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재고관리 inventory control 또는 inventory management
능률적이고 계속적인 생산활동을 위해 필요한 원재료 · 반제품 · 제품 등의 최적보유량을 계획 · 조직 · 통제하는 기능. 재고란 경제적 가치를 지닌 모든 것의 정체 또는 저장을 가리킨다. 제조업의 경우 원재료 · 재공품 · 반제품 · 구입부품 · 완성품 등의 형태로 제조공정의 각 단계간에 저장이 있다. 완성품재고는 공장창고뿐만 아니라 영업 창고 또는 배송센터 등에도 보관된다. 재고를 보유하는 이유는 경제적 주문기능, 불확실성 대처기능, 생산평준화기능 등 중요한 기능을 감당하기 때문이다. 재고보유에는 비용이 들므로 재고관리란 재고보유의 이익과 비용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재고량 보유와 관련된 관리기능을 가리킨다. 재고관리는 넓은 뜻으로는 창고나 배송센터의 입지결정이나 각 유통재고점에서 보유해야 할 재고품목의 결정도 중요한 대상이 된다. 좁은 뜻으로는 각 제조 및 유통재고점에서 보관되는 각 품목에 관하여 주문시기와 1회 주문량의 결정이 재고관리의 중심문제가 된다.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반복하여 주문이 행하여지는 표준적 제품이나 부품 · 원재료에 대해서이다. 이 재고품목 중에서 제조업자의 완성품이나 유통업자의 상품과 같은 독립수요품목(그 품목에 대한 수요가 다른 품목의 수요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지며, 수요량은 예측으로 구해짐)에 대해서는 통계적 재고관리수법의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재고보유의 이익을 대신하여 재고비 보유의 기회손실(절품손실)을 고려함으로써 재고관련 총비용(재고품의 제조 · 구입비 + 주문비 + 보관비 + 재고조사비 + 절품손실비)의 최소화 문제로서 재고관리 문제를 정식화하고, 각종 주문방식 하에서의 최적결정규칙을 해명하고 있다. 한편 제조업에서의 부품이나 원재료는 종속 수요품목이며, 그 수요의 양과 시기는 최종제품의 수요량을 기준으로 하여 자재명세서(부품구성표, bill of materials : BOM)와 제조 리드타임을 검토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속 수요품목의 재고관리에 대해서는 MRP(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 자재소요량계획)라고 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재고관리 모델에서의 주된 경정변수는 ① 주문시기 : P ② 주문량 : Q ③ 주문점 : s ④ 보충수준 : S의 4개이다. P, Q가 일정한지, 변화하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의 재고관리 모델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다음의 3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정기주문방식 : 매월 1일 또는 15일 하는 식으로 일정 기간마다 재고의 실태를 조사하고 필요량을 계산하여 주문한다. 주문량 = [(조달기간 + 주문주기)의 사용예상량] - (현재주문잔량) - (현재재고량) + (안전재고량). 이 방식에서는 앞으로의 사용 예정량 예측이 재고수량에 큰 영향을 주므로 과잉재고가 되지 않는 배려가 필요하다. 이 방식은 ABC 분석의 A 그룹 품목에 적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② 정량주문방식 : ‘주문점방식’이라고도 하며, 원칙적으로 자재재고량의 ABC분석에서 B그룹이 된 품목에 적용하는 주문방식이다. 매월 또는 격월 정도로 사용되는 자재로, 조달기간, 사용량과도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것이 대상이 된다. 재고량이 그 품목에 대해서 정해진 수량(주문점)까지 감소하면 경제적 주문량을 보충주문하는 방식이다. 경제적주문량은 S : 1회 주문비용, D : 연가 수요량, H :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이라면 Q = √ 2SD/H 이다. 따라서 재고량은 항상 계획된 최고와 최저의 중간으로 유지된다.
2
재고관리 inventory control 또는 inventory management
주문점은 조달기간중의 추정 수요와 안전여유의 합으로서 정한다. 실용적인 방식으로, 동일한 2개의 상자를 사용해 한쪽이 비면, 빈 상자를 채우게 하는 2 상자 방식이 있지만, 그것은 이 방식을 간편화한 것으로 보통 C그룹에 적용한다. ③ (s, S)방식 : ‘보충주문방식’. P도 Q도 변화하는 것으로, 재고수준이 s 이하라면 S와의 차이만큼 주문하고 s보다 크게 있으면 주문하지 않는다. 이것의 특별한 것으로 (S-1, S)방식이 있다. 이것은 “출고후주문법”이라고도 하며, 1개 출고되면 바로 1개 주문한다. ④ 한편 정기정량혼합주문방식이라고 해서 정기적으로 재고조사를 하고, 그때 재고가 주문점 이하인 경우에 주문하는 방식이 있다. B 품목으로 주문점에 달했는지 아닌지를 상시체크하기가 곤란한 경우나, 장부에 기재되어 있는 재고기록을 신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일이 많다. 세 가지 방식 중에서는 (s, S)방식이 수요의 변동에 따라 신속히 응하게 되고, 가장 우수하다. 정기주문방식은 수요가 증가 할 때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감소할 때에는 재고량이 많게 된다. 정기주문방식은 수요변동에 약하다. 한편, 재고관리시스템 운용비용의 면에서 보면, 보통 정량주문방식, 정기주문방식, (s, S)방식의 순으로 높게 된다. 따라서 재고관리의 합리화를 위해서는 재고품목을 ABC 분석에 따라 분류하고, 중요품목인 A 품목은 다소 비용은 들어도 엄밀한 동시에 정확히 관리하고 이것에 비해 중요도가 낮은 C 품목은 그다지 비용이 들지 않는 간편한 재고관리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중간에 B 품목은 A 품목만큼 엄밀한 관리는 하지 않지만,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확보할 수 있는 재고관리를 하면 좋다. 한 예로써, ① 최중요품목 : (s, S)방식, ② A품목 : 정기주문방식, ③ B 품목 : 정량주문방식, ④ C 품목 : 두 상자 방식 등의 운용을 생각할 수 있다. 재고관리는 생산계획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미국에서는 production planning and inventory control처럼 생산계획과 일체화시켜서 불려진다. 앞의 재고관리방식은 재고에만 관심이 있고, “필요한 것을 필요할 때에만” 생산 · 공급하는 목적에 대해서는 분명히 한계를 갖고 있다. 생산계획을 포함한 재고관리방식에는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JIT(just in time)가 있다. 일반적으로 재고는 앞공정이 만들었던 것을 후공정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이송된다. 이 같은 방식을 앞공정밀어내기방식(push방식)이라고 한다. 이것에 대해 후공정이 필요한 때에 필요한 것을 필요한 만큼 앞공정을 구하러 가고, 앞공정은 인수될 만큼을 만드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후공정인수방식(pull 방식)이라고 한다. MRP는 push방식, JIT는 pull방식으로 모두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생산 ·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것이다. ☞ 적시방식(JIT), 자재소요량계획(MRP), 경제적주문량, ABC분석, 주문절차 설비관리용어사전(김국, 박상돈)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