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국내철강수급전망(2014.Q3~2015.Q3)
2
Executive Summary
3
요 약 수요산업 : 자동차 소폭 증가, 조선 하반기 회복 반면 건설 둔화 전망
○ 자동차 : 수출 둔화 불구 내수 회복으로 ’14년 생산은 1.4% 증가한 459만대 전망 - ’14년 내수판매 4.1%, 수출 0.9% 증가 예상 ○ 조선 : 수주는 감소세 전환 반면, 건조는 4분기 이후 회복세로 전환 예상 ○ 건설 : ’14년 건설투자는 전년대비 1.8% 증가에 그치면서 둔화될 전망 ○ 가전 : 하반기 생산 소폭 증가세로 전환되나 본격 회복은 지연될 전망 < 국내 수요산업 전망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자동차생산 (천대) 4,559 2,284 2,238 4,521 1,155 1,188 2,343 1,000 1,244 2,244 4,587 1,161 1,205 2,367 1,019 (-2.1) (-4.1) (2.7) (-0.8) (3.7) (1.5) (2.6) (3.5) (0.3) (1.4) (0.6) (1.0) (1.8) 조선건조량 (백만GT) 31.5 15.0 9.7 24.7 5.4 5.8 11.2 5.5 5.7 22.4 7.1 12.9 (-11.3) (-28.4) (-7.7) (-21.5) (-32.7) (-16.7) (-25.2) (-7.3) (51.5) (15.4) (-9.3) (30.2) (14.7) 건설투자 (조원) 186.1 92.2 106.4 198.6 39.6 55.3 94.9 51.9 55.4 107.2 202.1 40.5 56.3 96.8 53.2 (-3.9) (6.4) (7.0) (6.7) (4.3) (1.9) (2.9) (0.8) (2.2) (2.0) (2.5) 가전생산 (‘10=100) 72 66 54 60 58 67 63 56 55 59 (-16.3) (-8.4) (-26.0) (-17.3) (-8.6) (-1.0) (-4.7) (0.7) (3.2) (-1.7) (-0.1)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4
철강수급 : 하반기 수요 점차 둔화되나, 예상보다 높은 견조한 증가세 유지 전망
○ 내수 : 자동차생산 증가, 하반기 조선건조량 회복 등에 따라 ’14년 강재수요는 6.9% 증가 전망 - 그러나 상반기 높은 재고 및 하반기 수요산업 둔화 등을 감안할 때 하반기 수요 증가세는 점차 둔화될 전망 ○ 수출 : 미국 등 선진국 수요 회복, 해외공장 소재용 수출 증가 등으로 7.7% 증가 전망 ○ 생산 : 내수∙수출 동반 증가, 신규설비 가동 등으로 생산은 6.6% 증가하여 ’12년 수준 상회 ○ 수입 : 내수 증가로 수입도 증가세로 전환, 연간 2천만톤 상회할 전망 < 국내 철강수급 전망 > (천톤,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내수 54,069 25,654 26,107 51,762 13,920 13,954 27,874 13,475 13,960 27,435 55,309 14,000 14,245 28,245 13,565 (-4.1) (-8.3) (0.1) (-4.3) (12.4) (5.1) (8.7) (6.7) (3.6) (6.9) (0.6) (2.1) (1.3) (0.7) 수출 30,485 14,447 14,744 29,191 7,617 8,066 15,683 7,600 8,150 15,750 31,433 7,910 8,180 16,090 7,790 (4.8) (-5.7) (-2.7) (-4.2) (4.4) (12.8) (8.6) (9.2) (4.7) (6.8) (7.7) (3.8) (1.4) (2.6) (2.5) 생산 72,051 34,219 34,927 69,147 18,149 18,635 36,784 17,900 19,025 36,925 73,709 18,530 19,130 37,660 18,225 (-0.3) (-7.0) (-1.0) (-4.0) (8.4) (6.6) (7.5) (4.9) (5.7) (2.7) (2.4) (1.8) 수입 20,706 9,700 9,693 19,393 5,591 5,616 11,207 5,150 4,750 9,900 21,107 5,350 5,250 10,600 4,950 (-10.4) (-12.1) (0.2) (-6.3) (13.5) (17.7) (15.5) (8.2) (-3.7) (8.8) (-6.5) (-5.4) (-3.9) 반제품제외 12,502 5,882 5,924 11,807 3,388 3,385 6,773 3,175 3,085 6,260 13,033 3,380 3,295 6,675 3,130 (-5.3) (-9.9) (-0.8) (-5.6) (15.0) (15.2) (15.1) (13.1) (-1.1) (10.4) (-0.2) (-1.5) (-1.4)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5
수요산업 전망
6
1. 자동차산업 동향 : ’14년 상반기 자동차 생산은 내수 회복에 힘입어 전년동기비 2.6% 증가
○ 내수 : 신차 효과로 상반기 내수판매는 전년동기비 5.2% 증가한 71만대 기록 - 제네시스, 쏘나타 등 볼륨모델의 본격 판매가 ’14년 1분기에 집중되면서 내수 시장 성장 견인 ○ 수출 : 상반기 수출은 유럽, 중남미 지역 부진 및 원화강세 등으로 전년동기비 0.7% 증가에 그침 - 북미向 수출은 미국 경기회복세로 증가 반면, EU向 수출은 쉐보레 브랜드의 단계적 철수로 대폭 감소 ○ 생산 : 수출 부진 불구 내수 호조로 상반기 생산은 전년동기비 2.6% 증가한 234만대 기록 < 국내 자동차 내수판매 추이 > < 국내 자동차 생산 추이 > (단위 : 천대) (단위 : 천대) ※ 주 : 2014년 2/4분기는 실적치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7
전망 : 수출 둔화 불구 내수 회복으로 ’14년 생산은 1.4% 증가한 459만대 전망
○ 내수 : 쏘나타, 제네시스 등 볼륨 모델의 신차 효과로 내수 판매는 전년대비 4.1% 증가 전망 - 최근 3년간 내수 침체로 인한 자동차 구매 대기수요가 현실화되면서 내수 시장 성장 견인 ○ 수출 : 신흥국 수요 부진 및 해외생산 확대로 수출은 0.9%의 미약한 증가에 그칠 전망 - 국내업체의 해외생산은 ’13년 13% 증가에 이어 ’14년 상반기에도 6.1%의 증가세 지속 ○ 생산 : 내수 회복과 더불어 수출의 소폭 증가로 ’14년 생산은 1.4% 증가 전망 < 국내 자동차산업 전망 > (천대,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내수 판매 1,411 677 706 1,383 338 375 713 351 376 727 1,440 349 380 728 354 (-4.3) (-2.5) (-1.4) (-1.9) (4.3) (6.0) (5.2) (3.8) (2.3) (3.0) (4.1) (3.3) (1.2) (2.2) (0.8) 수출 3,164 1,589 1,500 3,089 788 812 1,600 649 868 1,517 3,117 813 826 1,638 664 (0.4) (-6.5) (2.4) (-2.4) (0.9) (0.7) (1.4) (1.1) (3.2) (1.6) 생산 4,559 2,284 2,238 4,521 1,155 1,188 2,343 1,000 1,244 2,244 4,587 1,161 1,205 2,367 1,019 (-2.1) (-4.1) (2.7) (-0.8) (3.7) (1.5) (2.6) (3.5) (0.3) (0.6) (1.0) (1.8) ※ 주 : 2014년 2/4분기는 실적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8
2. 조선산업 수주 : ’14년 1월~5월 세계 수주 34.4백만GT로 전년동기대비 23% 감소
○ 한국 : 동기간 수주 11.3백만GT로 전년동기 14.1백만GT 대비 20% 감소 ○ 중국 : 동기간 수주 전년대비 22% 감소했음에도, 15.3백만GT로 한국 수주 상회 1분기의 양호한 수주에도 4~5월 수주량 급감으로 누적 수주 감소세로 전환 • 우리나라의 4~5월 2개월간 수주량은 2.1백만GT로 일본의 2.6백만GT보다 낮은 수준 • 한편 중국은 4월까지 매월 7백만GT 이상 수주하였고, 5월에도 4.9백만GT를 수주 건조 : ’14년 1월~5월 세계 건조 27.7백만GT로 전년동기대비 6% 감소 ○ 우리나라의 건조량은 전년동기대비 12% 감소하였으나, 감소세는 둔화 - 해양플랜트 생산에 따른 야드 부족 및 공기 지연으로 상선 건조 일정의 차질 발생 추정 - 4월 이후 건조량이 회복되고 있어, 일정 차질 문제가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지역별 신조선 수주실적 > < 지역별 신조선 건조실적 > (백만GT) 한국 일본 중국 유럽 기타 세계전체 ‘14.1~5 11.3 4.7 15.3 1.8 1.3 34.4 ‘13.1~5 14.1 7.5 19.6 1.0 2.5 44.7 전년동기비 -20% -37% -22% 76% -47% -23% (백만GT) 한국 일본 중국 유럽 기타 세계전체 ‘14.1~5 9.3 5.9 9.9 0.9 1.7 27.7 ‘13.1~5 10.6 5.8 9.0 0.8 3.3 29.5 전년동기비 -12% 2% -10% 8% -48% -6% ※ 자료 : World Shipyard Monitor(Clarkson)
9
수주잔량 : 수주량이 건조량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증가
○ ’14년 5월말 현재 세계 수주잔량 206.6백만GT로 전년동월 164.8백만GT 대비 증가 - 중국, 일본 등 경쟁국가의 수주 지속으로 전 세계 수주잔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 한국의 수주잔량은 수주급감으로 ’14년 4월 62.7백만GT를 고점으로 5월에 감소세로 전환 신조선가 : 선종별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전년동기비 증가세 지속 ○ 탱커와 벌커를 중심으로 신조선가 전년대비 10% 이상 상승 - 상대적으로 고가이더라도 운영비 저감이 가능한 에코선박에 대한 수요 증가 - 실적 악화를 겪는 국내 주요 조선소는 저가 수주와 같은 공격적인 영업을 기피하여 선가 상승세 유지 - 다만 신규수주 감소에 따른 조선사들의 수주경쟁으로 높은 신조선가 유지는 어려울 전망 < 지역별 신조선 수주잔량 > < 선종별 신조선가 추이 > (백만GT) 한국 일본 중국 유럽 기타 세계전체 ’14.3E 62.4 35.3 87.4 6.8 14.7 206.6 점유비 33.7% 19.0% 47.1% 3.7% 7.9% 100.0% '13.5 '13.9 '13.12 ’14.5 증감률 탱커(VLCC) 89.5 90.0 92.5 101.0 12.2% 벌커(Capesize) 47.5 50.0 53.5 58.0 16.0% 컨테이너(6,700TEU) 59.5 64.5 65.0 68.0 5.4% LNG선 198.0 200.0 1.0% 클락슨지수 126.1 129.5 132.1 139.8 8.0% ※ 자료 : World Shipyard Monitor(Clarkson) ※ 주 : 증감률은 ’13.5월 대비 증감률이며, 클락슨지수는 ’88.1=100 기준
10
전망 : 수주는 감소세 전환 반면, 건조는 4분기 이후 회복세로 전환 예상
○ 수주 : ’14년 2분기 이후 수주가 급감하면서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40.4% 감소 전망 - 해운시황 약세, ’13년 이후 반짝 호황에 따른 선박과잉 우려로 선사들의 발주여력 감소 국내 주요 조선사들은 실적악화로 저가수주를 지양할 것으로 예상되어 수주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 ○ 건조 : 해양플랜트 증가 속 공기차질 발생 등으로 ’14년 건조는 전년대비 9.3% 감소 전망 - ’13년 수주물량이 본격적으로 완공되는 ’14년 4분기부터 ’15년까지 건조는 회복 예상 - 수주잔량은 2분기부터 감소하여, ’13년 수주물량이 본격 인도되는 ’15년까지 감소세 지속 전망 < 국내 조선산업 전망 > (백만GT,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수주량 12.2 11.8 21.6 33.4 9.2 2.8 12.0 2.5 5.4 7.9 19.9 4.3 4.5 8.8 5.0 (-52.0) (118.5) (217.6) (173.8) (91.7) (-60.0) (1.7) (-73.1) (-56.1) (-63.4) (-40.4) (-53.3) (60.7) (-26.7) (100.0) 건조량 31.5 15.0 9.7 24.7 5.8 11.2 5.5 5.7 22.4 7.1 12.9 (-11.3) (-28.4) (-7.7) (-21.5) (-32.7) (-16.7) (-25.2) (-7.3) (51.5) (15.4) (-9.3) (30.2) (0.3) (14.7) (3.5) 수주 잔량 60.0 50.9 60.1 63.9 60.9 57.9 57.6 54.9 53.5 52.8 (-25.1) (-20.1) (0.1) (22.2) (19.5) (9.4) (-4.2) (-14.1) (-12.1) (-8.7) ※ 주 : 2014년 2/4분기는 실적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11
< 건설수주 및 기성 실적(’14년 1~5월 > <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13년 7월∼’14년 6월 >
3. 건설산업 동향 : 상반기 건설수주 호조세 가운데 체감경기는 여전히 부진 ○ ‘14년 1∼5월 건설수주는 기저효과 및 공공수주 급등으로 전년동기비 30% 증가한 39.4조원 기록 - ’14년 1/4분기 공공수주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민간 주택시장도 재개발/재건축 영향으로 회복세 견인 - 상반기 예산 조기집행 가운데, 건설수주 회복세 지속여부는 민간부문 특히, 민간 주택수주가 관건이 될 전망 ○ ’14년 6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는 전월대비 2.7p 하락한 74.5 기록 - 기준선(100)에 훨씬 못미친 70선 중반에 불과하여 건설기업 체감경기가 여전히 저조하지만, 지난 4년 동안의 건설경기 침체기에 비해서는 다소 개선된 수준 -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형, 중견업체 지수는 소폭 하락, 중소업체는 큰 폭으로 하락 < 건설수주 및 기성 실적(’14년 1~5월 > <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13년 7월∼’14년 6월 > (조원, %) 발주처별 공종별 합계 민간 공공 토목 건축 주택 비주택 건설 수주 21.4 39.4 15.4 11.9 12.1 24.0 (14.4) (30.0) (29.8) (62.8) (8.6) (30.1) 기성 24.3 12.5 14.1 13.8 10.2 24.1 38.2 (8.7) (-1.6) (-9.5) (23.2) (7.4) (15.9) (5.0) 대형 중견 중소 ※ 자료 : 대한건설협회,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
12
전망 : ’14년 건설투자는 전년대비 1.8% 증가한 202.1조원 기록 전망
○ ’14년 건설수주는 전년대비 5.9% 증가한 96.7조원을 기록할 전망 - 상반기에 집중된 공공발주는 하반기부터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나 LTV, DTI 등 부동산 규제 완화로 정책 리스크가 감소하면서 민간 발주를 중심으로 낮은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 - 전년도 기저효과로 전년대비 증가율은 비교적 양호하나 수주액 자체는 100조원 미만으로 여전히 부진 ○ ’13년 양호한 회복세(6.7%↑)를 보인 건설투자는 ’14년에 1.8% 증가에 그치며 증가세 둔화 -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13년 9월까지 14개월 연속 감소를 보이면서 ’14년 건설투자에 부정적인 영향 - ’15년 상반기 건설투자는 금융규제 완화 등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으로 민간 주택건설 중심의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전년동기비 2.0% 증가 전망 < 국내 건설산업 전망 > (조원,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건설 투자 186.1 92.2 106.4 198.6 39.6 55.3 94.9 51.9 55.4 107.2 202.1 40.5 56.3 96.8 53.2 (-3.9) (6.4) (7.0) (6.7) (4.3) (1.9) (2.9) (1.0) (0.6) (0.8) (1.8) (2.2) (2.0) (2.5) 건축 108.9 55.6 63.1 118.7 25.1 33.4 58.4 32.7 31.8 64.5 122.9 25.8 34.5 60.4 33.7 (-1.7) (7.8) (10.0) (9.0) (8.2) (3.0) (5.2) (2.1) (3.5) (3.1) (3.4) (3.3) 토목 77.1 36.7 43.3 79.9 14.6 21.9 36.5 19.2 23.6 42.8 79.2 14.7 21.7 36.4 19.5 (-7.1) (3.2) (3.7) (0.3) (-0.5) (-1.0) (-1.2) (-1.1) (-0.8) (0.7) (-0.6) (-0.1) (1.5)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2010년 실질금액 기준
13
4. 가전산업 동향 : 상반기 수출 호조 불구 내수 부진으로 가전생산지수 감소세 지속
○ 생산 : 상반기 가전 생산지수는 전년동기비 4.7% 감소해 예상보다 더딘 회복세를 시현 - 봄철 이사에 따른 교체수요에도 불구, 세월호 사태 등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내수 부진이 지속되었기 때문 ○ 수출 : 선진국 소비심리 회복 및 글로벌 영상가전 수요 호조로 상반기에 전년동기비 8.9% 증가 - 신흥국 디지털 방송 전환과 소치 올림픽· 브라질 월드컵 특수로 인해 영상가전 수요 확대 ○ 수입 : 5대 가전 수입은 원화 강세로 4~5월에 21.5% 급증하면서 상반기에 10.2% 증가 < 가전 생산지수 추이 > < 5대 가전 수출 추이 > (2010=100) (백만달러) ※ 주 : 생산지수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영상가전으로 추정 ※ 주: 5대가전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자레인지, 컬러TV 자료 : 무역협회
14
전망 : 하반기 생산 소폭 증가세로 전환되나 본격 회복은 지연될 전망
○ 생산 : 경제성장 둔화 및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소비심리 위축되면서 미약한 증가 예상 - 생활가전 내수 부진 지속, 월드컵 특수 소멸에 따른 영상가전 수출 둔화로 본격 회복 어려울 전망 ○ 수출 : 하반기 5대 가전 수출은 환율효과로 인해 1.9% 증가하는데 그칠 전망 - 해외생산 확대, 원화 강세, 스포츠 특수 소멸 등 악재들의 산적으로 수출 둔화 불가피 ○ 수입 : 원화 강세에 따른 수입가격 하락, 해외 생산품 역수입, 저가재 유입으로 증가 예상 < 국내 가전산업 전망 > (지수, 백만달러,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생산 (‘10=100) 72 66 54 60 58 67 63 56 55 59 (-16.3) (-8.4) (-26.0) (-17.3) (-8.6) (-1.0) (-4.7) (0.7) (3.2) (1.9) (-1.7) (-0.1) (0.8) 수출 7,819 4,306 5,203 9,509 2,240 2,450 4,690 2,900 2,400 5,300 9,990 2,250 2,500 4,750 2,950 (-14.1) (10.6) (32.5) (21.6) (10.1) (7.9) (8.9) (2.0) (1.7) (5.1) (0.4) (1.3) 수입 706 346 322 668 164 217 381 190 165 355 736 170 205 375 175 (24.3) (2.6) (-12.6) (-5.3) (4.8) (14.6) (10.2) (9.6) (3.7) (-5.5) (-1.6) (-7.9) ※ 주 : 2014년 2/4분기는 실적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15
철강수급 전망
16
< 강재 국별 수출입 동향(‘14.1~6월) >
동향 : 기저효과 및 수요산업 호조로 상반기 내수·수출·생산 당초 예상치 상회 ○ 내수 : 1분기 12.4% 급증 후 2분기에는 5.1%로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견조한 증가세 - 판재류 수요가 16% 늘어나면서 내수 증가를 견인(봉형강류는 3.5% 증가) ○ 수출 : 중국, 일본, 미국向 호조로 1분기 4.4%에서 2분기 12.8%로 증가폭 확대 ○ 생산 : 신설비 가동 및 내수·수출 동반 호조로 상반기 생산 전년동기비 7.5% 증가 ○ 수입 : 내수 호조에 따라 ’13년 4분기 이후 10%대의 높은 증가세 지속 < 강재 수급 추이 > < 강재 국별 수출입 동향(‘14.1~6월) > (천톤) ※ 자료 : 한국철강협회
17
전망 : 하반기 수요 점차 둔화되나, 예상보다 높은 견조한 증가세 유지 전망
○ 내수 : 자동차생산 증가, 하반기 조선건조량 회복 등에 따라 ’14년 강재수요는 6.9% 증가 전망 - 그러나 상반기 높은 재고 및 하반기 수요산업 둔화 등을 감안할 때 하반기 수요 증가세는 점차 둔화될 전망 ○ 수출 : 미국 등 선진국 수요 회복, 해외공장 소재용 수출 증가 등으로 7.7% 증가 전망 ○ 생산 : 내수∙수출 동반 증가, 신규설비 가동 등으로 생산은 6.6% 증가하여 ’12년 수준 상회 ○ 수입 : 내수 증가로 수입도 증가세로 전환, 연간 2천만톤 상회할 전망 < 국내 철강수급 전망 > (천톤,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내수 54,069 25,654 26,107 51,762 13,920 13,954 27,874 13,475 13,960 27,435 55,309 14,000 14,245 28,245 13,565 (-4.1) (-8.3) (0.1) (-4.3) (12.4) (5.1) (8.7) (6.7) (3.6) (6.9) (0.6) (2.1) (1.3) (0.7) 수출 30,485 14,447 14,744 29,191 7,617 8,066 15,683 7,600 8,150 15,750 31,433 7,910 8,180 16,090 7,790 (4.8) (-5.7) (-2.7) (-4.2) (4.4) (12.8) (8.6) (9.2) (4.7) (6.8) (7.7) (3.8) (1.4) (2.6) (2.5) 생산 72,051 34,219 34,927 69,147 18,149 18,635 36,784 17,900 19,025 36,925 73,709 18,530 19,130 37,660 18,225 (-0.3) (-7.0) (-1.0) (-4.0) (8.4) (6.6) (7.5) (4.9) (5.7) (2.7) (2.4) (1.8) 수입 20,706 9,700 9,693 19,393 5,591 5,616 11,207 5,150 4,750 9,900 21,107 5,350 5,250 10,600 4,950 (-10.4) (-12.1) (0.2) (-6.3) (13.5) (17.7) (15.5) (8.2) (-3.7) (8.8) (-6.5) (-5.4) (-3.9) 반제품제외 12,502 5,882 5,924 11,807 3,388 3,385 6,773 3,175 3,085 6,260 13,033 3,380 3,295 6,675 3,130 (-5.3) (-9.9) (-0.8) (-5.6) (15.0) (15.2) (15.1) (13.1) (-1.1) (10.4) (-0.2) (-1.5) (-1.4)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18
판재류 : 내수 및 수출 견조한 증가세 지속으로 생산도 대폭 확대 전망
○ 내수 : 기저효과 및 자동차 등 호조로 10% 이상의 견조한 증가 예상되나 증가세는 점차 둔화 - 상반기 예상 밖 급증으로 하반기 둔화 불구 연간으로 냉연 7.1%, 아연도 16.8%, 중후판 11.4% 증가 예상 ○ 수출 : 글로벌 수요 회복 및 생산 확대로 수출은 7%의 견조한 증가 전망 ○ 생산 : 내수 및 수출 동반 증가에 힘입어 ’14년 생산 8.7% 증가 전망 - 현대 2냉연 본격 가동으로 ’14년 냉연 생산 7.1%, 아연도 생산 16.7% 증가 예상 ○ 수입 : 국내 생산 확대 불구 원화강세 및 저가재 유입으로 수입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 예상 < 판재류 수급전망 > (천톤,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내수 27,673 12,428 12,636 25,064 7,374 7,031 14,405 6,765 6,775 13,540 27,945 7,325 7,120 14,445 6,750 (-9.7) (-13.4) (-5.1) (-9.4) (21.8) (10.3) (15.9) (8.0) (6.4) (7.2) (11.5) (-0.7) (1.3) (0.3) (-0.2) 수출 21,574 10,272 10,411 20,683 5,436 5,561 10,997 5,355 5,785 11,140 22,137 5,555 5,670 11,225 5,450 (4.9) (-5.3) (-3.0) (-4.1) (3.7) (10.6) (7.1) (10.8) (7.0) (2.2) (2.0) (2.1) (1.8) 생산 42,709 19,988 20,177 40,165 11,041 10,885 21,925 10,590 11,125 21,715 43,640 11,145 11,175 22,320 10,730 (-2.4) (-8.3) (-3.6) (-6.0) (11.4) (9.7) (8.5) (6.8) (7.6) (8.7) (0.9) (2.7) 수입 6,537 2,712 2,870 5,582 1,769 1,708 3,477 1,530 1,435 2,965 6,442 1,735 1,615 3,350 1,470 (-12.0) (-20.3) (-8.4) (-14.6) (27.7) (28.7) (28.2) (14.2) (-6.2) (3.3) (15.4) (-1.9) (-5.4) (-3.7) (-3.9)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19
봉형강류 : 하반기 건설경기 둔화 불구 내수 안정적 증가 및 수출 확대 전망
○ 내수 : 건설경기 둔화 불구 선재 등 호조세로 ’14년 내수 3.8% 증가 전망 - 자동차용 등 호조로 선재 수요 8% 내외 증가, 철근·형강은 5~6%의 안정적 증가 예상 ○ 수출 : 중국·일본向 수출 호조로 동남아向 부진 불구 11.1% 증가 전망 ○ 생산 : 내수 안정적 증가 속 수출 확대로 4.1%의 완만한 증가세 예상 ○ 수입 : 내수 소폭 증가 가운데 중국산 저가재 수입 압력 상존으로 증가세 지속 < 봉형강류 수급전망 > (천톤, %)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Q1 Q2 Q3 Q4 내수 21,012 10,486 10,823 21,309 5,303 5,554 10,857 5,455 5,810 11,265 22,122 5,370 5,750 11,120 5,525 (2.9) (-3.2) (6.3) (1.4) (5.7) (1.6) (3.5) (6.9) (4.1) (3.8) (1.3) (2.4) 수출 2,937 1,538 1,544 3,082 830 915 1,745 810 870 1,680 3,425 860 1,775 865 (-11.1) (0.5) (9.8) (5.0) (11.9) (14.9) (13.5) (11.6) (8.8) (11.1) (3.6) (0.0) (1.7) (6.8) 생산 19,519 9,666 10,113 19,779 4,880 5,226 10,106 5,040 5,440 10,480 20,586 4,970 5,415 10,385 5,165 (0.4) (-3.3) (6.2) (6.4) (2.8) (4.6) (5.8) (1.8) (2.5) 수입 4,430 2,358 2,255 4,612 1,252 1,243 2,495 1,225 1,240 2,465 4,960 1,260 1,250 2,510 (3.4) (-0.3) (9.1) (6.5) (5.1) (14.6) (9.3) (7.5) (0.6)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20
본 보고서는 포스코경영연구소에 지적재산권이 있으며, 임의로 외부에 유출하는 것을 금합니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