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김해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김 미 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김해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김 미 숙."— Presentation transcript:

1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김해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김 미 숙

2 불행에 맞서는 가장 멋진 방법

3 보건프로그램 기획 : 요구파악, 우선순위 결정, 보건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진단, 적절한 자원 수 및 1. 보건프로그램 기획이란
배치, 목표달성의 장애 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모든 과정 1)기획: 우선순위 결정, 목적과 목표 설정, 중재 전략과 평가를 기획 2)보건프로그램 과정: 요구사정 → 기획 → 수행 → 평가 2. 보건프로그램 기획의 필요성 1)합리성증진:과학적, 경험적으로 검증된 수단과 방법을 채택하는데 기여 2)효율성 / 효과성 증진:업무의 성취도를 높이는데 기여 3)책임성 증진:프로그램의 정당성을 제시 4)동기부여와 사기진작:대상자 스스로 변화의 의지를 북돋을 수 있도록 동 기부여, 조직구성원과 보건프로그램 실행자의 사기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

4 보건프로그램 기획 모델 PRECEDE – PROCEED 모델
1) PRECEDE(Predisposing, Reinforcing, and Enabling Constructs in Educational Diagnosis and Evaluation)의 5단계는 사회적, 역학적, 행태 및 환경, 교육 및 조직, 행정 및 정책진단을 포함 2) PROCEDE(Policy, Regulatory, and Organizational Constructs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는 보건교육 프로그램 수행, 과정평가, 영향평가, 결과평가의 9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총 5단계의 모델은 모두 연속성을 지님 3) PRECEDE – PROCEED 모델의 특징 보건교육과 건강증진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기획- 평가 모델 목적: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행동과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 사람들의 건강행동과 환경적인 요인을 설명하고, 이를 중재하기 위해 효과적인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행 평가하는 전 과정 사람들이 왜 사회/ 생태학적으로 불안정한 지를 설명하기 위해 진단범위를 좁혀가며 원인 분석하는 모델

5 보건프로그램 기획 모델 1단계: 사회적 사정 건강보다는 궁극적 목적은 삶의 질임을 강조
지역사회 주민에게 무엇이 가치 있는 일인지를 사정하는 단계 객관적 지표: 각종센서스 자료, 사회지표(결근율, 범죄율 등) 주관적 지표: 전문가 집단을 통한 의견수렴, 삶의 질을 증진시키거나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자존감, 성취율, 행복감, 차별 등) 2단계: 역학적,행동적, 환경적 사정 2차 자료의 활용(유병률, 발생률, 빈도 등 측정 행동요인,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 등을 자료로 활용 3단계; 교육적 생태학적 사정(p10) 1)소인요인(predisposing factor):행위이전의 요인, 개인의 지식,태도, 신념 등 2)가능요인(enabling factor):개인이나 조직이 건강행위 수행을 할 수 있게 도와 주는 요인, 흡연의 경우 담뱃값 인상, 무료금연 침 시술 등 3)강화요인(reinforcing factor): 행위가 지속적으로 되거나 없어지게 하는 요인, 칭찬, 대리보상, 사회적 지지, 의료인의 긍정적 반응 등

6 보건프로그램 기획 모델 4단계: 행정적, 정책적 사정 및 중재설계
계획된 프로그램을 조직이나 지역사회에 실제로 적용할 때 관련한 요소 정책, 자원 및 조직환경에 대한 사정 프로그램의 수행의 장애요인,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책 등을 분석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요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과정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에는 거시적, 미시적 차원에서 영향력을 고려 교육은 소인요인, 가능요인, 강화요인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에 초점을 맞춤 5-8단계: 수행과 평가 과정평가, 영향평가, 결과평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과정평가는 프로그램이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진행되었는지를 평가 영향평가는 소인요인, 가능요인, 강화요인의 변화와 행위적, 환경적 변화파악 결과평가는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건강과 삶의 질 지표에 미치는 효과 파악

7 보건프로그램 기획 모델 2. 체계이론 타 분야 이론개발에 가장 많이 사용된 원형이론
모든 유기체는 하나의 개방체계이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복합물이라고 봄 3. PENDER 의 건강증진 모형 PENDER 이론의 특징은 건강증진에 인지지각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강조 인지지각요인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중재에 의한 변화가 가능

8 요구사정 요구(NEEDS) 1)정의: 원하는 것, 다른 것과 비교했을 때 부족한 상태로 충족이 필요한 것. 2)요구의 종류:
인지된 요구(perceived need): 사람들이 느끼는 요구. 평가된 요구(evaluated need): 전문가가 평가한 요구. 2. 요구도 사정의 목적 1)지역사회 건강문제의 파악 2)건강문제의 해결역량 파악 3)평가의 기초자료 확보 )환경의 영향예측 3. 자료의 종류 1)1차 자료: 조사자가 직접 조사를 통해 수집 작성한 자료 2)2차 자료: 이미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져 있는 모든 자료 3)조사목적에 적합한 2차 자료의 존재 및 사용 가능성의 유무를 확인한 후, 2차 자료가 없는 경우에 한해 1차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경제적.

9 요구사정 4. 2차 자료의 장단점 5.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독립변수: 원인이 되는 변수=설명변수
종속변수: 결과가 되는 변수=결과변수 6. 범주변수와 연속변수 범주변수=질적 변수 연속변수=양적 변수 장점 단점 수집기간이 짧다. 지용이 적게 든다. 주기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신뢰성이 높은 편이다. 단순비교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오래된 자료는 사용이 곤란하다 자료의 신뢰성이나 출처가 확실하지 않으면 곤란하다.

10 요구사정 변수 특징 범주변수 명목변수 크기비교나 연산 등의 의미가 없음/ 분류 서열변수
명목측정에 순위를 더한 개념/ 분류+ 서열 연속변수 등간변수 서열화는 물론 서열간 간격이 동일하도록 수치를 부여함/ 분류+ 서열+ 차이 비율변수 절대 0값을 가지므로 사칙연산이 가능/ 분류+서열+차이+절대 0값

11 요구사정 7. 변수의 척도에 따른 통계분석법 독립변수(예) 종속변수(예) 적용해야 할 통계분석법 명목척도(정상군/환자군)
비율척도(콜레스테롤의 차이) T-검정 명목 또는 서열척도 (정상군/중등도군/고혈압군) 비율척도 (간 기능의 차이) 분산분석법(ANOVA) 명목척도 (비만군/정상군) (고혈압 유/무) 카이제곱검정 비율척도(제태기간) 비율척도(신생아 체중) 회귀분석 종속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 비율척도 상관분석

12 목적과 목표 설정 목적이란 보건프로그램을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기술해 놓은 것(상위개념)
목표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변화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해 놓은 것(하위개념) 흔히 좋은 목표는 SMART(Specific 구체적, Measurable 측정가능, Achievable 성취가능, Relevant 연관성 있는, Time limited 기한이 정해져 있는) 목표이어야 함.

13 우선순위 선정 보건프로그램 개발에서 우선순위 선정의 필요성 1)이용 가능한 자원의 제한 2)이해 당사자간의 추구하는 바가 다름
2. 우선순위 결정과정 1)공정성 보장을 위한 주요 이해관계자 참여 2)우선순위 기준 및 척도 결정 3)건강문제 별 우선순위 선정 3. 일반적인 우선순위 결정기준 1)건강문제 및 환경문제가 영향을 미치는 해당인구의 범위 및 대상자의 취약성 -문제해결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넓은 문제에 놓은 우선순위를 부여 2)불 건강으로 인한 고통이나 조기사망이 명백한 경우 -사안이 급하고, 시기를 놓치면 여파가 크게 예상되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 부여 3)건강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한 경우 4)기타: 주민의 관심도, 보건교육사의 준비도, 자원동원 가능성, 국가 정책과의 연관성

14 우선순위 선정 4.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측정도구 Basic Priority Rating System(BPRS)
-건강문제의 크기, 심각성, 사업의 효과를 기준으로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선정 -절대적 기준을 사용하는 방실: 각 건강문제의 BPRS를 계산하여 그 점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함 표) BPRS를 이용한 우선순위 선정 건강문제 요소 BPRS (a+2b)*c 순위 문제의 크기(a) 문제의 심각성(b) 사업의 효과(c) A B C

15 우선순위 선정 PEARL;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넘어서 사업의 실행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여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함.
Propriety(특성) / Economic Feasibility(경제적 타당성) / Acceptability(수용성) /Resources(자원의 이용가능성) / Legality(적법성) 적용방법: 각 건강문제의 특성(P), 경제적 타당성(E), 수용성(A), 자원의 이용가능성(R), 적법성(L)여부를 분석하여, 적어도 한 영역에서 불가판정을 받으면 시행될 수 없음. 표) PEART을 통한 사업시행여부 결정 건강문제 특성(P) 경제성(E) 수용성(A) 자원(R) 적법성(L) 합계

16 우선순위 선정 3) SWOT분석 (1)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머리글자를 모아 만든 단어로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도구 (2)내적인 면을 분석하는 강점/약점 분석과, 외적 환경을 분석하는 기회/위협 분석을 구분 (3)긍정적인 면을 보는 강점과 기회, 반대로 위험을 불러오는 약점, 위협을 저울질하는 도구

17 보건사업 기획모형 틀 1. PATCH 모형(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1)1983년 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역보건요원의 보건사업기획 지침서로 개발한 것. 2)주정부. 지방정부, 지역사회와의 partnership 강조 3)5단계: 지역사회 결집 → 데이터 수집과 분석 → 우선순위 결정 → 포괄적인 중재계획 개발 → 평가 MATCH 모형(multilevel approach to community) 1)개인적,대인간, 조직적, 사회적, 정부적 차원 즉 다차원적으로 모든 방면에서 중재가 개입될 수 있음을 전제함. 즉 중재 전략을 생태학적인 여러 수준으로 나누어 다양한 접근법을 채택하는 장점 있음 2)질병과 사고예방을 위한 행동과 환경적인 요인이 알려져 있고 우선순위가 정해졌을 때 적용 가능한 모델 3)정부나 보건관련 정책 기관들이 포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많이 사용함 4)목표, 대상그룹, 세팅이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3. MAPP 지역보건사업 기획모형(mobilizing for action through and partnership)

18 실행계획 실행계획의 구성요소 1)각 수행단계별 업무내용 및 업무담당자 지정
2)세부 업무별 소요예산 및 인력, 시설장비 등의 소요자원과 확보방안 3)진행일정 4)평가계획과 평가결과 활용방안 5)위기대응방안 2. 사회적 마케팅(social marketing)전략, 마케팅 믹스 1)상품(product): 핵심건강행위, 보건프로그램, 보건정책 등 2)가격(price): 시간, 금전적 비용, 육체적 정신적 비용 3)장소(place): 프로그램장소, 유통방법 등(지역사회, 학교, 직장, 시장, 병원, 식당 등) 4)판매촉진(promtion): 광고, 홍보, 메시지, 켐페인, 이벤트, 인센티브, 전문의료진과의 상담 등

19 보건프로그램 평가 투입-산출모형에 따른 평가유형
1)구조평가(input evaluation, structural evaluation): 보건사업에 투입한 자원과 인프라, 재원이 얼마나 적절했는지를 평가 2)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progress evaluation): 사업진행과정에서 적절한 형태의 사업이 수행되고 있는지 와 사업수행과정 상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평가과정 3)결과평가(outcome evaluation, impact evaluation): 보건사업이 종료된 후, 수행된 사업결과와 산출물이 사업수행 전과 실시과정에서 의도한 대로 그 목표를 달성했는지 평가하는 과정 (결과평가의 요소) 산출물(out put): 서비스 제공건수(예: 교육이수율) 효과(effect): 단시일 내에 나타날 수 있는 대상 주민의 지식, 태도, 행동의 변화(예: 금연성공률) 영향(impact): 장기적인 효과로서 건강상태와 사회 경제적 상태의 변화 (예; 영아사망률감소)

20 보건프로그램 평가 2. 평가의 범주 1)투입된 노력에 대한 평가(input) 2)사업진행에 대한 평가(process) 3)목표달성 정도에 대한 평가(output) →효과(effectiveness)평가 4)사업효율에 대한 평가(output/input) →효율(efficiency)평가 3. 경제학적 평가 1)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 -비용은 화폐단위, 효과는 결과(outcome)로 표시 -동일한 목표를 가지는 하나의 사업에 있어 어느 대안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결정할 때 사용 2)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비용과 편익은 모두 화폐단위로 표시되고, 편익-비용>0인 경우 가치 있다고 판단함 -비용편익 분석은 효율성을 기준으로 다양한 목적의 여러 가지 사업을 비교하여 우선수위를 결정할 때 사용함

21 신뢰도와 타당도 : 좋은 측정도구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속성을 정확하게 반영해야 하고(타당성), 다른 상황에서도 동일한 측정대상을 측정하면 측정값이 같아야 함(신뢰성) 타당도의 종류 1)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2)구성개념 타당도 (construct validity) 2. 신뢰도의 측정 1)재검사법(test-retest method) 2)복수양식법 (multiple forms technique) 3)이분법(split-half method) 4)알파계수(내적 일관성 분석)

22 수고 하셨습니다.


Download ppt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김해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김 미 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