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기후 변화와 농업 농화학과 조기영.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기후 변화와 농업 농화학과 조기영."— Presentation transcript:

1 기후 변화와 농업 농화학과 조기영

2 기후 변화와 고산 생태 온난화로 인한 극지/고산식물의 위기 고산대와 아고산대의 식생과 경관을 위한 보존전략 수립

3 1. 산과 기후변화 산이란? 한반도의 산지 경사도 7% 이상 해발고도 100m 이상 기복량 100m 이상 국토 면적의 65%

4 1. 산과 기후변화 산의 가치 물의 저장고 에너지와 광물자원의 공급처 기후 조절 생물의 다양성 유지 공기, 깨끗한 물 등

5 1. 산과 기후변화 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 지난 100년간 1.4 ℃ 상승 향후 100년간 4℃ 상승 예측
산지의 위험 요인 생태적 부작용 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 지난 100년간 1.4 ℃ 상승 향후 100년간 4℃ 상승 예측 과도한 개발과 이용 인식 부족 빨라지는 식물의 개화시기 남방계 식생대 확장 북방계 식생대 쇠퇴 동물의 서식처 교란 특히 고산대, 아고산대, 도서지방에서 빠르게 기온이 상승하면 북방계 생물은 이동할 통로나 피난처를 찾지 못하고 위기를 맞게 된다.

6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2. 고산대와 아고산대 산악 경관의 수직적 분포 산지림(montane forest) 왜성변형수(krummholz)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수목섬(tree island) 고산초원 (alpine meadow) 고산툰드라 (alpine tundra) 만년설지대 (nival belt) 설선(snow line) 고산대 교목한계선 (tree-line) 아고산대 삼림한계선 (forest-limit)

7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2. 고산대와 아고산대 산지림(montane forest) 왜성변형수(krummholz)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수목섬(tree island) 고산초원 (alpine meadow) 고산툰드라 (alpine tundra) 만년설지대 (nival belt) 설선(snow line) 교목 한계선 : 높이가 4~5m 이상의 큰키나무 또는 교목이 자라는 상한계선 삼림 한계선 : 상업적으로 가치 있는 재목을 생산하는 삼림이 자라지 못하는 한계선 고산대 교목한계선 (tree-line) 아고산대 삼림한계선 (forest-limit)

8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2. 고산대와 아고산대 산지림(montane forest) 왜성변형수(krummholz)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수목섬(tree island) 고산초원 (alpine meadow) 고산툰드라 (alpine tundra) 만년설지대 (nival belt) 고산대 아고산대 설선(snow line) 교목한계선 (tree-line) 삼림한계선 (forest-limit) 낮은 기온 짧은 식물의 생육 일수 강한 바람 불규칙한 적설량과 심도 심한 일교차 많은 자외선 척박한 토질 -> 식물이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다 아고산대 왜성 변형수 깃발형 나무 편형수 고산대 고산 관목림 작은 관목, 떨기나무 고산 초원 풀이 주로 자람 고산 툰드라 자갈 등 편형수 수목섬

9 3. 고산대와 아고산대의 자연사(史)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고산 식물의 위험 플라이스토세 빙기와 간빙기의 반복
고산/극지 식물의 이동 빙기동안 북극 주변의 추위를 피해 남하 산자락, 해안가 북부, 중부, 남부로 이동 한반도의 고산대 제주도 한라산 등 오늘날의 극지/고산식물 생존에 유리한 생김새 작은 키 좁고 두꺼운 잎 발달한 뿌리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고산 식물의 위험

10 4. 한반도의 고산대와 아고산대 경관 대한민국 산지 정보 이북에 높이 2,000m 이상 산 79 개 이상 분포
전 국토의 0.4% 높이 1,500 ~ 2,000m 산지 264개 국토 면적의 4% 높이 1,000m ~ 1,500m 산지 788개 국토 면적의 10% 높이 500m ~ 1,000m 전 국토의 20% 높이 200m ~ 500m 전 국토의 40%

11 4. 한반도의 고산대와 아고산대 경관 온난화로 인한 고산 식물의 위기 지구 평균 기온의 상승 ( 2.08 ℃ ↑ )
설악산 아고산대 지구 평균 기온의 상승 ( 2.08 ℃ ↑ ) 토양 수분 부족, 증발량 증가 수분 부족에 따른 생장 장애 발생

12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4. 한반도의 고산대와 아고산대 경관 식생대의 수평적, 수직적 이동 예시 제주조릿대 600 ~ 1,400 m 에서 400 ~ 1,800 m로 영역 확대 산지림(montane forest) 왜성변형수(krummholz) 고산관목림(alpine shrubland) 수목섬(tree island) 고산초원 (alpine meadow) 고산툰드라 (alpine tundra) 만년설지대 (nival belt) 고산대 아고산대 설선(snow line) 교목한계선 (tree-line) 삼림한계선 (forest-limit) 제주 조릿대

13 4. 한반도의 고산대와 아고산대 경관 지구 온난화가 지속 될 경우 고산 식물의 식생과 경관의 위험 한라산의 고산대 느린 회복력
낮은 생산성 열악한 기후 조건 파괴나 훼손 시 복구 거의 불가능

14 5. 한반도의 극지/고산 식물 및 고산식물 극지 고산 식물 고산식물 한반도 내에 약 340 여종 분포 유형
북극권과 온대 지방의 고산지 대에 격리되어 자라는 식물 고산식물 나무가 자라는 한계인 교목 한 계선보다 높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 한반도 내에 약 340 여종 분포 유형 한반도 전역 분포 종, 북부와 중부 분포 북부와 제주도 분포 남부와 제주도 분포 북부지방 분포 중부지방 분포 제주도 분포 온난화가 지속 시 많은 극지 • 고산식물과 고산식물이 멸종할 우려 있음

15 6. 극지•고산식물 및 고산식물과 기온 온대성 식물의 수직적 이동에 따른 경쟁 등급 피해 정도 분포 지역 외형적 특성
대표적 식물종 1 가장 취약 북부 고산대 상록활엽관목 담자리꽃나무, 가는 잎 애기 백산차, 애기 백산차, 가솔송 곱향나무 상록칩엽관목 2 취약 한반도 고산대, 아고산대 노랑만병초, 큰백산차, 월귤, 황산차 상록침엽아교목 가문비나무, 눈잣나무 한라산 고산대 돌매화나무. 시로미 3 큰 피해 우려 눈향나무, 눈주목 4 피해 발생 가능 한반도 아고산대 산진달래나무, 만병초 상록침엽관목 찝방나무 상록침엽교목 분비나무, 종비나무 5 분포역 축소 상롭침엽교목 전나무, 잣나무, 주목 6 일부 피해 가능 남부,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

16 7. 기후변화와 상태계의 미래 고산 식물에 대한 관심 필요 경쟁에 밀려 쇠퇴하거나 멸종 위기 대책
한반도의 고산대와 아고산대 이용 최소화 경관을 유지, 보전 하려는 노력 필요 연구 활성화 및 장기적 보전 전략 수립

17 기후 변화에 따른 육상생태계 생지화학적 순환의 교란
기후 변화에 따른 육상생태계 생지화학적 순환의 교란 화석연료 연소와 산림파괴로 탄소순환이 교란, 기후 시스템의 변화 가 발생 온난화, 강수 패턴 변화, 극한 기상 현상의 증가 생지화학적 순환 과정의 교란으로 기후 시스템에 되먹임 작용

18 1. 지구환경변화와 생태계 교란 수증기 (↑또는 ↓) 양료 유출 (↑또는 ↓) 탄소 배출 (↑또는 ↓) 자외선 오존 이산화탄소
질소 강하 기후 변화 (온도, 강수량) 재해 : 병충해, 산불, 산사태 생산성 (↑또는 ↓) 기후 변화는 지구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경 변화의 새로운 중심 축으로 부각 되고 있다. 교란 유발 인자로서 생태계의 순환에 큰 영향 다중 환경 교란으로 생태계의 구조 및 기능 전반에 영향 산불로 인한 유기물 연소는 대기로 이산화 배출을 증가시켜 온난화를 가속 시킨다

19 2. 온난화에 따른 물질순환의 교란 식물 생리 토양 수분 및 질소 등의 양료 무기화 세이버의 토양 온난화 실험
식물의 일차 순생산의 일시적 증가 생태계 호흡의 양에 따라 생태계 순생산 결정 세이버의 토양 온난화 실험 이산화 탄소 배출은 증가 한 후 점차 감소 토양의 질소 무기화 증가는 장기간 지속 일차 생산성 증가 -> 탄소 흡수

20 2. 온난화에 따른 물질순환의 교란 온난화에 따른 토양 유기물의 분해율 변화 생지 화학적 물질 유출 증가
토양 온도 증가 시 유기물 분해율 증가 탄소 흡수 잠재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생지 화학적 물질 유출 증가 겨울철 온난화를 통해 양료 성분 다량 유출

21 3. 강수 패턴의 변화에 따른 물질순환의 교란 강수량의 증감, 강수 빈도 및 강도의 변화 강수 패턴의 극단화
육상 생태계의 생지화학적 과정에 변화 유발 강수 패턴의 극단화 식물 생리에 직접적인 영향 일차 순생산의 감소 토양 내 유기물 분해와 양료 무기화 저하 토양으로부터의 물질 유출 증가 가뭄으로 인한 산림 피해 세 달도 안되는 짧은 시기의 유출량이 연간 탄소 유출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음이 소양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 연구에서 밝혀짐 일차 생산량 : 생태계에서 생산자인 식물이 무기물을 유기물로 바꾸는 생산 가뭄으로 인한 산림 피해-> 탄소 흡수 감소

22 3. 강수 패턴의 변화에 따른 물질순환의 교란 여름철 집중호우의 강도 증가 강수 패턴의 극단화
생지화학적 물질 유출량이 전반적으로 증가 탄소, 중금속, 오염물질, 기타 양료의 유출

23 4. 생태계 재해에 따른 탄소순환의 교란 재해로 인한 생지화학적 순환의 교란 육상 생태계는 중요한 탄소흡수원 산불 병충해
인위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7% 흡수 산불 병충해 태풍, 열대성 폭풍

24 4. 생태계 재해에 따른 탄소순환의 교란 소나무 좀의 피해 증상 소나무 좀의 피해 확산 병해충 산불 태풍
산불과 비교하여 50배 이상의 발 생 면적, 5배 이상의 경제 피해 소나무 좀 산불 건조한 봄철에 집중 비정기적이나 발생시 큰 피해 사회 경제적 피해 발생 산사태 등 2차 피해 우려 장기적인 환경 교란 강우 시 유출량 증가 탄소 배출량 증가 태풍 산림의 손실 소나무 좀의 피해 증상 소나무 좀의 피해 확산

25 5. 기후변화에 대한 육상생태계의 생지화학적 반응과 되먹임
5. 기후변화에 대한 육상생태계의 생지화학적 반응과 되먹임 생지화학적 순환 온난화 영향 영향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종 구성 변화에 영향을 끼친다. 강수패턴은 극단화 될 것이다. 산불이나 병해충 같은 기상 재해는 그 발생의 부정기성으로 인해 종래의 기후 영향 평가나 모델에서 잘 고려 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례로 보듯이 필요하다. 이러한 생태계와 기후 변화 시스템 사이의 복잡한 관계와 피드백 작용에 대해 보다 과학적인 이해가 필요로 하며, 한국의 생태계와 기후변화에 맞는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되먹임 (Feedback) 강수 패턴의 변화 기상 재해

26 기후변화에 대한 산림생태계 취약성 평가 산림은 육지 면적의 1/3 정도이며 지구 전체 광합성의 2/3을 담당
산림의 지구 탄소 순환에서 중추적 역할 호흡과 유기물 분해를 통한 탄소 순환 증산작용을 통한 대기의 온도 저하

27 1. 산림과 기후변화 산림의 지구 탄소순환의 중추적 역할 국토 면적의 약 64%가 산림 취약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함
증산작용을 통한 대기의 기온 저하 산림에 저장된 탄소를 호흡이나 분해를 통해 방출 국토 면적의 약 64%가 산림 취약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함 산림이 지구 탄소순환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첫번째 이유 증산작용을 통해 대기의 기온을 낮출 수 있음 산림에 저장된 탄소가 다시 식물의 호흡이나 토양 내 유기물 분해 등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 되어 탄소 순환의 역할을 해줌

28 2. 지구 탄소순환 및 물순환 탄소 순환 검은색 수치 : 각각 저장고에 존재하는 탄소량
검은색 수치 : 각각 저장고에 존재하는 탄소량 보라색 수치 : 저장고 사이에 서 연간 탄소 이동량 단위 : GtC/yr (기가톤 = 10억 톤) 지구상의 탄소는 대기와 해양 그리고 육상 생태계 등 다양한 곳에 존재한다. 생물권, 암석권, 수권, 대기권 등을 저장고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저장고 사이를 기체와 무기 탄소 유기 탄소 형태로 순환한다. 탄소 이동은 저장고 간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화학적, 물리, 지질, 생물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가장 큰 저장고는 해양이며 이러한 순환을 파악하여야 어느 곳이 흡수원인지 발생원인지 알 수 있다. 산림 해양 생물군 녹아있는 천연 탄소 침전물

29 2. 지구 탄소순환 및 물순환 물 순환 강수 흐르는 물 침투 저수지/바다 증발
앞서 언급했듯이 물의 순환은 시작과 끝이 없다. 물의 순환을 일으키는 태양은 바닷물을 데운다. 그 가운데 일부는 대기에 수증기 상태로 증발한다. 얼음과 눈은 수증기로 바로 승화할 수 있다. 상승하는 대류는 증발산하는 물(식물로부터 발산한 물이나 흙으로부터 증발한 물)과 더불어 수증기를 대기에 제공한다. 수증기는 대기로 올라가며 여기서 온도가 차가워지면 구름에 응축된다. 대류는 지구 주위의 구름을 움직이며 구름의 입자는 충돌하고 상승하다가 강수 현상이 일어난다. 일부 강수는 눈으로 떨어지며 수천년에 걸쳐 언 물을 담을 수 있는 만년설이나 빙하로 쌓이기도 한다. 따뜻한 날씨의 설괴빙원은 봄이 찾아오면 녹고 눈이 녹으면 물이 되어 땅 위를 흐른다. 대부분의 강수는 바다나 땅으로 다시 떨어지며 중력으로 인해 강수는 땅 위를 흐른다. 여기서 흐르는 물의 일부는 골짜기의 강으로 들어가 바다로 흐른다. 이러한 물들과 지하수는 모여서 호수의 민물이 된다. 그렇다고 모든 빗물이 강으로 흐르는 것은 아니다. 이 중 대다수는 침투 과정을 걸쳐 땅으로 스며든다. 어떠한 물들은 땅 깊이 스며들어 대수층을 새로 보충한다. 일부 침투수는 지표와 가까워서 지하수가 흘러나오면 지표수와 바다로 다시 스며들고 일부 지하수는 땅의 틈새에 들어가 샘물로 합쳐진다. 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흐르며 일부는 바다로 다시 흘러 들어간다. 이렇게 물의 순환은 계속 새로운 과정을 거듭한다.

30 3. 생물권 탄소순환 모형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 상향식 접근 하향식 접근 생태학적인 방법 역산 모형법
산림 또는 초지에 조사구 설치 현존하는 식물의 조사 기간별로 증가량 산출 미기상학적 방법 플럭스타워 이산화탄소 플럭스 측정 대기간 이산화탄소 교환량 산출 하향식 접근 역산 모형법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 도 측정 원격 탐사 항공기 위성체 - 광릉 플럭스 타워

31 3. 생물권 탄소순환 모형 예측모형과 진단 모형 모형 장점 단점 예측모형
원격탐사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탄소, 기상, 토양 자료등과 함께 잠재 식생 분포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및 미래의 탄소 순환 정보를 예측 현존 식생과 인간의 간섭은 예측 불가 진단모형 원격 탐사로 관측된 실제 현존 식생분포에 근거하여 탄소순환을 예측 원격탐사 자료에만 의존하여 미래의 경향은 예측 불가

32 3. 생물권 탄소순환 모형 생물리적 모형 강수, 온도, 토양 유형, 식물종 등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 생지화학적 모형
토양에서의 분해작용에 의한 생산량 및 탄소 보유량 산정 미기후적모형 강수량, 온도, 습도, 복사량 등과 같은 기상인자를 통해 미기후 예측 식생생산 모형 개체목들의 생장과 고사에 따른 임분의 규모 변화 예측

33 4. 생물권 취약성 평가 모형 취약성 정의 취약성의 정의는 논쟁의 대상이다. IPCC 보고서 유엔기후변화협약 유엔환경계획
생태계나 사회가 기후변화로부터 받게 되는 지속적인 피해 에 대하여 영향을 받기 쉬운 정도 유엔기후변화협약 어떤 시스템이 기후의 다양성이나 극단을 포함하는 기후변 화의 역효과에 민감하거나 대처할 수 없는 정도 유엔환경계획 생태계나 사회가 기후변화의 지속적인 위해에 민감한 정도 경제협력개발기구 사람이나 사물이 변화에 노출되고 민감한 것 취약성의 정의는 논쟁의 대상이다.

34 4. 생물권 취약성 평가 모형 취약성 평가 방법 노출 민감성 적응력 생물 개체군, 인구 거류지, 기반시설 자연자원
해수면, 온도, 극단적 기후 사 건 등의 자체적 특성 민감성 적응력 자료(온도,강수,CO2 농도) 개선된 CEVSA 모형 기후변화에 대한 식생분포의 민감성(S) 식생분포의 적응력(A) 생태계 기능의 민감성(S) 생태계 기능의 적응력(A) 식생분포의 취약성 평가 생태계 기능의 취약성 평가 자연 생태계의 통합된 취약성 평가 S-A V Vulnerability S sensitivity A Adaptation 자연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구조 Yu,2006

35 4. 생물권 취약성 평가 모형 산림생태계 취약성 평가 방법 식생분포 취약성 평가 방법 식생분포의 민감성 평가
생태계 기능의 변이성 민감성 생태계 기능 연도별 변이의 변 화 경향 적응력 각 생태계 기능 일차순생산량 생태계순생산량 토양탄소저장량 식생탄소저장량 각 기능의 취약성의 합 식생분포 취약성 평가 방법 식생 유형의 변화 횟수 식생 유형의 변화 빈도 민감성 식생 유형의 변화 방향 적응력 식생분포의 민감성 평가 기후변화에 따라 식생 유형의 변화가 있는가? 식생분포의 적응력 평가 식생 유형의 변화가 긍정적인 경우 + 식생 유형의 변화가 부정적인 경우 - V Vulnerability S sensitivity A Adaptation

36 4. 생물권 취약성 평가 모형 Example V = S – A 기후변화 발생 기후변화 발생 식생 분포의 변화 식생 분포의 변화
개체수 감소 민감성 : 30 초원에서 사막으로 변화 적응력 : - 10 30 – ( - 10 ) = 40 취약성 (V:Vulerability) : 40 기후변화 발생 식생 분포의 변화 생장 저하 민감성 : 15 사막에서 초지로 변화 적응력 : 10 15 – 10 = 5 취약성(V:Vulerability) : 5 V Vulnerability S sensitivity A Adaptation

37 4. 생물권 취약성 평가 모형 취약성-회복성 원형 모델의 지수 출처 : PNNL, 2001. 적응성과 민감성의 범주 지표
지표 대상 연관 기작 식량 수급 안정성 단위 면적당 곡물 생산량 기후변화와 다양성을 완충할 수 잇는 수단으로의 식량 생산자의 접근성을 나타내는 농지의 근대화 정도 생산이 높아질수록 민감성은 감소 단위 인구당 육류 소비량 소비가 생산을 초과하는 곳에서의 식량난을 완충할 수 있는 체계(시장과 같이 소비를 전환시켜주는 곳)로의 접근성 소비가 높아질수록 민감성은 감소 수자원 민감성 지속가능한 공급과 유입 자국의 강으로부터의 지속 가능한 공급과 유입을 통한 수자원의 공급 민감성은 이용가능한 수자원의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 수자원 이용 현재나 미래에 요구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수자원의 회수 수자원 이용률이 높아지면 민감성도 높아짐 V Vulnerability S sensitivity A Adaptation 취약성-회복성 원형 모델의 지수 출처 : PNNL, 2001.

38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IBIS 모형 Integrated Biosphere Simulator
표토의 기작과 생태계 진행 과 정 예측 식생 구성과 엽면적, 생물량 등 종 구조 결과 모의

39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MC1 MC1을 통한 미국 식생분포도 MAPSS-Century Model
과정 기반의 예측 모델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화학, 산 불 등의 3개의 모듈 포함 900m2 ~ 2,500km2 범위에서 수백 년간 산림의 식생 변화의 영향 예측 가능 MC1을 통한 미국 식생분포도

40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홀드리지(Holdridge) 모형 경험적 통계 모델 생기후학적 예측모형
생물 온도, 강수량, 강수량에 대한 잠재증발산량의 비율 등 을 생태계 복잡성의 분포를 연 관 시키는 기후학적 분류 모델

41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BIOCLIM 모형 Bioclimatic Prediction System
기후변화로 발생 할 수 있는 35가지의 생기후적 변수를 통 하여 식생의 생육과 환경적 특 징을 파악

42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CEVSA 모형 Carbon Exchange between Vegetation, Soil, and Atmosphere 생태학 원리에 기반 식물 광합성 호흡작용, 토양 미 생물 활동에서 식생, 토양과 대 기 간의 에너지 전환과 물, 탄 소와 질소 순환, 그리고 생산력 변화 과정을 모의

43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분류 모형 특징 국가 연도 개발자 산림생태계 BIOCLIM
생기후적 모델로 기후 변화에 따른 잠재적인 종 반응 평가 호주 1986 Nix BIOME3 잠재적 산림의 분포를 기후, 토양 등과 연관시켜 예측 스웨덴 1996 Haxeltine and Prentice CEVSA 식생, 토양과 대기간의 에너지 전환과 물, 탄소 질소의 순환 중국 1995 Cao Holdridge 생물온도, 강수량, 잠재증발산량의 비율과 같은 기후 변수에 생물학적 요소를 통합 미국 1967 Shugart and West MC1 생지리학, 지화학, 화재를 모의하는 모듈로 구성 2001 James and Lenihan MINoSGI 미 기후모델과 식생규모 구조의 통합된 수치 동역학 모형 일본 Wanabe and others SIM-CYCLE 탄소 저장소별로 모델링 실시, GPP, NPP NEP 예측 2002 Ito and Oikawa

44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분류 모형 특징 국가 연도 개발자 식생 생산 IBIS
수분 균형, 탄소 균형, 식생 구조를 통합적으로 평가함 미국 1996 Foley and Kucharik LPJ 육상 식생의 역학과 토양 대기 간 탄소와 수분의 교환 작용을 모듈 방식으로 대규모 모의 독일, 스웨덴, 영국 2001 Stich and others AIM 배출모형, 기후모형, 영향모형으로 구성, 유기적 환류 과정을 가지도록 설계 일본 AIM Project Team

45 5. 외국의 주요 취약성 평가모형 입출력 인자 6개의 분야로 세분화 결과 농업, 산림, 식생, 기후, 지형, 수문학 등
농업, 산림, 식생, 기후, 지형, 수문학 등 결과 산림 및 식생 모델 파라미터 식생 형태, 밀도 등의 식생 인자 19개중 15개 모형에 적용 적은 지형학적 인자 인위적인 요인 배제 국내에 적용이 어려움

46 Q/A


Download ppt "기후 변화와 농업 농화학과 조기영."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