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 한국유채네트워크 사무처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 한국유채네트워크 사무처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 한국유채네트워크 사무처장
한국 유채네트워크 창립의미와 활동과제 최 충 식 (사)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 한국유채네트워크 사무처장

2 지구촌 산업화

3 기후변화에 의한 만년설 감소 2000년 1970년

4 지구촌 재난… 홍수피해… 섬은 가라 앉고… 급속한 사막화…

5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너지원 다양화, 신 재생에너지 전략)

6 기후변화 대응 노력(식물연료 바이오에너지)
3대 바이오 에너지 Bio-diesel 목질계 Bio-mass Bio-ethanhol

7 바이오 디젤(Bio-diesel)

8 바이오 디젤이란? Catalysts Vegetable Oil or Animal fats
+ Alcohol Biodiesel + Glycerine Catalysts Vegetable Oil or Animal fats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폐식용유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촉매 존재 하에 알코올과 반응시켜 생성하는 에스테르화 기름을 말하며, 경유와 물성이 유사하므로 경유에 대체 또는 혼합하여 사용가능 경유와 바이오디젤의 혼합비에 따라 BD5, BD20, BD30, BD100 등으로 명명

9 바이오 에너지 원료 바이오 디젤 생산원료 바이오 에탄올 생산원료 자료 : 이진석,신용광,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의 농업적 활용

10 친환경적인 재생가능한 대체에너지 : Biodiesel
바이오 디젤의 필요성 Resources Recycling Society Air Pollution 1.잠재 고객 현 안 전 략 Global Warming Agriculture Energy 한국은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 6번째 석유 소비국, 원유 전량 수입 의존 원유 가격 2년새 30불에서 70불로 급상승 농산물 경쟁력 약화에 따른 후경지의 증가 : 2.9%(47.8천 ha) UR와 FTA에 따른 농촌의 새로운 수입원과 지원방법의 필요 2005년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의 발효 세계 9대 CO2 소비국 (451,000 thousand ton/year), 2002 친환경적인 재생가능한 대체에너지 : Biodiesel 디젤차의 대기오염 배출량의 비율 최대, 앞으로 증가 추세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 우려 에너지와 자원의 지속가능한 순환형 사회 구축의 필요

11 바이오디젤의 경쟁력 2004년 경유 가격은 휘발유의 70% 수준 경유 가격은 2006년까지 휘발유의 85%까지 상승
국내 연료에 대한 세금은 매우 높음 - 휘발유 : 소매가의 71%는 세금 - 경유 : 소매가의 50%는 세금 * : $ 30/bbl 원유가격 기준

12 바이오디젤 효과

13 지구온난화 해결에 기여 CO2 배출량 저감 공정의 전 주기(Life cycle)에서 볼 때, 연료사용에 의해 배출된 CO2는
바이오매스의 생산과정(식물의광합성)에서 회수되므로 CO2의 순 배출량이 적음 기후 변화 협약 대응의 방편으로 바이오디젤 1톤 사용시에 CO2 2.2톤을 감면 받으므로써 국가경쟁력에 이바지 Life Cycle CO2: 경유의 1/4 수준 CO2 배출권 : $60/톤

14 대기오염 저감 효과 THC : total hydrocarbon / PM : particulate matter / F.E. : fuel efficiency / Max. Opacity : smoke (에너지 기술연구원)

15 대기오염 저감 효과 BD20의 배출가스 저감효과(국립환경연구원)

16 환경적인 효과 ● BD100 은 발암 위험을 94% 저감하며, BD20은 27% 저감
● 벤젠 등을 배출하지 않아서 독성이 적고, 생분해도가 높아서(3주 이내에 90% 분해) 유출시 환경오염이 적다 ● 바이오디젤 연료 1단위를 생산하는 데 화석에너지 0.31단위가 소요되나, 경유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화석에너지 1.21 단위를 필요(US DOA/DOE))

17 농촌경제에 기여 ● 바이오디젤 원료 확보를 위한 농촌경작 ● 차별화된 농산품 생산으로 국가 경쟁력 확보
● 농촌의 유휴지, 국유지를 활용한 채종 생산 ● 바이오디젤 원료인 농산물의 종자개발, 재배에 관한 연구, 인프라 구축 ● 아름답고 친환경적인 21세기 농촌의 모델 ● 도시와 농촌의 교류, 산업화의 근간이 되는 농촌

18 환경적 효과에 따른 경제적 효과 상승 바이오디젤 환경성과 대기오염 사회적 비용 저감 효과 경제성 대기 오염 저감 효과
석유 대체 효과 식물(유채) 원료 재배 면적에 따른 생산량 글리세린 효과 양봉 소득 유박 소득 농가소득 경제성 경관보전 및 관광 소득

19 꽃들의 반란 농촌과 환경을 살리는 식물

20 식물연료 원료

21 세계 주요 식물성 기름 생산량 Production Seed Million Metric Tons Vegetable Oil
2001/2002 2002/2003 Soybean 184.33 194.04 28.87 30.60 Cottonseed 36.64 33.16 3.82 3.50 Rapeseed 35.99 32.02 12.85 11.55 Peanut 33.57 31.02 4.83 4.35 Sunflowerseed 21.20 23.80 7.55 8.28 Palm Kernel 7.24 7.48 3.14 3.24 Copra 5.19 5.24 Palm 25.32 25.64 Coconut 3.27 Olive 2.53 2.35 Total 324.16 326.76 92.18 92.75

22 바이오디젤 생산(유채) 종 자 (5.4 kg ) 경 작 (1.0 ha) 유채 짚 (3.01톤) 수송, 건조 및 저장
(3.0 톤 유채씨) 유 박 (1.65톤) 유채유 채유 (1.14 톤 유채유) 정 제 (1.14 톤) 에스테르화 글리세린 (0.11톤) 바이오디젤 (1.06톤)

23 바이오디젤 원료 생산에 따른 농촌 경쟁력 향상 1. 농업개방,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하 유휴 농경지 활용
- 이모작활용, 겨울철 방치되는 농경지 활용 2. 차별화된 농산물 생산 - 바이오 디젤 원료 생산, 현재는 100% 해외 수입의존 3. 우수한 바이오디젤 원료 품종 개발 및 인프라 구축 - 품종개발 연구, 농민들의 노동력 대비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 - 인프라 구축으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 4. 농촌지역 주변 사회 공공지 활용, 경제적인 경관활용 - 철도변, 도로변, 수변구역, 농공단지 등을 관광자원으로 활용 생산된 농산품을 바이오디젤 원료로 활용

24 아름답고 친 환경적인 21세기 농촌 모델 ▶농촌지역에 바이오 디젤 센터를 건립하고, 농민들의 환경의식 개선과 소득증대
▶ 농촌 생산품 판매 ▶ 바이오디젤로 가는 마을버스 ▶ 바이오디젤을 활용한 농기계

25 도시와 농촌 교류 활성 및 자원순환형 사회 만들기

26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디젤 추진전략 보급확대 시범마을 메뉴얼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사업대상지 물색 및 주민홍보
전국 농촌지역에 보급 확대 전국에 시범마을을 선정하여 21세기 바람직한 농촌의 모델 시범사업 추진 고창, 옥천, 주남저수지, 양구, 부안, 영광, 함평, 제주 등 정부, 지자체, NGO, 전문가가 협의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 디젤 추진에 관한 매뉴얼 제작 보급확대 시범마을 메뉴얼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사업대상지 물색 및 주민홍보 - 공개모집과 평가를 통해 사업대상지 물색 지방자치단체나 지역주민들의 활동의지가 있는 지역 우선 선정 - 사업추진단 및 기술자문위원,전문가 협의를 통해 사업대상지 선정 ※ 농촌모델지역선정

27 한국의 바이오디젤 활성화 운동

28 NGO 10여 차례에 거친 바이오 디젤 토론회, 포럼, 세미나 개최 (시민환경단체, 공기업, 학계 등)
바이오디젤로 가는 농기계, 자동차 캠페인 진행

29 NGO 유채 시범 재배 지역 조성 일본 유채네트워크와의 교류 활성 석유사업법 개정활동, 정부정책 제안
유채자원화에 관한 연구 및 메뉴얼 작성

30 정부 및 지자체 * 산자부 BD5,BD20 상용화, 대체에너지 연구 * 농림부
경관 직불제, 500ha*3곳 시범지역 선정, 농촌진흥청 바이오 에너지 연구 프로젝트, 농경지 활용전략, 농민소득증대방안 연구 * 환경부 지구온난화 대응전략, 수도권매립지 유채재배 계획 * 지자체 영광군, 부안군 등 바이오 디젤 연료를 위한 유채재배 전략, 유채를 활용한 지역축제

31 그외 다양한 바이오디젤 관련 활동 * 학 계 유채재배 및 종자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목포시험장)
- 바이오 디젤의 경제성 분석 - 바이오 디젤의 환경성 분석 * 기업 - BD원료 수입을 통한 에너지 사업 - 폐유 수거를 통한 바이오 디젤 생산 * 시민 -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 문제의 심각성 이해 - 신 재생에너지 사용 공감대 형성 * 농민 - 농촌의 소득증대 방안에 관한 모색

32 한국 유채네트워크 창립의 필요성

33 1. 한국 유채네트워크 창립 의미와 필요성 ● 간헐적, 파편적 바이오 디젤 운동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된
통합된 논의 구조 필요 ● 유채재배 및 바이오 디젤 활성화를 위한 국민적 합의 도출 ● 정부 정책에 대한 조율된 비판과 통합된 파트너쉽의 필요성 ● 지역적 실천활동을 위한 협력과 지원시스템 필요

34 2. 한국 유채네트워크 창립 목표 ● BD20 상용화로 대기오염 저감과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여, 교토 의정서 비준에 대비
● 원료의 자급화로 농민들의 소득증대와 국내 환경개선에 기여 ● 지역별 유채의 순환체계를 활용하여 자원 순환형 환경공동체 사회를 이룸 ● 유채나 식물연료의 경관적 가치를 통해 아름다운 도시와 농촌 만들기 ● 유채나 식물연료 자원화 국제협력을 통한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기여

35 3. 한국 유채네트워크 활동방향 국제교류 및 공동 실천활동 모색 자원순환의 일관된 메뉴얼 제작 및 공유
민, 관, 학, 산, 연 네트워크 활동 한국 유채 네트워크 결성 연구조사, 국민적 공감대 형성 지역과 교류 협력, 정책생산 및 제안 자원순환형 사회를 위한 구체적 실천활동

36 4. 한국 유채네트워크 활동내용 식물연료 활성화 운동 - 정부의 바이오 디젤 정책 활성화 유도(BD20의 상용화)
- 지자체 및 시민들의 바이오 디젤 소비 운동

37 4. 한국 유채네트워크 활동내용 원료확보 방안 및 유채연구 - 농민들의 유채재배 협의
- 공공기관의 유휴지의 친 환경적 활용방안 검토 - 2모작을 위한 조생종 유채종자에 관한 연구 - 겨울철 작물로 타 작물과의 경쟁력 확보방안 - 폐유수거 시스템 안정화와 바이오디젤 자원화

38 소규모 플랜트를 활용한 지역 에너지 자립형, 에너지 순환공동체
4. 한국 유채네트워크 활동내용 소규모 플랜트를 활용한 지역 에너지 자립형, 에너지 순환공동체 각 지역에서 소규모 플랜트 운영/ 생산시스템 농기계 활용, 소규모 난방에 활용 - 신 재생에너지 교육공간 활용

39 분별깔대기 감압분리 에스테르화 반응조

40 4. 한국 유채네트워크 활동내용 국제 교류 - 유채자원화에 관한 정례 포럼<순환 포럼> - 학술 포럼 및 국제 웍샵
- 유채자원화에 관한 정례 포럼<순환 포럼> - 학술 포럼 및 국제 웍샵 정례포럼 및 웍샵 시민과 함께하는 유채자원화 운동 - 바이오 디젤로 가는 자동차 캠페인 - 유채파종대회 - 유채와 연관된 기획행사 - 한, 일 유채자원화 협력 조인식 - 일본 유채네트워크 행사 참여 국제 교류

41 한국 유채자원화를 위한 전국의 민, 관, 학, 산, 연 거버넌스 형태
5. 한국 유채네트워크 위상 및 조직체계 한국 유채네트워크 한국 유채자원화를 위한 전국의 민, 관, 학, 산, 연 거버넌스 형태 개인과 단체가 참여하는 네트워크 비영리 법인 조직체계 공동 대표 고문 감사 운영 위원회 분과 후원 기관 사무처

42 6. 한국 유채네트워크 운영 예산 회 비 - 참가단체 - 기관 후원금 - 기관, 기업 - 단체 후원 연구과제

43 7. 2007년 한국 유채네트워크 활동계획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바이오 디젤 생산공정시스템 도입을 위한 정책 협의 각 지역 정책간담회 - 한국유채네트워크 국민적 공감대 형성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전국 순회 웍샵(2회) 유채네트워크 제안 웍샵 유채네트워크 결성을 위한 운영 및 구성위임 유채네트워크 창립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장소: 대전 일본 유채 네트워크 방문, 유채자원화 시스템 이해 및 교류증진 유채시범 파종행사

44 한국유채네트워크가 추구하는 사회 유채꽃음식 착유 식용유이용 연료이용 소비자 판매 유채기름 유통 깻묵 사료화 퇴비화 재처리 학교급식 폐식용유회수시스템 -학교회수, 급유소회수 BDF 연료 정제장치 자동차 어선 농작업 이용 농사시 다방면 이용 사료 유기질비료 목질에너지이용 가축똥 수확 BDF 사용 농기계 바이오가스장치 유채꽃밭 유채꽃요리 CO2 순환 회수 → 유채 자원을 식용유, 바이오디젤, 가축사료 등으로 지역에서 순환시킴으로써, 농업, 마을, 삶 및 지역을 재생하는 자원순환형의 지속가능한 발전형 사회 구축

45 상호 협조체계 구축 필요 연구기관 기업 (연구개발 및 분석) (보급확대, 기술개발) 한국유채네트워크 자원순환형 사회 공공기관
(정책생산, 제도정비) 시민사회(NGO,농민등) (실천활동, 주민홍보)

46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사)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 한국유채네트워크 사무처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