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병리학 임미란 http://blog.naver.com/sklee7411.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병리학 임미란 http://blog.naver.com/sklee7411."— Presentation transcript:

1 병리학 임미란

2 목 차 1. 감염 2. 감염의 분류 3. 병원체의 분류 4. 미생물의 전파경로 5. 감염증의 일반적 경로
6. 숙주와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 7. 미생물감염

3 7. 감염질환 감염 병원체인 병원미생물이 숙주의 생체 내에 침입 또는 점막의 표면에 붙어 증식한 상태.
병원체가 내부조직을 침범한 상태. 발증 (crisis) 감염이 발생하면 대개 면역반응이나 염증과 같은 숙주 측의 반응이 일어난다. 감염 결과, 자각적, 타각적으로 병적 상태. 2) 증상감염(apparent infection :현성감염) 발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데, 질병의 과정에서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변화로 서 증상이나 징후가 눈에 띄게 변하는 것. 3) 무증상감염(inapparent infection:불현성 감염) 몸에 균이 침입하여 잠복기가 지나도 발병하지 아니하는 상태. 잠복감염상태.

4 7. 감염질환 2. 감염의 분류 1)국소감염(local infection)
미생물이 체내에 침입, 정착한 부위에 머물러 있으면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 2) 전신감염(systemic infection) 어떠한 부위에 침입하여 정착한 부위에 머물러 있지 않고 전신에 퍼져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 3) 병소감염(lesion infection) 어떤 부위에서 발생한 감염이 원인이 되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원격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대표적으로 용혈성 사슬알균에 의한 인두염 이후에 수반되는 면역복합체에 의한 토리콩팥염(glomerulonephritis).

5 7. 감염질환 3. 병원체의 종류 병원체(pathogen)는 감염에 의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 세균(bacteria), 진균(fungus), 클라미디아(Chlamydia), 리케차(Rickettsia), 바이러스(virus) 등이 있으며, 미생물 외에는 원충류(protozoa)와 장내기생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세균과 바이러스가 인체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병원성 미생물이다. 4. 미생물의 전파 경로 미생물이 한 숙주에서 다른 숙주에게 도달하는 과정을 전파(vection)라 하며 감염증(전염병)은 감염원, 감염경로, 숙주의 감수성 등 3가지가 갖추어 졌을 때에 성립한다.

6 7. 감염질환 4. 미생물의 전파 경로 감염원 (infection agent)
건강하거나 병에 감염되었는 가를 불문하고 병원체를 배설하고 있는 사람 또는 동물. 보균자 (carrier) 어떠한 병원체를 생체내(invivo)에 보유하면서 병적 증세에 대해 아무런 증세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병원체를 배출하는 사람. (2) 병후보균자 증세는 모두 없어졌지만, 체내의 일부에 병원체가 남아 있어서 보균자가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뜻하며 장티푸스의 보균자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

7 7. 감염질환 4. 미생물의 전파 경로 (3) 인수전염병(zoosis)
사람뿐만 아니라 우리들 주변에 있는 곤충이나 동물들도 감염원이 되며, 살모넬 라(salmonella)식중독은 종종 소, 돼지, 닭, 우형 결핵은 소, 야생토끼병(tular emia)은 토끼, 탄저병(anthrax)은 소, 말, 면양 등으로 감염이 일어난다. (4) 내인성 감염 내인성 감염은 때로 감염원은 자기 자신일 수도 있을 때를 말하며, 감염원이라고 통상 말하지는 않으나 우리들의 환경 속에도 종종 병원체는 존재한다. 예: 파상풍균(C, tetani)이나 보튤리늄균(C, botulinum), 진균의 포자(spore) 슈도모나스(Pseudomonas), 레기오넬라(Lefionella) 등

8 7. 감염질환 4. 미생물의 전파 경로 2) 병원체의 배출부위
호흡계통 전염병(페렴, 폐결핵, 감기, 백일해) 등 호흡기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 항문에서는 대변(fecal)과 함께 많은 종류의 병원체가 배출되는데, 소화계통 전 염병(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콜레라, A형 간염 등)이 주된 질병. 비뇨계통 전염병의 병원체는 주로 생식기 분비물이나 소변으로 배설되고 피부 (피부의 고름염증), 결막염 등도 병원체의 배설부위이다. 3) 감염경로 직접전염 전염원과 악수나 키스, 성교 등 직접 접촉하면서 감염되며, 특히 호흡계통 전염 병은 환자에게서 배출되는 침, 가래, 대화 중에 흩어지는 침을 흡입하면서 발생.

9 7. 감염질환

10 7. 감염질환 4. 미생물의 전파 경로 3) 감염경로 (2) 간접간염
병원체가 배설된 후 물건이나 생물 등 매개체를 통해서 전염되는 경우. ① 음식물 식품의 대부분은 미생물의 영양원. 생식품은 대부분이 병원성이 없는 균까지 포함 어떤 미생물로 오염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기생충란, 살모넬라 등으로 오염된 식육, 우형 결핵균이나 사슬알균 등으로 오염 된 우유, 장염 비브리오균으로 오염된 어패류 등이 있다. ② 물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은 많든 적든 간에 미생물이 있다.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수돗물, 샘물, 풀장 등의 물이 병원체로 오염되었을 경우 오염의 원인균은 이질, 장티푸스, 콜레라, 파라티푸스, A형 간염 바이러스, 바이 러스에 의한 유행성 간염, 폴리오 등이 수인성 전염을 일으킨다.

11 7. 감염질환 4. 미생물의 전파 경로 3) 감염경로 (2) 간접간염 ③ 기물, 의류 ④ 공기와 먼지 ⑤ 매개동물
4) 미생물 감염에 의한 조직 손상의 징후와 증상 1. 잠복기간 : 없음 2. 전구단계 : 국소적 발적과 종양, 두통, 일반적인 통증 3. 침습단계 : 열, 림프셈 종양, 피부발진, 코의 충혈, 기침, 인후염, 특정 부위에 서의 통증, 오심, 구토, 설사 4. 최상기 : 모든 징후와 증상의 발전 단계 5. 소멸기 : 징후와 증상의 진정

12 7. 감염질환 5. 감염증의 일반적 경과 1) 잠복기 병원체가 숙주 체내에 침입해서 발증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기간.
병원체가 숙주 체내에 침입해서 발증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기간. 2) 전구증상 각 감염증마다 어느 정도 일정하고 그 질환의 특징이 없으며 일정치 않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3) 발증 후 감염증의 경과 미생물측 인자(병원성, 독력 등)와 숙주측 인자(저항력) 그리고 치료에 따라 다르 며, 일반적으로 회복기를 거쳐 치유되거나 혹은 숙주가 감염증을 이겨내지 못하 고 사망한다. 4) 1.2차 감염 처음 감염을 1차감염, 다음의 감염을 2차감염이라 한다.

13 7. 감염질환 5. 감염증의 일반적 경과 5) 혼합감염 및 중복감염(군교대증)
혼합감염(mixedinfection): 단일숙주에 2종 이상의 병원체가 동시에 감염. 중복감염(균교대증, superinfection): 감염증에 대해 항균체를 사용하였을 때 감염 원인균과 항균계에 감수성이 있는 상재균은 사멸하고 항균제에 저항성이 있는 균만 이상 증식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경우. 6) 기회감염 건강한 사람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못하는 약독균 또는 비병원균이 저항력이 떨어진 환자에게 감염되는 경우. 7) 병원내 감염 병원 내에서 발생한 미생물에 의해서 감염, 발증된 경우. 감염을 받는 대상으로는 입원환자는 물론 그 보호자, 외래환자, 방문객, 의사, 간 호사, 의료종사자들이 포함.

14 7. 감염질환 6.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미생물 측의 병원성 인자 부착인자
세균의 외막 구조 중 협막과 점액층은 세균이 숙주의 특정 세포나 조직에 붙도록 하며, 대부분의 병원성 세균은 감염을 일으키기 위해서 점막에 정착해야만 한다. 병원성 미생물(pathogenic microorganism)이 정착해서 특정 세포와 조직에 침 투할 수 있는 능력은 병원성 미생물과 특정 조직과의 친화력에 관계가 있다. (2) 세포외효소 많은 미생물들은 외효소를 분비하여 숙주세포나 조직을 파괴 손상을 입히며 숙주의 방어기전을 무력화시켜 숙주의 특정 장기에 도달.

15 7. 감염질환 6.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미생물 측의 병원성 인자 (3) 세균독소 ① 외독소(exotoxin)
세균이 증식할 때 균체 밖으로 방출되는 균체의 독소. 외독소는 그람 양성이나 음성을 막론하고 다양한 균을 생성 성분은 고분자단백질. 열민감(이열성, heat-labile)이며, 면역원성이 높아 항체형성을 할 수 있는 특성 ② 내독소(endotoxin) 균체 내의 독소로, 외독소보다 독성이 약하며 그람음성균의 세포벽 성분 중 외막 을 형성하는 지질 다당질이며 항원성이 비교적 약하다. 2) 숙주 측의 감염방어 인자 병원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은 여러 숙주세포들 간에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복잡한 방어망이 있다.

16 7. 감염질환

17 7. 감염질환 6.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2) 숙주 측의 감염방어 인자 특이적 감염방어기구
체액면역은 B림프구가 생성되는 면역글로불린에 의한 특이적 반응. 세포면역은 T림프구에 의한 비특이적 반응(specific reaction). (2) 비특이적 감염방어기구 ① 숙주의 감수성 선천적 소인, 성, 연령, 호르몬, 비타민, 신진대사의 이상, 피로 등에 따라 잠복 기 및 발증에 다소 차이가 생긴다. ② 생리적 방어장벽 피부, 점막면은 균의 침입을 막고 호흡기에서는 코 안 내에서 이물 여과, 기도에서 해소반사, 기관지 상피의 섬모운동에 의한 이물질의 배출 등이 있다.

18 7. 감염질환 6.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2) 숙주 측의 감염방어 인자 (2) 비특이적 감염방어기구 ② 생리적 방어장벽
소화관 - 위산에 의한 균의 억제, 요로 - 물리적인 배뇨작용에 의한 세정작용 피부 - 피부기름샘, 땀샘에서의 분비물에 의해 이물을 제거 점막면 - 분비하는 용균효소 등의 항균작용물질 및 IgA항체의 분비가 대표적. ③ 인체의 정상균무리 피부, 소화관, 호흡기, 입안, 외음부와 같이 외계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하는 장소는 일정한 균종의 세균이 정착하고 있다. ④체액성 저항인자 미생물이 피부의 방어기전을 통과하여 체내에 침입하는 경우 숙주의 분비액 및 체액 중에는 선천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비특이적 저항인자들이 작용.

19 7. 감염질환 6.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④체액성 저항인자
용균효소(라이소자임): 항균물질에 작용하는 효소로, 과립성, 단핵구성 혈액세포에서 발견되며, 주로 침,땀, 유즙,눈물에 존재. 락토페린: 눈물, 정액, 모유, 쓸개즙, 코인두, 기관지, 자궁경부, 작은창자점막의 분비물에 존재. 위산: 낮은 PH(보통1.0~2.0)이므로 대부분의 미생물은 위를 통과하면서 사멸. 프로페르딘: 혈정 중의 단백 성분이며 보체(C3)와 더불어 작용하여 그람양성 균,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킨다. 인터페론: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 혈액 중의 항균물질: 혈소판에서 유리되는 lysin, plakin, 백혈구 유래의 leukin, phagocytin)이 알려져 있다. ⑤ 포식작용

20 7. 감염질환

21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 그람양성균에 의한 감염 포도알균 (staphylococcus) 감염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은 70~80% 정도가 황색포도알균 임상적으로 고름형성질환의 고름형성 병변을 일으키고, 고름집(농양, abscess) 및 다른 고름형성감염 그리고 가끔 치명적인 패혈증을 일으킴 가장 흔한 식중독은 포도알균의 내열성 장독소에 의한 것이다. 특징적 소견은 인체의 병원성으로 점막질환, 폐렴, 심내막염, 뇌막염, 골수염 및 패혈증 등을 일으킨다. (2) 사슬알균 (streptococcus) 감염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여러 균종이 있다. 주된 질환으로는 고름딱지증, 사슬알균성 인후염, 성홍열, 신생아 패혈증, 수막 염, 세균성 심내막염 등이 있다. 폐렴알균은 급.만성 기관지염, 폐렴, 등 호흡기 감염증, 이비인후과적 감염증 수막염의 원인균이 된다.

22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2) 그람음성알균에 의한 감염 임균 (neisseria gonorrboeae) 감염
임질의 원인균으로 1970~1980년대에 세계적인 전염병으로 알려져 있다. 임균은 사람에게 감염되는 세균으로 문란한 성생활에의해 비뇨생식기에 감염되 며, 또한 결막, 곧창자 및 인후점막 등에 침입하여 급성 고름증을 일으키고, 각종 조직에 침범하여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 (2) 수막알균(Meningococcus intracellularis) 유일한 숙주는 사람으로, 건강인의 코인두에서 상주하며, 호흡계통을 통해 공기 가 매개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폐렴알균(pneumococcus), 인플루엔자균(Hemophilus influenzae)과 함께 중요한 수막염균의 원인균으로, 사람 사이에서만 자연 감염 하며 유행성 수막염(epidemic meningitis)을 일으킨다. 증상은 두통, 의식혼탁, 구토 등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고 잠복기는 2~3일 정도이 며 고열이 난다.

23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3) 장관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거쳐 베로톡신이라는 독소를 분비, 창자출혈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킴 4) 세균성 이질(bacillary dysentery) 이질균은 유행성 또는 급성으로 발병하는 소화계통의 전염성 질환으로 1898년 일본의 시가에 의해 분리되었으며, 혈액이 섞인 설사를 일으키는 법전전염병. 2~6일의 잠복기를 거쳐 38~39’C의 발열과 복통 및 점혈성 설사를 하루에 10회 이상 일으키는질환 5)매독 (Treponema Pallidum) 매독균에 의해 발명되어 성교, 수혈, 태반을 통해 전달되는 전염성 질환. 어떤 단계의 매독이건 치료받지 않은 임신부의 태아는 모체에서 태반을 통해 감 염 될 수있다. 선천매독은 자궁 내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출생 시 기형이나 신생아 실명이 나타날 수 있다.

24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5)매독 제1기 감염 후 3주일이 지나 감염부위에 통증이 없고 가장자리가 딱딱한 궤양(경성하감)
이 형성 (남자경우 귀두부나 표피, 여성의 경우 음순, 요도, 입술, 혀 유방에 생김) (2) 제2기 감염 후 3개월 정도 지나 온몸에 가렵지 않은 빨간 반점(미진:roseola)이 나타난 다. 주로 피부 병터(skin lesion)를 보인다. (3) 제3기 감염 후 3년쯤 지나면 몸의 여러 곳에 고무종(gumma)이라는 단단하고 탄력있는 종기가 나타나 보기 흉한 상처를 남긴다.

25 7. 감염질환

26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6) 장티푸스 발병기전은 S. Typhi 가 경구로 체내에 들어가 작은창자에 이르러 점막을 통과하 여 돌창자의 림프절에 도달하는데, 장티푸스균이 1000만 이상이 되면 대부분이 질병을 일으킨다. 혈류를 따라 지라, 간, 골수로 파행되어 이들 장기 내 큰포식세포 내에서 증식하 여 질병을 일으킨다. 임상증상은 발열, 오한, 복통 등의 증세를 보인다. 7)결핵 전세계적으로 발병하는 만성전염병, 인형결핵균과 우형결핵균이 있다. 결핵균은 인형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보통 감염 후 3주가 되면 균이 있는 조직에서 균항원과 반응하여 혈류에서 단핵구, 림프구를 끌어모아 활성화시켜 전형적인 육아종을 형성 임상증상은 일차핵증 시에는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지만 이차 결핵증 시에는 작은 병소가 허파꼭지부분에 국한되어 별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27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8) 클라미디아 (Chlamydia)
숙주세포 내에서 세포가 생산하는 어떤 대사산물에 의존해서만 증식 할 수 있는 절대기생 세균. 대사에너지 생성기전이 결핍되어 있어 삼인산아데노신(adenosine triphosphate ATP)을 합성할 수 없다. 남성은 요도염이나 부고환염, 여성은 자궁경관염을 일으켜 불임의 원인이 되는 성병으로 성행위감염증이라고도 한다. 9) 미코플라즈마 (Mycoplasma species) 균종 가운데 사람에게 분리되는 균종은 지금까지 14종. 부위는 입안, 호흡계통, 비뇨생식계통, 기차 조직내 주로 점막 병원성이 인정되고 있는 균종. 보통 1~3주의 잠복기를 거쳐 열, 두통, 가슴통증, 후통, 기침, 가래 증상을 보이 고 가래에 혈액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M Pneumoniae에 의한 질병은 오직 사람에게만 병원성이다 원발성 이형폐렴, 수포성 고막염, 유사 인플루엔자 증상, 발진 등을 일으킨다.

28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0) 리케차 그람음성막대균으로,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크기로 로칼마이아퀸타나(Roch
Balimaeaquintana)를 제외하고 모두 절대 세포 내 기생체. 인공배지에서는 증식하지 않는다.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유행발진티푸스, 록키산 홍반열 리케차, 선열 리케차 등 11) 바이러스 감염 바이러스의 특성 바이러스는 20~450nm의 아주 작고 구조가 간단한 입자로 감염능이 있는 상태 의 바이러스 입자를 바이리온(virion)이라 부른다.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으며, 숙주세포 내에서는 활성이 있으나 세포 밖에서 활성이 없는 고분자. 세균, 원충, 진균, 조루, 식물과 동물 등의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 할 수 있 는 편성세포 내 기생체. 감염증 치료와 예방법으로 사람세포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인터페론이나 핵산억제 물질 등이있다.

29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1) 바이러스 감염 (2) 바이러스의 감염증 전신성 감염 : 마마, 홍역, 황열, 뎅기열
중추신경게통 감염 : 뇌염, 무균성 수막염, 소아마비, 광견병, 홍역 호흡계통 : 인플루엔자, 파라이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RSV 피부친화성 감염 : 두창, 대상포진, 단순포진 설사 유발 : 엔테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가 원인바이라스 소아설사는 로타바이러스, 성인성 위창자염은 파보바이러스 선천성 기형 : 태아에 감염되어 선천성 기형을 유발 선천성 거대세포감염증, 풍진 증후군 안 감염 : 아데노 바이러스는 결막염, 유행성 출혈성결막염을 일으킨다 샘 감염 : 침샘 등에 감염을 유발하며 홍역, 거대세포바이러스 등이다.

30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1) 바이러스 감염 (3)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 ① 비특이적 방어
인터페론, 발열, 식세포의 포식과 호르몬(부신겉질, 스테로이드), 영양상태 연령 등이 비특이적 방어 역할이다. 인터페론은 분자량이 20000~40000인 당단백질로서 면역원성이 약하다. 바이러스 증식을 간섭하는 인자로서 숙주에서 항체가 생성되기 전에 생성 되다가 급히 소멸한다. ② 특이적 방어 감염 후 면역을 획득하거나 백신접종으로 얻는 것, 단기간 면역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면역혈청을 주사하는 방법 체액면역 : B세포에서 생성된 특이적 중화항체가 바이러스 감염증을 중화 IgM은 감염 초기에 나타나고 IgG는 장기간 지속된다. 세포면역 : 세포면역방어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회복과 재감염 방지에 중요한 역할

31 7. 감염질환

32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1) 바이러스 감염 (4) 바이러스의 종류 ① DNA바이러스
외피보유 DNA : 마마의 Fox virus, 단순포진(herpes simplex), 수두(chicken pox), 대상포진의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rs virus), 버킷림프종 등. 외피 비보유 DNA바이러스 : 유행성 결막염을 일으키는 아데노바이러스,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B형 간염바이러스 등. 잠깐!! DNA는 deoxyribonucleic acid의 약자로 유전자(gene)라고 하는 유전현상의 단위체이며, 자기복제 능력이라는 독특한 기능 RNA는유전자 본체인 디옥시리보 핵산(DNA)이 가지고 있는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protein)을 합성할 때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고분자 화합물 데옥시리보오스(DNA)는 리보오스(RNA)에 비하여 산소원자 하나가 적다. - DNA가 RNA보다 반응성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이유중의 하나입니다

33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1) 바이러스 감염 (4) 바이러스의 종류 ②RNA바이러스
외피보유 RNA : 사람 및 동물의 인플루엔자의 감염증인 광견병의 병원체인 랍도바이러스(Rhabdoviridae), 격심한 출혈열을 일으키는 필로바이러스(Filovi ridae), 사람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발암이 처음으로 확인된 성인 T세포 백혈병의 원인인 바이러스인 HTLV-1과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AIDS)의 병원미생물로 유명한 HIV가 속한 레트로바이러스 등이 있다. 외피 비보유 RNA바이러스 : 급성 척수전각염을 일으키는 폴리오바이러스, 수족구병에 의한 엔테로바이러스, B-3에 속한 피코르나바이러스, A형 간염바이러스 등이 있다.

34 7. 감염질환 7. 미생물감염 11) 바이러스 감염 (5)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선택독성의 결여와 증상이 나타난 시기는 이미 바이러스의 증식이 끝난 상태이 므로 치료제보다는 예방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사용 중인 항바이러스제의 작용기전은 바이러스 흡착, 침투, 탈외각을 지지하는 약제 (5-FU, acylclovir) 바이러스 입자 배출을 방해하는 (rifampin, methisazone) 등이 있다. 12) 진균증 감염 표피감염성 진균증 피하감염성 진균증 심부감여성 진균증 13) 원충감염

35 Thank you~!!


Download ppt "병리학 임미란 http://blog.naver.com/sklee7411."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