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조선해양기자재 산업현황 및 전망 2008 . 10. 17.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조선해양기자재 산업현황 및 전망 2008 . 10. 17.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Presentation transcript:

1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조선해양기자재 산업현황 및 전망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2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1. 기자재산업의 개요 및 중요성 5. 조선기자재산업의 발전 전략
2. 세계 조선산업의 현황 3. 국내 조선산업의 위치와 발전 방향 4. 세계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5. 국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현황 6.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발전 전략

3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1.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개요 및 중요성

4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개요 및 중요성 우리나라를 세계10대 교역국으로 성장시키고 ‘02년부터 세계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조선산업의 핵심요소 해운, 철강 산업 등 전후방 연계산업에 파급효과가 크고 전기/전자/기계/소재 등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첨단복합 산업이며 IT기술이 필수적인 최첨단 기술집약형 산업 선박 건조 원가의 50 – 65% 차지, 장기적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성장이 유망한 산업 - ‘15년 우리나라 선박 생산액 300억불, 조선기자재 생산액 160억불 이상 예상

5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개요 및 중요성 특징 - 조선기자재는 UN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해상오염방지협약(MARPOL)등 국제협약에 따른 엄격한 품질 및 성능이 적용됨 - 이해 당사국에서 정하는 별도의 성능과 품질기준에 적합해야 함 -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 약 88%가 조선산업으로부터 주문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임 - 엔진, 강재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생산업체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 대형 조선소와 협력 협의회 등 계열화 관계를 유지함 - 기초소재산업에서부터 기계, 전자산업에 이르기까지 전후방 파급 효과가 매우 큰 산업임

6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개요 및 중요성 <조선기자재산업의 분류> 제어 및 계측장치 조명 및 배선장치 항해 및 통신장치
제어장치류, 모니터링 장치류, 등 제어 및 계측장치 조명등, 항해등, 전선, 케이블, 배선기구, 방폭등, 등 조명 및 배선장치 레이더, INS, AIS, GMDSS, INMARSAT, SSB, 등 항해 및 통신장치 모터, 건전지, 변압기, 분배전반, 기동반, 등 동력 및 배전장치 전기전자 부품류 어군탐지기, 집어등, 배관재, 등 어로장비 및 기타 구명정, 구명동의, 소화장치, 위생기구, 거주설비, 등 안전 및 거주설비 크레인, Davit, Cargo Winch, Block, 등 하역장치 Anchor, Winch & Windlass, Anchor chain, 등 계선장치 Steering unit, Rudder, 등 조타장치 의장 부품류 프로펠러, 추진축, 보조추진장치, 스러스터, 등 추진장치류 열교환기, 보일러, 펌프, 압축기, 통풍기, 분리기, 여과기, 등 보조기계류 주기관, 발전기 엔진, 과급기, 감속기어, 역전장치, 등 엔진․동력 전달 장치류 기관 부품 및 소재류 강판, 형강, 주강, 단조강, 용접재료, 화공약품, 도료, 등 금속제품, 화공제품, 용접재료, 주단제품 선체 부품 및 소재류 소분류 중분류 대분류

7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2. 세계 조선산업의 현황 세계 조선산업 동향 조선 주요국 현황 주요 국가별 조선 시장 점유율

8 세계 조선산업 동향  해상물동량 증가  노후선박 대체 해양오염규제강화 신개념/신기술 선박 해양자원개발 수요
□ 노후선박 대체 수요 증가 및 신개념/신제품 선박 수요 증가 세계경제회복, BRICs 경제성장 해운사 규모의 경제  선박 대형화  해상물동량 증가 2004년 말 기준 선령 20년 이상 선박 26% 1억 6,574만 GT, 25년 이상 선박 13.2%  노후선박 대체 해양오염을 줄이기 위한 기준미달선박(SSV) 해체 증가 2002년 11월 프레스티지호 사고이후 단일 선체 탱커의 정박금지, IMO의 퇴출시한단축 해양오염규제강화 선박의 전문화 대형화, 복합화, 고급화, 고속화 신개념/신기술 선박 심해저 시추 해양구조물/LNG선 발전 해양구조물의 대형화, 대수심화, 복합기능화 해양자원개발 수요

9 세계 조선산업 동향 대형컨테이너선, LNGC, 대형 Bulker, Cruise선. PC 등의 성장성이 두드러진 반면, Tanker/Bulker 및 일반화물선의 비중 지속적 하락 전망 미래의 지속적인 시장 지위 유지/강화를 위해서는 성장 선종(컨테이너선, 가스선)의 경쟁력 확보 필요 [선종별 중장기 수요 비중 전망] [선종별 연간 평균 CGT( ) 전망]

10 세계 조선산업 동향 글로벌 환경변화 인식 - 해상물동량 증가 및 신개념 제품 수요 - 極地 에너지자원 개발 활발
- 고유가/청정에너지 수요요구에 따른 LNG 수요의 지속적 증가 - 해상물동량 증가 및 신개념 제품 수요 - 極地 에너지자원 개발 활발 - 유럽조선소의 Cruiser선 건조 채산성 한계 도래 - 해양공간(Mega floater 等) 활용 , 활성화 - 親환경/안전 제품 시장요구

11 극동 3개국+유럽 = 세계 시장의 84.9% 점유 (2006,건조량)
조선 주요국 현황 극동 3개국+유럽 = 세계 시장의 84.9% 점유 (2006,건조량) 극동 3국 (한,중,일) 76.9% ⇒ 세계시장 주도 일 본 유 럽 중 국 조선업 쇠퇴 가속화 -(70년대)평균 32% → (최근) 10% 내외 건조 선박은 중형급 - 척당 평균 톤수11.8천GT - Cruise ship에 특화 조선 핵심기술 보유 - LNG선 기술, 엔진기술 등 자국 잠재력 최대 활용 - 선복량: 세계3위(8.6%) - 인력:우리의 3배(22만명) 21C 강력한 조선경쟁국 - 설비확장 - 건조비중 확대 (6.4%(98)→11%('04)) 최근 고기술 선박 건조착수 -대형컨선,LNG선,FPSO등 지난 40여년간 세계 1위 - 20C 후반 세계조선 주도 최근들어 세계점유비 감소 -(94)47.6%→(05)20.4% 업계 구조조정 완료 - MHI만 현체제 유지 < 자료 : 산업자원부 >

12 주요 국가별 조선 시장 점유율 국가별 시장 점유율 추이 50~60년대 70~90년대 2000년 이후 유럽 일본 한국 (%)
(건조량 기준) 한국 일본 중국

13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3. 국내 조선산업의 위치와 발전방향 국내 조선산업의 위치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위상 및 전망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발전 방향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비전

14 국내 조선산업의 위치 세계 시장점유율 1位, 수출 효자산업 정부주도 육성산업에서 시장 주도형으로 성숙
높은 국제화 수준 달성과 세계 單一시장 선두 유지 고부가 블루오션 시장의 새로운 성장산업 창출

15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위상 및 전망 3年 연속 세계 1位(수주량, 건조량)
세계 10대 조선사 中 상위 7개社 점유(수주잔량 기준) : 35% Lloyds 통계자료 15

16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발전 방향 [ 고부가가치선의 역량 집중 ] 한국의 고부가선 수주현황 (‘03년~’05년)
LNG선 FPSO DRILL SHIP LPG(VLGC) 총발주 128 100 % 15 5 100% 55* 국내3사 96 75 % 8 53 % 45* 82 % 註) LPG(VLGC)선은 수주잔량 기준(’06.5月末) 경제성을 고려한 선형 개발과 선박의 대형화 개발 주도 ㅇ 세계 최초 최대규모 컨테이너 船型개발 : 6200TEU(1999)→7700TEU(’00)→ 8100TEU(’02)→9600TEU(’03) ㅇ LNG선 대형화 : 125K(’70년대 중반) → 135K(’80년대 중반) → 138K(’90년 중반) → 260K(’00년대 중반)

17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발전 방향 차세대 에너지 운송선 개발
- 운송 + 플랜트 설비 및 특정 기능을 보유한 차세대 선박의 필요성 대두 [LNG-SRV, LNG-FSRU, FPSO, DRILL SHIP, ICE SHUTTLE TANKER 等] 초호화 여객선 진입 - 대형 크루즈선은 국내 조선사의 未개척 분야로 진입 단계 ㅇ EU 4대 조선사 全 세계 크루즈시장 독점체제 ※ Fincantieri(伊), Alstom Marine(프), Aker Finnyards(핀), Meyer Werft(독) ㅇ 크루즈선 수요 : 2019년까지 年 12척 규모(Clarkson 전망) ㅇ 부가가치지수 : VLCC 219, 컨테이너 393, FPSO 1250, 크루즈 2000 (철강재 100 기준) - 호화 인테리어 기술 및 기자재업체 육성이 주요 당면과제 ㅇ 미쯔비시(日) 초대형 크루즈선 건조 경험 보유 (’04年 11만6천톤 2척 인도)

18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비전 조선해양산업 세계 1위 지속 세계 1등 제품 블루오션 시장 선점 기반산업 중점육성
기존 전략제품 차별화 (성능, 품질) 경제선형 개발 독자모델 개발 성능우위 유지 무결점 제품 세계 1등 제품 신개념 신시장 진입 제품 복합개념 제품개발 원천기술 자립화 미래제품 연구개발 우수 핵심인력 육성 정부지원 국책과제 추진 블루오션 시장 선점 고부가가치선 기자재산업 고도화 LNG선, 크루즈 等 고부가 기자재산업 중점 육성 정부지원 국책과제 확대 기자재 공동개발 및 생존전략 강화 우수인력 육성 기반산업 중점육성

19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4. 세계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조선기자재 시장현황 및 전망
세계조선기자재산업의 국제분업구조분석 세계 주요 국가의 조선기자재산업 현황

20 조선기자재 시장 현황 및 전망 2015 한국 조선기자재산업 : 총 160억불(수출 30억불, 내수 130억불)
- 선박 건조원가의 기자재 구성비 65% 기준, 강재 25% 제외 - 국산화율 90%, 2003 구 분 39.84 탱 커 벌크 캐리어 컨테이너선 LNG선 LPG선 기타 58.0 25,061 1 2 3 4 5 219,790 10.1 25.8 6,815 7,251 14,162 22,816 6.3 43.7 67.0 2005 41.35 2007 40.09 2010 40.56 2013 39.96 2015 40.13 51.0 17.3 68.4 4.5 69.4 63.4 62.2 6.2 45.0 8.0 61.8 53.6 6.1 43.0 9.0 67.1 67.9 58.5 38.5 9.3 60.7 66.4 55.0 5.6 37.5 7.8 59.7 66.2 전체 점유율 2005 세계 생산액(A) 한국 생산액(B) 460 750 170(A의 36%) 300(A의 40%) 2015 항목 세계 생산액(C) 한국 내수액(D) 276 366 60 130 조선 구분 기자재 한국 수출액(E) 6.8 30 내수 및 수출액 66.8 160 한국의 선종별 셰계시장 점유율(%) 조선 및 조선기자재 생산액 비교(억불) (자료 : 한국조선공업협회, 한국의 조선산업, ) [자료:한국조선공업협회, 한국조선공업협동조합, 2005)

21 세계 조선기자재산업의 국제분업구조 분석 2006 2015 www.komeri.re.kr
조선강국(한국•일본)에 특수선분야 시스템 설계 및 Integrated Engineering 기술공급, 일본&한국과 기술경쟁심화 신흥 조선시장과 극동3국에 유닛 ,시스템 및 AS 기자재 공급시장 신흥 조선시장 및 극동3국에 대한 유닛 및 시스템 단위 기자재 공급 자국시장에 대한 유닛 또는 장비단위 기자재 자체수급, 유럽, 일본, 한국의 고부가가치 기자재 수요시장으로 급부상, 부품단위 AS 기자재 공급 일반상선 기자재 시장으로 부상, AS 기자재 공급 일반상선 기자재 및 수리조선 시장 극동3국에 시스템 단위의 설계 및 Integrated Engineering 기술 공급 자국 및 한•중에 유닛 및 Equipment 단위 기술 및 제품 공급 유럽의 라이센스 기자재 생산기지, 범용 기자재 자 체 수급, 부품단위의 AS 기자재 공급 유럽의 라이센스 기자재 생산기지, 한국의 현지 생 산기지로 부상, 범용 기자재 자체수급, 부품단위 AS 기자재 공급 수리조선 시장 선진국과의 교역 후발국과의 교역 동남아 동남아 아프리카, 인도, 브라질

22 Local System Engineering, Integrated Engineering,
세계 조선기자재산업의 국제분업구조 분석 구분 태동기 성장기 안정기 쇠퇴기 수리조선 및 소형선박 벌크, 일반 카고, 컨테이너, 원유 운반선 LNG 탱커, 컨테이너, 일반 카고, 벌크, 케미컬, 원유 운반선 여객선, 컨테이너, 일반 카고 노동 경쟁력 노동 및 자체 기자재 수급 시스템, 생산시스템 생산시스템 및 자체 기자재 수급 시스템, 표준 설계 기술, 선박 건조 유연성 설계기술, 특화선종분야, 특화분야 기자재 수급 시스템, 선박 건조 표준화 동남아 중국 한국, 일본 일본, 유럽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 중국, 한국, 일본 조선산업 주력 선종 경쟁력 2006 2015 해당국가지역 원숙기 단품 형태의 부품, 주조 및 가공품 장비류, 모듈 장비류, 모듈 및 유닛 장비류, 모듈 및 유닛, 시스템 노동 경쟁력, 생산 및 기술 경쟁력 생산 기술 , 신뢰성 및 내구성, Local System Engineering, A/S 시스템 Integrated Engineering, System Engineering, A/S 시스템, 안정성 중국(55) 한국(85) 일본(95) 유럽(100) 한국 주력 기자재 해당국가 지역 조선 기자재 산업

23 내용 수정….. 세계 주요국가의 조선기자재산업 현황 www.komeri.re.kr 기술적 관점
- 원천기술 및 시스템 기술 보유 - 신뢰성 및 내구성 기술 확보 - 브랜드 인지도 확보 시장적 관점 - 라이센스 확보 - 해외생산기지로 범용기자재 가격경쟁력 확보 - 특수선분야 설계기술과 연계된 기자재 시스템 독점공급 - 라이센스 및 기술제휴에 의한 기술축적 - 기초과학기술의 응용에 의한 원천기술 확보 추진 - 자국 선박을 활용 실선탑재 신뢰성 확보 추진 - 값싼 노동력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 국수주의적 정부주도 산업 보호 - 해외자본 유치통한 생산설비의 구축 추진 - 수리조선의 활황에 의한 기자재 가공 및 생산 강화 - 수리조선 및 소형선박 건조에 대한 기술 축적 - 신규 도크 건설에 의한 표준선형 및 자국 에너지 수급에 필요한 기술확보 추진 - 낮은 인건비의 가격경쟁력 확보로 수리조선시장 확보 - 수리조선 관련 기자재 가공 및 재생, 단품 생산 시장 창출 - 도크 건조에 의한 자국 선박 수요 및 기자재 수요 창출 - 독자설계, 유닛 및 장비 설계기술 보유 - 브랜드 네인지도 확보 - 해외 생산기지 기반으로 범용 기자재의 가격경쟁력 확보 - 고급 기자재분야의 설계기술과 연계된 기자재 시스템 독점 공급 - 자국내 선박시장 기반으로 안정적인 기자재 공급 시장 확보 -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추진중 - 품질 강화를 통한 고품질화 추진 - 고급 생산인력에 기반한 생산기술의 축적 - 노동비 억제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 가격경쟁력 확보위한 중국, 동남아 등 생산기지 구축중 - 국내 조선활황에 기반한 기자재 간접수출 극대화 - AS 기자재에 대한 시장 강화 추진

24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5. 국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현황 국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현황
조선해양기자재산업 대내외 여건 정책적 당면 현황 기술적 당면 현황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비전

25 국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현황 기업 연구 및 지원 기관 시장 - 대부분 중소기업 형태로 전국 560여개 소재
- 지리적으로 조선산업이 발달한 부산•경남 지역에 근접 위치 연구 및 지원 기관 - 지식경제부 산하에 ’01년 설립된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이 조선기자재 관련 연구개발, 시험인증 및 표준화 등의 업무 수행 - 선박 탑재 위한 국제공인시험이 필수적인 고부가가치 기자재의 개발과 함께 전문 시험인증 기능과 관련 인프라 확충 병행 필요 - 서울대를 비롯한 전국의 10여개 대학의 조선 관련 학과에서 연인원 800여명의 인력 배출 시장 - 조선산업의 활황에 따른 단기적 시장확보는 가능하나 중장기적으로 고부가가치 기자재 기술개발 및 첨단 UT 등과의 융합을 통한 신 시장 창출이 필요 - ’06년 현재 간접수출 형태인 국내시장은 45억불, 직수출은 5억불 정도

26 1 2 3 4 조선해양기자재산업 대내외 여건 세계 조선국으로 중국 급성장, 동유럽 조선국 재등장
전방산업인 세계 조선시장도 비관적이지 않음 3 LNG선, 빙해선박 등 국내 주력 건조선종의 변화 4 중국 조선기자재 시장에 대한 EU 등의 진출 가속화

27 정책적 당면 현황 통계체계 및 발전전략수립 미흡 통계확립 및 발전전략 수립 핵심기술 취약 핵심기술 확보 등 기술력 제고
높은 내수 의존도 해외 마케팅 능력 강화를 통한 수출산업화 기술인프라 및 IT활용 미흡 구축장비 활용 및 IT 접목강화 국제 신 규정 대응 미흡 IMO, ISO 규정제정 참여 강화 등 조선-기자재업계간 협력필요 동반자관계 확산 및 협력관계필요

28 기술적 당면 현황 당면현안 발생원인 당면현안 대응전략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 첨단화 등 고부가가치화 고부가가치 기자재
핵심기술 개발 크루즈선 등 고부가가치선 기자재 기술개발 극대화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량 증가 고부가가치 기자재 시험인증 인프라 부족 기술개발과 연계한 JiT 인프라 구축 산업의 활황 및 UT 등 신기술의 접목 고급 기술인력 부족현상 해결 산•학•연 연계 전략분야 중점 기술인력 양성 국제기구의 표준 및 기준 강화 국제 표준 및 기준 국내 대응체계 마련 범국가적 대응체계 구축 및 전문가 활동 지원

29 Future New 조선.해양 산업 창출 2015년 목표
조선기자재 산업 해양 산업 LNGC 기자재 해양장비 기술 NT 기술 UT 기술 IT 기술 해양구조물 기자재 해양공간 활용 기술 크루즈선 기자재 해양자원 확보 기술 차세대 안전운항 시스템 해양환경 보호 기술 주력기간산업인 조선.해양산업에 IT/NT/UT 등의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차세대 신개념 선박 기자재 및 해양 기자재 개발 < 지식경제부 ‘2015 조선해양기자재산업 비전과 전략’, 2006 >

30 VISION TARGET STRATEGY
비전과 전략 “미래 조선•해양기자재 글로벌 리더” ■ 수출 30억불 달성으로 자체 수출산업화 및 국제 경쟁력 확보 ■ 고부가가치 선박 기자재 핵심 기술 확보로 기술강국 위상 정립 VISION 2006년 년 세계시장 점유율(%) 조선기자재생산액(억 달러) 조선기자재수출액(억 달러) TARGET LNGC, 해양구조물, 크루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기자재 핵심기술 확보 조선•해양기자재산업에 UT를 융합하여 신시장 창출 세계적 시험인증 기술 확보, 국제 표준 및 기준 선도 STRATEGY 고부가가치 선박용 기자재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국제공인시험인증 인프라 구축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우수인력 확보 위한 전략분야 인력양성 강화 기술 및 시장 선도 위한 국제표준 활동 강화

31 조선해양기자재산업 현황 및 전망 6.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발전 전략 조선해양기자재산업 정책방향 세부 정책과제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32 조선해양기자재산업 정책방향 조선기자재산업의 수출산업화 기본방향 세계 조선기자재 기술의 중심국으로 전환 정책방향 동시/ 복합적
조선기자재산업의 수출산업화 세계 조선기자재 기술의 중심국으로 전환 정책방향 통계정립/ 발전전략 수립 핵심기술 확보/ 기술력 제고 동시/ 복합적 기자재산업 수출산업화 IMO/ISO 신규규정 대응 강화

33 세부 정책과제 체계화된 통계체계 확립 및 장기적인 발전전략수립 핵심기술확보로 기술력제고 및 IT접목 산업 고도화
조선기자재산업 수출산업화 및 환위험 대응강화 IMO/ISO 신규규정 대응 강화 및 기술선점 전략 대-중소 상생협력을 위한 지원강화

34 비전 및 발전전략 수립으로 중장기발전방안 모색
세부 정책과제 체계화된 통계체계 확립 및 장기적인 발전전략수립 통계기반구축으로 발전기반 확립/ 비전 및 발전전략 수립으로 중장기발전방안 모색 현행 표준산업분류상 범용 기자재를 조선용으로 따로 구분하여 집계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함에 따라 ‘예시 품목 확대’ 필요 중장기 발전 비전 및 발전전략 수립 조선기자재 분야별 국제 분업구조 분석 국내 조선기자재산업의 발전전략 수립 필요 < 13 >

35 세부 정책과제 핵심기술확보로 기술력제고 및 IT접목 산업 고도화 경쟁력 우위확보는 부단한 기술개발에서 출발
(예) – LNG선, 크루즈선, 빙해선박, 해양플랜트 기자재 등 - 물류, 생산.판매분야의 IT접목 (B2B , RFID 등) 개발된 조선기자재의 성능, 품질 제고 - 조선기자재 연구원 기능 활성화 - 업계지원 중심의 연구원 - 국제공인 품질인증 시스템 (KOLAS, CE 마크 등) 확보

36 세부 정책과제 조선기자재산업 수출산업화 및 환위험 대응강화 내수산업에서 수출산업으로 전환 필요
국외 주요 전시회의 참여를 통한 신규 시장 참여 가속화 필요 (예) – 포세도니아(06년 82백만원), 노르쉽핑(05년 61), Marintec China(05년 72), 함부르크 등 - 정부에서는 전시비용 지원 확대 필요 국내외 선주, 조선소에 대한 홍보 및 정부 지원 강화 - 해외 선주 엔지니어 초청사업 지속 추진(05) - 지방 중소 수출기업들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Trade Incubator 사업 지원 강화(06) 환위험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환변동 보험 이용강화 필요 - 수출보험공사는 환변동 보험제도 운영

37 세부 정책과제 IMO/ISO 신규규정 대응 강화 및 기술선점 전략 1등 국가로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
개발제품에 대한 특허화로 기술선점 및 브랜드화 필요 - 조선기자재조합 내 특허 및 브랜드 분과위원회 설치 IMO/ISO 규정 제정참여 강화를 위한 대응체계 구축 및 연구회 활동 강화 - 기자재 표준화사업으로 FP(방화) 등 4개 IMO/ISO 분과연구회 발족

38 세부 정책과제 대-중소 상생협력을 위한 지원강화 조선 및 기자재업계간 동반자 인식 확산 및 관계 형성을 통한 연계발전
조선기자재업체의 물류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제고 기반구축 미래 유망 선박 개발시 주요핵심 부품도 동시개발 추진 - LNG선, 해양플랜트, 차세대 해양플랜트, 빙해운항선박 등 - 대형조선소의 기술력 등 이미지가 투영되는 사업발굴 강화 - 해외 선주 엔지니어 초청사업 지속추진(05년 1회) - 해외 전시회 공동관 운영 (2006년 포세도니아 전시회 한국관 운영) 앞으로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사업을 우선 지원 정책 추진

39 LNG운반선 및 관련 특수선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LNG운반선 및 관련 특수선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LNG CARGO PUMP LNG EMERGENCY CARGO PUMP LNG CARGO STRIPPING/SPRAY PUMP LNG COMPRESSOR LNG선용 Compander LNG Forcing Vaporizer LNG Boil-off/Warm-up Heater 개발 LNG Vaporizer LNG 재 액화설비(Re-condenser) Inert Gas Generator 개발 LNG Boil-off 가스 소각시스템(Oxidizer) 개발 극저온 안전밸브 개발

40 LNG운반선 및 관련 특수선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LNG운반선 및 관련 특수선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Turret Mooring System 초저온 온도/압력센서 개발 LNG/NG용 Gas/Liquid Flowmeter 개발 LNG GLOBE VALVE LNG BALL VALVE LNG SAFETY VALVE LNG VACCUM VALVE FUEL PUMP(SCREW TYPE PUMP) CENTRIFUGAL PUMP GEAR PUMP HYDRAULIC MOTOR 대형보일러

41 호화유람선(Crusier) 관련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호화유람선(Crusier) 관련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경량 및 고급 인테리어 자재 인테리어 Workmanship(시공) 기술개발 (난연성, 불연성, Ceiling/Wall Panel,floating Floor 등) 선박용 HVAC(Heating, Ventilating & Air Conditioning) 시스템개발 Unit Cabin Vacuum Toilet System Garbage Treatment System Thruster 및 Fin Stabilizer Ballast Water Management Fire Door 국산자재 개발 Watertight Door 자재개발 No Welding Pipe 적용 전장 및 자동화 시스템 Fire Fighting System

42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쇄빙선 관련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Ballast Tank결빙방지장치 동요방지/횡경사방지장치
빙 저항 저감 장치 Ice Navigation system 착빙 방지 장치 빙해 선박용 도료 선저부/타 보호장치 Cpp. 축계 제작 거주구 공간 단열재

43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해양구조물 관련 핵심 기자재 연구 개발 Dynamic Positioning(DP)용 thruster
고온고압 Topside 자재 개발(Valve, Fitting 등) Bow Loading System Drill 장비

44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공통 핵심 기자재 개발 항해 안전 통합시스템 개발 고성능 대용량 Cargo Pump 개발
Deck machinery/Crane 독자모델 개발 유압 System Package 개발 Anti-Heeling System 개발 선박용 고성능 Common Rail 엔진 및 부품개발 RT-FLEX 엔진 및 부품개발 가스터빈 개발

45 차세대 핵심 기자재 개발 공통 핵심 기자재 개발 선박용 고출력 유압식 동력전달장치 개발 스턴튜브 베어링 및 씰(Seal) 개발
인버터 전동기 개발 보일러 버너(Steam Automizing type) Fresh Water Generator Waste Heat Recovery System 고성능 Oil Heater 대용량 복합사이클형 공기압축기 개발

46 조선기자재 전문 연구 및 시험기관으로서 조선기자재산업을 선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조선기자재 전문 연구 및 시험기관으로서 조선기자재산업을 선도하겠습니다.


Download ppt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조선해양기자재 산업현황 및 전망 2008 . 10. 17. (재)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김 정 식 kjsk2@komeri.re.kr."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