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차 례 1. 교류 전력설계 일 반 2. 전 력 실 설 계 3. 수전설비 설 계 4. 배 전 설 계 5. 배 관 계 획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차 례 1. 교류 전력설계 일 반 2. 전 력 실 설 계 3. 수전설비 설 계 4. 배 전 설 계 5. 배 관 계 획"— Presentation transcript:

1 차 례 1. 교류 전력설계 일 반 2. 전 력 실 설 계 3. 수전설비 설 계 4. 배 전 설 계 5. 배 관 계 획 6. 조명.전열 설계 7. 접지시설 설계 8. 발 전 기 설 계

2 1. 교류 전력설계 일반 1.1. 설계 일반사항 통신용 전원 정의
1. 교류 전력설계 일반 1.1. 설계 일반사항 통신용 전원 정의 통신용 전원이란 전기통신망을 구성하는 교환기기, 전송기기 등의 각종 통신설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설비 통신용 전원 시스템의 특징 통신용 전원 시스템은 높은 신뢰성과 통신 시스템의 요구에 적합한 품질을 갖고 설계, 공사, 운용 및 보수의 용이성 등 일반적인 전원 시스템에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증설 계획시 아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 1. 교류 전력설계 일반 KT 전원공급 계통도

4 1. 교류 전력설계 일반 1.2. 환경관리기준 온습도 관리  표준 온습도 관리 기준치
1. 교류 전력설계 일반 1.2. 환경관리기준 온습도 관리  표준 온습도 관리 기준치 - 단기조건은 연속기간이 최대 3일(72시간)이하, 연중 총 15일을 초과하지 않은 기간 - 단기허용치는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부대시설의 이상시에 적용 - 측정위치 : 바닥위 1.5m, 장치로부터 40cm , - 온도 변동범위는 1 시간 9 ℃이하, 1분 1 ℃ 이하 관리 정전기 보호  습도 : 공칭허용치 유지, 특히 습도 20% 이하에서는 정전기 발생이 위험. 작업을 피함  상면 : 상면은 허용하는 한 절연저항이 낮아야 하며, 보수 등의 목적으로 정전기에 민감한 설비시 정전기 발생에 주의 요  작업 시 손목띠, 제전화 등의 착용 원칙

5 2. 전력실 설계 2.1 전력실 설계 설계시 고려사항  전력기기실의 소요 상면적은 종국용량 및 연면적을 대상으로 소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면적을 산정  특고압 수배전설비는 옥내 시설원칙으로 하고 유도전압 및 고조파 잡음 방지대책 구비  축전지실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배수 및 환기시설 구비  기기의 반입구 시설이 있어야 함 - 반입구 크기 : 폭 2.4m × 높이 2.7m  전력기기실의 발열에 따른 냉난방시설 등 온도대책 필요  EPS실은 연면적 1,000㎡ 또는 3층 이상 건물에는 간선배선이 용이하도록 건축과 협의.  전기기기와 관련되는 부하설비의 면밀한 검토 설계 흐름도

6 2. 전력실 설계 2.2. 설계 순서 전력운용실 선정  종합적 부하중심(전력손실, 전압강하, 배선비 경감)에 가장 가까운 위치 선정  전력공급 배전선로에 가까워 배전선의 인입 용이한 위치  기기의 반출입에 지장이 없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위치  장래 증설시 확장 등의 공사가 가능한 위치, 지반 침하우려 없는 장소  상부 천정에 급배수관이 없는 곳,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은 지상화하여 시설  환기 등이 잘되어 근무자의 건강관리에 유리한 위치 직류전원장치 및 UPS실 선정  통신설비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로 선정  정류기 종류에 따라 통신설비와 별도 칸막이 없이 시설  통신장비 운용자도 긴급한 경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 가능한 통신설비와 동일층, 동일실로 선정 - 무정전 전원장치 등이 타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예외  발화, 화재 등의 이상발생에 대하여 영향 안 받는 위치

7 2. 전력실 설계 축전지실 선정  직류전원장치 및 무정전 전원장치실과 상호 인접위치
2. 전력실 설계 축전지실 선정  직류전원장치 및 무정전 전원장치실과 상호 인접위치  축전지 중량에 건물설계 적재하중이 충분한 장소  기기 반출입 및 환기를 고려 가능한 창측 위치  유해가스 누출을 고려 환기시설과 칸막이 시설 가능위치 단, 유해가스가 미세한 VGS 등 완전밀폐형 축전지는 별도의 칸막이 없이도 가능  충방전선이 최단 거리가 되며 향후 증설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위치  물의 침입이나 침투가 되지 않는 위치이어야 한다. 발전기실 선정  수배전설비와 근접시키고, 발전기의 배기관과 보일러 연도와는 가능한 한 별도 설치 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영향으로 민원발생의 소지가 없는 위치  기기 반출입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위치  가연성,부식성 증기,가스,분진의 발생,체류 위험이 적은 위치  옥외로 통하는 급배기설비의 설치가 용이한 위치  천정의 높이는 배기관 설치높이를 고려

8 2. 전력실 설계 EPS실의 선정  간선의 거리가 최단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위치
2. 전력실 설계 EPS실의 선정  간선의 거리가 최단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위치  적정 크기의 출입구(900mm×1,800mm)는 반드시 설치  건물의 면적,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양방향에 EPS실 설치  단층면적 1,000㎡ 이상 또는 거리가 30m이상  각종 공조실이 설치되는 경우는 공조실내에 별도 EPS실 확보  층 바닥과 EPS 점검구 하단과는 높이차를 두어 층 침수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함.  약전설비 및 구내통신 설비가 설치되는 인텔리전트빌딩의 경우 약전 및 통신용 EPS의 별도설치를 고려하며 이때 전력 배선과는 병행되지 않도록 위치를 선정.  EPS/TC실의 설치개소는 간선의 배선길이가 가장 짧은 위치를 선정.  각종 공조실이 설치되는 국사의 경우 공조실에 별도의 EPS/TC실을 설치한다.  EPS/TC실의 밀폐형덕트(DUCT)로 방화 구휙 통과시 내화재로 차폐.

9 2. 전력실 설계 2.3. 전력기기의 소요상면적 산정 전력운용실
2. 전력실 설계 2.3. 전력기기의 소요상면적 산정 전력운용실  전력기기실 소요상면적은 대상기기 및 부하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종국용량 고려.선정  종국 용량을 알 수 없는 경우. 일반사옥 - 산정기초 : 수전설비에 시설된 변압기 용량[kVA] 제 1 방법 : A = k × W0.7[m2], 제 2 방법 : A = 3.3 × √W × a[m2] A : 전력운용실 면적, k : 산출계수(특→고 : 1.7, 특→저 : 1.4, 고→저 : 0.98) W : 수전설비의 변압기 용량[kVA] a : 면적계수 (건물면적 기준) 6,000[m2] 미만 : 2.66, ,000[m2] 미만 : 3.55 10,000[m2] 이상 : 4.30(큐비클 방식) 10,000[m2] 이상 : 5.50(무형식)

10 2. 전력실 설계 직류전원장치실 상면적 : 종국용량 기준으로 산정 축전지실 상면적 : 종국용량을 기준

11 2. 전력실 설계 발전실 상면적 : 발전기 용량 기준 EPS실 상면적

12 2. 전력실 설계 UPS실 상면적  HS 타입  PS 타입

13 3. 수전설비 설계 3.1 수배전 설비의 설계 설계시 고려사항  수전설비의 전체적인 사항을 우선 결정, 설계 반영
3. 수전설비 설계 3.1 수배전 설비의 설계 설계시 고려사항  수전설비의 전체적인 사항을 우선 결정, 설계 반영  특고압 수전설비는 특고압에서 저압으로 직접변환방식을 원칙  설비용량을 결정할 경우는 여러 각도 검토한 후 설계  종국용량, 정보통신기기 등의 부가 설비를 고려  통신용 전원시설의 증설 예상 년도 및 기기 부하량  고조파를 발생하는 기기의 발생정도  유도성 회로의 유도용량 및 역기전력의 영향  수변전기기 설치장소가 지하실이나 낮은 장소에 위치할 경우 기초대 반드시 설치  수배전설비는 될 수 있는 한 부하중심점에 시설  기기의 반출입에 지장이 없고 향후 증설이 용이한 장소  시설의 운전자동화를 고려하여 설계  고압이상 차단기는 서지방지 대책을 강구

14 3. 수전설비 설계  수전설비 약어 <교류-부교재>  특고압 표준 결선도 설계 흐름도

15 3. 수전설비 설계 부하용량 산정  건축물 용도별 전력부하 밀도  사옥의 건물규모 및 종국용량별 설비부하 용량
3. 수전설비 설계 부하용량 산정  건축물 용도별 전력부하 밀도  사옥의 건물규모 및 종국용량별 설비부하 용량  교환기종별 설비용량 산정

16 3. 수전설비 설계  부하의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 수용률 : 설비의 전용량 대비 실제 사용 부하의 최대전력 비율을 표시한 계수 최대 수용전력(kW) 수용률 = ─────────── × 100(%) 총 설비용량(kW) - 부등률 : 변압기에 부등률 적용시 반드시 주변압기에만 적용시키고 직강식의 경우 수용률만 적용. 각각의 최대 수용전력의 합(kW) 부등률 = ──────────────── × 100(%) 합성 최대 수용전력(kW) - 부하율 : 최대수용전력에 대한 평균전력의 비 평균 전력(kW) 부하율 = ────────── × 100(%) - 부하의 수용률,부등률, 부하율

17 3. 수전설비 설계 변압기 용량 산정  용량산정시 주의사항 - 부하용량 조사와 배전방식 및 변압기 대수
3. 수전설비 설계 변압기 용량 산정  용량산정시 주의사항 - 부하용량 조사와 배전방식 및 변압기 대수 - 전압변동과 전압강하 및 정전시 대책 - 주위 온도와 변압기의 발열량 파악  변압기는 통신동력, 일반동력, 전등.전열용으로 분리하여 3상 변압기를 사용함  단일 뱅크로 선정하여야 하는 경우 - 종국용량이 10만회선 이하인 경우 - 단일뱅크용량이 200kVA이하로 일반,전등.전열 합이 500kVA  변압기는 몰드형변압기를 사용하며 3상4선식으로 사용 ( 임시사용 변압기는 유입식 변압기 사용가능 ) - 통신동력변압기(TR1) 용량산출식 TR1 〉종국용량(KL) ÷ 교환 기종별 종국회선수 × 교환기전원용량 - 일반동력, 전등.전열변압기(TR2) 용량산출식 TR2 〉부하설비용량 × 해당 수용율

18 3. 수전설비 설계 수전전압.방식 및 배전전압 선정 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은 전력회사의 공급규정에 따라 전력을 수급
3. 수전설비 설계 수전전압.방식 및 배전전압 선정 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은 전력회사의 공급규정에 따라 전력을 수급 - 계약전력 100(kW) 미만인 경우에는 저압으로 공급하고 필요시 고압도 가능 - 계약전력 100(kW) 이상인 경우에는 고압이상으로 공급 - 계약전력 500(kW) 이상인 경우에는 특별 고압으로 공급  배전전압 배전전압은 전력공급의 경제성, 안정성 및 공급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결정 - 배전거리, 전압변동, 전력손실, 수전전압과 부하전압 - 부하용량 및 기존설비와의 관계 < 배 전 전 압 >

19 3. 수전설비 설계 <수전방식>

20 3. 수전설비 설계 수배전 설비 기기설계 및 선정  자동절환스위치(ALTS) - 특고압 2회선 수전방식의 수용가 인입구
3. 수전설비 설계 수배전 설비 기기설계 및 선정  자동절환스위치(ALTS) - 특고압 2회선 수전방식의 수용가 인입구 - 대용량 수용가의 회선 자동절체용 - 본회선과 예비회선을 자동절체가 필요한 개소 - SF6 Gas에 의한 절연 및 차단으로 성능 우수 - 선로 전환시 3상이 일괄적으로 절체 됨 - 부하전류개폐 100회, 기계적 수명 1,000회 보증  자동고장구분 개폐기(ASS) - 특별고압 간이 수전방식에 주로 사용되는 개폐장치 - 1,000kVA이하의 수용가 인입구에 설치 - 수용가의 고장점을 분리, 건전한 수용가 지속적 전력공급 - PHASE 최소동작전류는 최대부하전류의 2~3배 선정 - GROUND 최소동작전류는 상최소동작전류의 50% 선정 - 수용가 측에 휴즈 설치할 경우 최소동작전류 이상치 선정

21 3. 수전설비 설계  컷아웃스위치(COS) - 일반 특고압 주상, 수전설비 변압기 1차측에 상별 보호용 설치
3. 수전설비 설계  컷아웃스위치(COS) - 일반 특고압 주상, 수전설비 변압기 1차측에 상별 보호용 설치 - 일반전기사업자 수용가 인입구 책임분계점에 설치 - 전기설비에 대한 단락 및 과전류보호 필요 개소 - 동일한 변압기 용량이라도 단상용, 3상용변압기용 Fuse 규격 상이  전력휴즈(PF) - 부하개폐기와 조합되어 부하측 이상고장보호 - 전력용변압기 등의 기기 1차측 각상에 설치 과전류보호 - KT 전원시설 공통 설계기준 적용 - Fuse는 K type, T type 두종류 중 K type이 주로 생산됨 - 소음장치부 취부용 전력휴즈 사용으로 용단소음 최소화 - 단투형 수직취부형, 옥내형, Hook봉 조작용 규정 - 휴즈홀더가 고정된 형을 큐비클 내부용으로 많이 사용함

22 3. 수전설비 설계  부하개폐기(LBS) - 일반 특고압 수전설비의 인입구 측에 설치
3. 수전설비 설계  부하개폐기(LBS) - 일반 특고압 수전설비의 인입구 측에 설치 - 종래 Line Switch를 대신하여 큐비클 내부에 설치 - 선로개폐기 및 부하개폐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개소 - 조작 : Remote 조작형 Motor Charge 방식, 수동조작가능 - Power Fuse 내장형 선정하여 용단시 개폐기 3상동시 차단 - Fuse Base는 부하측에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 사양  진공차단기(VCB) - 36kV이하 특고압 변압기 전단에 설치하여 부하단 보호 - 고압용 수전설비의 이상보호용 차단기 - 특고압 표준결선도(1,000kVA 이상)에 의한 주보호장치 - 조작 : Motor Spring Charge, 솔레노이드 이동방식 - Trip방식/수동조작전압 : 전압Trip방식 / DC 110V - 개폐서지가 높아 몰드변압기 전단에 설치할 경우 SA설치 - 개폐평균수명은 무부하 10,000회, 단락전류 30~50회

23 3. 수전설비 설계  저압기중차단기(ACB) - 일반 수전설비 변압기 2차 저압측의 부하단 보호
3. 수전설비 설계  저압기중차단기(ACB) - 일반 수전설비 변압기 2차 저압측의 부하단 보호 - 타이변압기 운전 수용가의 변압기 2차측 회로 전환 - 저압측 모선별 과부하에 대한 보호회로 - 조작방식/Trip방식 : 전동 Charge방식/전압Trip방식 - 조작전원방식 : AC 220V 또는 DC 110V - Trip종류 : 과전류, 부족전압, 지락 등에 의한 Trip  절체스위치(ATS) - 저압의 부하단에 자동적으로 절환이 필요한 개소 -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절환이 필요한 개소 - 기타 일반 저압모선의 절체에 필요한 개소 - 조작방식/조작전원 : 전기코일여자/AC 220V, DC 110V - KT설계기준은 고정형, 절체 표시부착 기능 - 보장평균 수명은 기계적 10,000회, 전기적 5,000회 - 동작시간 : 개극시간 0.12sec, 절체시간 0.12sec

24 3. 수전설비 설계  계기용변성기함(MOF) - 특고압 수전설비 수용가 전력계량필요 개소
3. 수전설비 설계  계기용변성기함(MOF) - 특고압 수전설비 수용가 전력계량필요 개소 - 구내 수전설비의 전력계량 및 제어필요 개소 - 최대수요전력량계 : 최대전력을 측정으로 기본요금 결정 - 무효전력량계 : 기간내 평균역률을 측정하기위한 계량 -> 형식/오차계급 - 원통형, 전자식/1.0급 이상 - MOF(CT) 비율 <교류-부교재>  계기용변류기(CT.PT) - 높은 전압을 측정이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계측 - 대전류를 측정이 가능한 소전류로 변환 필요 개소 - 전기설비 보호를 위한 계전기 입력용 전원필요 개소 - 계기용 변류기 2차측 1단자 반드시 접지 - 제1종접지 : 1차측 입력전압이 특고압인 경우 - 제3종접지 : 1차측 입력전압이 고압인 경우

25 3. 수전설비 설계  피뢰기(LA) - 외부의 이상전압의 침입에 의한 기기소손 방지
3. 수전설비 설계  피뢰기(LA) - 외부의 이상전압의 침입에 의한 기기소손 방지 - 개폐서지에의한 기기소손 및 에러 사전예방 - 방전전류를 도통시켜 대전류에 의한 기기 손상방지 - 피뢰기는 Gap 유무에 따라 Gap type, Gapless type - 피뢰기의 후단 접지측에 Disconnector 부착용 사용  서지흡수기(SA) - 서지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기기 또는회로에 설치 - 차단기(VCB) 2차측에 발생하는 개폐서지로부터 보호기능 - 외부 이상서지 및 개폐서지에의한 기기소손 사전예방 - 방전전류를 도통시켜 Noise에 의한 에러방지 - 특성은 피뢰기와 동일하나 보호대상이 상이함 - 서지유입에너지에 의한 애자폭발 막기위해 Polymer 사용 - 입출력단자사이에 ZnO 무공극소자 삽입으로 구성

26 3. 수전설비 설계 차단용량 산정(개폐기 및 차단기)  개폐기 및 차단기의 차단용량
3. 수전설비 설계 차단용량 산정(개폐기 및 차단기)  개폐기 및 차단기의 차단용량 차단용량[MVA] = √3 ×정격차단전류[kA] ×정격전압[kV]  변압기 용량으로 차단용량 산정 차단용량[MVA] = 변압기용량[kVA] × 100 ÷ %임피던스 보호계전기의 선정  계통 전체에 보호협조가 이루어져야 함 - 과전류, 지락전류, 과전압, 부족전압, 결상, 과부하에 정확히 동작하여야 함 - 배전 변전소 계전기 및 2차계전기와 보호협조 - 보호협조 설계 보호협조 설계란 차단기, 계전기 등의 선정 및 설치시 국부적인 사고만을 생각해서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수변전설비의 구성과 부하의 성격 및 운전조건 등 전체적인 계통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을 말함

27 3. 수전설비 설계 - 보호계전기 특성

28 3. 수전설비 설계 큐비클 선정  큐비클 내부 전기설비에 따라 큐비클 폭 결정(설계규정)
3. 수전설비 설계 큐비클 선정  큐비클 내부 전기설비에 따라 큐비클 폭 결정(설계규정) - 변압기, 발전기반 : 2,200×2,500×2,550mm - 특고수전반(MOF, LBS, VCB) : 1,400×2,500×2,550mm - 저압반, 정류기반 : 800×2,000×2,550mm\ 특고인입 및 접지설계  특고 인입 - 지중화 지역은 특고 인입을 위해 한전과 협의후 인입에 필요한 맨홀,지중 전선관 확보 - 특고 인입의 구내전선로에 전주를 사용할 경우 ASS를 설치하고 가공인입선은 OC 전선, 지중 인입선은 CNCV 전선을 사용하며, 지중인입선은 예비선 1조(3선)를 설치  접지공사 일반 - 수배전실에는 보안접지 단자반 설치, 내부에 T/B를 부착하여 1종.2종.3종 접지 구분 -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접지봉을 매설하고 접지 단자반에 시험용 단자를 설치 - 피뢰기등 보호기기의 접지는 다른 접지와 겸용 금지 - 지하에 매설되는 것은 접지봉을 사용하며 접지선은 GV전선사용. (연결은 연동연선) - 접지선의 매설깊이는 75㎝ 이상 되도록 하며 매설간격은 접지봉 길이의 2배를 기준 - 보안접지공사 종류

29 4. 배전 설계 4.1 배선계획 및 설계 배전설계시 고려사항  배선은 전선, 케이블, 동봉, 동대 등을 사용함
4. 배전 설계 4.1 배선계획 및 설계 배전설계시 고려사항  배선은 전선, 케이블, 동봉, 동대 등을 사용함  통신용설비의 저압측 회로는 내화케이블로 배선하거나 CV케이블로 배선시 화재확산 방지를 위해 금속관, 금속덕트내 배선  특수 배선시 차폐선, CV, 내화케이블 등을 금속관, 금속DUCT 배선 - 특수 배선 : 교류와 직류가 인접, 고조파잡음 차폐 개소  전자교환기 부하 공급선이 교류회로와 인접하거나 고주파 잡음의 영향을 미치는 장소는 차폐능력의 케이블 사용  직류, 교류전선 동일 선로 평행포설시 금속가요전선관 사용  금속전선관 및 케이블 랙이 벽, 천정 등을 통과하는 개소(HOLE)에는 불연성 물질 충진  접지용 전선은 GV전선(녹색)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배관은 Hi-PVC 사용  EPS실 내의 간선배선은 전선관, 케이블 덕트를 사용  동력 배선은 통신동력, 일반동력, 냉방기 동력 구분 배선  승강기용 동력배선은 다른 용도의 부하 접속 없이 단독배선

30 4. 배전 설계 배선 용량 설계  부하용량 산정 및 위치 확인
4. 배전 설계 배선 용량 설계  부하용량 산정 및 위치 확인 - 배전방식, 간선설계, 전력운용실 소요상면적, 변압기 용량결정의 기초자료 - 부하용량산정은 표준부하와 특수부하의 총합으로 구함 . 표준부하 : 1㎡ 당 부하용량 × 총 면적 .특수부하 : 통신용 교환기 등 특수기기의 소요전력합 - 조명 간선의 표준부하  배전방식의 결정 - 단상2선식 : 220V (전등 간선용) 3상3선식 : 380V, 220V (동력 간선용) 3상4선식 : 380V/220V (전등, 동력 공용간선용)

31 4. 배전 설계  간선의 부설방식 결정 건물형태, 전기방식 및 용량, 배선의 재료, 현장의 여건, 경제성,전류불평형 등 고려
4. 배전 설계  간선의 부설방식 결정 건물형태, 전기방식 및 용량, 배선의 재료, 현장의 여건, 경제성,전류불평형 등 고려 - 금속관 : 간선을 금속으로 만들어진 전선관으로 포설 - 배선용 피트 : 바닥에 일정크기의 홈으로 포설 . 전력실, 발전실, 기계실 등 일반인의 출입이 적은 곳 . 내부 몰타르 마감, 덮게는 무늬있는 강판 사용 . 덮게 하부는 앵글을 설치하여 덮게의 하중을 유지 < 배선용 비트 단면 >

32 4. 배전 설계 - 금속덕트(케이블 덕트) : 금속제 덕트를 이용하여 배선
4. 배전 설계 - 금속덕트(케이블 덕트) : 금속제 덕트를 이용하여 배선 . 내부 전선은 30가닥이내, 단면적은 20% 이내 유지 . 금속턱트는 3m이하 간격으로 견고하게 지지 . 내부는 아연도금, 에나멜 등으로 피복,전원선 손상배제 - 케이블 트레이 : 케이블을 배선하는 방식에 사용 증설,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대량의 전원선 수용 가능하며 설치는 난연성 케이블에 한정, 원칙적으로 전선은 부설 불가능 - 버스덕트 : 대용량의 간선에 적용되는 방식 . 절연 버스덕트(도체간 콤파운드 절연)는 EPS실 면적 적게 차지 . 200A ~ 5,000A의 대용량 간선에 적합 . 피더버스덕트, 플러그인 버스덕트, 트롤리 버스덕트

33 4. 배전 설계  배전선의 선정 : 선정시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 - 허용전류 : 정격운용시 허용온도이내 유지 가능
4. 배전 설계  배전선의 선정 : 선정시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 - 허용전류 : 정격운용시 허용온도이내 유지 가능 - 전압강하 : 공급점과 수전점간의 전압차이 . 표준전압강하 : 인입선 1%, 간선 1%, 분기회로 2% . 변압기에 전력공급시 간선의 전압강하는 3%이내 유지 . 60m 넘게 배선한 경우에는 별도 산정함 - 전선의 기계적 강도 : 전선의 물리적 강도 . 수직하중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굵기 선정 - 배선방식의 부하전류에 대한 배전선의 선정 . 비닐절연전선 : 100A ~ 250A의 부하전류에 적합 . 케이블 : 200A ~ 1,500A의 부하전류에 적합 . 버스덕트 : 1,000A 이상의 부하전류에 적합 - 간선의 결정시 조건 . 전선 허용전류 용량은 최대부하전류용량보다 커야 함 . 전선 허용전류는 과전류 보호기기의 차단전류값 보다 커야 함 . 연속정격일경우 전부하전류가 전선허용전류의 80%이하

34 4. 배전 설계  배전선의 굵기 산정 - 전선굵기는 전류계산, 허용전압계산에 의하여 결정됨
4. 배전 설계  배전선의 굵기 산정 - 전선굵기는 전류계산, 허용전압계산에 의하여 결정됨 - 배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의 계산식으로 산정함 (가) 단상 2선식(220V) : I = 부하용량(P)/220 (나) 3상 3선식(220V) : I = 부하용량(P)/(220×√3) (다) 3상 4선식(380/220V) I = 부하용량(P)/(380×√3) - 전압강하 계산식

35 4. 배전 설계  배전선의 보호방식 - 간선의 개폐기.과전류 차단기 용량 산정
4. 배전 설계  배전선의 보호방식 - 간선의 개폐기.과전류 차단기 용량 산정 . 저압간선에 전로보호 위해 전원측에 과전류차단기 시설 . 저압간선에 가는 간선 접속한 경우 과전류차단기 시설 ① 주간선에서 3m이내 분기차단기 설치 ② 주간선 정격전류, 허용전류의 0.35배 8m이내접속 ③ 주간선 정격전류, 허용전류의 0.55배 이상 차단기 생략가능  전동기 개폐기는 기동전류감안 선정, 전선굵기는 다음 적용 - 전동기 정격전류가 50A 이하 : 1.25배이상 허용전류 굵기 - 전동기 정격전류가 50A 초과 : 1.1배이상 허용전류 굵기  역류개선용 콘덴서는 분기개폐기(MCCB)와 동시 개폐토록 설계  소화전, 스프링클러 배선은 내화전선으로 설계  공조 원격제어용 전선은 CVV(제어용 케이블) 설계

36 4. 배전 설계 피뢰침 설비 설계  피뢰침 설치할 대상
4. 배전 설계 피뢰침 설비 설계  피뢰침 설치할 대상 - 20m이상의 건물, 철탑, 기타설비, 20m이하 뇌해가 많은 지역의 건물, 철탑, 기타설비 지상 3m이상의 위험물(유류, 가스) 제조소 또는 저장소  보호각은 일반 60도, 특별 45도로 유지토록 설계  피뢰방식 : 돌침방식, 용마루위 도체방식, 케이지방식, 조합방식  돌침은 직경 12mm 이상의 동봉을 사용  돌침 지지주는 아연도 강관 또는 스테인레스봉으로 제작  피뢰도선은 38㎟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  통신용 건물 피뢰도선 인하선은 100㎟ 이상을 사용  인하도선 간격은 50m 이내마다 설치  접지이격거리 : 통신용 및 보안용 5m, 기타 접지극과 2m 이격  접지저항은 10Ω이하, 다수인 경우 단독 20Ω , 합성 10Ω  접지측정용 접지봉을 별도 배설하고 접지단자반에 단자 설치

37 5. 배관 설계 5.1 배관계획 및 설계 기본용어  전선관 : 전기용품안전관리법의 금속제, 황동, 동으로 제작
5. 배관 설계 5.1 배관계획 및 설계 기본용어  전선관 : 전기용품안전관리법의 금속제, 황동, 동으로 제작  1종금속제 가요전선관 : 대철판을 나선모양으로 감아 제작  2종금속제 가요전선관 : 테이프모양의 금속편과 화이버(Fiber)  금속몰드 : 금속, 황동, 동으로 폭 5cm이하의 것 - 1종 금속몰드 : 폭이 4cm미만의 것, - 2종 금속몰드 : 폭이 4cm이상 5cm이하의 것  합성수지몰드 : 합성수지제로 제작한 몰드  Foor 덕트 : 절연전선을 넣어 마루밑에 매입하는 배선용 홈통, 인출배선을 목적으로 함  셀룰라덕트 : 바닥구조재 일부로서 사용되는 Deck Plate 등의 홈을 폐쇄하여 배선  금속덕트 : 절연전선, 케이블 등을 넣는 폭 50mm 초과 금속제 홈통  버스덕트 : 나모선, 절연전선을 금속제 함내에 넣은 것  라이팅덕트 : 절연물로 지지한 도체를 금속, 합성수지 덕트안에 넣고 수구를 덕트전장에 이르도록 연결하여 시설된 것

38 5. 배관 설계 5.2 금속관 공사 설계 금속관 설계 일반사항  배선 : 금속관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
5. 배관 설계 5.2 금속관 공사 설계 금속관 설계 일반사항  배선 : 금속관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 - 전선지름 3.2mm(알미늄 4.0mm) 초과시 연선 사용 단, 길이가 1m이하의 금속관에서는 그러지 않음  금속관내 전선에 접속점을 만들어서는 안됨  교류회로에서는 1회로 전선의 전부를 동일관내 삽입  동일 굵기 절연전선 동일관내 넣는 경우 금속관 굵기<교류-부교재>  금속관의 굵기선정 조건. - 금속관의 굴곡이 작은 경우 (단면적의 총합계가 관내 단면적의 48% 이하로 설계) - 굵기가 다른 절연전선을 관내에 넣는 경우 32%이하 단면적 (단면적 계산은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산정)

39 5. 배관 설계 금속관 배관  금속관 연결 - 박스 등은 양측에 Lock-nut 1개씩을 사용 양측을 조임
5. 배관 설계 금속관 배관  금속관 연결 - 박스 등은 양측에 Lock-nut 1개씩을 사용 양측을 조임 - Lock-nut가 관의 직경보다 클 때 Ring Reducer 사용 - Hanger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고, 간격은 2m이하  관의 굴곡 - 금속관 굴곡시 굴곡 안측 반지름은 관 안지름의 6배 이상 유지 - 굴곡개소가 많은곳이나 직선길이 30M 초과 개소 풀박스를 설치 - 조명기구, 콘센트, 점멸기 등 부착위치에는 박스 등을 사용함 (노출된 인하배선의 말단 등은 목대를 사용)  금속관 배선 - 전선의 보호를 위해 관단에는 부싱을 사용하여 단말처리하고 금속관 ~ 애자사용 배선간은 절연부싱,터미널캡,앤드를 사용하며 수평배관 단말에슨 터미널캡, 엔트런스캡 사용

40 5. 배관 설계 전선의 인입  전선관은 피복절연물에 유해한 물질이어서는 안됨  수직부분은 적당한 간격마다 지지하여야 함
5. 배관 설계 전선의 인입  전선관은 피복절연물에 유해한 물질이어서는 안됨  수직부분은 적당한 간격마다 지지하여야 함 접 지 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금속관 및 부속품은 제3종 접지공사 - 대지전압 150V 이하 금속관의 전장이 8m이하 접지 불필요 (건조한 장소, 사람의 접촉우려 적은 장소) - 대지전압 150V 초과 전장 4m이하 건조한 장소에 접지 불필요 - 사용전압 400V 이상인 경우 금속관 및 부속품은 특별 3종 접지공사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적은 곳은 제3종 접지공사 가능  접지선은 접지크램프 등 적절한 방법으로 접속하며 접속은 은폐장소에 하여서는 안됨

41 5. 배관 설계 5.3 합성수지관 공사 설계 합성수지관 설계 일반사항
5. 배관 설계 5.3 합성수지관 공사 설계 합성수지관 설계 일반사항  전선관 선정 : 중량물의 압력, 기계적 충격을 받는 장소에는 시설제한  합성수지관 접속자재 등은 가능한 합성수지제로 선정 - 방폭형의 부속품 중 Flexible Fitting 및 대형 풀박스, 콘크리트내 시설 박스 제외  동일굵기 절연전선 동일관내 넣는 경우<교류-부교재>  합성수지관 굵기선정 조건- 금속관과 동일 합성수지관 배관  전선관 배관 - 콘크리트내 집중배관하여 건물강도 감소없도록 설계 - 가능한 철근에 따라 배관하며 벽내는 종배관을 함  굴곡 안측 반지름은 관 안지름의 6배 이상 유지  직선길이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풀박스 설치)  새들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1.5m이하로 설계  관상호, 박스 등과 접속시 타입깊이는 관외경의 1.2배이상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0.8배이상 설계)

42 5. 배관 설계 5.4 가요전선관 공사 가요전선관 설계 일반사항  가요전선관 선정
5. 배관 설계 5.4 가요전선관 공사 가요전선관 설계 일반사항  가요전선관 선정 - 금속제 가요전선관은 외상의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 - 1종은 노출, 점검가능한 은폐장소 건조한 곳에 한함 . 400V이상인 경우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에 사용가능 - 금속가요전선관 배선은 절연전선을 사용 . 전선의 지름 3.2mm(알미늄)초과 경우 撚線사용 - 가요전선관 내부에서는 접속점을 만들지 않아야 함 - 관의 굴곡이 심하지 않아 쉽게 입선할 수 있는 8㎟ 이하의 경우는 전선의 피복물을 포함 단면적의 총합이 관단면의 48% 이하로 설계 - 서로 다른 굵기의 절연전선을 동일 관내 입선할 경우 2종가요전선관의 굵기는 관단면적의 32%이하로 설계 - 10본 이하를 관내 넣을 경우 2종가요전선관 선정<교류-부교재>

43 5. 배관 설계 가요전선관 공사  전선관 배관 - 2종 금속제가요전선관을 구부리는 경우 곡률반경은 2종금속 가요전선관
5. 배관 설계 가요전선관 공사  전선관 배관 - 2종 금속제가요전선관을 구부리는 경우 곡률반경은 2종금속 가요전선관 안지름의 3배이상, 부자유스러운 경우 6배 이상 - 1종금속제 가요전선관 곡률반경은 관 안지름의 6배 이상 - 가요금속관을 새들 등으로 지지  접 지 - 400V미만의 경우 제3종접지공사로 시공 - 사용전압이 400V이상인 경우 특별제3종접지공사

44 5. 배관 설계 5.4 몰드 공사 금속제 몰드  금속몰드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5. 배관 설계 5.4 몰드 공사 금속제 몰드  금속몰드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 금속몰드에 사용전압은 400V이하이어야 함  제1종 금속몰드 : 내부 총 전선수는 10본 이하 수용 제2종 금속몰드 : 절연피복 포함 단면적이 전면적의 20% 이하  금속몰드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1.5m이하가 바람직 합성수지몰드  합성수지몰드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함  몰드상호, 부속품 등에 전선이 노출되지 않아야 함  합성수지몰드배선의 사용전압은 400V미만이어야 함  합성수지몰드의 선정 - 홈의 깊이 3.5cm이하, 두께 2mm이상의 것 - 사람이 접속우려 없는 경우 홈 5cm이하, 두께 1mm이상

45 5. 배관 설계 5.5 덕트 공사 플로어 덕트 공사  Floor Duct의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절연전선
5. 배관 설계 5.5 덕트 공사 플로어 덕트 공사  Floor Duct의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절연전선  전선이 3.2mm(알미늄선 4.0mm) 초과시 연선사용  플로어 덕트에 사용되는 전압은 400V미만이어야 함  덕트 및 부속품은 두께 2mm이상 강판  플로어 덕트의 부속품의 판 두께는 1.6mm이상일 것  절연전선을 동일 덕트내 인입. 금속관 배선방법 준용  피복포함 단면적이 닥트 총단면적의 32%이하로 선정  관상호, 부속품 등과 접속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 플로어덕트는 제3종 접지공사로 접지  강전류와 약전류전선을 같이 넣을 경우 특별제3종접지

46 5. 배관 설계 셀룰라 덕트  전선이 3.2mm(알미늄선 4.0mm) 초과시 연선사용
5. 배관 설계 셀룰라 덕트  전선이 3.2mm(알미늄선 4.0mm) 초과시 연선사용  셀룰라 덕트에 사용되는 전압은 400V미만이어야 함  셀룰라 덕트의 설치가능한 장소 - 옥내 건조한 장소로서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 - 옥내 건조한 콘크리트, 신더(Cinder)톤크리트 바닥에 매설하는 점검이 불가능 장소  셀룰라 덕트, 부속품 강판두께는 플로어 덕트에 준함  셀룰라 덕트의 하중에 대한 강도계산은 다음식에 의함 - 하중[kg/cm] = 0.6×셀룰라 덕트의 단면적[cm2]  피복포함 단면적이 닥트 총단면적의 20%이하로 선정 - 단, 출퇴표시등,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을 경우 50%이하 가능  셀룰라 덕트는 제3종 접지공사로 접지(플로어 덕트 준용)

47 5. 배관 설계 금속 덕트  금속덕트의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절연전선
5. 배관 설계 금속 덕트  금속덕트의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절연전선  소방법의 방화구역을 관통하는 경우 내부에는 불연성 물질로 차폐  금속덕트는 마루, 벽을 관통하여 시설 가능한 경우 - 옥내 건조한 장소로서 노출된 장소 - 옥내 건조한 장소로서 점검이 가능한 은폐장소  피복포함 단면적이 닥트 총단면적의 20%이하로 선정 - 단, 출퇴표시등,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을 경우 50%이하 가능 - 동일 금속덕트내에는 30본 이하가 바람직  금속덕트는 3m이하(특별한 경우 6m)의 간격으로 지지  금속덕트는 제3종, 특별제3종 접지공사로 접지 기타  부스 덕트  라이팅 덕트 – 라이팅 덕트, 플러그 어댑터 2종류

48 6. 조명,전열설계 6.1 조명.전열설비 설계 설계 흐름도 조명설계시 고려사항  관련법규 확인 - 소방법의 확인
6. 조명,전열설계 6.1 조명.전열설비 설계 설계 흐름도 조명설계시 고려사항  관련법규 확인 - 소방법의 확인 .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비상콘센트 등의 설치 . 연기감지기 연동제어반이 있는 경우의 전원 - 건축법의 확인 . 비상용조명설비의 설치 . 지하층의 피난조명설비의 설치 . 내장의 제한 문제 (조명기구의 커버 재질 및 크기) - 기타 법규의 확인 항공장애등의 설치 (항공법), 조도.기구의 규정 (한국공업규격 조도기준)  조명기구 검토 - 실의 용도에 따라 조명방식, 조명기구 선정 - 유지보수 편리성 및 작업면 눈부심 검토

49 6. 조명.전열설계 조명일반  용어해설 - 조도(Illumination) : 어떤 물체에 광속이 투사될때 그 면의 밝기의
6. 조명.전열설계 조명일반  용어해설 - 조도(Illumination) : 어떤 물체에 광속이 투사될때 그 면의 밝기의 - 감광보상률(Depreciation factor) : 조명설비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면의 조도는 점차 감소해지므로 조도의 감소를 예상하여 소요전광속에 여유를 취하는 정도 - 휘도(Luminance) : 광원을 보면 그 면이 빛나 보이며, 비추어져 있는 면을 보거나 반투명의 것을 반대측에서 보아도 밝게 보인다. 이와같은 밝기를 말함 - 연색성(Color Rendition) : 빛의 분광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말하며 연색 평가법에는 CIE법과 KS(KSA 0075)의 광원연색성 평가법 사용 - 건축화 조명 : 건축구조 또는 표면마감을 조명기구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으로 다운 라이트, 광창조명, 광천장조명, 광량조명, 코브라이트 및 벽면조명 등이 있음  조명의 종류 - 조명기구의 배치에 의한 분류 : 전반조명, 국부조명, 전반국부병용조명 - 조명기구의 배광에 의한 분류 : 직접조명, 간접조명, 반간접조명 전반확산조명, 반직접조명

50 6. 조명.전열설계 조명설계  광원의 선택 (전반조명)
6. 조명.전열설계 조명설계  광원의 선택 (전반조명) - 연색성과 눈부심을 고려한 광색, 광질과 밝음 그리고 유지보수를 감안한 수명, 경제면에서의 효율등 조명하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광원을 선택  조명기구의 배치 - 조명기구를 균등배치시 기구간 간격은 작업면에서 광원까지의 거리 2배 이하가 좋다 - 작업면 위에 가설되는 등의 높이와 균등한 조도분포를 얻기위한 등간격. S ≤ 1.5 H S ≤ H / 2 (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S ≤ H / 3 (벽을 사용할 경우) (S: 조명등 최대간격(m), H: 작업면에서 조명등까지 높이(m))

51 6. 조명.전열설계  조도의 결정 - 건물설계지침 조도기준  방지수 결정

52 6. 조명.전열설계  조명률의 결정 - 조명률은 조명기구의 광학특성(기구효율 및 배광), 방의형태 및 천장 높이, 조명기구의
6. 조명.전열설계  조명률의 결정 - 조명률은 조명기구의 광학특성(기구효율 및 배광), 방의형태 및 천장 높이, 조명기구의 부착위치와 천장,벽, 바닥의 반사율에 의해 결정 - 천장의 반사율은 80%이상, 벽면은 50~60%이상, 바닥은 15~ 30% 이상이 좋음 u = ( Fs ) / F ( u: 조명률, F: 램프의 광속 (lm) Fs: 작업 수평면에 도달하는 광속 (lm)  감광보상률의 결정 - 백열전구의 경우 깨끗한 곳은 30%, 먼지가 많은 곳 100%의 여유를 주어 감광보상률은 1.3과 2.0 이다.. - 형광등의 감광보상률은 1.3 부터 2.4까지 보고 있으며 자세한 감광보상률표 참고  광원의 크기 및 광원수 결정 F : 광속 (lm) D : 감광보상률 A : 방의 면적 (m) M : 유지율(감광보상률의 역수) E : 평균조도 (lx) N : 광원의 수 U : 조명률

53 6. 조명.전열설계 조명 및 전열시설  옥내 조명시설
6. 조명.전열설계 조명 및 전열시설  옥내 조명시설 - 사옥의 중요실(전자실, 반송실, 전력실, 시험실등)은 정전 에 대비하여 100㎡ 에 1개 정도의 비상조명등을 설치 - 조명기구의 점멸회로는 등기구 수 6개 이내의 전등군으로 구분. - 습기가 많은 장소에는 방습형을, 폭발가능성이 있는 장소(축전지실등)에 설치시 공기중 수소농도가 3.8% 이상일 경우 방폭형 사용하며 접지해야 함 - 전력실, 축전지실, 발전기실등은 유지보수를 위해 벽부조명과 전반조명 겸용시설 - 시험실용 조명기구는 Wire Duct에 의한 별도의 조명기구를 설치. - 통합사무실 및 대형공간의 실내에는 2개소 이상에서 점멸 및 자동회로를 부착할 경우 조명제어 가능하도록 함 - 저압배선은 강제전선관(가요전선관 포함)으로 하며, 전선은 HIV 전선을 사용 - 지하주차장 조명기구는 나트륨등 또는 메탈하이라이트등 설치 - EPS실은 별도의 조명기구를 설치하며 전원연결은 유지보수 및 점멸원활 위해 각 층 모두 분기 1회로로 공급

54 6. 조명.전열설계  옥외 조명시설 - 옥외 조명의 대지전압은 150V 이내, 인촉 접촉 우려 없는 곳 300V 이하
6. 조명.전열설계  옥외 조명시설 - 옥외 조명의 대지전압은 150V 이내, 인촉 접촉 우려 없는 곳 300V 이하 - 옥외 보안등은 Sun 스위치 및 24시간 용 타이머를 설치 - 저압 옥외 조명용 전선관은 PE 또는 ELP전선관 사용, 600V CV 5.5㎟ 이상 사용  전열시설 - 전열용 콘센트는 1회로에 콘센트는 6개 이하, 1 kW 이상의 콘센트용은 단독회로. - 전열용 콘센트는 용도 구분을 위해 일반전열용은 2구용, 환풍기, 방열기, Fan Coil 등의 기구용은 1구용을 사용하며 접지극부가 반드시 있어야 함 - 전열용 콘센트의 설치위치는 바닥에서 30㎝ 높이에 환풍기용은 환풍기 설치 밑면 10㎝ 우측에 설치 - 환풍기용 콘센트는 점멸이 용이한 장소에 점멸기 및 24시간 타이머를 설치 - 사옥의 중요실 (전력실, 전자실, 반송실, 시험실 등) 의 출입구에는 번호키가 부착된 Video Phone을 설치 -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상시 물기가 있는 장소(식당, 최하층 바닥, 주차장 등)에는 상부배관을 하고 방습형 콘센트 사용

55 7. 접지설계 7.1 접지 설계 접지 설계시 고려사항  대지고유저항 측정 및 분석(토양조건)
7. 접지설계 7.1 접지 설계 접지 설계시 고려사항  대지고유저항 측정 및 분석(토양조건)  지역여건을 감안 접지극 종류(동봉, 동판, 동선) 결정  목적별 필요기준치 및 대지고유저항에 의한 소요접지극 산출  실질적인 소요노력 및 자재적용, 과도전류에 견디도록 선정  접지극 및 접지선은 내식성이 강한 자재 사용  접지극간 각도 및 이격거리 준수, 상호유도 방지 및 효율증대  접지공사 완공 후 정기점검시 접지저항 측정 용이토록 설계 접지설계 순서  기준 접지저항의 결정 - 접지 목적 및 전압 결정 - 현상파악 : 지락전류, 전위상승, 접촉전압 - 적용 법규 : 전기기술기준, 규격 적합여부 확인 - 보호 특성 : 지락차단시간,보폭전압,인체 전기적특성 계산 - 저항치 결정 : 기준 접지저항치 결정

56 7. 접지설계 접지저항  접지저항 설계 흐름도  접지조건 실사 - 접지저항의 계절적 변동 특성
7. 접지설계 접지저항  접지저항 설계 흐름도  접지조건 실사 - 접지저항의 계절적 변동 특성 - 접지전극 매설장소의 기상 조건 - 접지전극의 종류 및 매설 상황 접지 관련 규정  보안용접지공사의 종류 및 접지선 굵기 - 전기사업법 참조  통신접지-<교류-부교재>  통신용 접지선 표준굵기-<교류-부교재>

57 7. 접지설계  KT 접지접속도

58 7. 접지설계  접지파라미터 추정 - ρ-a 곡선법 . Winner의 4전극법에 의하여 대지저항율 측정
7. 접지설계  접지파라미터 추정 - ρ-a 곡선법 . Winner의 4전극법에 의하여 대지저항율 측정 . 대지저항률의 실측값과 전극간격의 관계를 그래프로 작성 . 다층의 표준곡선 및 보조곡선을 이용하여 조합 . 최종적으로 대지 파라메타를 추정 - 접지저항 역산법 . 대지도전률을 접지저항을 측정하여 역산으로 계산 . 직접적인 방법 : ρ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쉬운 방법 접지저항이 계산되면 역산으로 대지도전률 측정 . 간접적인 방법 : 지층 구조별 대지도전율 측정 측정된 도전률을 비교분석하여 파라메타 결정 - 전기검증법 지질조사에서 행하는 항목을 접지설계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Normal log, Latel log 등의 방법이 있음

59 7. 접지설계  접지기준치 계산 - 접지극의 형상과 매설방법에 따라 다양한 공식 . 접지봉을 1본 설치시 계산공식
7. 접지설계  접지기준치 계산 - 접지극의 형상과 매설방법에 따라 다양한 공식 . 접지봉을 1본 설치시 계산공식 R : 접지저항(Ω) ρ : 대지고유저항(Ω.m) L : 접지봉 길이(m) a : 접지봉 반경(m) . 접지동봉을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시 계산공식 Rn(P) : 접지저항(Ω) n : 접지봉 본수 ρ : 대지고유저항(Ω.m) L : 접지봉의 길이(m) a : 접지봉의 반경(m) - 접지계산식은 복잡하므로 실제는 약산식을 많이 적용<교류-부교재>

60 8. 발전기 설계 8.1 발전기 설계 설계시 고려사항  고압발전기는 제1종 접지, 저압발전기는 제3종 접지
8. 발전기 설계 8.1 발전기 설계 설계시 고려사항  고압발전기는 제1종 접지, 저압발전기는 제3종 접지  이동발전기를 위하여 발전기 비상 절체반을 별도 설치, 케이블 접속함은 옥내에 설치.  500kW 이하 발전기는 저압으로 하고, 750kW 이상의 발전기는 고압으로 설치  사옥의 총 종국용량에 따라 1대 설치를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2대 설치 용어정리  터빈발전기 : 가스터빈을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 - 구성 : 가스터빈,교류발전기,제어반,배가소음기,시동장치 - 시동방식 : 전기식, 공기식 시동방식 전기식 : 밧데리를 이용하여 전기시동 공기식 : 압축된 공기로 모터를 회전 터빈기동(5회용량) - 사용연료 : 저유황 경유, 도시가스(LNG), 도시가스/경유  이중연료방식 : 저유황 경유와 도시가스를 동시사용 방식

61 8. 발전기 설계 발전기 용량 산출 계수 설계 흐름도

62 8. 발전기 설계 터빈 발전기 구성도

63 8. 발전기 설계 유류탱크 용량 산출 발전기용 유류탱크는 전부하 운전으로 약 36시간 분의 용량을 기준하며 지역여건
8. 발전기 설계 유류탱크 용량 산출 발전기용 유류탱크는 전부하 운전으로 약 36시간 분의 용량을 기준하며 지역여건 (고지,도서) 및 보안상 필요에 의해 증감 발전기용 배선방식의 결정 발전기용 배선은 저압용은 내열 및 내화전선을 고압용은 CV 전선을 사용. 터빈 발전기의 연동성 터빈 발전기는 전원집중관리시스템(ELITE)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함 설계 부대사항  전원배선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전력실과 근접시킴  발전기 설치.운용에 따른 소음허용치는 환경관리기준 적용  연료산정을 위한 발전기의 시운전은 사옥 전부하를 대상으로 8시간 시운전  시동용 축전지 및 충전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시동용 축전지는 2조이상 설치  이동용발전차용 전원 접속 단자함 및 연료공급을 위한 연료 배관은 발전기 운전가능 장소에서 고압일 경우 50m, 저압일 경우 25m 이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Download ppt "차 례 1. 교류 전력설계 일 반 2. 전 력 실 설 계 3. 수전설비 설 계 4. 배 전 설 계 5. 배 관 계 획"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