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사상사 5, 6, 7주차 수업 한국고대의 불교사상 김문준 교수(교양학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사상사 5, 6, 7주차 수업 한국고대의 불교사상 김문준 교수(교양학부)."—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사상사 5, 6, 7주차 수업 한국고대의 불교사상 김문준 교수(교양학부)

2 생각할 문제 1. 삼국 시대 불교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차이 2. 고려시대 불교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종과 선종의 차이 3. 불교는 한국인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4.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역할은 어떤 것인가?

3 1. 불교의 수용과 한국 불교화 삼국시대의 불교 (1-7세기) -수용의 갈등, 왕권 강화기에 수용
① 고구려(소수림왕 2년 372) 백제 (침류왕 1년 384), 신라 (법흥왕 14년 527년) ② 수용의 갈등 한국인의 사고방식은 내세(來世)나 피안(彼岸)의 세계에 대한 동경보다는 현세 중심적 -> 불교의 출세간(出世間), 현실 초월성이 합일되기 어려움 ③ 초기는 인과(因果) 응보(應報)의 교리로 융화 점차 현세적인 복(福) 락(樂) 관념과 결합

4 ④ 국가와 불교사상의 접목 불국(佛國) 정토(淨土)사상으로 발전 2) 통일신라기 ( ) ① 높은 수준의 사상체계 원융 회통적 전통의 초석 ② 대승 속출 원측(圓測), 원효(元曉), 의상(義湘)

5 3) 고려시대 ( ) ① 국가의 안위를 불법(佛法)에 의지, 국민 정신 합일 ② 교종-선종의 갈등과 조화 ③ 의천(義天), 지눌(知訥) 4) 조선시대 ( ) ① 불교 배척의 시대 ② 서산(西山)대사, 사명(四溟)대사

6 2. 불교 사상의 핵심 1) 緣起法 말미암아 일어난다. 因果, 業 此有故彼有, 此起故彼起.
緣에 의해 생기고, 緣이 다하면 滅 -- 따라서 我가 없다. 이 法을 깨달아, 덧없음(無常)과 無我를 깨달음. 존재하는 모든 것은 더불어 있으며,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깊은 관계 속에 있다. 우리는 자신이 모든 것과 더불어 있다는 것을 모르고 無明속에 산다. 그래서 나와 남을 분리하고 집착하여 욕심내고 짜증내는 어리석음 속 에 살아간다. 自他不二의 정신, 慈悲의 실천

7 2) 四聖諦 苦 - 生老病死: 人生의 有限으로 인한 고뇌. 集 - 貪 瞋 痴 滅 - 번뇌의 사슬을 끊는다. 道 - 八正道 (바른 실천)

8 3) 팔정도 正見 正思惟 -- 慧 -- 敎宗 正語 正業 正命 戒 -- 律宗 正精進 正念 正定 定 -- 禪宗

9 1) 대승불교 : 보살도 중시 2) 고유 신앙과 조화 3) 현실 정토사상: 불국 정토 4) 조화사상 : 원융회통 사상
3. 한국불교의 특징 1) 대승불교 : 보살도 중시 2) 고유 신앙과 조화 3) 현실 정토사상: 불국 정토 4) 조화사상 : 원융회통 사상

10 1) 대승(大乘)불교 보살도(菩薩道) 중시 자기 열반(涅槃) 보다 대중 구제 중시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미륵보살 등 8정도와 더불어 6바라밀 중시

11 바라밀(波羅密: 바라밀다(波羅密多) 피안에 이른다는 말, 완성을 뜻함. 산스크리트 파라미타(Paramita)를 음역한 말
완성 또는 완전으로 번역, 바라밀을 한역한 것이 도피안[到彼岸] 피안(彼岸)은 깨달음의 세계, 차안(此岸)은 미혹의 세계 도피안은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함 피안은 이 세상에서 동떨어진 천국이나 이데아와는 다름 피안은 자신 속에 내재하며 자신이 변화된 차원임 비슷한 용어: 열반·해탈 번뇌가 소멸된 상태,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마음

12 보시(布施)·지계(持戒)· 인욕(忍辱)·정진(精進)· 선정(禪定)·지혜(智慧) 등을 완성함
육바라밀 보시(布施)·지계(持戒)· 인욕(忍辱)·정진(精進)· 선정(禪定)·지혜(智慧) 등을 완성함 자아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고, 자신의 공덕에 대한 집착이나 의식에서 벗어나며, 무엇을 하겠다는 목적 의식에서도 벗어나고, 어느 경지에 이르렀다는 생각도 없는 상태

13 2) 고유신앙과 조화 ① 산신각(山神閣), 칠성각(七星閣) ② 팔관회(八關會: 동지), 연등회(燃燈會: 정월 보름)-제천(祭天)의식과 융화

14 산신각 산신을 모시는 전각[山神閣]. 산령각(山靈閣). 삼성각(三聖閣): 칠성신·독성(獨星)과 함께 모신 전각
산신: 도교 신, 불교 전래 이전의 토착신.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까지 산신신앙이 유행   산신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호법신중(護法神衆)의 하나로 됨. 산신각은 조선 중기 이후 시작. 산신을 그린 탱화: 손에는 하얀 깃털부채나 파초선·불로초 등을 들고 있고 주로 봉래산·영주산·방장산 등의 삼신산을 배경으로 함 한라산·속리산·계룡산·지리산 등지의 사찰에는 여자 산신을 모시는 경우도 있음 호랑이에 기대고 있는 모습, 손에는 대개 불로초를 들고 있다. 유교적 산신도 있고, 불경을 들고 있는 불교식 산신도 흔하다.

15 칠성각 도교에서 유래한 칠성신을 모신 전각 칠성신: 옛날부터 우리나라 민간에서 재물과 재능을 주고 아이들의 수명을 늘려주며 비를 내려 풍년이 들게 해주는 신. 칠성신이 불교에 흡수되면서 처음에는 사찰의 수호신으로 자리잡았다가 점차 별도의 전각인 칠성각에 모셔짐 삼성각: 칠성신을 산신·독성과 함께 모시면 칠성각보다 크게 짓기도 한다. 칠성탱화: 중심은 치성광여래·일광여래·월광여래가 삼존불, 삼존불 좌우에 칠여래와 칠원성군이 배치. 또 남극노인성 등 하늘의 천체와 관련있는 신들이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 전각의 명칭 칠성(七星)은 탐랑·거문·녹존·문곡·염정·무곡·파군의 일곱 별, 각각 부처로 바뀌어 칠여래가 되는데, 예를 들면 제칠파군성군약사유리광여래는 칠성 중 파군이 여래로 바뀐 것이다.

16 3) 현실 정토(淨土) 사상 불국 정토 사상 현실은 예토(穢土)- 청정한 정토염원 현실을 정토로 만들려는 노력
개인의 열반, 기복 차원을 넘어 사회 국가 세계의 정토화 대승의 정신 불연(佛緣) 국토(國土)설- 우리 국토가 일찍부터 불교와 인연이 있다는 설

17 <미륵 사상> 彌勒(Maitreya) 지금은 도솔천(兜率天)에 있지만, 미래 세상에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세상을 다스릴 때 세상에 내려와, 용화수(龍華樹) 아래서 성불(成佛)하고 중생을 제도한다는 미래불. 용화세계(龍華世界) 라는 이상세계 건설 -> 우리의 미륵 신앙은 미래가 아니라, ‘지금’ ‘여기’ 우리 국토가 미륵정토, 용화세계라는 현실 정토 신앙으로 변화

18 4) 圓融 會通 사상 元曉 ( )의 會通 사상 知訥 ( )의 禪敎 合一 --> 曹溪宗

19 元曉 ( )의 會通 사상 1) 당시 불교 교리의 대립과 창조적 지향 공(空) 사상 (妄執 否定) -세계의 모든 것은 다 空이다. 부정론 유식(有識) 사상(아라야식 肯定) -세계의 모든 것은 다 識이다. 긍정론 ① 화쟁(和諍) 논리 ‘和百家之異 合二門之同歸’ 모든 경론은 ‘한 마음’의 펼침이며 (開一心), 그것을 모으면 일심(一心)으로 귀일(歸一) 되는 것이다. ② 환귀일심(還歸一心) - 이익중생(利益衆生)

20 2) 세간(世間)과 출세간(出世間)의 문제 진여문(眞如門) - 생멸문(生滅門) “예토(穢土)와 정국(淨國)이 본래 한 마음, 생사(生死)와 열반(涅槃)도 둘이 아니다.” “마음이 생기면 갖가지 법이 생기고, 마음이 멸하면 갖가지 마음이 멸한다.” “일심에 의해 두 문이 있으니, 그것은 진여문과 생멸문이다.” 금강삼매경론 3권 -- 중국으로 전해져 ‘론’으로 추존 한 마음의 본원에서 일체의 미세한 생각(근본 無明)까지 능히 파하는 삼매(三昧)가 금강삼매(金剛三昧)“ --> 화엄(華嚴)의 세계

21 지눌(知訥: 1158 – 1210)의 선교(禪敎) 합일 --> 조계종(曹溪宗)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통합 교선의 갈등 : 팔정도(八正道)의 방법상의 분열 교종: 교상판석(敎相判釋) 경전의 가치서열 매김 불교의 성전 율장(律藏: 계율 규정, 설명), 경장(經藏: 석가와 제자의 설교), 논장(論藏: 논의)

22 선종 염화미소(拈華微笑, 拈花示衆; 불교의 대표적 화두. 꽃을 따서 무리에게 보인다는 뜻,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以心傳心으로 뜻을 전함 . 불언지교(不言之敎),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정혜결사(定慧結社) 운동:전남 조계산 송광사 ① 돈오점수(頓悟漸修) ② 정혜쌍수(定慧雙修) 중국불교계(唐代)의 교선(敎禪)일치 보다 실천(實踐)에 중점

23 4. 단원 정리 불교의 영향 한국의 착한 심성 강화 제악막작(諸惡莫作) 제선봉행(諸善奉行)
모든 악을 행하지 말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하라 2. 형이상학적 논리적 사유 능력 향상 화엄이론, 3. 자기 마음 수양 중시- 참선


Download ppt "한국사상사 5, 6, 7주차 수업 한국고대의 불교사상 김문준 교수(교양학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