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대한민국은 중앙아시아를 어떻게 매료시켰는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대한민국은 중앙아시아를 어떻게 매료시켰는가"— Presentation transcript:

1 대한민국은 중앙아시아를 어떻게 매료시켰는가
강사 : 윤 성 학 약력 :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졸업 연세대 정치학과 석사, 박사 대우경제연구소, UzDaewoo 은행 러시아 IMEMO Korean Studies Center 연구위원 (현) CIS Consulting 대표 (현) 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연구교수

2 매료의 현장 1 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한국의 국교 수립 이후 이 지역은 한국에 대해 지속적인 호의를 보이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대외 진출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음 특히, 우즈벡인들은 삼성전자의 핸드폰으로 전화하고 LG전자의 에어컨으로 더위를 식히고, 대우자동차를 타고 다니며, KT&G의 담배를 피우며, 한국통신 EVO로 인터넷을 하며, 저녁마다 한류 드라마에 열광하고 있음 카자흐스탄의 경우, 한국 건설업체들이 최고가의 아파트와 상가를 분양 중이며, 전체 인구의 1%에 미치지 못하는 고려인들이 전자유통, 건설 등 상권을 장악하고 있음 은둔의 국가인 투르크메니스탄의 새대통령 베르디 무하메도프 는 취임이후 서방국가로는 한국을 제일 먼저 방문하여 한국의 투자를 적극 요청하였음 키르기즈스탄은 한국과의 교류를 위해 여름 시즌에는 항공을 운항하고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은 한국에다 대규모 버스 및 IT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타지키스탄에는 한국의 갑을방적이 처음으로 외국인투자를 추진하였음

3 매료의 현장 2 구소련 체제 하에서 소비에트 정부에 의해 대외개방이 극도로 억제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한국을 이상적인 경제발전의 모델, 경제협력국가로 생각하고 있으며, 놀라운 점은 정부 지배계층 뿐만 아니라 지방의 농민을 포함한 대부분 국민들이 이에 동의하고 있음 우즈벡의 경우, 대우자동차 공장이 위치한 중앙아시아의 오지인 아사카, 안디잔 지역에서는 기본적인 한국어 의사 소통이 가능하며, 겨울연가 , 대장금 등 한류 드라마는 키르기즈스탄과 아제르바이잔에서도 크게 히트하였음 김치는 이미 중앙아시아 음식이 되었으며, 한국산 라면, 고추장, 마요네즈, 간장에 대해 수요가 높고, 이슬람인들이지만 한국산 삼겹살, 삼계탕을 선호하고 있음 중앙아시아인들은 러시아, 터키, 미국, 중국, 일본 등에 대해서는 강대국으로 심리적, 정치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장유유서, 가족 존중 등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하게 느끼고 있음(인종적으로 아시아계에 가까우며, 같은 우랄 알타이 어족임) 우즈벡, 카작 등 많은 중앙아시아인들이 한국인과 결혼하였으며, 러시아인까지 포함한 중앙아시아 남자들조차 고려인 여자와의 결혼을 선호하고 있음(생활력이 강하고, 남자를 존중하고, 피부가 곱다 등의 이유)

4 중앙아시아 가 한국에 대해 매료된 이유 제조업 투자 : 한국은 1990년대 중앙아시아가 가장 희망한 제조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진행하였음(대우자동차, 대우면방, 갑을방적, 삼성의 카작무스 투자, 카작 LG전자공장, 갑을 타직 면방, CAG의 키르기즈 투자 등) . 반면 자원분야에 대한 투자는 자원 약탈, 식민화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그렇게 환영하지 않음 비정치적 접근 : 한국의 투자는 순전히 경제적 관점으로 진행되어 러시아 및 터키의 패권주의적 접근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집권 엘리트들에게 큰 호감을 주었음 고려인 : 1930년대 후반 중앙아시아에 강제이주한 고려인들이 한국인 특유의 근면성, 가족 중시, 높은 교육열과 사회적 성취로 이미 중앙아시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음. 한국은 고려인들을 매개로 중앙아시아 지역에 일본, 중국, 터키를 따돌리고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었음 한류 : 한국의 드라마, 가요 등은 현지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음 교차 방문 : 중앙아시아인들의 한국 취업, 결혼, 한국인들의 현지 정착, NGO 봉사 활동 등은 한국에 대해 이해를 높이고 상호 교류를 활성화시켰음 뛰어난 한국 상품 : 높은 품질과 적정한 가격, 그리고 상대적으로 월등한 한국 전자 및 자동차는 중앙아시아인들을 사로 잡았음

5 대한민국의 향후 대중앙아시아 과제 제조업 투자를 더욱 지원할 것 : 일본이 ODA를 통해 중앙아시아를 공략하였지만 성과가 전무한 편임. ODA는 현지 유력자와 결탁하여 부패의 소지가 많고 고용창출효과가 작고 일시적인 반면 제조업 투자는 고용 창출 효과가 크고 근대적인 경제시스템을 도입할려는 현지 정부의 정책과 부합하고 있음(섬유, 자동차, 식품, 농업 분야 투자) 교류 활성화 : 이 지역간 교류 활성화를 위해 장기적으로 한국정부가 먼저 나서 중앙아시아인들의 한국 방문시 비자 면제 및 간소화 조치가 필요함 한류 및 문화 소프트 강화

6 중앙아시아를 보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 중앙아시아를 단순히 무역과 투자 차원에서 바라보아서는 안됨. 장기적으로 대한민국의 글로벌 진출과 동북아 삼각균형(TRIAD)를 달성하는 핵심 초승달 동맹국으로 중앙아시아를 위상지워야 함(중국, 일본, 러시아에 대한 견제 카드로 활용) 우연의 결과 맞아 떨어진 중앙아시아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의 외교전략을 다시한번 검토할 필요가 있음. 이 사례는 하드파워보다는 소프트파워가 훨씬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줌. 향후 한국의 외교 과제는 매력국가(magnet state)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소프트파워보다 훨씬 강력한 점성 파워 (sticky power)를 형성하여야 함

7 주요 강대국의 중앙아시아 접근전략 1991년 소연방의 붕괴 이후 한국의 중앙아시아 접근은 주로 대기업 주도로 상품시장의 개척이라는 중상주의 정책의 전형이었음 2004년이후 중앙아시아 에너지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자원확보를 위한 중장기 투자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힘의 공백 상태에 놓여있는 중앙아시아 지역 선점을 위해 2000년부터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터키 등은 다양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음 주요 강대국의 중앙아시아 접근전략 러시아 CIS 정상회담, 지역안보공동체를 통한 영향력 확보에 주력 장기적으로 단일 경제권을 지향 에너지, 통신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중국 지역 다자시스템 구축과 다자외교를 추구(상하이협력기구) 지리적으로 근접한 중앙아 지역을 중동대체 에너지 공급원으로 개발 상품시장화에 주력 미국 에너지 자원 확보와 파이프라인 구축에 주력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차단을 위한 적극적 개입(미국 기지 구축) 인권외교를 통한 압박전략으로 갈등상태임 일본 원조외교를 바탕으로 한 에너지 개발, 수입전략 엔 차관을 통해 철도, 도로, 공항, 등 인프라 재건과 건설에 집중 지원 다자적 접근을 위한 ‘중앙아시아+일본’ 협의체

8 한국과 중앙아시아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국가별 수출 동향 자료: 한국무엽협회

9 한국과 중앙아시아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국가별 수입 동향 자료: 한국무엽협회

10 한국의 중앙아시아 국가별 투자동향(순투자기준)
한국과 중앙아시아 한국의 중앙아시아 투자는 2003년까지 우즈베키스탄에 집중되었다가 이후 에너지, 부동산 분야를 중심으로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투자가 급증하고 있음 한국은 2006년에 카자흐스탄에 전년 투자규모의 10배 가까운 약 2억 5천만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2004~2006년 한국의 카자흐스탄 투자는 중앙아시아 전체 투자의 92.4%임 한국의 중앙아시아 국가별 투자동향(순투자기준) 연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전체 건수 금액 1997 4 102,804 7 16,033 1 145 12 118,982 1998 60 111,267 5,800 3 117,127 1999 1,835 2 333 2,650 4,818 2000 354 17,770 350 6 18,474 2001 1,323 63,176 180 29,000 8 93,679 2002 500 462 40 100 1,102 2003 13,819 5 5,252 9 19,071 2004 22,527 563 11 23,090 2005 16 25,290 1,456 355 27 27,101 2006 25 250,077 15 21,303 732 44 272,112 총계 83 426,604 66 425,601 10,252 58,100 163 920,557 자료: 수출입은행

11 최근 한국의 중앙아시아 투자 현황: 업종별(2004~2006년)
한국과 중앙아시아 최근 카자흐스탄의 건설 및 부동산 붐을 반영하듯 건설업과 부동산업이 전체 투자금액의 61.2%와 12.6%를 차지하고 있음 우즈베키스탄 투자는 면직물, 면사, 면실유, 동물사료, 자동차부품, 산업용필름 등 제조업과 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최근 한국의 중앙아시아 투자 현황: 업종별(2004~2006년) 업종 \ 분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중앙아시아 건수 금액 비중 (건수) (금액) 농림어업 - 0.0 광업 2 25,381 1,250 1 105 5 26,736 6.1 8.3 제조업 9 6,848 14 19,900 4 732 27 27,480 32.9 8.5 건설업 18 196,747 3 208 250 22 197,205 26.8 61.2 도소매업 26,169 189 8 26,358 9.8 8.2 운수창고업 400 1.2 0.1 통신업 숙박음식점업 725 1,975 4.9 0.6 서비스업 6 1,589 50 7 1,639 0.5 부동산업 39,510 1,000 40,510 12.6 총계 49 297,894 23,322 1,087 82 322,303 100.0 자료: 수출입은행


Download ppt "대한민국은 중앙아시아를 어떻게 매료시켰는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