때 스마이스는 자신의 신앙고백서인 “20개 조항으로 된 짧은 신앙고백서”(1609, 1610)작성하여 동봉 ☞ 자신의 신앙이 메노나이트와 유사하다는 것을 증명하려 함 이 당시에는 이들과의 접촉의 결과, 칼빈주의에서 알미니언주의로 변함

19 • 신앙고백서의 주요 내용 (5) 원죄(문자 그대로 죄의 발단, 혹은 유전)라는 것은 없으며 모든 죄는 실질적이며 자발적인 것, 즉 하나님의 법칙에 거스르는 말, 행동, 혹은 음모이다. 그러므로 유아는 죄가 없다 (9) 그리스도의 구속을 통한 하나님의 은혜로 인하여 (은혜로 성령께서 이전에 선행은혜로 그들에게 임하셔서) 사람들을 회개하고, 믿고, 하나님께로 나아가고 영생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스스로 성령을 거부하고 하나님을 떠나 영원히 멸망할 수 있다 (12) 그리스도의 교회는 죄와 믿음을 고백한 후에 침례를 받고 그리스도의 능력을 입은 자들이다 (14) 침례는 죄 사함, 죽음과 부활에 대한 외형적 표시이므로 유아들에게는 속하지 않는다. (16) 교회의 사역자들은 말씀과 교회예전을 베푸는 권리가 주어진 감독들과 가난하고 병든 형제들을 돌보는 남자들과 과부들인 집사들이다 (17) 죄를 지속적으로 지으며 사람들에게 알려진 자들은 세 번의 권면 후에는 출교로 성도들의 교제로부터 제외시켜야 한다.

20 이에 대해 헬위스와 10여명의 소수의 그룹들은 자신들이 받은 뱁티즘을 정당하다 고 보았고, 스마이스 그룹의 메노나이트 가입을 정죄하여 그들을 교회에서 출교함
헬위즈의 그룹은 자신들의 가진 신앙을 표현하기 위해 1611년에 “믿음의 공표” 1611)라는 신앙고백서 작성 ☞ 침례교 역사상 최초의 신앙고백서 스마이스는 “너무나 불안정한 인물”로 여겨 메노나이트 가입 거절당함 계속 가입을 기다리던 중인 1612년에 결핵으로 사망 나머지 회중들은 1615년에 가서 일부가 메노나이트에 가입 스마이스는 죽기 전에 자신의 주장을 담은 최후의 신앙고백서를 102개 조항으로 작성, 그의 사후에 그의 회중들이 “참 기독교에 관한 제안과 결론 )라는 제목으로 발표 인간의 양심의 자유, 정치와 종교의 분리 주장

21 ■ 스마이스 생애 요약 국교도기간(1570-86): 출생부터 캠브리지 대학에 들어갈 때까지
청교도기간( ): 캠브리지 학사, 석사시절, 링컨 시 설교자, 게인스보르에서 의술 활동하던 때까지(이때까지는 칼빈주의자) 분리주의자기간( ): 1607년 9개월 동안 고뇌 끝에 분리주의자가 됨. 게인스보르 분리주의 교회 설립, 목회, 종교의 자유를 찾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이주, 독립분리주의교회의 정체성 유지 침례교도기간( ): 유아세례의 정당성부인, 스스로 침례를 주고 회중에게 침례를 주어 역사상 최초의 침례교회설립 메노나이트 기간( ): 자신에게 준 침례에 회의를 품고 워터랜드 메노나이트에 가입추구, 사망(아르미니우스 신앙) 평가: “카멜레온” “항상 변하는 사람” 대 “최종적인 진리를 찾기 까지 자신의 입장을 바꿀 줄 알았던 사람”

22 2. 토마스 헬위즈(Thomas Helwys, 1550-1616):
영국 땅에 최초의 침례교를 세우고 종교의 자유를 주장하다가 순교한 침례교 순교자 1) 청교도로서의 생애 아버지 에드먼드(Edmund)와 어머니 마가렛(Margaret)사이에서 노팅햄(Nottingham)시의 브록스토우 홀(Broxtowe Hall)에서 다섯 아들 중 둘째로 태어남 아버지는 링컨 주, 노스 엠프톤 주, 노팅햄 주, 요크주 등에 많은 땅을 가진 거부 아버지는 청교도들과 깊은 교제를 나누었으며 요한계시록 12장에 대한 주석 집필 아버지 사망 후 휄위즈는 많은 유산을 상속 받음 휄위즈의 삼촌인 Geoffrey은 성공한 상인이며, 런던의 시 참사회원(alderman)과 행정관(sheriff) 그의 사촌인 Gervase은 제임스 왕으로부터 작위 받음 전문적인 법률가가 되기 위해 1593년 1월부터 1595년 까지 런던에 있는 그레이스 인(Gray's Inn)에서 공부 ☞ 이 당시 법률가가 되기 위해서는 네 개의 법학 수련 대학들이 있었다.

23 법학을 공부하는 시기는 청교도들과 분리주의 운동이 점점 더 왕성해져 가는 시기
1593년 엘리자베스 치하의 모든 신자들은 오직 영국 국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예배에만 참석해야 하며, 허락을 받지 않은 종교적인 모임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외국으로 추방되든지, 사형을 받아야 한다는 법률이 공표 그레이스 인 출신의 헨리 바로우(Henry Barrow)와 존 그린우드(John Greenwood) 이 때(1593) 사형에 처함 1595년 졸업 후 노팅햄 주(Nottinghamshire)의 노팅햄 근처인 빌보로우 카운티(Bilborough County)의 브록스토우 홀(Broxtowe Hall)로 돌아와 시골의 귀족으로서 그의 아버지의 유산을 관리 1595년 12월에 조앤 에쉬모어(Joan Ashmore)와 St. Martin’s Church, Bilborough (Nottingham)에서 결혼 ☞ 이 홀에서 12년 이상 살면서 7남매 낳음 대학 졸업 후 집안의 농장을 경영하면서 개혁주의 신앙을 탐구하기 시작 곧바로 이 홀은 링컨 주, 노팅햄 주, 요크 주등의 청교도들이 모이는 장소가 됨

24 휄위즈와 그의 아내 조안은 이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포함한 여러 편의를 제공
이 시기에 분리주의자인 존 스마이스를 만나 깊은 교제 1601년 헬위즈는 열정적인 청교도이며, 동시에 분리주의자들에 반대하는 리차드 버드(Richard Bernard)의 친구가 됨 1606년 휄위즈와 그의 아내는 게인스보르(Gainsborough, Lincolnshire)의 분리주의 교회(담임 목사 존 스마이스)에 헌신 게인스보르의 약 60-70명의 스마이스의 교회 회원들이 William Hickman경의 도움으로 Gainsborough Old Hall에서 비밀스럽게 모임을 가짐 약 1606년 혹은 1607년경에 두 번째 분리주의 교회인, 스크루비 저택에서 Scrooby Manor 설립, 리처드 클리프트, 존 로빈슨 등이 지도자가 되었다.

25 2) 분리주의자로서의 생애 3) 침례교인으로서의 헬위즈
1606년 가을 경에 존 스마이스와 함께 헬위즈는 게인스보르에 분리주의 교회 설립 년 동안 게인스보르 교회와 그 교회가 네덜란드로 이주한 후 암스테르담의 분리주의 성도들 가운데 헬위즈는 대표적인 평신도 지도자가 됨 헬위즈는 게인스보르 교회와 스크루비 분리주의 교회 회중들이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과 라이덴으로 이주하는 비용을 거의 혼자서 감당 이미 휄위즈의 아내 조안은 시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요크 주의 감옥에 투옥되어 있었기 때문에 아내와 자녀들은 영국에 남게 됨 3) 침례교인으로서의 헬위즈 1610년 경 존 스마이스와 다수의 회중이 네덜란드의 워터랜더 메노나이트에 가입 신청을 내었을 때에, 다른 길을 걷기 시작 휄위즈와 존 머튼(John Murton)을 포함한 10명의 미만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받은 침례는 정당하다고 보았으며, 그들이 메노나이트에 가입하려는 것을 정죄하고 자신들의 교회에서 그들을 출교 이 소수는 스마이스와 다수의 사람들이 세운 “침례교회의 정체성”을 유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신앙을 표현하기 위해 1611년에 “믿음의 공표”라는 신앙고백서 발표 ☞ 침례교 역사에서의 최초의 신앙고백서

26 • ‘믿음의 공표’ 신앙고백서의 주요 내용 4. 노예의지설 주장(원죄인정)
5. 칼빈의 선택과 유기 주장, 그러나 알미니우스의 일반 대속설 주장 7. 배교의 가능성 주장(인간의 의지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일 수도, 거부할 수도 있다고 주장) 10. 교회는 신자들의 모임으로 신앙과 죄의 고백에 근거하여 베풀어지는 침례에 의하여 주님과 결합되며 서로 연결되는 모임 12. 하나님의 말씀은 각 개 교회에 주어지므로 어떤 교회라도 다른 교회에 대하여 특권을 행사할 수 없다 13. 모든 교회는 초대교회의 관례와 실천에 따라 신앙과 죄의 고백에 근거하여 침례를 베풀고 모든 교인들을 받아들여야 한다

27 14. 침례는 신앙의 외적 표시이므로 유아에게는 주어서는 안된다
15. 주의 만찬은 그리스도와 신자와의 영적 교제를 외적으로 표시하는 것 16. 각 교회나 회중들은 서로 잘 알아야 하고 영육 간에 사랑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20. 각 개교회의 직분은 장로와 집사 24. 정부는 하나님이 세우신 제도이기 때문에 위정자들에게 순종과 기도 필요 성도는 납세와 그 밖의 의무를 다해야 함 25. 서원 인정 ☞ 이곳에서 헬위즈가 칼빈주의에서 알미니우스 주의로 이행하는 것을 확인

28 헬위즈는 신약성서와 참된 벱티즘을 근거로 하는 참된 교회의 회복을 주장
☞ 칼빈주의, 메노나이트, 청교도, 영국성공회, RC모두 비판 칼빈주의자들의 엄격한 예정론 비판 스마이스와 달리 메노나이트만 진정한 교회라고 생각하지 않았음 메노나이트의 평화주의(세속정부에 대한 관여금지 포함)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지나친 강조 비판 국교와의 단절을 피하여 사적인 군목이나 도시 설교자가 됨으로써 비교구직을 추구하는 청교도주의자들을 비판 ☞ 이들은 비성서적인 의식을 피할 수 없기 때문 국교회와 로마 가톨릭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신자들의 자유를 빼앗는다고 비판 헬위즈와 그의 회중은 스마이스와 결별한 후, 약 2년 동안 암스테르담에 더 머뭄 스마이스가 사망 할 때쯤 헬위즈는 자신이 핍박을 피해 고국을 떠나 외국으로 이주한 것이 잘못 된 행위라는 확신을 갖게 됨 암스테르담에서는 언어의 문제로 전도하지 못함

29 영국 땅에 헬위즈의 아내가 감옥에 갇혀있고 자녀들이 있기에 헬위즈와 그의 작은 회중들은 1612년에 영국으로 돌아옴
헬위즈는 사도 바울이 로마제국의 심장부로 들어갔던 것처럼 고향 <게인스보르>가 아닌 영국의 심장부인 <런던>으로 돌아감 휄위즈 일행은 런던 외곽지역인 스피탈휠드(Spitalfield)에 정착 1612년에 스피탈휠드에 영국 최초의 일반침례교회 설립 (교리는 알미니우스적, 침례는 관수례) 암스테르담을 떠나기 전에 영국 왕에게 헌정할 신학적인 작품을 저술하였던 것을 런던으로 돌아오자마자 1612년에 출판 ☞ “불법의 비밀에 대한 간결한 선언” 헬위즈는 이 작품을 영국의 국왕 제임스 1 세(James I)에게 헌정 ☞ 이 책에서 헬위즈는 “완전한 종교자유”를 청원

30 ※ 이 책은 네 개의 책과 하나의 부록으로 구성 제1권: 헬위즈는 로마 가톨릭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첫 번째 짐승이며, 영국 성공회는 두 번째 짐승으로 언급 제2권: 완전한 종교의 자유 주장 “그들 자신이 그들의 종교를 선택하여야 하며, 그들 자신이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서 그들 자신을 답해야 한다” 제3권: 청교도들이 자신들을 둘째 짐승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았음을 비판 제4권: 네덜란드에 있는 분리주의자인 존 로빈슨 회중들이 아직도 영국 국교회의 사제들이 베푼 유아세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비판 부록: 안정상의 이유로 영국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네덜란드에 머물고 있는 다른 분리주의자들을 비판하며 초청으로 그의 저서를 끝냄 그러나 제임스 I세는 2주 후(1612년)에 헬위즈를 정치, 사회, 종교적으로 위험한 인물로 여겨 체포하여 “뉴게이트 감옥”(the Newgate Prison)에 수감 이 감옥에서 1616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짐 헬위즈의 교회는 이후에 존 머톤(John Murton)으로 이어짐

31 3. 존 머튼(John Murton, ): 1) 생애 하층민 출신으로 상업에 종사 농부의 딸과 결혼 게인스보르에서 스마이스가 세운 분리주의 교회의 일원으로 암스테르담으로 이주 스마이스와 휄위즈가 결별할 때, 헬위즈의 편이 되어 1611년 헬위즈와 함께 영국 런던으로 돌아옴 1612년 헬위즈가 투옥되자, 헬위즈의 교회(스피탈휠드 침례교회)의 목사가 됨 1615년 체포, 투옥 감옥에서 편지를 통하여 그의 교회와 의사소통

32 2) 주장 일반 속죄설 신봉 1615년에 “대화의 방식으로 답변한 반대 주장들” 저술 이 곳에서 완전한 종교자유 주장 1620년에 “겸허한 탄원”저술(우유로 우유병의 마개 종이에 써서 보내어 저술, 왕에게 탄원) “우리의 고난은 오래되어, 감옥에 수년 간 갇혀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과부들과 고아들을 남겨 놓고 죽어갑니다. 우리의 재산은 몰수되었습니다. 이 모든 일들은 우리가 폐하에게 충성스럽지 않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악행을 저질렀기 때문이 아니라, 오직 우리가 믿지 않는 것들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그 방식대로 예배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그렇게 하는 것은 전능하신 이에게 죄가 됩니다.” 1624년 5월 이전에 엘리아스 투키(Elias Tookey)를 포함한 16명이 머튼의 회중에서 출교

33 이들은 하나의 회중을 조직하고 안수 받은 목회자를 찾기 위해 워터랜드 메노나이트와 통합을 모색
암스테르담의 한스 드 리이즈(Hans De Ries)와의 오랜 서신왕래 결과 이들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음 ☞ 정부가 요구하는 국가에 대한 충성을 묵인하기 때문 1626년경에 머튼, 감옥에서 사망 머튼이 죽은 후 머튼의 교회도 워터랜드 메노나이트와의 통합 요청 그러나 이들도 1626년 11월 25일에 거부 ☞ 성례전의 집행, 맹세 및 정부지지의 견해 때문 이 당시에 이미 영국에는 다섯 개의 일반 침례교회들이 있었고, 침례교인들의 수는 여명 1630년 여섯 교회가 있었으나 목회자의 부족으로 워터랜드 메노나이트와 통합모색 하지만 메노나이트는 영국침례교회와의 교우관계는 환영했으나 통합은 여전히 거절 1644년에는 총 47개의 교회들이 있었고 신학적으로는 알미니우스적이었으며, 오직 복음전도와 종교적인 자유를 위해 헌신

34 4. 레오나르도 부셔(Leonard Busher)
스피탈필드 교회의 평신도 익명으로 1620년에 “종교적 평화 혹은 양심의 자유를 위한 청원”출판 이 저서에서 “강압적인 종교”를 영적인 강간으로 비유 서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다: “전하와 의회가 자신이 출생하면서 가지게 되었던 종교를 옹호하고, 따라서 다른 신앙을 가졌다는 이유로 불과 칼로 그들을 집요하게 핍박하는 데에 대해서, 본인은 제가 믿는 바를 전하와 의회에 말씀드리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그렇게 하는 것이 나의 의무라고도 생각합니다. 저는 겸손한 마음으로 말씀드립니다. 어떤 왕이나 백성도 단지 출생에 의해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참 복음의 종교를 가졌다고 말 할 수는 없다고 생각 합니다.” 기독교 신앙(영적 출생)이란? -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으로 일어남. 요한복음 1장 13절 “이는 혈통으로나 육정으로나 사람의 뜻으로 나지 아니하고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들이니라.” 이단으로 판명된 자들은 단지 분리시키면 된다. 핍박은 불필요하다고 주장

35 5. 토마스 그랜쌈(Thomas Grantham, 1634-92)
15세에 회심하여 19세인 1652년에 링컨 주의 보스턴(Boston)에서 침례 받음 1656년에 North Elm Chapel의 목사가 됨 수 차례 투옥 영국 국왕 찰스 2세(Charles II)에게 2만여 성도들이 동의하여 보낸 청원서를 작성한 장본인 “원시 기독교”(Primitive Christianity)라는 저서를 통해 침례교의 신학과 예배를 다룸 찬송가는 사람이 만든 것이므로 예배에 사용 금지 1666년에 담임목사직을 사임하고 메신저(messenger)로 임명 받아 링컨 주, Norfolk, Warwickshire 주 등에 교회를 세우는 총감독으로 사역 말년에 Norfolk에 정착, 그곳에서 1692년 1월 7일에 사망 ※ 일반침례교회의 수는 1612년에 한 개, 1622년에 다섯 개, 1650년에 최소한 47개의 교회로 증가

36 Ⅱ. 영국의 특수침례교회의 시작 특수침례교회는 1616년 헨리 제이콥(Henry Jacob)이 런던 근교인 사우스워크 (Southwark)에 세운 독립교회(independent church) 혹은 반분리주의 교회(semi- Separatist church)로부터 기원하여 1638년 존 스필즈버리(John Spilsbury)등이 대륙의 칼빈주의에 기초하여 런던의 또 다른 교회 설립으로 탄생 일반교회가 아닌 ‘JLJ교회’로 불리던 한 독립교회에서 시작됨. ‘JLJ교회’: 첫 세 목회자 이름의 첫 자를 딴 이름- Henry Jacob, John Lathrop, Henry Jessy 이 교회가 처음 세워졌을 때 외부사람들이 Jacob Church라고 부르곤 했다. 대륙의 재침례교도들과는 전혀 연관이 없음

37 헨리 제이콥(Henry Jacob, ): JLJ 교회의 첫 번째 지도자, 독립교회(independent)의 목사 켄트(Kent:영국 남동지역)지방에서 출생 1581년 옥스퍼드의 성 메리 홀(St. Mary Hall)에서 학사, 1586년에 석사 영국 국교회의 사제로 안수, 하지만 청교도적 사상을 발표 1590년 브라운주의자들(Brownists: Robert Browne, , 1620년 이전의 영국 국교회로부터의 분리주의자)에 가입 브라운주의자들이 1593년에 네덜란드로 추방되자 그 역시 네덜란드로 추방 년 동안 네덜란드에 머뭄 이 시기 동안에 존 로빈슨의 영향 하에 청교도주의를 포기한 것으로 추측 1599년 암스테르담이 있는 프란시스 존슨(Francis Johnson, 분리주의자)과 서신을 통하여 토론하였지만, 분리주의자가 되지는 않음

38 존슨과의 서신을 모아 1599년에 “영국 교회와 사역을 위한 옹호”(A Declaration of the Churches and Ministry of England) 출판
점점 독립교회가 되면서 영국 교회는 진정한 교회이지만 타락했다는 입장을 취함 1603년 청교도들이 교회의 개혁을 요구하는 “천인 청원서”(Millinery Petition)를 제임스 1세에게 제출하는 데에 가담 청원서는 거부당하고 청교도들의 소망은 좌절 1604년 영국 국교회의 개혁을 촉구하는 “영국에 있는 우리의 교회들을 개혁할 필요성을 입증하는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온 근거들과 뛰어난 사람들의 증언”저술 ☞ 국가교회가 아닌 자발적으로 모인 자유 교회의 개념을 주장 1605년 이 저술로 인해 체포, 투옥 8개월간의 감옥생활 후, 더 이상 이 저서를 확산시키지 않겠다는 서약 후 방면 1605년 다시 홀란드로 추방되어 질랜드(Zeeland)지방의 미들부르크(Middlwburg)에서 영국 상인들을 중심으로 한 회중을 구성하여 목회함 이 교회의 성향은 영국 국교회를 거부하는 분리주의적 1610년에 라이덴에 존 로빈슨(영국 분리주의의 초기 리더중 하나, 필그림 파더의 시조, 초기 회중교회의 설립자 중 하나)을 만나기 위해 감 ☞ 로빈슨의 교회 정체관 받아들임

39 1611년 “몇몇 논점들에 대한 선언과 분명한 개방” 저술
하지만 이 저술에서 영국 국교회와의 단절은 거절 ☞ 영국 국교회를 적그리스도로 비유했던 스마이스와 대조 1616년 영국 런던으로 돌아와 개혁 성향의 지도자들과 회합한 후, 런던의 싸우스워크(Southwark)에 독립교회를 설립 ☞ 영국 땅에서의 최초의 회중교회 설립 이 교회에서 국가가 아닌 교회의 구성원들인 회중이 권위를 갖는 회중정체를 펼침 ☞ 영국 국교로부터 나온 독립교회 역사가들은 이 교회를 그 지도자들의 이름을 따 “JLJ 교회”(Jacob-Lanthrop-Jessey)로 부름 이 교회는 분리주의가 아닌 독립교회(non-separate independent church) 이 교회는 종종 국가교회에도 참석하여 성찬도 받고, 유아 세례들도 받으며 국교 인정

40 국교와 분리주의의 가교역할 감당 ☞ “서로 받아주라”
이러한 태도에 그 회중 가운데 불만이 고조되어, 여러 특수침례교회와 회중교회가 탄생 1619년 교회 안에 청교도적인 그룹과 분리주의적인 그룹 사이에 갈등이 불거져 분리주의자들이 분열되어 나감 이 결과로 1619년에 제이콥은 자신이 세운 교회의 목사직 사임 이 당시에 신대륙에서는 플리머스 식민지(the New Plymouth Colony)가 개척되고 있었음 1622년 59세의 나이에 제이콥은 일부 성도들을 데리고 신대륙에 이주 버지니아 주에 “제이콥보폴리스”(Jacobopolis)라는 종교공동체 설립 1624년 버지니아의 제임스타운(Jamestown)근처에서 사망 ※회중교회의 창시자이며 종교적 관용 유산 남김

41 1584년 12월 20일 요크 주의 이튼(Etton)에서 출생, 이날 세례 받음
2. 존 래쓰롭(John Lathrop 혹은 Lothropp, ): JLJ 교회의 두 번째 지도자 1584년 12월 20일 요크 주의 이튼(Etton)에서 출생, 이날 세례 받음 캠브리지의 퀸스 칼리지(Queen's College)에서 1605년 학사, 1609년에 석사 졸업 후 성공회 사제 안수 받은 후 켄트 지방의 이거톤(Egerton)에서 교구 사역 교구 사역을 포기하고 1624년에 런던으로 이주 년 까지 JLJ교회의 지도자가 공석, 이 교회의 후계자가 되어 년 까지 약 10년간 이 교회에서 목회 교회는 성장했으나 몇 차례 분리 1630년 더퍼(Mr. Dupper)를 중심으로 12명의 분리주의적인 성향의 소그룹이 분리주의 교회 설립 ☞ 이들은 JLJ 교회가 영국 성공회 사제들로부터 자녀들이 유아세례 받는 것을 비판하여 침례교회가 아닌 분리주의 교회 설립 더퍼와 함께 한 교회의 성도들 중에는 영국 일반침례교회의 세 번째 지도자인 존 머톤의 아들과 며느리도 포함

42 영국 국교회는 런던의 감독인 윌리엄 라우드(William Laud, 재위 , 에는 캔터베리 대주교)의 조직원들은 교구내의 비국교도들을 색출, 래쓰롭과 그 회중을 1632년에 체포 거의 모든 회중들은 8개월 동안 감옥생활을 하였고, 래쓰롭과 장로들은 2년간의 감옥생활과 벌금형 선고받음 1633년 9월 12일 새무엘 이튼(Samuel Eaton), 막 루커(Mark Luker 혹은 Lucar), 리차드 블런트(Richard Blunt)등 17명이 분리 개척 ☞ JLJ의 교회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더욱 철저한 침례”(a further baptism)를 받았다고 기록 ☞ 어떤 학자들은 이 교회를 최초의 영국 특수침례교회로 보기도 함 (따라서 영국 특수침례교회의 시작을 아무리 빨리 잡아도 이때인 1633년이다) 이 교회의 신학은 칼빈주의, 신자의 뱁티즘을 취함, 그러나 아직은 침수례는 아님 이들은 후에 영국특수침례교회의 중요한 지도자들이 됨 루커는 그리스인으로서 1640년 이전에 침수례에 대한 확신을 가짐, 후에 신대륙으로 건너가 침수례를 소개 ☞ 신대륙과 영국 교회 사이의 교량역할 블런트는 1641년에 네덜란드를 방문하고 돌아와 영국 특수침례교회에 침수례를 도입

43 래쓰롭은 1634년 제이콥처럼 신대륙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하고 메사추세츠 주의 보스턴으로 이주
래쓰롭과 그와 동행한 성도들은 1635년에 플리머스 식민지의 씩추에이트(Scituate)에 첫 번째 청교도주의 교회를 세움 1639년에 메사추세츠 주의 반스테이블(Barnstable)로 이주하여 목회하다가 1653년에 사망 ※ 년 까지 JLJ교회는 다시 목회자가 없이 존속

44 1603년 요크 주의 웨스트 로우톤(West Rowton)에서 영국 국교회의 사제의 아들로 태어남
3. 헨리 제시(Henry Jessey, ) : JLJ 교회의 세 번째 지도자 1603년 요크 주의 웨스트 로우톤(West Rowton)에서 영국 국교회의 사제의 아들로 태어남 년 동안 캠브리지의 성 요한 대학(St. John College)에서 수학, 1623년 학사, 특히 히브리어와 고대 근동어에 탁월 1627년 영국 국교회의 사제로 안수 안수 후 여러 곳에서 시역 후 1637년에 JLJ교회의 목회자가 됨 이 교회 내에서 영국 국교회의 뱁티즘 문제가 다시 논쟁이 되어 다시 6명이 새뮤얼 이튼의 견해에 동조하여 결국 교회를 탈퇴하여 이튼 무리가 새로운 교회를 세움(제시와 이튼과의 관계는 애매함) 이튼 그룹은 칼빈주의 신학을 지니며 신자의 침례를 시행 ☞ 따라서 학자들은 영국 특수침례교회의 시작을 아무리 늦게 잡아도 이 때인 1638년으로 봄 제시는 숙고와 성경공부를 통하여 뱁티즘의 대상은 오직 신자들이어야 한다는 확신을 갖고 1639년 경 자신의 회중들에게 공표

45 결과적으로 JLJ교회는 두 개로 다시 분열 ☞ 제시는 절반의 교회로 신자의 뱁티즘을 주는 교회로 시작 ☜ 두 번째 혹은 세 번째 특수침례교의 시작
나머지 JLJ교회의 반은 “하나님께 찬양하라”는 베어본스(Praise-God Barebones)가 목회자가 됨 ☞ 이 교회는 곧 회중주의 교회로 발전 제시는 블런트와 함께 로마서 6장 4절과 골로새서 2장 12절을 공부하면서 뱁티즘의 형식은 침수례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 그러나 어떻게 침수례를 주어야 하는지를 모름 대륙의 네덜란드 지역에 재침례교도들이 침수례를 행한다는 소문을 듣고 네덜란드어(Dutch)를 할 줄 아는 블런트를 보냄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학파의 일파인 린스버거스(Rhynsburgers) 혹은 콜리지안스트(Colligians)을 방문하여 침수례에 대한 조언 받아 돌아옴 1645년 6월에 헨서드 놀위즈(Hanserd Knollys)에게 침수례를 행함 이후 런던의 우드몽거스 홀(Woodmonger's Hall)에서 모이는 교회의 목사가 되어 사역 후 1663년에 사망 그 교회에 점점 더 침례교인들이 증가 했으나 Open Membership를 시행

46 4. 존 스필스버리(John Spilsbury)
스필스버리에 대한 기록은 JLJ교회로부터 1638년 6명의 회원이 분리해서 존 스필스버리의 교회에 합류했다는 것에서 시작 JLJ교회의 회의록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기록 “토마스 윌슨, 펜 부부와 몇몇 사람들이 뱁티즘은 유아들을 위한 것이 아니고, 신앙을 고백한 신자들을 위한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존 스필스버리의 교회에 호의를 갖고 합류하였다”(Thomas J. Nettles, "John Spilsbury and His Confession," Founders Journal, Spring 2001, 10-15) ☞ 스필스버리의 교회가 곧 이튼의 교회인지의 여부는 논란 최소한도로 1638년 스필스버리는 신자의 뱁티즘, 회중정체, 칼빈주의 신학, 종교적 자유를 주장하는 영국 특수침례교의 목사가 됨 이후 20년간 특수침례교회의 지도적인 목사가 됨

47 5. 리차드 블런트(Richard Blunt)
1633년 새뮤얼 이튼과 함께 JLJ 교회에서 분리하여 나온 17인(혹 18인)가운데 하나 블런트는 뱁티즘의 대상이 신자의 뱁티즘일 뿐 아니라 그 방식도 침수례이어야 한다고 주장(로마서 6장 4절; 골로새서 2장 12절) 1641년 네덜란드의 메노나이트파의 하나를 방문하고 침수례를 보고 귀국 1641년 네덜란드에서 되돌아온 후 블랙록(Blacklock)에게 침수례를 주고, 이 둘이 53명에게 침례를 줌 ☞ 영국 특수침례교회가 최초로 공식적, 집단적으로 침수례를 주었다는 증거가 됨 이 기록은 윌리암 키핀(Williams Kiffin, )의 기록인 Kiffin Manuscript에 기록 ※ 1644년 런던 지역에만 일곱 개의 특수침례교회가 존재 이들은 “제1차 신앙고백서”(The First London Confession)를 발표 ☞ 칼빈주의 신학, 회중정체, 종교의 자유, 신자의 침수례 강조(럼킨, 177- 참조)

48 6. 핸서드 놀위즈(Hanserd Knollys, c. 1598-1691)
1598년 링컨 주의 Cawkwell 마을에서 태어남 아버지는 국교회 사제로 어렸을 때부터 집에서 라틴어, 헬라어, 히브리어 배움 캠브리지 대학의 케더린 홀(Catherine Hall)에 진학하여 청교도사상 갖게 됨 영국 국교회 사제가 되어 여러 곳에서 사역하였지만 청교도 사상과 영국 국교회 사이에 갈등 1631년 사제직을 사임하고 엔 체니(Anne Cheney)와 결혼 자신의 구원은 행위가 아니라 진정한 믿음으로부터라는 사실을 깨닫고 진정한 회심, 그 후 복음을 전하며 설교 1636년에 허가증 없이 설교했다는 죄목으로 체포명령이 내려진 후 1638년 체포 그러나 체포자를 설득하여 자유를 얻은 후 신대륙의 메사추세츠로 이민 신대륙에서 유아세례에 대한 의심 시작 1641년 연로한 아버지의 간곡한 부탁으로 영국으로 돌아옴

49 새로 태어난 아들의 유아세례를 거부하고 오직 신자에게만 뱁티즘을 주어야 한다는 확신을 갖게 됨
뱁티즘 논쟁으로 JLJ교회로부터 분리된 회중들(신자의 뱁티즘을 주장하는) 이 특수 침례교회를 설립하면서 놀위즈에게 목사직 제안 놀위즈는 헨리 제시목사에게 침수례의 정당성을 설득하여 1645년 6월 29일에 침례를 베품 1670년에 옥고를 치른 후 병상에 눕게 됨 이 때 윌리암 키핀(William Kiffin)과 바바소 포우웰(Vavasor Powel)이 방문하여 기름을 바르고 기도하여 완치 1689년 벤자민 키치(Benjamin Keach)가 중병에 걸리자 함께 기도하여 완치 ☞ 히스기아 왕처럼 15년 연장 1691년 놀위즈 사망 놀위즈는 라틴어, 히브리어, 헬라어 문법책 저술

50 7. 윌리엄 키핀(William Kiffin, 1616-1701)
1616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남 9살 때인 1625년 유행하였던 전염병으로 양친을 잃고 고아가 됨 모직물 상업으로 큰 돈을 모음 비국교도가 되어 JLJ교회의 회원이 됨 1638년 토마스 윌슨(Thomas Wilson)을 포함한 다른 다섯명과 함께 JLJ교회를 탈퇴하여 존 스필스버리의 교회에 합류 그러나 곧 존 스필스버리와의 이견으로 다시 JLJ교회로 되돌아옴 1641년 신대륙에서 돌아온 놀위즈의 아들의 유아세례문제로 다시 교회가 시끄럽게 됨 JLJ교회는 칼빈주의신학으로 자녀에게 유아세례를 주는 것을 성도의 의무로 봄 이 때, 키핀과 일부의 회중이 놀위즈와 같이 유아세례 반대 따라서 1644년 런던에 새로운 특수침례교회 탄생 ☞ 키핀이 그 교회의 목회자가 됨 이후에 60여년 동안 키핀은 특수침례교회의 강력한 지도자가 됨 키핀은 영국특수침례교회의 탄생에 대한 중요한 역사 자료인 “키핀의 필사본”(kiffin's Manuscript)를 남김


Download ppt "제3강 영국의 일반침례교회와 특수침례교회의 시작."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