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방부『조직재설계 및 인력운영 계획수립』 프로젝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방부『조직재설계 및 인력운영 계획수립』 프로젝트"—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방부『조직재설계 및 인력운영 계획수립』 프로젝트
Report August 13th 2010 Wesleyquest Korea Wesleyquest Co. Ltd. The Palladium Group Seoul, Korea TEL: FAX:

2 본 프로젝트는 5단계로 진행되었음 Work Plan 과업수행 통합 Framework Diagnosis & Design
Implementation I. 기능재정의 III. 조직 구조 설계 VI. 중장기 인력운영계획 수립 V. 프로젝트 방안 이행 지원 1.1 환경변화 인식 3.1 조직설계 목표 설정 4.1 인력산정 방안 검토 실행계획 구체화 5.1 국방시설조직의 목표와 추진방향 설정 1.2 3.2 조직구조 모델 도출 및 평가 인력산정 모델링 및 인력규모 도출5 4.2 5.2 실행 방안 수립 인력운영계획 수립 4.3 II. 조직 개편방안 도출 2.1 조직설계의 원칙 2.2 조직설계의 방향 확인

3 목 차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4 목차 환경변화 인식 국방시설조직의 목표와 추진방향 설정 조직설계의 원칙 및 방향 확인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5 국민의식 · 가치관 (Socio- culture)
환경분석 Framework 국방부 내 시설 조직 구조 재설계 방향성 도출을 위한 주요 이슈도출을 목적으로 ‘ISPET1) Framework’을 활용하여 외부환경 및 내부상황을 분석함 환경분석 Framework 세계 안보환경 국내 안보환경 안보환경 (Industry) 국민의식 · 가치관 (Socio- culture) 국민 소득 및 의식 변화 통합 시설 조직 정부환경 (Policy) 경제·기술 환경 (Economy, Technology) 지방자치제도 국방 시설 예산 주요 정부정책 변화 경제환경변화 건설산업 및 기술 1) IPSET : Industry, Policy, Socio-culture, Economy, Technology

6 안보, 국민의식·가치관에 대한 분석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환경분석 및 시사점 안보, 국민의식·가치관에 대한 분석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환경분석 및 시사점 Framework Key Findings 시사점 안 보 세계 안보환경 UN군, 다국적군 평화유지 활동이 증가함 핵·화생방·첨단무기,사이버 戰 주한미군 재배치 간부중심기술집약형 군 구조개편 및 통일 후 대비 요구 방호·특수시설 건설 미군시설 및 해외 주둔 시설 건설 시설수준 향상, 복지 시설 확보 고정구조물 탈피 국내 안보 환경 국민 의식 · 가치관 국민 소득 및 의식 변화 국민소득수준 향상 및 가치관 변화 시민의식 확대에 따른 국방시설 민원증가 주민의견 반영 및 의사결정의 투명성 요구 재산권 침해 보상 및 부대이전 요구 시설수준 향상, 복지시설 확보 주민의견 청취 절차 주민지원, 능동적·복합적 대민관리

7 정부, 경제·기술에 대한 분석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환경분석 및 시사점 정부, 경제·기술에 대한 분석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환경분석 및 시사점 Framework Key Findings 시사점 정 부 지방자치제도 지자체 권한강화로 이전부지 확보 제한 국방시설 소요 증가 및 재원확보 한계 타부처 협의 및 인·허가 규정 강화 저탄소 녹색성장 정부정책 채택 도시계획 연계, 인허가 의제처리 지자체와의 Win-Win방안 적기 군용지 제공 소요와 분배의 최적화 민간투자 활용, 재원 다양화 녹색군 환경정책 국방시설 예산 주요 정부정책 변화 경제· 기술 경제 환경 경제시장 다변화, 신성장동력 창출 요구 지속적인 신기술·신공법 개발 과학적인 건설관리(CM) 기법 활성화 민간 건설분야 세계 경쟁력 확보 군도 경제성장 일원으로 참여 (소비집단 이미지 탈피) 민간우수분야 적극 활용 건설관리(CM) 기법 도입 건설산업 및 기술

8 목차 환경변화 인식 국방시설조직의 목표와 추진방향 설정 조직설계의 원칙 및 방향 확인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9 환경 분석 결과에 따라 조직 설계 추진 방향을 도출함
국방시설조직 추진 방향 설정 환경 분석 결과에 따라 조직 설계 추진 방향을 도출함 환경분석 시사점 추진 방향 안보 방호·특수시설 건설 미군시설 및 해외 주둔 시설 건설 시설수준 향상, 복지 시설 확보 고정구조물 탈피 軍 특수·방호시설의 특성화·전문화 미군 및 해외 軍 시설의 국제기준 연구 근무환경 개선 및 부대이동 유연성 확보 안보환경 대응 국방시설 전문화 시설수준 향상, 복지시설 확보 주민의견 청취 절차 주민지원, 능동적·복합적 대민관리 합리적이고 타당한 예산획득 및 재원분배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군용지 통합관리 시설집행체계의 합리화: 시설집행의 3S (표준화, 특성화,단순화) 국민의식 ·가치관 국방시설 통합지원체계 구축 도시계획 연계, 인허가 의제처리 지자체와의 Win-Win방안 적기 군용지 제공 소요와 분배의 최적화 민간투자 활용, 재원 다양화 녹색군 환경정책 정부 녹색성장 국방시설 모델(그린캠프) 개발 국토발전 균형 사업계획 및 군용지 가치향상 협의·지원·협력 관련 제도정비 및 기능강화 民·軍 상생모델 창출 군도 경제성장 일원으로 참여 (소비집단 이미지 탈피) 민간우수분야 적극 활용 건설관리(CM) 기법 도입 경제·기술 선진화된 건설관리체계 구축 독자적인 건설관리(CM) 체계 구축 아웃소싱 확대 및 내부 전문인력 양성 우수 민간기술(신기술·신공법) 적용 확대

10 조직 설계 추진을 통해 국방 시설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비전, 외부환경 변화주도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국방시설조직 추진 목표 설정 조직 설계 추진을 통해 국방 시설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비전, 외부환경 변화주도 내용은 다음과 같음 국방 시설 조직 비전 및 추진 방향 실용적인 선진 국방시설조직 변화를 수용하고 주도하는 역동적 유기체 조직(Dynamic Organization) 軍이 해야 되는 분야는 핵심역량을 집중하여 특성화·전문화, 민간 우수 분야는 아웃소싱·민간기법 도입 = 전략적 제휴 조직 비전 軍 본연의 전투 임무 여건 보장 - 포괄안보 구현 및 선진강군 뒷받침 재원의 적기확보 및 합리적 분배 - 재정부담 경감 및 국방경영 효율화 도모 국민을 위한 軍 이미지 창출 - 軍 신뢰도 증진, 국민적 공감 확보 선진건설의 능동적 수용 및 전략적 제휴 - 민간건설의 발전 주도, 우수자원 배출 외부환경 변화주도 안보환경 대응 국방시설전문화 국방시설 통합지원체계 구축 새로운 民·軍 상생모델 창출 선진화된 건설관리체계 구축 軍 특수·방호시설의 특성화·전문화 미군 및 해외 軍 시설의 국제기준 연구 근무환경 개선 및 부대이동 유연성 확보 합리적이고 타당한 예산획득 및 재원분배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군용지 통합관리 시설집행체계의 합리화: 시설집행의 3S (표준화, 특성화,단순화) 녹색성장 국방시설 모델(그린캠프) 개발 국토발전 균형 사업계획 및 군용지 가치향상 협의·지원·협력 관련 제도정비 및 기능강화 독자적인 건설관리(CM) 체계 구축 아웃소싱 확대 및 내부 전문인력 양성 우수 민간기술 (신기술·신공법) 적용 확대 추진방향

11 목차 환경변화 인식 국방시설조직의 목표와 추진방향 설정 조직설계의 원칙 및 방향 확인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12 기 도출된 조직 추진 방향에 따라 조직 설계의 원칙 및 방향을 도출함
조직 설계 원칙 및 방향 도출 기 도출된 조직 추진 방향에 따라 조직 설계의 원칙 및 방향을 도출함 조직 추진방향 조직 설계 원칙 및 방향 안보환경 대응 국방시설 전문화 軍 특수·방호시설의 특성화·전문화 설계기준 및 시공지침 정립 및 보완 해외 선진 군 특수시설 연구 미군 및 해외 軍 시설의 국제기준 연구 미군시설 기준(SPEC, Manual, Code)연구 주한미군시설의 국산자재 사용 확대 해외 시설의 국제화(기동성, 표준화, 모듈화)연구 근무환경 개선 및 부대이동 유연성 확보 시설기준의 현실화, 표준도의 다양화 이축개념의 조립식 건물 기준 정립 및 사용 확대 As-Is 개선방향 개선내용 특수분야 연구/ 기술지원 특수·방호시설 주한미군시설 해외 주둔시설 조립식 건물 N/A 신설 기준·표준·품질시험 강화 표준·기준 관리/개발 N/A 고객지원/협의/협력 예산획득 지원 신설 국방시설 통합지원 체계구축 합리적이고 타당한 예산획득 및 재원분배 사업발굴 및 타당성 검토를 통한 예산획득 지원 정보체계에 기반한 소요판단 및 재원 분배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군용지 통합관리 3군 통합 관리 및 지원체계 구축 DB업데이트 및 정보체계 기반 통합관리 시설집행체계의 합리화: 시설집행의 3S (표준화, 특성화,단순화) 3군 공통시설에 대한 표준화 각 군 특수시설에 대한 특성화·전문화 집행절차의 간소화·단순화 정보체계 운영 확대 정보체계 관리/개선 공여재산관리 확대 군용지 관리/개발 제도·기술 검토 제도 연구/정비 집행/관리/협의 절차 입찰/PQ/설계 심의 해외 선진제도 강화

13 기 도출된 조직 추진 방향에 따라 조직 설계의 원칙 및 방향을 도출함
조직 설계 원칙 및 방향 도출 기 도출된 조직 추진 방향에 따라 조직 설계의 원칙 및 방향을 도출함 조직 추진방향 조직 설계 원칙 및 방향 녹색성장 국방시설 모델 개발 그랜킴프 시범(Pilot)시공을 통한 모델 개발 에너지 절감 설계기준 정립/재활용 자재 활용 협의·지원·협력 관련 제도정비 및 기능강화 대관,대민 전담기능 신설 시설사업 및 재산관리 절차 및 협의 제도 개선 국토발전 균형 사업계획 및 군용지 가치 향상 군사시설 사업계획체계 정립 및 도시계획 연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군용지 개발 모델 개발 As-Is 개선방향 개선내용 새로운 民·軍 상생모델 창출 신설 그린캠프 개발/확대 그린캠프 모델 개발 N/A N/A 강화 고객지원/협의 협력 대민·대관 협의/관리 제도·기술 검토 제도 연구/정비 집행/관리/협의 절차 입찰/PQ/설계 심의 해외 선진제도 신설 확대 공여재산관리 군용지 관리/개발 선진화된 건설 관리체계 구축 독자적인 건설관리(CM)체계 구축 특수시설에 대한 자체 건설관리(CM)체계 구축 프로젝트 매니저(PM) 엔지니어링 지원체계 구축 아웃소싱 확대 및 내부 전문인력 양성 3군 공통시설에 대한 건설관리(CM) 외부발주 건설관리(CM) 및 특수시설 전문인력 양성 우수민간기술(신기술·신공법) 적용 확대 시범시공을 통한 시공지침 정립 우수 적용사례 포상 및 사례 교육 단계별 공사집행 자체 건설관리(CM)수행 프로젝트 매니저(PMr) 엔지니어링 지원 설계, 공사, 감리 발주 변경 민자사업 (BTL) 관리 확대 아웃소싱 관리 외부 CM/BTL 관리 N/A 전문인력양성 CM 전문인력 특수분야 전문인력 신설 N/A 신설 민간기술 도입/관리

14 목차 Overall Approach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조직구조 활성화 방안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15 Overall Approach 조직구조 재설계는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3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별 주요활동 및 산출물은 아래와 같음 조직 구조설계 프로세스 Step 1 Step 2 Step 3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주요 활동 : 현 조직구조 이슈 분석 SME* Interview Documentation Review 현 조직구조 이슈에 따른 시사점 도출 To-be 시설본부 비전 및 전략방향에 따른 조직운영 방안 인식 벤치마킹 조직부문별 조직설계 방향 설정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Gap Analysis 조직설계 방향에 따른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본부-지역시설단 조직 구조 설계 산출물 : As-Is 조직구조 분석 결과 및 시사점 도출 벤치마킹 결과 보고서 조직구조 설계 방향성 구축 시설 조직구조 대안 및 평가결과 본부 및 지역단 조직구조(안) *: Subject Matter Expert

16 목차 Overall Approach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조직구조 활성화 방안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17 Interview 결과 요약 시설 조직에서는 SME* 인터뷰 결과, 현 각군 시설조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유사하고, 인터뷰 결과 주요 이슈는 다음과 같음 [ Interview 결과 ] 주요 Issue “기획에서 시설관리까지 일괄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은 우리 군에 없으며 필요성도 못 느꼈습니다” “현업 장교들은 주기에 따라 인력이 교체됨에 따른 Know-how가 쌓이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몇 천억대 프로젝트의 RFP(Request for Proposal)를 만드는 것도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한데 우리 군에 그러한 인력은 없다고 생각되며 그러한 역량 배양이 시급합니다” “우리 군이 작은 금액의 프로젝트로 인해 현장에서 완장을 차고 실사를 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합니다” “우리 군도 FED(Far East District )와 같이 전문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여 특수 사업을 집행할 수 있는 체제로 변화되어야 합니다” “현재 시설본부는 CM을 할 수 있는 조직도는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인 운영은 그러하지 않으며 실질적인 CM을 운영 할 수 있는 기반구축이 필요하다” “과거에 일상적으로 운영 되어졌던 업무 이외에 환경, 표준화, 대미(SOFA) 사업 등과 같은 특수성 있는 업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시설조직 기획에서 시설관리까지 일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CM운영 체계 미흡 실질적으로 CM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역량 부족 CM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 결여 기획•지원조직 그린캠프, 표준·기준 관리 등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 Subject Matter Expert

18 관재조직 모두에서 전문성 및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시설업무 개선 및 조직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Documentation Review 결과 요약 관재조직 모두에서 전문성 및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시설업무 개선 및 조직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Interview 결과 ] 주요 Issue “의정부 지역은 좁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육군, 공군이 별도로 운영하고 있어 대략 17명의 관재인이 활동하고 있으나 일관적으로 운영하면 3명이면 될 것 같다” “육군은 넓은 지역을 관리하나 공군이나 해군은 단지화되어 있어 좁은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현상이 있다 한 조직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면 좀더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리라고 본다” “ 관제 운영에 있어 가중 중요한 요소는 관리 면적과 관리부대수 라고 판단되어지며 조직 운영은 이를 기반으로 운영하면 효율적인 방안이 나오리라고 생각된다” “충청도 지역은 관리 부대수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데 현재는 타 지역과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다” “분임, 재분임를 운영함으로 인한 비 효율성은 현장 중심의 팀운영을 통해 개설 되 수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관재에서 일상적으로 하던 업무 이외에 군 부지의 가치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업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관제조직 육군, 해군, 공군에서 동일 업무에 대한 중복 투여를 통한 비 효율성 발생 국유재산 개발 및 가치 향상 등 선진 업무에 대한 도입 미흡

19 Documentation Review 결과 요약
現 재산관리업무는 국유재산법의 정책적인 한계와 동일 행정기관 내의 관리부대 과다로 인한 다수의 중복업무로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재산관리체계가 부실하다고 판단됨 [ Interview결과 ] 주요 Issue “국유재산법에 의한 재산 관리•처분 제한으로 다양화된 정책개발에 한계가 있습니다.” “군의 특수성을 고려한 군용지관련 법령을 탄력적으로 입법하기에 곤란한 점이 있습니다. 특히 타 법령 입법시에 군용지관련 제한 요소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총괄청의 정책방향과 군용지 독자 관리체계 유지 논의 미완성으로 향후 정책방향 결정에 대한 국방부대안이 부재합니다.” “관재요원 비전문화로 신규업무, 대민업무 소요 대응에 제한이 있습니다.” 국유재산법에 정책적 한계가 존재하고 군용지 관리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관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비효율적인 업무가 초례됨 現 군용지 관리체계는 동일 행정기관 내에 육•해•공 3군과 국직/공여재산 관리가 동시에 관재업무를 집행하므로 관리부대 과다로 인한 중복업무로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함 [Doc. Review ] “151개 관재부대” 재산관리체계 부실 - 중복성 군별 재산관리로 관리체계 이원화 (이중등재 및 누락 개연성) 동일 행정기관내 재산관리부대 과다로 협의 중복 및 지연 ‘통합관재조직 설계방안’ 中… -국유재산과 Work Shop (‘ ) - 해군 15개 육군 80개 공군 22개 국직/공여재산 34개

20 목차 Overall Approach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조직구조 활성화 방안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21 Gap Closing을 위한 조직재설계의 Guiding Principle 도출
Framework 향후 시설본부의 비전 및 전략적 방향성을 바탕으로 현 조직 이슈에 대한 Review 결과 및 선진사례 Benchmarking을 통하여 Gap을 파악하고, Gap Closing을 위한 조직설계방향성을 도출함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Framework 향후 시설본부의 비전 및 전략적 방향성 향후 시설본부가 지향하는 Identity 및 Vision, 그에 따른 전략적 방향성 반영 Issue 정의 및 Gap Analysis As-Is Review 선진사례 Benchmarking* Interview 및 여러 Documentation결과 Review 현 조직구조 이슈 분석 선진사례의 조직구조 설계 원리 및 시사점 분석 Learning from Others Gap Closing을 위한 조직재설계의 Guiding Principle 도출

22 As-Is Review를 통해 파악한 현 시설관리본부 조직구조의 주요 Issue는 아래와 같이 요약됨
전반적으로 현 조직구조는 시설공사와 국유재산관리 모두 비효율적이고 중복적인 업무수행을 운영 중이기 때문에 행정지원/군수 /시설 등 비 전투 관리분야 조직 및 인력 통합 및 슬림화를 추진해야 하고, 국방부 차원에서 통합적 지원기능 수행 가능 체제로 검토해야 함 지원조직도 새로운 업무성격을 가진 기획/지원모델이 필요함 기획에서 시설관리까지 일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CM운영 체계 미흡 시설 공사 실질적으로 CM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역량 부족 CM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 결여 육군, 해군, 공군에서 동일 업무에 대한 중복 투여를 통한 비 효율성 발생 국유 재산 관리 국유재산 개발 및 가치 향상 등 선진 업무에 대한 도입 미흡 지원 조직 그린캠프, 표준·기준 관리 등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23 한미파슨스는 현장 중심의 Matrix조직과 본사 지원의 엔지니어링 팀 운영을 통해 CM 조직 운영을 운영하고 있음
선진사례 벤치마킹 한미파슨스는 현장 중심의 Matrix조직과 본사 지원의 엔지니어링 팀 운영을 통해 CM 조직 운영을 운영하고 있음 한미파슨스의 조직도 조직특성 PD-PM-단장의 운영을 통해 현장중심으로 건설, 토목, 전기, 기술인력이 투입되며 프로젝트 사이즈에 따라 투입인력을 조정함 전문적인 기술력이 필요한 원가, 기획, 시공, 설계 기능은 본사에 있는 엔지니어링 팀을 통해 현장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업무에 대해 지원을 해주며 한 명의 엔지니어링 팀의 인원이 여러 현장을 관리함 1 CEO 감사 COC (부사장) 2 경영기획본부 CM사업본부 HP Global 마케팅본부 CM 운영 체계 1 프로젝트운영팀 본사 현장 1 현장 2 현장 3 기획 설계 원가 시공 2 엔지니어링 팀 한미파슨스의 시사점 엔지니어링 팀 운영을 통한 기술력 강화 현장은 프로젝트 조직운영으로 관리(매트릭스의 조직운영이 아님) Source : 내부자료

24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국내 공공기관 중 선진화된 PM 조직이며 국방부의 시설관리 조직과 가장 유사한 사례라고 판단됨
선진사례 벤치마킹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국내 공공기관 중 선진화된 PM 조직이며 국방부의 시설관리 조직과 가장 유사한 사례라고 판단됨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조직도 조직특성 건설본부는 PM 조직운영에 따라 건설 사업을 추진함 시설본부에서 계획, 시설관리, 재산관리가 일괄적으로 관리 기술본부는 기술력 증대를 위한 기획, 설계, 환경 업무 기능을 별도로 운영함 현장 중심의 시설/재산 관리를 위해 5개 지역본부를 운영함 1 이사장 R경영혁신단 비서실 감사 고객만족지원단 2 부이사장 3 4 1 2 3 4 건설본부 시설본부 기술본부 경영지원본부 수도권 지역본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시사점 호남지역본부 중부권PM팀 서부권PM팀 동부권PM팀 광역철도 PM팀 남북민자 PM팀 청사건립 추진단TF 시설계회팀 시설관리팀 재산관리팀 열차계획팀 건설본부는 PM 중심의 조직운영을 통한 전문화 기술 본부를 통한 건설본부의 기술력 증대 지역본부 운영을 통한 현장 중심화 충청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강원지역본부 중앙궤도 기술단 Source : 내부자료

25 미군의 FED는 사업관리부, 기술부의 운영을 통해 PM 중심의 사업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선진사례 벤치마킹 미군의 FED는 사업관리부, 기술부의 운영을 통해 PM 중심의 사업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FED의 조직도 조직특성 사업 관리부는 현장 중심의 PM 조직으로 운영 현장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부 운영 사령관 1 특별참모 부사령관 2 계약부 정보관리처 군수처 자원처 1 2 사업관리부 공사부 기술부 육군사업관리과 공군사업관리과 건설지원과 품질관리과 기술지원과 FED의 시사점 동두천팀 오산팀 프로제트 발생에 따른 프로젝트 조직운영 PM운영의 기술력 증대를 위한 기술부를 통한 기술력 확보 6개 지역사무소 6개 지역사무소 6개 지역사무소 6개 지역사무소 험프리팀 군산팀 용산팀 환경팀 의정부팀 사업분석팀 Source : 내부자료

26 한국토지주택공사는 CM운영의 조직 운영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현장 중심 사업관리와 건설기술부문을 통한 기술력을 확보 함
선진사례 벤치마킹 한국토지주택공사는 CM운영의 조직 운영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현장 중심 사업관리와 건설기술부문을 통한 기술력을 확보 함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조직도 조직특성 각 사업의 이사제도를 통해 CM조직을 운영하고 있음 각 지역본부를 통한 현장 중심의 사업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건설기술본부의 운영을 통한 CM 조직운영의 지원 국가정책사업지원 및 중•장기적 관점의 신성장사업 발굴 토지주택사업의 업무 표준화 연구 1 2 이사장 5 3 홍보실 비서실 감사 이사회 토지주택연구원 4 1 부사장겸 기획조정이사 보금자리 개발이사 주택사업이사 녹색도시이사 도시개발이사 국토관리이사 5 4 미래전략처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시사점 사업에 따른 CM 조직 운영 사업본부-사업단을 통한 현장 중심 조직 운영 건설기술부문 운영을 통한 기술력 확보 및 이슈 해결 신성장사업을 발굴하여 장기적인 사업방향 구상•설정 건설기준의 품질 및 안전 표준화 지향 2 3 지역본부 경영지원부문 주거복지부문 건설기술부문 13 사업본부 15 직할사업단

27 선진사례 벤치마킹 SH공사는 사장 직속부서로 도시연구소, 고객지원본부, 도시재생본부를 운영함으로써, 향후 시설전담조직 설계 시 좋은 선진사례로 활용 할 수 있다고 판단됨 SH공사의 조직도 조직특성 각 사업에 따른 CM 조직이 운영 됨 기술본부를 통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짐 공사의 장•단기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및 신기술•신자재•신공법 등 각종 기술에 관한 연구 1 사장 2 3 기획조정실 경영지원실 감사 SH도시연구소 3 1 2 고객지원본부 사업 1본부 사업 2본부 도시재생본부 기술본부 보상본부 SH공사의 시사점 건축 건축 사업 본부는 CM 조직 운영 사업본부의 기술지원을 위한 기술본부를 통한 기술력 확보 시설조직의 운영방향 설정 및 신성장동력 확보 혁신과제발굴·선정 및 과제별 추진방향 수립 토목 토목 전기 전기 기술 기술

28 선진사례 Benchmarking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요약·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선진사례 벤치마킹 결과요약 선진사례 Benchmarking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요약·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해외 사례 Benchmarking 시사점 요약 Matrix 조직 운영에 의한 CM조직 운영 시설 공사 건설기술부문 운영을 통한 기술력 확보 및 효율적 지원 업무(기획, Cost, 설계, 시공) 지역본부에 의한 현장 중심의 사업관리 국유 재산 관리 지역본부 통합에 의한 일괄적 시설 재산 관리 건설기준의 품질 및 안전 표준화 지향 지원 조직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 업무 발굴

29 시설본부의 새로운 Identity 구현 및 전략 방향 실행을 통해 다음과 같음 시사점을 도출 하였음
시설본부의 To-be Identity 업무 효율화 실현 및 부족 인력 충원 효율적인 사업관리(CM) 전문조직으로 개편 필요 업무재설계 및 Outsourcing을 통한 조직 경량화 업무재설계를 통한 업무 효율화 및 소요인력 최소화 필요 군 독자적 업무 이외 사업의 단계적 Outsourcing 확대 필요 정보체계에 기반한 시설업무체계 구축 작지만 강력한 조직 구현을 위해 정보체계에 기반한 업무 프로세스 지원 시설 소요제기 및 집행, 공사 관리 감독, 국유재산 관리업무의 정보화

30 타기관 사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사례는 다음과 같음

31 업무재설계 및 Outsourcing을 통한 조직 경량화
Gap Analysis 현 시설본부 조직구조의 Review Issue 및 선진사례 Benchmarking을 통한 시사점 간의 비교를 통해 Gap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시설본부 전략방향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조직구조 재구축의 Guiding Principle을 도출함 As-Is Review Issue 선진사례 시사점 Identity/전략 시사점 기획에서 시설관리까지 일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CM운영 체계 미흡 Matrix 조직 운영에 의한 CM조직 운영 실질적으로 CM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역량 부족 건설기술부문 운영을 통한 기술력 확보 및 효율적 지원 업무(기획, Cost, 설계, 시공) 업무 효율화 실현 및 부족 인력 충원 시설 Gap Closing 필요 CM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 결여 지역본부에 의한 현장 중심의 사업관리 업무재설계 및 Outsourcing을 통한 조직 경량화 육군, 해군, 공군에서 동일 업무에 대한 중복 투여를 통한 비 효율성 발생 지역본부 통합에 의한 일괄적 시설 재산 관리 재산 정보체계에 기반한 시설업무체계 구축 국유재산 개발 및 가치 향상 등 선진 업무에 대한 도입 미흡 건설기준의 품질 및 안전 표준화 지향 그린캠프, 표준·기준 관리 등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지원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 업무 발굴 향후 시설본부의 Identity 및 전략방향을 통해 도출한 조직구조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Guiding Principle을 도출함 현 시설조직구조 Review를 통해 파악된 이슈 및 선진사례의 조직구성원리 Benchmarking 결과를 통해 Gap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2 타기관 사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사례는 다음과 같음

33 목차 Overall Approach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조직구조 활성화 방안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34 건설사업은 CM 조직 체계 구축을 위해 매트릭스 조직으로 개편함
건설사업 집행모델 건설사업은 CM 조직 체계 구축을 위해 매트릭스 조직으로 개편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CM 조직 혁신 주요 내용 매트릭스 조직 구조 및 특징 부서장 건축 토목 전기 기계 PMr 1 PMr 2 PMr 3 PMr 4 OMr 4 프로젝트 팀 멤버 Outsourcing Manager : 외주 CM업체 관리자 Project Manager : 자체 CM수행 관리자 기능(Functional) 부분 : 엔지니어링 스텝 사업관리, 고객지향 조직 구조 사업 관리 조직 구조 재편 - Matrix 조직 CM 조직 혁신 핵심 역량 개발 책임 조직 운영 핵심역량 분야 개발 - CM 이론 적용 - 프로젝트 문제 해결 전문조직 도입 책임조직, 관료 조직 폐지, 수평조직화 - 성과 관리체계 도입 - 팀 중심 조직 - 현업 중심 조직 매트릭스조직 정의 프로젝트 조직과 기능식 조직을 절충한 형태 구성원은 원래의 종적계열(라인)과 함께 횡적(프로젝트) 팀의 일원으로서 임무 수행 매트릭스조직 장점 인력활용 효율성 높음(업무 증감에 탄력적 대처 용이) 전문적 사업관리 능력 습득 및 활용 용이

35 건설사업은 과 내에서 매트릭스 조직으로 운영하고, 기술지원기능을 신설해 프로젝트의 문제해결을 지원함
CM 조직구축 대안 도출 건설사업은 과 내에서 매트릭스 조직으로 운영하고, 기술지원기능을 신설해 프로젝트의 문제해결을 지원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제언 과 내에서 CM체제 운영, 기술지원기능 신설 과내에서 CM체제 운영 PM, 각 기능별 과 별도 운영 운영 대안 건설사업1과 건설사업2과 PM(과) 건설사업1과 건설사업2과 건설기술과 ~ ~ PM PM PM1 PM2 PM1 PM2 PM PM 건축파트 건축파트 건축파트 건축파트 건축파트 건축(과) 토목파트 토목파트 토목파트 토목파트 토목파트 토목(과) 전기파트 전기파트 전기파트 전기파트 전기파트 전기(과) 기계파트 기계파트 기계파트 기계파트 기계파트 기계(과) CA파트 CA파트 CA파트 CA파트 CA파트 CA(과) 개요 과 내에 PM과 기능전문가가 있음 PM과 각 기능별 과가 별도로 운영됨 완벽한 매트릭스 조직구조 과 내에서 CM체계를 운영하되,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기술과를 운영함 특징 Pros 現 조직구조와 유사하여 제도 변경 없이 쉽게 개편 가능함 과 내에서 유연하게 조직운영을 할 수 있음 각 기능 분야를 전문화할 수 있음 프로젝트의 문제해결 기능을 강화하여 PM체제를 지원함 완벽한 매트릭스 조직구조의 관리자 이중체제, 조직 비대화의 단점을 보완함 Cons 과 내에서 자율적으로 CM 운영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CM 운영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음 의사결정 시 양쪽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시간상의 문제와 문제가 생겼을 시 책임론의 문제가 있음 PM 권한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음 조직이 비대해질 수 있음 과 내에서 자율적으로 CM 운영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CM 운영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함 방향성 ‘PM 중심의 조직구축, 기능관리자는 단순히 프로젝트에 기술 전문가들을 배치, 필요 시 전문 지식에 대한 조언만을 담당” “PM 책임과 권한 강화를 위한 제도 뒷받침” “PM 책임과 권한 강화를 위한 제도 뒷받침‘ 각 분야 전문가 확보 및 양성 ”

36 건설사업은 지역시설단에서 자체 수행하여 책임·수평 조직화를 강화함
CM 운영 주체 대안 도출 건설사업은 지역시설단에서 자체 수행하여 책임·수평 조직화를 강화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본부 PM, 단 내 기능조직으로 혼합하여 운영 제언 본부 내에서 사업운영 단내에서 사업 자체 운영 운영 대안 국방시설본부 국방시설본부 국방시설본부 건설사업1과 PM과 건설사업2과 지역시설단 지역시설단 지역시설단 지역시설단 건설사업1과 건설사업2과 건축과 토목과 전기과 기계과 CA과 개요 본부 내에서 건설사업을 운영함 본부 내에 PM과를 두고 지역단은 기능중심조직으로 운영됨 지역단에서 건설사업을 CM체제로 운영함 특징 Pros 모든 사업을 본부가 Control할 수 있고, 프로젝트가 생기면 팀이 꾸려져 파견됨에 따라 인력 효율성이 높음 PM 간 정보 공유 및 멘토링 운영 등 PM 역량 향상에 용이함 PM 운용 효율성이 높음 현업 중심으로 업무가 진행되어 책임조직, 관료 조직 폐지, 수평조직으로의 조직혁신 목표와 일치함 본부에서 Control하기 어렵고, 각 지역단 PM역량에 의해 프로젝트 성과가 좌지우지 됨 금액이 큰 프로젝트의 경우 지역단 내 인원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음 Cons 직원들의 거주지가 불확실하고, 파견 시 체재비 등 출장비가 많이 발생함 지역시설단의 권한이 약해 PM 중심으로 업무가 진행됨. 수평 조직화, 현업 중심 조직에 어긋남 PM이 지역단에 소속되어 있지 않아 소속감 및 팀 결집력의 어려움이 예상됨 “? “PM 역량 강화, 큰 규모의 프로젝트일 경우 본사에서 전 지역시설단 내의 인원을 지원 받아 TFT or 팀을 신설하여 진행” 방향성 “체재비 등 출장비 지원 선행”

37 건설사업조직은 본부의 1부 4과, 지역시설단의 건설사업과로 조직개편을 함
건설사업 조직구조(안) 건설사업조직은 본부의 1부 4과, 지역시설단의 건설사업과로 조직개편을 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조직개편 방향성 조직개편 방향성 1 신설: CM체계 기술지원 건설사업부 CM 기술지원 강화 민간기술 도입 관리 신설 1 2 사업계획과 사업지원과 민자사업과 대미사업과 2 유지 큰 규모 사업의 경우 본사에서 직접 사업 수행 ○○지역시설단 3 개편: 지역 중심의 CM 체계 구축 3 현장 중심 프로젝트 Base 조직운영 PM 권한 강화 지역단 업무량에 따라 복수의 과로 편성 건설사업1과 건설사업2과

38 재산관리는 지역시설단 내 현장팀으로 운영하여 인력 효율성을 높임
재산관리 운영 주체 대안도출 재산관리는 지역시설단 내 현장팀으로 운영하여 인력 효율성을 높임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제언 본부 내에서 재산관리 지역시설단 _지역사무소 지역시설단 내 현장팀에서 운영 운영 대안 국방시설본부 국방시설본부 국방시설본부 재산기획과 재산지원과 재산관리1과 재산기획과 건설기술과 재산기획과 재산지원과 재산관리2과 재산관리3과 지역시설단 지역시설단 지역시설단 지역시설단 재산관리1과 지역관리소 재산관리2과 지역관리소 현장 2팀 현장1팀 개요 본부 내에서 재산관리를 함 지역시설단 내에 지역사무소를 설치하여 지역(국유재산)사무소 내에서 현장업무를 진행함 지역시설단 내에서 현장 운영팀을 꾸려 직접 현장업무를 함 특징 Pros N/A 인당 관리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업무 진행이 수월함 인당 관리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업무 진행이 가장 수월함 중간관리자가 필요 없게 됨(계층구조 단순화) Cons 재산관리는 현장업무로 이동거리 문제로 업무 진행자체가 어려움 계층구조가 3단계로 이뤄져 의사결정이 느리고, 중간관리자가 필요 하는 등 비효율성 존재 N/A

39 재산관리 조직구조(안) 통합된 재산관리조직은 본부의 1부 3과, 지역시설단의 재산관리과로 조직개편을 함. 재산관리과에는 관리면적, 부대수, 민원발생빈도,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팀 구성을 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조직개편 방향성 조직개편 방향성 1 강화: 군용지 가치향상 국유재산부 개발·가치 향상 기능 신설 1 2 재산기획과 관리지원과 대외협력과 2 신설: 고객중심 지원체제 구축 대민·대관협의 기능 신설 갈등관리/고객지원 기능 신설 ○○지역시설단 3 3 개편: 지역 중심의 관재업무 통합 재산관리1과 재산관리2과 현장 중심 지역시설단 내에서 현장팀 운영(계층구조 단순화) 지역단 업무량에 따라 복수의 과로 편성 현장2팀 현장1팀

40 기획·지원부문은 1부, 4과, 1실로 조직개편을 함 조직개편 방향성 기획·지원 조직구조(안) To-Be 조직도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조직개편 방향성 To-Be 조직도 1 강화: CM체계 정착노력 및 인력양성 본 부 장 제도정비 기능 강화 정보체계 기능 강화 CMr 인력양성 기능 추가 감사실/법무실 운영지원과 기획지원부 2 신설: 외부환경에 전략적 대응 1 2 기획총괄과 건설기준과 기술개발과 특수분야 개발·연구 그린캠프 개발·지원

41 지역 시설단은 경기북부, 경기남부, 강원, 경상, 충청전라 지역의 5개단으로 운영함
지역시설단 배치(안) 지역 시설단은 경기북부, 경기남부, 강원, 경상, 충청전라 지역의 5개단으로 운영함 지역시설단 배치(안) 결론 경기북부 경기남부 강원 충청전라 경상 건설사업 건수/금액, 재산관리 면적/부대수 고려, 지역시설단 구성 경기지역에 업무 집중(51%)으로 경기북부, 남부로 나눠 지역시설단 운영 충청과 전라지역은 업무소요 적음(14%)에 따라 1개 지역시설단에서 통합 운영함 지역 건설사업 재산관리 건수 금액 (억원) 면적 (km²) 부대수 경기 664 (50%) 8,833 (51%) 604 1,116 강원 351 (26%) 2,508 (14%) 268 557 충청 98 (7%) 1,319 (8%) 81 149 전라 62 (5%) 963 (6%) 47 154 경상 161 (12%) 3,691 (21%) 290 288 1,336 (100%) 17,314 (100%) 1,290 2,264 평균 267 3,463 258 453

42 시설전담조직은 3부 11과 2실 본부체제와 5개 지역시설단으로 구성됨
조직구조(안) 시설전담조직은 3부 11과 2실 본부체제와 5개 지역시설단으로 구성됨 To-Be 조직 본부 기획지원부 본 부 장 건설사업부 국유재산부 운영지원과 감사실/법무실 건설기준과 기획총괄과 기술개발과 기획총괄 제도정비 인력양성 정보체계 시설표준·기준 시험/품질/안전 특수분야 개발·연구 그린캠프 개발· 지원 사업지원과 사업계획과 민자사업과 사업계획·조정·통제 사업평가 CM 기술지원 민간기술 도입·관리 BTL 사업진행 대미사업과 대미사업 진행 관리지원과 재산계획과 관리계획·조정·통제 개발/가치향상 유지 추가 강화 매수처분 총괄 SOFA협의 지원 대외협력과 대민·대관협의 갈등관리/고객지원 3부 11과 2 실 업무 지역 경기북부 지역시설단 경기남부 지역시설단 강원지역시설단 충청·전라지역시설단 경상지역시설단 5개 지역시설단 운영과 건설사업2과 건설사업1과 재산관리2과 재산관리1과 현장2팀 현장1팀

43 목차 Overall Approach As-Is Review 및 이슈파악 조직설계 방향성 도출 조직구조 대안 도출 및 평가
조직구조 활성화 방안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44 전사 간접 기능의 구분 전사 간접 기능은 ①전사단위의 Control/Monitor, ②대외 정책대응 및 대내 경영방침 이행에 중점을 둔 Corporate Staff 기능과 ③Infra 유지, ④사업부문 Operation 총괄/대행에 중점을 둔 공유지원 (Shared Service) 기능으로 구분됨 전사 간접 기능 구분 Scheme 활동의 예시 (일반적) 1 전사 전략/경영 기획/변화 관리 등 전사 경영방침을 이행하기 위한 활동 자금/투자/예산 등 Financial Resource 관리 및 의사결정 활동 재무회계/세무회계 등 법인 유지를 위한 대외적 필수 활동 성과관리/감사/Risk Mgmt. 등 Control & Monitoring 활동 전사 Control & Monitoring 기능인가? Yes 전사 기획/조정 기능 Corporate Staff No 2 대외 정책기관 또는 대내 경영방침의 이행기능인가? Yes No 3 전사 사업 및 기능 수행의 Infra를 유지하는 기능인가? Yes 인사/물류/총무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Operation의 대행 활동 IT 운영 및 개발/관리회계/인적자원 개발 등 사업 Infra 및 자원 유지를 위한 활동 제품/서비스 광고, 고객지원, 정보관리 등 사업단위의 전략 실행 및 운영을 지원하는 활동 공유지원 기능 Shared Service No 4 사업본부의 Operation을 총괄/대행하는 기능인가? Yes No 사내·외 분사 조직 또는 사업부제 조직과 같이 완결적인 의사결정 및 자원활용 권한과 성과책임을 보유한 조직 내의 지원 기능 활동 해당 사업부서 외에 전사 간접 기능 내에 보유하지 않는 지원 기능 활동 5 사업단위에 대한 단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인가? 사업부 내 지원 기능 Business Support 6 서비스를 제공 받는 해당 사업단위의 운영 및 의사결정 완결성은 어느 정도인가? 서비스에 요구되는 차별화 수준에 따른 유·무형의 비용 발생 정도는 어떠한가?

45 Corporate Staff 조직의 역할 Corporate Staff 조직의 고유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국방부 시설관리조직(안)의 업무분장 상 보유기능 에 대해서, 실질적인 역할 및 효율적 기능 수행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구조의 개선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 Corporate Staff 조직의 역할 국방부 관련 제언 중장기 전략 및 장·단기 사업계획 수립 CEO를 비롯한 경영진 및 전사 위원회의 의사결정 보좌 기능 국방부의 Corporate Staff 역할을 하는 ‘기획조정기능’의 업무분장 상 보유 기능에 대해 향후 CM 조직으로 변경 운영하였을 경우 이를 위한 조직구조의 개선을 검토할 수 있음 전사 경영전략 및 계획 수립 재원조달 계획 및 예산편성·운영 총괄 전사 내 자원배분 및 조정기능 총괄 예산 및 자원관리 전사 단위 주요 프로젝트 수행 신규사업 검토 및 추진 또는 전사 단위 핵심 사업/기능의 Set-Up을 위한 프로젝트 성 과업 수행 Corporate Staff의 핵심 기능 전사 경영성과 목표 수립 및 성과관리 임원 및 단위 조직 별 목표 수립 총괄 및 성과평가 총괄 전사 성과관리 자회사 투자 관리 대외정책 조율 및 제안 투자 사업 발의 및 환경 분석 투자 사업 타당성 검토 및 의사결정 기준 제시를 통한 심의 기능 투자 평가 및 자회사 관리 대외 정책기관 대응 및 관리 정책적 수임업무 협의·조정 국방부 사업 수행에 대한 대외 제안

46 Totally Corporate Control
Corporate Staff 조직의 통합화 역할 필요 간접지원 기능, 특히 Corporate Staff 조직과 관련하여 국방부가 고민해야 할 과제는 의사결정 및 실행사안에 대한 통합/분권화 수준을 규명하고, 통합 과제에 대한 Controllability를 확보하는 것임 기능의 통합/분권화 Spectrum Corporate : Lead Co-Lead Consensus -Decision Input Knowledge /No Input N/A BU : N/A Knowledge /No Input Input Consensus -Decision Co-Lead Lead 1 2 3 4 5 6 7 8 9 Totally Corporate Control Totally BU Control Lead 최종적인 의사결정의 권한(authority)을 가지고 있으며, 과정 전반의 진행 및 단계를 통제함 Co-Lead 공동의 의사결정 권한 및 책임을 지님. 다른 주체의 동의 없는 단독 의사결정 권한이 없음 Consensus-Decision 최종 의사결정의 적정성에 비추어 합의 판단을 해야 하며, 실행 전반의 책임을 공유함 Input 최종 의사결정에 필요한 각종 Data 및 정보를 제공하고, 과정 전체 또는 일부에 참여 Knowledge/No Input 의사결정 결과의 실행과정 전체 또는 일부에 관여되어 있고, 결과를 통보 받음 국방부의 경우, 주요 전략적 의사결정 및 변화를 위한 과제 추진 시 Corporate Staff과 각 본부 단위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할 것이며 실질적으로 전사 차원에서 Lead하고 협의되어야 할 과제들에 대해 집중 해야 할것임 업무분장 상의 역할 명시와 더불어 조직 및 의사결정 구조의 변화를 통해 통합과제에 대한 Controllability 확보 필요

47 Corporate Staff 조직 발전 단계
Corporate Staff 조직은 일반적으로 지원총괄부문 조직장의 의사결정 지원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조직의 규모 성장 및 전문성 강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CEO 의사결정 지원기능 강화, 사업부 Staff 기능 이관 등으로 발전하게 됨 Corporate Staff 의 발전 단계 Stage 3 Stage 2 전사 조직 및 각 사업부 조직이 성장함에 따라 CS의 일부 기능이 각 본부에 귀속되고, CEO 직속 기구에서 사업부 Staff 조직을 조정,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함 Stage 1 CEO 직속의 보좌 기구화하여 전사 정책 기획/실행을 주도하고, 각 사업부의 내부 Consultant 역할을 수행함. 조직 내·외부에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Professional 조직화 역할 지원부문 산하에 Corporate Staff에 해당하는 기능을 두고 지원부문장의 의사결정 지원을 통해 기획/조정 기능을 수행함 CEO CEO 조직 HQ BU BU CS 국방시설본부 CS 기능적 통합 재산기획과 재산지원과 본부 본부 본부 사업부 Staff 사업부 Staff 지역시설단 <현재 국방부> <국내 대기업> <해외 선진사례>

48 통합적인 경영 의사결정 및 전략 이행 시스템을 조직 내에 Built-In 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Control Tower 조직의 통합 역할 Control Tower 조직은 전사 기획 기능 조직 및 각 사업 단위의 일관된 전략수행을 Monitoring하고 변화 이행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통합 경영 시스템을 조직 내에 Built-in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함 Control Tower 조직의 통합 역할 전사 – 사업단위 간 전략 및 목표 일치 중기계획 및 단기 실행 안의 통합 계획과 의사결정의 통합 계획 실행과 성과관리의 통합 전사 단위에서 설정된 전략 방향성이 부문별 목표 수립 과정으로 연계되는지 Monitor 각 단위조직의 전략 목표 및 과제 설정에 대한 명확한 Feedback 중기경영 계획 하에서 단기적 실행 안의 정합성을 Review 각 단위 조직의 사업계획 수립 시 공통의 환경분석 및 이해에 기초하여 진행하도록 함 변화 이행 계획에 따라 전사 및 단위조직의 예산 활용/투자 의사결정 등이 이행될 수 있도록 함 전략과 목표의 달성도 측정을 위한 성과관리 지표 개발 촉진 성과관리 정보를 활용한 계획 실행 촉진 활동 수행 실행 방안 명확한 전략적 방향성 신속하고 일관된 계획 변화 전략에 따른 의사결정 책임 경영 통합적인 경영 의사결정 및 전략 이행 시스템을 조직 내에 Built-In 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49 서비스/사업 기능 조직의 High-Level 조직구조는 아래와 같이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함
Back-Office Profit Center 전사 서비스/사업 단위의 마케팅 기획 신규 서비스 진출 정책적 수임 기능 조사/홍보/E-마케팅 등의 전문 기능 국방부의 고유 Mission 관련도가 낮은 Service-Provider 기능 자체적인 수익 창출 단위 사업 Geographic Coverage를 위한 기존 해외 지사망 확대 및 국내 지사망 신규 구축 Front-Office

50 Global 조직의 조직구조 설계 Trend* 국방부 시사점
선진 기업들은 조직단계 축소, 팀제 운영, 현장 중심의 Network 조직, 기능 통합화 등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 중 국방부는 단기적 조직구조 이행을 통해 충족되지 않은 조직단계 및 의사결정 구조의 Slim화를 중장기적 과제로 인식해야 함 Global 조직의 조직구조 설계 Trend* 국방부 시사점 조직단계 및 의사결정 구조의 Slim화, 시장 대응력 증대를 위한 현장 Network 조직, 기능 간 통합 등이 지배적인 추세임 국방부의 경우, 단기 조직 이행 안을 통해 현장 Network 조직화, 기능 통합화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장기적으로는 조직단계 및 의사결정 구조의 Slim화가 요구됨 Creating a slimmer and flatter organization More work is being undertaken in teams Creating market responsive network organization Functions are becoming more inter-dependent Flexibility and temporary arrangements Organizations are becoming more interdependent 88% 79% 78% 71% 55% * Hewitt Research, 1990

51 GE의 경우 중층적인 조직구조의 개선을 통해 신속한 프로세스 및 다양성, 자율성이 강조되는 조직문화를 구축한 사례가 있음
선진 사례 Benchmark – GE GE의 경우 중층적인 조직구조의 개선을 통해 신속한 프로세스 및 다양성, 자율성이 강조되는 조직문화를 구축한 사례가 있음 GE의 조직 운영 체제 전환 사례 1980년 이전(레지날드 존스 시대) 1981년 이후(잭 웰치~제프리 이멜트) 중층적인 계층 구조 Corporate-Sector-Group-Division-Department에 이르는 5단계 계층 구조 속도가 느린 기획 프로세스 Corporate-Sector-SBU-Business Segment에 걸쳐 중복되는 기획 프로세스 단순한 계층 구조 Sector라는 계층을 삭제하고, Business로 하부 구조를 통일 신속한 기획 프로세스 Corporate staff의 권한을 축소 사업 담당자와의 대면 토론을 강조 의사결정 구조 조직 문화 획일적이며 관료적인 조직 문화 사업 특성에 관계 없이 동일한 급여 체계와 동일한 복장을 강조 지식 전달을 위주로 한 주입식 교육을 통한 조직 문화 구축 다양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조직 문화 구축 사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급여 체계와 관리 방식 채택 연수원을 적극적으로 활용, 리더 육성 및 혁신 아이디어를 전파`

52 목차 적정인력 산정 목적 인력산정 방안 검토 인력산정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53 적정인력 산정 목적 적정인력 산정은 업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력현황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효율적 업무 수행 및 합리적 인력운영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임 적정인력 산정 목적 1 업무 및 인력 현황의 적정성 파악 2 업무 효율화 및 합리적 인력운영 방향성 도출 현재 업무량의 과소/과다 여부 파악 개인 및 조직의 주요 업무 내용을 분석하고 업무수행 시간 산정을 통해 현재 업무량의 적정성을 검토함 업무 수행방식 검토 현재 수행되는 업무방식에 대한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향후 업무개선을 통해 효율화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함 조직간 R&R 정합성 검토 업무분장의 조직 적합성을 분석하고, 타 조직과의 중복된 업무 여부 파악 인력의 과부족 원인 분석 근무시간 대비 현재 구성원의 업무량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인력 규모를 도출함 인력의 과부족 현상을 업무량 및 업무수행방식을 기준으로 검토·분석하여 주요 원인을 도출함 업무 개선 방향성 분석 현재 수행되는 업무의 비중 및 중요도를 고려하고, 향후 전략적으로 강화 및 축소해야 할 업무를 정의함 조직간 중복되는 업무는 조직 적합성, 효율성을 기준으로 역할과 책임을 명확화 함

54 거시 적정인력 산정 개념 거시 적정인력 산정은 인력규모와 민감도가 높은 주요 변수를 파악하고, 각 변수와 인력규모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변수 변화에 따른 적정 인력 규모를 추정하는 것임 거시 적정인력 산정 개념 총인력 (명) 200 400 600 800 1000 개념 매출액, 부가가치, 인건비, 생산성 등 인력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Index)와 인력 규모 간의 실제 영향 관계를 고려하여 적정인력 산정 C B 장점 환경의 변화 등 경영 의사 결정 시 Human Resource Planning을 위한 기준 Tool로 활용 가능 정원 산정 Model 개발 및 활용이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함 변수 추이(Data) 누적을 통한 Model Upgrade 가능 A 단점 정교성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활용도 측면 저하 예상 실제 업무량 분석에 기초한 정교한 적정인력 산정 방식이 아님1) 인력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비계량적 측면(예; 인적 자질 등) 반영 곤란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변수 1) 실제 업무량 분석에 의한 정원 산정은 미시 적정인력 산정에서 수행함

55 거시 적정인력 산정 방법 업무의 범위가 넓은 마케팅 본부의 특성상 업무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모두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해야 하므로 생산성 분석법으로 거시적 적정인력을 산정함 거시 적정인력 산정 방법 방법 개념 장점 단점 비고 적용 경영전략 분석법 중장기 경영전략(사업 확장/축소/ 신규/철수)을 기반으로 강화/약화 대상 기능(조직)들에 반영될 인력 조정 기준 정립 중장기 경영 전략 및 조직 운영 전략 반영 미래 지향적 정원 산정 비계량적 방법으로 타사와의 비교 등이 곤란 독립적인 단일 방법으로 적용 곤란(타 방법과의 병행이 필요) 비계량적 분석 방법 시 계 열 자 료 분 석 법 부가가치 분석법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 중 구성원에게 배분될 몫(노동분배율)과 인당 평균 인건비에 기초한 적정 인력 규모 산정 회사의 지불여력과 인당 인건비 수준을 고려한 정원 관리 가능 부가가치 변동에 따라 적정 인력규모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시 매년 적정인력을 산정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비용 증가 노동분배율과 인당 평균 인건비의 사전 결정 필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방식 매출액 분석법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된 매출액 중 구성원 1인이 창출한 매출액과 생산성 향상지수를 고려한 적정 인력 규모 산정 방식 매출액 및 생산성 향상수준을 고려한 정원관리 가능 자료수집 용이 손익분기점이나 목표이익과 상관없이 전년 대비된 수치이므로 추가인력이나 불필요인력이 포함될 수 있음 부가가치 분석법과 유사 생산성 분석법 인력 규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영향변수들의 과거 Data와 인력 규모 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향후 영향 변수 변화에 따른 적정 인력 규모를 산정 과거 몇 년간의 인력 규모와 관련 영향 변수 간 통계적 검증을 통해 신뢰도 확보 다양한 변수 검토 가능 충분한 기간과 신뢰도의 Data 확보 필수 경영전략 변경 등 특정 상황에 따른 Model 수정 필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종합적 판단 가능

56 목차 적정인력 산정목적 인력산정 방안 검토 인력산정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57 적정인원 산정을 위한 방법론은 크게 미시적 · 거시적 접근방법이 있음
시설전담 조직 비전 및 경영목표 적정인원 산정 방법론 적정인원 산정을 위한 방법론은 크게 미시적 · 거시적 접근방법이 있음 Top-Down (Cross-section Regression) Bottom-Up (Activity Analysis) 벤치마킹 직무별 업무량 인력규모와 연관도가 높은 거시 지표 설정 정원관리 시스템 인력규모 Target에 따른 인원 산정 인원 구성 계획 업무별 비중 및 표준처리 시간 분석 지표별 예측 및 적용에 따른 민감도 분석 각 부서별 인원 산정 경쟁사 또는 벤치마킹 대상과의 비교 분석

58 시설조직 통합 및 효율화 구현을 위하여 목표지향적인 거시적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함
적정인력 산정 방안 검토 시설조직 통합 및 효율화 구현을 위하여 목표지향적인 거시적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함 Bottom-up : 표준업무량에 따른 인력산정 Top-down : 거시적 지표에 따른 인력산정 직무분석/업무량 분석 등 작업시간과 작업량 산출을 토대로 인력규모 산정 업무량 ÷ 표준인시 경쟁사 대비 부가가치 비교를 통한 전략 의사 결정에 따른 인력규모의 Target제시 개념 특징 일반적으로 인원 수(Headcount) 및 적정 근로시간을 기반으로 한 효율화에 초점이 있음 1인이 창출한 생산성과 생산성 향상지수를 반영한 적정 인력 규모 산정 방식 장점 정량적인 Data에 의한 설득력 확보 세부적인 업무별 인력 산정이 가능 효율적 인력운영에 따른 생산성 향상수준을 고려한 정원관리 가능 최고 경영자의 의사 결정에 따른 명확한 인력 산출 가능 단점 인력의 질적 요소에 대한 고려를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음 업무량 작성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됨 직무분석을 통해 단위업무 및 표준인시의 객관적 산정 필요 비교 가능한 동종 업계의 Data 확보가 어려움 Target 달성을 위한 내부 역량 증대 Infra가 고려되어야 함 시설조직의 통합 및 업무 효율화가 목적이므로 생산성 향상 수준을 고려한 거시적 방법이 적합 직무분석 및 데이터의 제한으로 미시적 방법의 정확도 불확실

59 목차 적정인력 산정목적 인력산정 방안 검토 인력산정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60 거시 적정인원 산정은 아래와 같이 3가지 Process로 진행함
거시적 인력산정 프로세스 거시 적정인원 산정은 아래와 같이 3가지 Process로 진행함 거시 적정인원 산정 Process Step 1 Category 조직별 주요 변수 도출 Step 2 선진사 대비 생산성 비교 분석 Step 3 Category 조직별 인력 소요 산정 주요 활동 : Data 수집가능 범위 내에서 조직의 인원규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수를 열거함 열거된 변수를 대상으로 조직별 인원규모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가 낮은 변수를 제고하고, 다중공선성을 분석함 동종업계 생산성 비교 분석 인력규모의 Target제시 Target별 인력소요 산정 Target catch-up 을 위한 인력운영 제고 방안 산출물 : 조직별 변수 도출 변수와 인원간 회귀식, 상관계수 군 시설조직, 한미파슨스, 한국철도관리공단 생산성 분석 결과 보고서 조직별 인력규모

61 분류된 Category 별 인력 동인 변수 Pool을 도출한 후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최종 인력동인 변수를 확정함
인력동인 변수 확정 분류된 Category 별 인력 동인 변수 Pool을 도출한 후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최종 인력동인 변수를 확정함 인력동인 Pool 상관관계 분석결과 확정변수 건설사업 변수 상관관계 분석결과 건수 금액 1 건설사업 건수 금액 ‘공사금액’ 공사건수와 금액 각 변수간에 상관관계 계수가 높게 나타남 변수간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공사금액 한가지 변수만 사용함 재산관리 변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재산관리 필지 면적 부대수 필지 면적 부대수 1 ‘관리면적’ 필지, 면적, 부대수 각 변수간에 상관관계 계수가 높게 나타남 변수간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면적 한가지 변수만 사용함 기획지원 유사기관의 집행인력에 대한 비율을 벤치마킹 하여 집행인력의 적정비율을 적용함

62 변수와 인원간 다중 상관계수가 공사금액은 0.95, 관리면적은 0.79로 높음
변수와 인원간 상관계수 변수와 인원간 다중 상관계수가 공사금액은 0.95, 관리면적은 0.79로 높음 건설사업 부문 재산관리 부문 공사금액(지역별)과 인원간 회귀식 관리면적과 인원간 회귀식 공사금액(억원) 관리면적(km2) Y= X+526.9 Y=(1.21E-07) X 인원 인원 다중 상관계수 0.95로 인원에 대한 공사금액간 설명력은 95%로 매우 높음 다중 상관계수가 0.6이면 상관관계가 있다고 봄 다중 상관계수 0.79로 인원에 대한 관리면적간 설명력은 79%로 매우 높음 다중 상관계수가 0.6이면 상관관계가 있다고 봄

63 건설사업’08년~’09년 2개년 공사금액 평균은 1조 7313억, 인원은 1238명, 집행능력은 1인당 11.5억원 임
건설사업 집행능력 분석 건설사업’08년~’09년 2개년 공사금액 평균은 1조 7313억, 인원은 1238명, 집행능력은 1인당 11.5억원 임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08~’ 특별회계 /복지 4572억 323억 118억 223억 ‘08 신형공사 5,624억 2,150억 1,223억 1,155억 2,910억 ‘09 신형공사 7,469억 2,867억 1,093억 652억 4,248억 ‘08~’09 총 공사금액 1조7665억 5017억 2639억 1925억 7381억 ‘08~’09 평균 8833억 2508억 1319억 963억 3690억 인원수 656명 256명 91명 59명 129명 1조 7313억 1238명 14억/인 (본사 47명 포함) 군의 집행능력

64 건설사업 집행능력(생산성) 비교 現 건설사업의 집행능력은 한미파슨스 72억 5천만원, 철도시설공단 61억 5천만원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취약하므로 집행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집행능력(생산성)비교 시사점 공사비 3조8353억원 現 시설공사의 집행능력은 11억 5천만 원임 민간기업 CM 선진사례인 한미파슨스는 집행능력이 72억 5천만 원 임 또한, 공공기관 中 사업관리(PM)체계를 도입하여 성공한 철도시설공단의 경우 ’04년 집행능력이 24억에서 도입 이후(’07년) 61억5천만 원으로 3배 가량 높아짐 現 시설공사의 집행능력은 14억 원으로 집행능력이 취약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함 High 인원 529명 (‘09) ) 집행능력 72억5천만 원 공사비 3조8654억원 사업관리 도입 후(‘07) 인원 629명 3개 조직 노동생산성 평균 45억원 집행능력 61억5천만 원 공사비 2조2981억원 (‘04) 인원 1017명 사업관리 도입 전(‘04) 집행능력 22억 공사비 1조 7000억원 인원 1238명1) 現 군 시설조직(‘08~’09 평균) Low 집행능력 14억 원2) Low 3개 조직 인원 평균 928명 High 1)사병과 지원인력을 제외한 실제 집행에 투입된 인력 2)대미사업과 BTL 제외

65 철도시설공단은 집행능력이 ’04년 22억에서 PM도입 이후(’07 기준) 61억 5천만원으로 2.8배 향상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사업관리(PM)체계 도입 개요 성과 설계와 시공 단계의 단절, 책임/권한 분산•불명확, 사업통합관리 역량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해 Project 통합 및 공정 조정을 위해 사업책임자(PM) 역할 도입으로 책임건설체계를 구축함 취지 조직 및 인원 변화 ’04년 (PM 도입 전) ’07년 9월 (PM 도입 후) 일반철도건설본부 고속철도 본부 건축계획팀 토목팀 궤도팀 건축탐 차량기지팀 기술실 기술기획팀 토목설계팀 건축설계팀 전기설계팀 건설본부 기술본부 중부권 PM팀 서부권 PM팀 중부권 PM팀 일반토목기술팀 고속광역토목기술팀 궤도기술팀 건축기지기술팀 조직 운영 설립 당시에는 토목, 궤도, 건축 등 기능중심으로 건설사업이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KR의 중장기 비전인 ‘PM전문 공기업’에 맞추어 PM중심으로 조직을 개편·운영하고 있음 설립 당시 설계만 담당하던 기술실이 건설본부의 기술지원과 통합됨에 따라 기술부문 강화되어 PM 의 기술적 자문을 담당함 ‘04 공사비 2조2981억원 인원 1017명 집행능력 22억 ‘07 공사비 3조8654억원 인원 629명 집행능력 61억5천만원 Source : 한국철도시설공단 조직진단 및 인력진단 용역 보고서(‘ 씨스톤컨설팅)

66 특히, 철도시설공단은 사업관리성과를 지표화하고, 실행계획을 과제화하여 사업관리를 정착시킴
<참고> 공공기간 PM(사업관리)체계 선진사례 : 특히, 철도시설공단은 사업관리성과를 지표화하고, 실행계획을 과제화하여 사업관리를 정착시킴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년도별 사업관리 수행 성과 목표 및 계획 시사점 도입기 정착기(계획) 사업관리 수행성과 1) (점) KR은 사업관리 전문화를 전략과제화, 사업관리 전문조직 정착 역량강화를 전략목표. 사업관리 수행성과를 지표화하여 관리하고 있음 수행성과 목표 달성을 위해 시스템 도입, 인재양성, 표준화, 사업관리시스템의 적기 입력을 위한 모니터링 강화 등의 계획을 수립, 이행함 PM 온라인 교육시스템 개발 국제인증 심사원 133명 85점 ’06년 1월 PM 전문 조직 개편 프로젝트 평가제도 지원시스템 81점 국제사업 관리전문가 926명 인재양성 사업관리시스템의 적기입력을 위한 모니터링 강화 77점 사업관리시스템의 적기입력을 위한 모니터링 강화 ’06년 6월 사업관리 시스템 도입 71점 사업관리 COP(Community of practice)방 개설 통합공정 보고서 작성 64점 PM 역량향상 교육과정 개설 1)사업성과수행성과 : 성과달성 부문(사업비 집행율, 공정달성율 등) 과 업무수행 부문(사업관리 시스템 활용률, 업무 수행절차 등)을 지표화하여 평가함 년도 Source : 한국철도시설공단 내부자료 중기경영목표

67 ’06년 국내 업체로는 최초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의 ENR지에 의해 미국을 제외한 세계 18위의 CM회사로 랭크됨
한미파슨스는 집행능력이 설립(’96) 당시 40억원에서’09년 72억 5천만원으로 향상됨. 특히,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통해 집행능력을 극대화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CM사업 확장 개요 역량 매출액 (억원) 공사비 인원 집행능력 3조8360억ㅓㄱ억 연혁 ’06년 국내 업체로는 최초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의 ENR지에 의해 미국을 제외한 세계 18위의 CM회사로 랭크됨 959 529명 72억5천 803 공사비 인원 집행능력 3조2120억원억원 547명 58억7천 엔지니어링 역량 프로젝트 기획 사업성 검토 시공성 검토 시공 계획 수립 프로젝트 일정 검토 Cost Planning 계약/발주관리 설계기획 핵심기본 설계 능력 설계대안 제시 설계 적정성 검토 VE(Value Engineering)&LCC(Life Cycle Cost) 기술력 공사비 인원 집행능력 1조80억원 252 273명 37억9천 공사비1) 인원 집행능력 2560억 64 64명 40억 ‘96 …. ‘04 ‘08 ‘08 년도 Source : 2008 한미파슨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한미파슨스 홈페이지 1)공사비는 CM평균 수익률 2.5%를 적용함. 공사비= 매출액÷2.5%

68 現 건설사업 집행능력은 시설과 전투 임무 병행, 전문성 부족, 특히, 소규모 다수 사업 등의 이유로 저조한 것으로 파악됨
건설사업 집행능력(생산성) 저조 사유 現 건설사업 집행능력은 시설과 전투 임무 병행, 전문성 부족, 특히, 소규모 다수 사업 등의 이유로 저조한 것으로 파악됨 건설사업 재산관리 시사점 기획·지원 [ Interview결과 ] “시설과 전투 임무를 병행하는 모순적인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주 업무가 인·허가 절차, 민원관리만으로 인해 전문적인 기술 능력 배양의 기회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내부 역량 향상에 대한 모색이 없던 것이 사실입니다” “각 부대에서 건설사업을 진행해 표준화 된 매뉴얼이 없어 육군, 공군, 해군의 매뉴얼은 공통적이 못했었다” 군 시설조직의 집행능력은 ① 시설과 전투 임무 병행 ② 소규모 다수 사업(10억 미만 건수 79%) ③ 다수의 인·허가 절차, 민원관리 직접수행, ④ 전문성 부족 등의 이유로 저조하다고 판단됨 [Doc. Review ] 10억 미만 사업이 전체건수의 89%를 차지하나 공사금액은 14%에 불과함 대규모 사업과 동일한 절차가 필요해 대규모 사업에 비해 인력이 비효율적으로 활용됨 구분 건수 비율 금액 (억원) 10억 미만 1,065 80% 2,340 14% 10억 이상 271 20% 14,974 86% 1,336 100% 17,314

69 소규모 다수사업은 사업관리(CM) 아웃소싱을 통해 집행능력 1.73배 집행능력 향상을 제고함
건설사업 집행능력(생산성) 제고 방안 ① 소규모 다수사업은 사업관리(CM) 아웃소싱을 통해 집행능력 1.73배 집행능력 향상을 제고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구분 건수 금액 (억원) 건수와 금액에 동일 가중치 부여 가중치 고려 인력 비율 아웃소싱 O, X 소요인력 10억 미만 1,065 (80%) 2,340 (14%) 47% (582명) 58명 10억 이상 271 (20%) 14,974 (86%) 53% (656명) × 656명 1,336 (100%) 17,314 (100%) 100% 422 716명 소규모 사업도 집행절차는 대규모 사업과 동일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 소요 → 건수와 금액에 동일 가중치 부여 가중치 고려 시 인력비율 = 10억 ↓ : 10억↑ = 47% : 53% 10억원 미만 사업을 지역시설단 별로 통합(Bundling)하여 사업관리(CM)아웃소싱 → 아웃소싱 관리 소요 59명 58명 = 자체 수행인력 X 아웃소싱 시 소요 비율(10%) = 총인력(1,238명) X 가중치 인력비율(47%) X 10% 아웃소싱 비용 → 약 94억원 94억원 = 10억 ↓ 사업비 X CM fee = 2,340억원 x 4%

70 육군 대규모 보수 공사를 CM 아웃 소싱하여 집행능력(생산성)을 제고함
건설사업 집행능력(생산성) 제고 방안 ② 육군 대규모 보수 공사를 CM 아웃 소싱하여 집행능력(생산성)을 제고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現 대규모 보수 수행인력 기획·지원 30사단 보수공사 현황(’09년) 구분 금액(억원) 건수 6.05 122 대규모 보수 2.71 13 소규모 보수1) (격별보수제외) 3.34 109 現 대규모 보수 수행인력 소요판단/계약행정 : 간부 1, 행정병 1 공사감독 : 감독관 0.5, 감독병 1 ‘간부로 환산 시 2.5명’ 육군 대규모 보수 공사 CM 아웃 소싱 시 수행 인력 육군 보수공사 현황(‘08~’09년 평균) 구분 금액(억원) 건수 790 대규모 보수 451 1,123 소규모 보수 (격별보수제외) 339 아웃소싱 現 대규모 보수 수행인력 추정 10%적용, 42명 416명 2) 1)육군 소규모 보수 세분 : 격별보수(25%), 위임보수(65%), 전체지원(10%) 2)30사단 수행인력(간부2.5명)을 금액에 비례 적용하여 산출

71 또한, 단계별 사업관리(CM)체계 정착을 통해 집행능력을 제고함
건설사업 집행능력(생산성) 제고 방안 ③ 또한, 단계별 사업관리(CM)체계 정착을 통해 집행능력을 제고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CM체계 실행 로드맵 3단계 : CM 성숙기 2단계 : CM 정착기 2018~2020 단계 1단계 : CM 도입기 2014~2017 시설물관리 시스템 구축 지식관리 시스템 운영 년도별 전문 인력양성 1인당 집행능력 4배 목표 2011~2013 사업관리 시스템 정착 인사체계 시스템 고도화 (BSC1), SEM2) 체계 구축) 원격지 근무지원 시스템 구축 CM 아카데미 운영 CM 자격관리 절차 수립 1인당 집행능력 3배 목표 시기 주요 추진 전략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 인사체계 정립 (평가, 보상체계 설계) 사업 관리 절차서 작성 표준업무 분류 체계 확립 BPR 전략계획수립 ISP 전략계획수립 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품질,환경,안전 부문 CM 교육체계 정립 1) Balanced Scorecard 2) Strategy Enterprise Management

72 건설사업 집행능력 목표는 ’11년 현재의 2.14배로 인당 30억원으로 함
건설사업 집행능력(생산성) 제고 목표 건설사업 집행능력 목표는 ’11년 현재의 2.14배로 인당 30억원으로 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단계별 집행능력 제고 목표 결론 기획·지원 High Low 14 억원/인 現 시설공사 공사비 인원 30 현재의 2.14배 42 56 현재의 3배 현재의 4배 2011 2014 2018 ’08, ’09년 평균 공사비는 1.7조원, 인원은 1,238명으로 집행능력은 14억원/인임 시설업무 분리, 전담조직으로 통합, 소규모 사업의 사업관리(CM) 아웃소싱, 사업관리(CM) 체계 활성화를 통해 생산성 목표를 ’11년은 현재의 2.14배인 30억원/인, ’14년 현재의 3배인 42억원/인, ’18년 현재의 4배인 56억원/인으로 함

73 ’11년 건설사업 적정집행인력은 663명임 인력규모 건설사업 인력 소요 To-Be 조직도
재산관리 기획·지원 인력규모 To-Be 조직도 본 부 장 감사실/법무실 운영지원과 1 ’11년 신영공사 생산성 목표에 따른 적정인력은 577명임 (17,314억원 ÷30억원/인) 대규모 보수공사 집행 소요인력은 42명임 본부의 사업계획과, 사업지원과, 지역시설단의 건설사업과가 해당됨 기획지원부 건설사업부 국유재산부 1 기획총괄과 사업계획과 재산계획과 건설기준과 사업지원과 관리지원과 2 기술개발과 민자사업과 대외협력과 대미사업과 운영과 건설사업2과 건설사업1과 현장2팀 현장1팀 경기북부 지역시설단 경기남부 지역시설단 강원지역시설단 충청·전라지역시설단 경상지역시설단 재산관리2과 재산관리1과 1 민자사업과, 대미사업의 적정인력은 현재의 44명으로 함 2

74 재산관리능력은 관리능력 최상위자가 16.2km2 /인, 최하위자가 0.056km2 /인으로 부대별 관리면적 Gap이 큼
재산관리능력 분석 재산관리능력은 관리능력 최상위자가 16.2km2 /인, 최하위자가 0.056km2 /인으로 부대별 관리면적 Gap이 큼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現 재산관리 능력 분석 시사점 High Low 1인당 관리 면적 평균 k㎡ 現 329명 관리능력 최상위자 16.2km2 /인 관리능력 최하위자 0.056km2 /인 (관재담당, 겸직 0.5, 병 0.2) 4.7 k㎡/인 관리면적 現 총 관리면적은 1,290km2 총 인원 329명(겸직은 0.5, 병은 0.2 적용) 으로 1인당 관리면적 평균은 4.7 k㎡ 임 관리능력 최상위자가 16.2km2/인 , 최하위자가 0.056km2/인으로 권역별 통합 관리가 아니라 각 군의 부대별 관리로 인하여 현재는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관리하는 인력이 존재함 인원

75 現 재산관리 능력은 관재인원의 부대분산 배치로 부대별 업무 수행 격차가 큰 것으로 파악됨
부대별 재산관리능력 gap 및 저조 사유 現 재산관리 능력은 관재인원의 부대분산 배치로 부대별 업무 수행 격차가 큰 것으로 파악됨 건설사업 재산관리 시사점 기획·지원 [ Interview결과 ] “각 군의 부대별 관리로 인하여 적은 면적이라도 한 명의 관재인원이 존재함으로 인해 비효율성이 존재합니다” “관재담당관이 1~2명 분산배치 되어 업무절차 습득에 다소 시간이 걸려 개인역량 편차가 날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정보체계시스템이 없어 자료 입력 등 수기로 운영하고 있어 비효율성을 안고 있습니다 ” 재산관리능력은 ① 관재인원의 사단급 별 부대분산 배치 ② 1~2명이 분산배치 되어 업무담당관의 능력 및 성향이 크게 좌우 등의 이유로 부대별 업무 수행 격차가 심하다고 판단됨 또한, ① 정보체계 시스템 부재, ② 재산관리 계층구조로 업무 효율화가 저해됨 [Doc. Review ] 부대_군단_사단급 별로 재산관리관이 지정됨 실질적인 현장관리는 74개 군단 /사단급 재분임 재산관리부대가 실시함 현장관리자 외에 중간 관리업무 수행인원이 존재하여 업무의 비효율성이 증가함 관리청 재산관리관 (예: 육군참모총장) 분임재산관리관 (예 : 1군사령관) 재분임재산관리관 (예 : 15사단장)

76 재산관리 계층구조를 단순화하여 인력을 효율화함
재산관리능력 제고 방안 ① 재산관리 계층구조를 단순화하여 인력을 효율화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계층구조 단순화 결론 계층구조 As-Is 계층구조 To-Be 시설전담조직 에서 통합 관리함에 따라 분임·재분임 재산관리관등 중간 관리업무 수행인력 55명의 인력이 감소됨 관리청 재산관리관 (예: 육군참모총장) 분임재산관리관 (예 : 1군사령관) 재분임재산관리관 (예 : 15사단장) 관리청 재산관리관 (예: 육군참모총장) 국방시설본부(18명), 의무사령관(1명), 기무사령관(1명), 육본(12명) 1군사(7.2명), 2작사(8.4명), 3군사(7.2명), 수방사(3,2명), 육군 군수사(3), 육군교육사(2.2), 해본(5명), 공본(5명) 국방시설본부, 각 부대 사단대 각 부대 사단대

77 재산관리능력 목표는 현재의 1.5배인 7.1k㎡으로 함 재산관리능력 제고 방안 ② 재산관리 능력 제고 목표 결론 現 시설공사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재산관리 능력 제고 목표 결론 High Low 現 시설공사 4.7 k㎡/인 7.1 인원 관리면적 현재의 1.5배 現 총 관리면적은 1,290km2 총 인원 329명(겸직은 0.5, 병은 0.2 적용) 으로 1인당 관리면적 평균은 4.7k㎡ 임 전담조직으로 통합함에 따라 생산성 목표를 ’11년 현재의 1.5배인 7.1k㎡ 로 함

78 재산관리 적정 집행인력은 223명임 인력규모 재산관리 인력 소요 To-Be 조직도
재산관리 적정 집행인력은 223명임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인력규모 To-Be 조직도 1 재산관리집행부서의 민원관리, 인허가 지원의 전담기능 시설에 따른 적정인력은 본부 8명 지역사업단 20명 (5개 지역별 4명) 총 28명임 본 부 장 감사실/법무실 운영지원과 기획지원부 건설사업부 국유재산부 1 기획총괄과 사업계획과 재산계획과 건설기준과 사업지원과 관리지원과 기술개발과 민자사업과 대외협력과 대미사업과 2 현장 재산관리 적정인력은 1인당 관리면적 1.5배 향상 목표에 의거, 182명임 재산관리관 적정인력은 현장인력(182명)의 7% 수준의 13명으로 함 운영과 건설사업2과 건설사업1과 현장2팀 현장1팀 경기북부 지역시설단 경기남부 지역시설단 강원지역시설단 충청·전라지역시설단 경상지역시설단 재산관리2과 재산관리1과 2

79 유사기관의 집행인력에 대한 기획·지원 인력 비율인 15%를 적용함
유사기관 기획·지원 업무 인력 비율 유사기관의 집행인력에 대한 기획·지원 인력 비율인 15%를 적용함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3기관 평균 : 15.2% 21% 21.4% 14.8% 9.7% (‘09년) 지원인원(명) 39 195 544 149 총인원(명) 183 1344 5600 695 비율 21% 14.8% 9.7% 21.4%

80 유사기관 집행인력의 적정인력은 133명임 인력규모 기획·지원 업무 인력 소요 To-Be 조직도
건설사업 재산관리 기획·지원 인력규모 To-Be 조직도 기획·지원 업무 적정인력은 건설사업(663명) 및 재산관리(223명) 집행인력의 15%을 적용하여 133명으로 함 본 부 장 감사실/법무실 운영지원과 기획지원부 건설사업부 국유재산부 기획총괄과 사업계획과 재산계획과 건설기준과 사업지원과 관리지원과 기술개발과 민자사업과 대외협력과 대미사업과 경기북부 지역시설단 경기남부 지역시설단 강원지역시설단 충청·전라지역시설단 경상지역시설단 운영과 건설사업2과 건설사업1과 재산관리2과 재산관리1과 현장2팀 현장1팀

81 시설전담조직의 총 적정인력은1019명임 총 소요\인력 구분 인원수 해당부서 계 1019명 건설사업 집행인력 663명
재산관리 기획·지원 구분 인원수 해당부서 1019명 건설사업 집행인력 663명 본부 : 사업계획과, 사업지원과, 민자사업과, 대미사업과 지역 : 건설사업과 재산관리 집행인력 223명 본부 : 재산기획과, 관리지원과 지역 : 재산관리과 기획·지원 업무인력 133명 본부 : 감사실, 법무실, 운영지원과, 기획총괄과, 건설기준과, 대외협력과 지역 : 운영과 * 운전 및 장비 운용 등으로 병사 50명 별도 소요

82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공공 선진사례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83 CM 체계 정착을 위해 크게 8가지 부문별 과제가 실행되어야 함
1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 2단계 : CM 정착기 2018~2020 2 인사체계 구축 1단계 : CM 도입기 시설물관리 시스템 구축 지식관리 시스템 운영 연도별 전문 인력양성 단계 2014~2017 3 건설사업관리 표준화 사업관리 시스템 정착 인사체계 시스템 고도화 (BSC1), SEM2) 체계 구축) 원격지 근무지원 시스템 구축 CM 아카데미 운영 CM 자격관리 절차 수립 2011~2013 4 BPR 전략계획수립 시기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 인사체계 정립 (평가, 보상체계 설계) 사업 관리 절차서 작성 표준업무 분류 체계 확립 BPR 전략계획수립 ISP 전략계획수립 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품질,환경,안전 부문 CM 교육체계 정립 5 ISP 전략계획수립 주요 추진 전략 6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7 품질,환경,안전 부문 8 CM 교육체계 구축 1) Balanced Scorecard 2) Strategy Enterprise Management

84 통합 전과 후의 필요과제 우선순위화에 따라 과제 Roadmap을 도출함
CM체계 구축 과제 Roadmap 아웃 소싱 Co-work 자체 진행 통합 전과 후의 필요과제 우선순위화에 따라 과제 Roadmap을 도출함 통합전 통합후 영역 과제 2010 2011 2012 2013 시행주체 4Q 1Q 2Q 3Q 주관부서 외부용역 필요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 직무분석 직무체계 분석 군사시설 기획관실 / 국방시설본부 예비적 직무체계 수립 직무조사서 조사 직무분류체계 확정 직군, 직렬, 직무 정의 직무평가 대표직무 선정 및 R&R 분석 인력운영계획 수립 직무역량 도출 및 직무기술서 작성 인사체계 구축 프로젝트 평가체계 구축 평가와 연계된 보상체계 구축 건설사업관리 표준화 現 업무현황 분석 표준화 표준분류체계 공정관리 사업비관리 자재관리, 구매계약관리 사업정보관리, 자료관리 설계관리/시공관리 CMr 업무 매뉴얼 구축

85 통합 전과 후의 필요과제 우선순위화에 따라 과제 Roadmap을 도출함
CM체계 구축 과제 Roadmap 아웃 소싱 Co-work 자체 진행 통합 전과 후의 필요과제 우선순위화에 따라 과제 Roadmap을 도출함 통합전 통합후 영역 과제 2010 2011 2012 2013 시행주체 4Q 1Q 2Q 3Q 주관부서 외부용역 필요 BPR 전략계획수립 Module별 분석영역 정의 군사시설 기획관실 / 국방시설본부 업무 현황분석 개선과제 도출 및 정의(WP/ERP/IT) To-Be Modeling BPR 과제 별 이행계획 수립 및 변화관리 방안수립 ISP 전략계획수립 IT 현황 및 문제점 분석 IT 영역 개선기회 및 과제도출 IT To-Be 설계 IT Master Plan 수립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 설계 시설전담조직 Prototype 기능별 Prototyping 실행 Mapping Document 작성 Gap/Issue 분석 및 해결방안수립 Configuration 상세 Prototyping 및 Configuration 확정 System Setup 확정 통합테스트/교육 개발 변화관리

86 통합 전과 후의 필요과제 우선순위화에 따라 과제 Roadmap을 도출함
CM체계 구축 과제 Roadmap 아웃 소싱 Co-work 자체 진행 통합 전과 후의 필요과제 우선순위화에 따라 과제 Roadmap을 도출함 통합전 통합후 영역 과제 2010 2011 2012 2013 시행주체 4Q 1Q 2Q 3Q 주관부서 외부용역 필요 품질,환경,안전 부문 품질경영시스템의 지속적 개선 품질방침 및 목표관리 시설전담조직 업무절차 및 표준 개선 경향분석 및 개선 품질관리기술표준화 및 전문인력 양성 계약자 업무관리 표준화(품질분야) 계약자 품질관리계획 표준화 공종 별 검측 및 검측 점검표 표준화 목적에 적합한 품질정보수집 및 분석 필수 정보 체계 정비 책임단위 별 정보 분석 강화 품질정보관리체계 구축 CM 교육체계 구축 CM 역량 모델링 군사시설 기획관실 / 국방시설본부 CMr 육성 마스터 플랜 수립 CM 교육체계 정립 CM 아카데미 운영

87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Masterplan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 부문 1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직무분석 및 인력운영계획 수립 과제 개요 과제 개요 직무분석, 직무분류체계 정립, 직무평가 및 직무등급체계에 따른 인력운영계획 수립, 직무기술서 작성의 단계로 수행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직무분석 직무체계 분석 예비적 직무체계 수립 직무조사서 조사 직무분류체계 확정 직군, 직렬, 직무 정의 직무평가 대표직무 선정 및 R&R 분석 인력운영계획 수립 직무기술서 작성 기대효과 직군, 직렬의 하위 단인 직무에 대한 목적, 주요 책임 및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물인 직무요건 등으로 구성되어지며, 모든 직무에 대한 세부내용이 작성되어짐 주관부서 군사시설기획관실/국방시설본부 추진기간 약 6월 (’10년 10월 ~ ’11년 3월)

88 인사체계 구축을 위한 Masterplan 인사체계 구축 부문 2 과제 구분 과제 名 인사체계 구축 과제 개요 과제 개요
프로젝트 평가 및 보상체계 구축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평가체계 구축 프로젝트 평가체계 구축 새로운 평가체계에 대한 조직원의 피드백 수렴 피드백 반영, 협의 및 확정 합리적인 보상체계 재정립 평가와 연계된 보상체계 구축 평가와 연계한 새로운 보상체계에 대한 조직원의 피드백 수렴 기대효과 PM권한 강화를 통해 CM체계 정착 주관부서 군사시설기획관실/국방시설본부 추진기간 약 6개월 (’11년 1월 ~ ’11년 6월)

89 건설사업관리 표준화를 위한 Masterplan
건설사업관리 표준화 부문 3 건설사업관리 표준화를 위한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건설사업관리 표준화 과제 개요 과제 개요 건설사업의 체계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사업관리 제반 절차를 통일적으로 준용할 수 있는 기준을 수립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現 업무현황 분석 표준화 표준분류체계 : 업무 및 사업번호체계 절차 수립, 운영 및 개정, 사업번호 체계, 업무분류체계(WBS) 공정관리 : 공정표 작성 및 운영, 진도율관리, 공정지연분석관리 사업비 관리 : 총 사업비 편성, 총 사업비 운영, 사업비 집행관리, 연간 예산관리 자재관리 : 설계단계 정보관리, 구매단계 자재관리, 현장자재정보관리 구매/계약관리 : 발주준비, 입찰, 계약관리, 계약사후관리 사업정보관리: 현안사항관리, 총괄현안관리, 사업별 현황관리, 계약 단위별 현황관리, 자료관리 서신문서관리, 계약자 자료관리, 사업기록관리, 사업자료번호부여체계 설계관리: 설계기준 수립, 설계문서 작성/ 시공관리 : 공사계획(착공단계), 공사관리 CMr 업무 매뉴얼 구축 기대효과 ‘비용절감’, ‘공기단축’, ‘건설 생산품의 품질수준 향상’, ‘건설정보화의 기반구축’을 기대함 주관부서 군사시설기획관실/국방시설본부 추진기간 약 6개월 (’10년 10월 ~ ’11년 3월)

90 BPR 전략계획수립 부문을 위한 Masterplan
4 BPR 전략계획수립 부문을 위한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BPR 전략계획수립 과제 개요 과제 개요 정보시스템의 가치를 높이고, 품질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업무재설계를 통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현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Module 별 분석영역 정의 업무 현황분석 개선과제 도출 및 정의(WP/ERP/IT) To-Be Modeling BPR 과제 별 이행계획 수립 및 변화관리 방안수립 기대효과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전 분야의 전산통일화를 이뤄 업무효율을 극대화시킴 주관부서 군사시설기획관실/국방시설본부 추진기간 약 6개월 (’10년 10월 ~ ’11년 3월)

91 ISP 전략계획수립 부문을 위한 Masterplan
5 ISP 전략계획수립 부문을 위한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ISP 전략계획수립 과제 개요 과제 개요 목표와 전략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적인 청사진을 제시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IT 현황 및 문제점 분석 IT 영역 개선기회 및 과제도출 IT To-Be 설계 IT Master Plan 수립 기대효과 전략 계획에 최신의 정보 기술 적용을 고려할 수 있고 업무 관점에서 경영의 현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주관부서 군사시설기획관실/국방시설본부 추진기간 약 6개월 ( ’11년 4월 ~ ’11년 9월)

92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Masterplan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부문 6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과제 개요 과제 개요 건설사업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설정보를 표준분류체계를 기반으로 건설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 설계 Prototype 기능별 Prototyping 실행 Mapping Document 작성 Gap/Issue 분석 및 해결방안 수립 Configuration 상세 Prototyping 및 Configuration 확정 System Setup 확정 통합테스트/교육 개발 변화관리 기대효과 건설산업의 신속한 업무처리와 의사결정지원, 체계적인 정보관리, 저비용/고효율의 투명한 건설행정 구현을 기대함 주관부서 시설전담조직 추진기간 약 15개월 (’11년 10월 ~ ’12년 12월)

93 품질,환경,안전부문을 위한 Masterplan
7 품질,환경,안전부문을 위한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품질,환경,안전부문 과제 개요 과제 개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高 품질확보 지원체계를 구축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품질경영시스템의 지속적 개선 품질방침 및 목표관리 업무절차 및 표준 개선 경향분석 및 개선 품질관리기술표준화 및 전문인력 양성 계약자 업무관리 표준화(품질분야) 계약자 품질관리계획 표준화 공종 별 검측 및 검측 점검표 표준화 목적에 적합한 품질정보수집 및 분석 필수 정보 체계 정비 책임단위 별 정보 분석 강화 품질정보관리체계 구축 기대효과 건설 및 시설유지단계에서의 품질, 환경 및 안전관리 품질관리 역량강화로 기술경쟁체계 확보 주관부서 시설전담조직 추진기간 약 12개월 (’12년 1월 ~ ’12년 12월)

94 CM 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Masterplan
8 CM 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Masterplan 과제 구분 과제 名 CM 교육체계 구축 과제 개요 과제 개요 CM에 대한 이론과 실무역량을 향상시키는 등 CM 수행능력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 과제 추진상의 주요 활동 CM 역량 모델링 CMr 육성 마스터 플랜 수립 CM 교육체계 정립 CM 아카데미 운영 CM 자격관리 절차 수립 기대효과 CMr의 업무수행능력과 공사관리능력 향상을 통한 CM체계 정착을 기대함 주관부서 군사시설기획관실/국방시설본부 추진기간 약 3개월 (’11년 10월 ~ ’11년 12월)

95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건설사업관리(PM, CM)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공공 선진사례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map

96 PM 프로세스에 따른 영역별 정의는 다음과 같음
건설사업관리 PM 프로세스에 따른 영역별 정의는 다음과 같음 PM의 프로젝트 영역별 정의 프로젝트의 다양한 요소를 적절하게 통합•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통합 (Integration) 고정 조직의 외부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프로젝트에 꼭 필요한 업무를 정의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조달 (Procure-ment) 범위 (Scope) 프로젝트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식별, 분석, 대응, 통제하는 프로세스 Project Mgt. Process 위험 (Risk) 일정 (Time) 프로젝트의 납기를 준수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의사소통 (Communi-cation) 원가 (Cost) 이해관계자의 관심사항을 분석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관계자의 기대사항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승인된 예산 내에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인적자원 (Human Resource) 품질 (Quality) 프로젝트 팀원을 대상으로 책임과 역할을 정의한 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팀원들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프로젝트에 주어진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97 의사소통 (Communi-cation)
건설사업관리 CM에서의 프로젝트 관리는 Integration , Scope, Human Resource ,Communication가 포함되며 나머지 기능은 PM과 동일함 PM과 CM의 프로세스 별 Mapping Integration Mgt. Scope Human Resource Communication 프로젝트 관리 안전관리 (Safety) 계약관리 (Contract) 공정관리 (Schedule) 설계관리 (Design) CM 문서관리 (Document) 원가관리 (Cost) 품질관리 (Quality) 통합 (Integration) 의사소통 (Communi-cation) 조달 (Procure-ment) 원가 (Cost) 범위 (Scope) 인적자원 (Human Resource) PM 위험 (Risk) 일정 (Time) 품질 (Quality) Procurement Cost Risk Time Quality : PM의 프로세스에는 없는 CM만의 프로세스 영역

98 건설사업관리 국방부의 새로운 시설본부 운영 시 기획지원부, 건설사업부, 지역 사업단의 운영은 효율성 측면 및 효과성을 고려하였을 때 CM 조직 운영이 적합하다고 판단됨 국방부의 CM 프로세스 적용 본 부 장 감사실/법무실 운영지원과 1 1 CM 운영을 통한 효과 기획지원부 건설사업부 국유재산부 CM 기술지원 강화 민간기술 도입 관리 신설 큰 규모 사업의 경우 본사에서 직접 사업 수행 현장 중심 프로젝트 Base 조직운영 PM 권한 강화 지역단 업무량에 따라 복수의 과로 편성 기획총괄과 사업계획과 재산계획과 건설기준과 사업지원과 관리지원과 기술개발과 민자사업과 대외협력과 대미사업과 운영과 건설사업2과 건설사업1과 현장2팀 현장1팀 경기북부 지역시설단 경기남부 지역시설단 강원지역시설단 충청·전라지역시설단 경상지역시설단 재산관리2과 재산관리1과

99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건설사업관리(PM, CM)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공공 선진사례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amap

100 프로젝트 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프로젝트 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프로젝트 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단계별 PMIS 구축 및 운영계획 수립 -정의- I. 사전준비 Ⅱ. Basic Module Ⅲ. Customizing ASP & Pre-Opertion Ⅳ. Feed Back & Repair Ⅴ. Operation 업체선정 구축계획수립 사업관리 인허가관리 전자결제 시스템 보완 및 추가요구 반영 확정자료 재입력 및 디자인 기초 Data Conversion 관리자 시스템 인수인계/교육 유지보수 Monitoring 교육/지도 D-1 months D+0 months D-0.5 months D+1 months D+4 months D+6 months 1 Months 3 Months 2 Months 29 Months D+0.5 months D+2 months D+5 months 후보 선정 및 승인요청 계약 설계관리 문서관리 홍보/민원 시스템 종합현황보고 시스템 인수인계관리 시스템관리 교육계획수립 운영계획수립 시공사 및 협력업체 교육 1개월 6개월 소요예상 시공관리 계약관리 단위 프로젝트의 인력, 장비, 자재, 자금, 경영관리를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하는 작업 -국내현황- 총 9개의 분야 중 3개 분야, Time, Cost, Quality Management와 안전/환경관리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임 근래 들어 CM제도가 정착, 확산되면서 기존의 그릇된 시각에서 탈피하여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Management)의 대상으로 이해하려는 진지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음

101 Owner’s Requirement Management Value Engineering (가치공학)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설계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설계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설계관리 업무 프로세스 -정의- 1 Owner’s Requirement Management 사업주의 사업목표, 방침,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설계기준을 정하여 설계지침서를 작성한 다음, 이 기준과 지침에 따라 설계가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것 설계기준을 정하고 일정 및 기간을 고려하여 설계오류의 최소화, 품질향상, 공사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의 절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행위 설계 물질관리 2 , 사업일정의 준수는 물론 시공성 확보, 공사원가 절감, 품질 향상 등의 효과 극대화 할 수 있음 -국내현황- 사업 초기단계에서 설계단계, 시공단계, 시공 후 단계에 이르는 전체 사업에 대한 Master Plan을 작성하고, 사업전반에 대한 Guide Path를 확인하여 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가 일정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갖고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단계 3 일정관리 대부분의 건설사업관리 Service를 제공하는 CM사도 충분한 설계관리 인력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설계관리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단체나 Program도 찾기 어려움 설계기술도 선진 외국에 비교하였을 때 많이 뒤쳐져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관리 업무 또한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 Value Engineering (가치공학) 4 설계 및 시공의 운영체계를 종합 분석하고 개선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법으로 시설물의 가치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임 사업비관리/예산관리 5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며, 프로젝트의 성격이나 규모, 유사 프로젝트의 사업비 등을 감안하여 개략적인 금액을 추정하여 산출함 6 기본설계/실시설계 조정 및 연계성 검토 설계관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연계성 검토나 각 분야별 Cross-Check 기능을 이용하여 설계도서 간의 합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

102 원가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원가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단계별 원가관리 주요 업무 내용 -정의- Planning Stage Budgeting (예산 수립) 예산에 따라 소요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를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 Concept Design Stage Cost Planning (원가 계획) Schematic Design Stage VE* Estimation -국내현황- Design Development Risk Management 기획이나 설계단계와 같이 초기단계부터 공사 완료단계까지 일관된 주체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많은 문제를 노출시켰으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저해해 왔음 Construction Docu. Stage Detailed Estimation (상세 견적) Procurement Stage Bid & Contract Construction Stage Variation & Claim Control Completion Stage Final Measurement Operation Stage LCC Cost Planning *VE: Value Engineering

103 공정관리의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은 공정관리 4단계로 구분됨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공정관리의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은 공정관리 4단계로 구분됨 공정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주요 업무 : 공정관리절차 진도분석을 통하여 일정계획의 재조정 등 필요한 만회대책을 강구하는 단계 공사 전체 비용을 파악하여 전반적인 공사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공사를 수행하면서 주기적으로 작업진도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단계 수립된 공사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세분화된 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목표 및 방침설정 (Milestone) 계획공정 구조결정 (WBS/ACT) Network 작성 작업 소요시간 산정 자원배분 평준화 Network 계산/분석 공정표 작성 작업수행 현황파악 작업진도 파악/분석 의사결정 대책수립 작업변경 방법개선 공정표 수정 기본계획 수립단계 (Project Planning) 세부계획, 공정표작성 (Scheduling) 수행/통제단계 (Monitoring &Controlling) 조치단계 (Corrective Action) 수행/통제단계 (Monitoring &Controlling 세부계획,공정표작성 (Scheduling)

104 품질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품질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품질관리 개념의 변화 -정의- 검사중심의 관리개념 종합적 품질관리 (TQC : Total Quality Control) 수행된 프로젝트가 필요한 사항들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절차 전사적 품질관리 (CQC : Companywide Quality Control) -국내현황- 개방화 및 국제화의 가속화로 외국의 선진기술과 관리기법이 하루가 다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미리 확인하고 고객만족을 위해 품질의 단계를 높이고 고객의 생각을 읽어 미리 반영함으로써 고객감동을 이끌어내는 등 품질환경이 변하고 있음 품질경영 (QM : Quality Management) 종합적 품질경영 (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현대의 품질관리는 전사적, 종합적으로 전개되는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 TQM)체제로 변환되고 있어, TQM은 QM과 TQC를 바탕에 두고, 기업문화의 혁신을 통한 구성원의 의식과 태도 등에 중점을 두고 있음

105 안전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안전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시공 후 안전관리 -정의- 불안전한 상태와 조건, 불안전한 행동을 사전에 발견하고 이를 시정, 제거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 재해원인, 사례분석 재해방지 안전계획 수립 신규공정 중점관리 -국내현황- 협력사 평가 분석 결과 홍보계획 근래 CM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CM은 국가건설산업의 경쟁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음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이 안전관리의 정착이라고 판단되며 안전관리는 건설사업관리자 모두의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함 시공 후에는 재해 사례 및 유형별 원인분석을 통하여 유사 재해방지를 위한 안전계획을 재수립하고, 동시에 시공사의 안전실적을 평가함 특히, 신규사례에 대해서는 집중분석을 통하여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분석결과는 사내 및 타 현장에 전하함

106 문서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문서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문서관리 기록절차 -정의- 기록의 수집 책임/조직, 수집할 기록의 종류, 수집가간, 이관절차 등을 사전 설정하여 운영 공사진척사항 및 시공 후 매몰부분은 공종 별로 사진 촬영하여 월간 및 최종보고서에 첨부 유선상 처리된 업무는 전언통신문에 기록, 누락 방지 기록의 수집 색인 및 Filling 보관 및 열람 이관 및 폐기 부주의에 의한 기록의 분실이나 훼손방지를 위해 문서관리 담당자를 선정하여 관리한다 Filling System을 설정, 모든 기록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며 보관위치 및 목록을 작성, 항시 열람 가능케 함 전자무서관리시스템(EDMS)을 활용하여 전산자료 위주의 기록관리-손상방지를 위한 조치와 판독장비 확보 전산화할 수 없는 자료(문서원본, 도면, 서적 등)는 원본으로 관리-변색/탁색 방지, 방수, 화재방지 등 장기 보존을 위한 필요조건 구비 모든 기록은 보존년한을 설정하여 해당기간 동안 보존 준공 후에는 발주처에 인계할 기록의 목록을 발주처와 협의, 분야별 정리하여 CD-ROM 또는 디스크로 인계 기록의 폐기는 문서별 보존년한 초과분에 대해 보존기간 연장의 필요성을 확인 후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 폐기조치 문서의 작성, 처리, 유통, 정리, 보관, 이관, 보존, 대여, 열람, 폐기 등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경영의사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능률적으로 운영해 가는 활동 -국내현황- 문서사무의 표준화를 기하기 위해 더욱 구체적이고 세밀하며, 기업의 사내환경에 적합한 문서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있으며, 전산화를 통해 업무수행의 간편화와 더불어 문서의 Hardcopy를 줄이고 궁극적으로 업무환경의 Paperless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107 계약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CM 프로세스 영역별 주요업무 계약관리의 개요 및 주요업무 개요
주요 업무 : 공공공사 입찰 및 계약 절차 -정의- 입찰방법결정 입찰공고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 건설계약은 도급계약에 해당하며, 민법 제 664조에 의하면 “도급은 당사자의 일방(수급인)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도급인)이 그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이라고 규정하고 있음 턴킨/대안 입찰 일반경쟁 제한경쟁/지명경쟁 수의계약 기타협상에 의한 계약 등 낙찰자 결정 입찰 예정가격 작성 -국내현황- 낙찰방식 최저가 낙찰, 적격심사 낙찰 입찰보증금 (입찰금액의 5% 이상) 전통적인 갑을관계에 의한 업무수행으로 계약관리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고, 특히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계약 및 조달 규정, 발주자 위주의 계약 관행, 계약관리의 전문성 부족 등은 국내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음 계약체결 계약이행 이행완료 및 대가지급 감리•감독 계약보증금 (계약금액의 10% 이상) (이행보증: 계약금액의 40%이상) 선금지금: 계약금액의 20~70% 계약금액 조정 기성대가 지금 하자보수보증금(계약금액의 2~5%)

108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공공 선진사례 배경 전체 Approach 계약/구매 건설사업관리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amap

109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음 Illustrative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 용역 배경 및 목적 배경 및 목적
추진 배경 추진 목적 기대효과 철도산업의 구조개혁 Global Best Practice 도입을 통한 공단 경쟁력 확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문조직으로 변화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 용역 외부환경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선진경영 기법 도입을 위한 정보화 기반 마련 통합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 내부역량 강화 종합건설 사업관리체계 수립 & CALS/EC 체계 도입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으로서 세계적은 철도 EC 기업화 통합정보시스템 요구 철도산업 정보센터 구축방안 수립 철도정보 유통방안 확립을 통한 선진 정보센터 운영 현업부서의 업무적 요구 통합정보 체계수립 공단 내 정보의 종합적 이용을 통한 내부 업무 효율화

110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참고>공공 선진사례 배경 전체 Approach 계약/구매
건설사업관리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amap

111 사업 수행방안은 다음과 같음 Illustrative 사업 수행 방안 사업 수행 방안 Awaken 변화준비 Envision
단계 Awaken 변화준비 Envision 비전수립 Focus 과제정의 High Level Design 모델설계 사업범위 1 회계/인사 관리부문 프로젝트 목표 및 범위 확인 프로젝트 계획 수립 사업환경분석 Visioning As-Is 분석 과제별 To-Be 범위 정의 프로세스 To-Be 모델설계 목표 모델 구현 계획 수립 PI추진과제도출 정보시스템 To-Be 모델설계 Benchmarking 종합건설 사업관리 부문 2 효율적 사업관리 방안수립 PMIS 구축 방안수립 프로세스 개선방안 도출 품질/안전/환경 통합시스템 분야별 핵심 프로세스 정의 건설 CITIS 이행계획수립

112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참고>공공 선진사례 배경 전체 Approach 계약/구매
건설사업관리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amap

113 계약/구매 및 자재 프로세스의 To-Be 사상
1 As-Is 개선목표와 내/외부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볼 때, ‘선진 프로세스와 통합시스템을 통한 한국철도시설공단 전체의 업무의 효율성 및 투명성 제고’를 To-Be 사상으로 도출함. Illustrative 계약/구매 및 자재 프로세스의 To-Be 사상 선진 프로세스와 통합시스템을 통한 한국철도시설공단 전체의 업무의 효율성 및 투명성 제고 내부 비전 및 전략적 요구 외부 Trends & Best Practice Internal Change Driver External Change Driver Clean Company 실현 최상의 행정 서비스 정착을 통한 고객 만족 경영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 계약/구매부서의 전략적 역할 강화 e-Business 환경 하의 계약.구매 업무 최신 기술과 선진 프로세스 도입 As-Is 개선목표 통합정보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내부 계약/구매 프로세스 실현 계약/구매 업무의 통합에 의한 계약/구매 업무의 진척도 관리 실물기준의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의 최적화

114 Illustrative 계약/구매 및 자재 프로세스의 To-Be 모델 1 사상
선진 프로세스와 통합시스템을 통한 한국철도시설공단 전체의 업무의 효율성 및 투명성 제고 Illustrative 추진목표 정형화된 업무 프로세스와 이를 뒷받침하는 통합시스템의 유기적인 연계 CSF 기준정보 관리 계약/구매 업무의 정형화 계약업무의 효율화 적정 재고관리 추진과제 전사자재기준정보 통합 계약/구매 업무의 최적화 및 통합 시스템 구축 계약관리 업무의 전문성 강화 및 사후관리 체계 수립 재고관리 최적화 자재기준정보의 분류체계 및 코드체계 기준 설정 자재기준정보 등록 및 관리 프로세스 재정립 향후 e-Procurement와 의 연동을 위한 품목 특성 치 관리 사업계획에 따른 계약/구매계획 수립 체계 확립 내부 계약/구매프로세스의 효율화 및 이를 지원할 정보 시스템 구축 계약/구매관련 데이터 및 정보의 통합시스템 구축 세분화된 계약관리 사업계획과의 연계로 계약의 사후관리 e-Procurement 시스템 구축 품목별 특성에 의한 재고관리 수준 정의 및 관련 프로세스 정립 실물의 흐름과 시스템 상의 재고의 흐름의 일치 예약재고 및 가용재고 관리 KPI 자재기준정보 중복 등록율 요청 품목의 검색 시간 구매 리드타임 전자조달 비율 확대 재고실사 변경율

115 Illustrative To-Be 모델에 근거한 As-Is 평가 내부 계약/구매 업무 외부 계약/구매 업무 1 구매계획 입찰
사업관리 시스템 없음 PQ 심사 계약요청 시스템 없음 계약 체결 관리회계 및 경영관리 계약 및 발주 발주정보 시스템 없음 시스템 없음 자금관리 입고정보 기성 및 자재 입고 시스템 없음 세금계산서 재무회계 송장검증 업체정보관리 시스템 없음 시스템 없음 계약 업무 전반에 걸쳐 수작업으로 진행 되고 있으며, 종합정보시스템의 계약관리시스템은 계약체결 이후의 현황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여 Report 형식의 Data 관리를 할수 있지만 실제 업무 진행과 연계성이 미비하여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음 미흡하여 일부 개선이 필요한 영역 타 부서와의 업무 연계가 시스템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 않아서 많은 부분 문서에 의한 업무가 진행 되고 있음 내부 구매 프로세스의 시스템 지원이 미흡하고 각 프로세스별 연계성이 떨어져서 필요 정보를 Real time으로 확인하기 힘듬 전면적 개선이 필요한 영역

116 Illustrative 계약/구매 및 자재 전자조달 계약/구매 프로세스의 추진과제에 근거한 To-Be 구성도 1
기간 시스템 영역 e-Procurement 영역 계약/구매 및 자재 전자조달 사업관리 Illustrative 구매계획 사업 계획 전자입찰 예산 사업계획 예산 관리회계 및 경영관리 계약요청 발주정보 자재의 현재고 및 기발주량 기준단가 입고정보 계약체결 및 발주 자금수지 자금 전자세금계산서 자금계획 기성 및 자재 입고 계약 업체관리 실적 고정자산 송장검증 재무회계 전표처리 및 대금지불 *주: 본 장에서 언급하는 계약은 용역 및 물품구매 계약에 한함 자재는 건설자재(전기), 물품 및 시설물 유지보수에 대한 자재를 의미함

117 계약/구매 및 자재 프로세스의 To-Be 프로세스 체계도는 다음과 같음
1 계약/구매 및 자재 프로세스의 To-Be 프로세스 체계도는 다음과 같음 계약/구매 및 자재 프로세스 체계도 Illustrative 기준정보관리 계약 관리 (e-Procurement) 계약/구매 관리 자재 관리 자재 기준정보 계약 대상자 선정 구매 계획 검수 분류체계관리 자재기준정보 관리 용역, 물품의 구매 계획 수량 및 외관검수 기술 및 품질검사결과처리 불합격품관리 입찰공고 입찰 자료제공(과업설명회 등) PQ 심사 및 관리 공급자 등록관리 예가 관리 투찰 및 낙찰 관리 입찰 보증금 관리 적격 심사 계약/구매 요청 관리 공급자 기준정보 입출고 계획에 의한 계약요청 계약/구매요청 공급자 기준정보 관리 업체평가 관리 부정당업체 관리 물품 입출고 하자자재 입출고 불용품 입출고 계약 체결 및 사후관리 전자 계약 관리전환 계약 체결 및 변경 계약 납품 지시 대금 지급 관리 계약서 작성 계약서 인증 재고실사 계약 관리 검사 신청 및 처리 대금 지급 관리 선금 관리 보증 관리 하자 관리 *주 : e-Procurement의 세부 기능은 상세 설계 시 논의 함

118 기간 업무의 프로세스 정립 과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 후 단계적으로 e-Procurement 시스템을 도입함
계약/구매 및 자재 부문의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Action Plan 1 기간 업무의 프로세스 정립 과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 후 단계적으로 e-Procurement 시스템을 도입함 계약/구매 및 자재 분야의 Phase별 시스템 개선 계획에 관한 Roadmap Illustrative Phase 1 (2005) Phase 2 (2006) Phase 3 (2007~) 기준정보 표준화 전자조달시스템의 영역 확대 기준정보의 표준 분류 및 속성체계 구축 및 목록관리 프로세스 정립 통합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코드 통합 및 표준화(자재, 설비, 자산, 공급업체, 회계, 사원 Master Data) 공급업체 관리 시스템 구축 전자입찰시스템의 전자 보증 및 계약사후관리(검사 및 대금지급)등의 계약업무 전반에 걸친 시스템화 ☞ 계약처, 계약2전담처 주관 ☞ 자재 및 물품 부문 재산관리처 주관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한 구매관리 및 자재관리 체계 정립 구매 및 계약사후 관리 프로세스 정립 자재 관리 프로세스 정립 통합정보시스템 내에서 구매 및 자재관리의 시스템 구현 ☞ 구매 및 계약관리 계약처, 약2전담처, 총무인사처 주관 ☞ 자재관리 : 재산관리처 주관 계약 프로세스의 정립 및 전자조달 시스템 도입 입찰 및 낙찰관리 프로세스의 정형화 전자입찰, 전자 계약 시스템을 통한 계약업무의 개선 ☞ 계약처, 계약2전담처 주관

119 목차 CM체계 운영 Masterplan 민간 선진사례 <참고>공공 선진사례 배경 전체 Approach 계약/구매
건설사업관리 조직 설계 원칙 확인 조직구조 설계 인력산정 실행 Roadamap

120 현행 건설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는 공정과 공사비 위주의 관리체계로 종합사업관리로 확대가 필요
건설사업관리 BPR 수행방향 2 현행 건설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는 공정과 공사비 위주의 관리체계로 종합사업관리로 확대가 필요 공단의 사업관리 핵심프로세스 사업범위관리 Illustrative WBS 및 PNS 현안사항관리 공정관리 사업비관리 공정표 작성 및 운영 공정 진도율 관리 총사업비 편성 총사업비 운영 연간예산관리l 사업비 집행관리 자료관리 자재관리 설계관리 구매/계약관리 시공관리 서신문서관리 계약자자료관리 사무관리규정 사업기록관리 자료번호체계 기자재현황관리 설계엔지니어링관리 설계행정관리 설계인터페이스관리 설계변경관리 착공관리 현장설계변경관리 기성관리 하도급관리 준공관리(시운전 포함) 입찰 계약관리 계약사후관리

121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는 현황분석을 통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개선목표에 따라 업무를 추진하려고 함
건설사업관리 BPR 수행방향 2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는 현황분석을 통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개선목표에 따라 업무를 추진하려고 함 현황 개선방향 개선 목표 Illustrative Process Focus 공단의 비전에 따른 현행 사업관리체계의 역할 미흡 업무분류체계에 따른 공정과 사업비 위주의 업무 프로세스 정립 기본적인 사업관리 업무는 수행되나 일부 절차서 작성 및 정보화 미 구축 공단의 비전 및 목표에 따른 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 단위사업 사업관리체계 및 통합사업관리체계 정립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조직의 기능 보완 및 역량 강화 효율적인 사업관리 업무 수행을 위한 업무프로세스 개선과 사업관리 분야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 정보화 체계 구축 IT Focus 공정과 사업비 관리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기타 사업관리분야의 전산화 개발 미흡 공정과 사업비관리시스템과 기타 사업관리분야 전산시스템간의 정보 연계성 미흡 사업관리 분야간의 정보화 연계 성 고려 경영진의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 사업관리 관련 정보의 실시간 보고 정보관리의 Hierarchy 체계구성

122 Internal Change Driver External Change Driver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의 To-Be 사상 도출 2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 필요 역량을 갖추고 현재의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의 개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연계/통합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을 개발 적용하여 공단의 비젼과 목표를 달성하는 전략적 건설사업관리가 가능토록 함 Illustrative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의 To-Be 사상 업무흐름(Work Flow) 처리의 전산화 정보의 연계/ 통합화 실시간 정보의 파악 협업, 공유 및 재활용을 위한 자료의DB화 정보의 일관성 및 입력 최소화 Internal Change Driver External Change Driver 사업관리 주력 사업화 품질관리 주력 사업화 철도기술의 경쟁력 강화 사업관리조직의 역량 강화 국내외 사업진출을 위한 기술 확보 최신 기술과 접목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As-Is 개선목표 업무분장의 명확화 사업관리 업무절차/표준 정립 업무처리의 전산화 정보의 연계/통합화 실적자료/업무 수행자료의 공유/DB화 실시간 기반의 정보화 흐름

123 사업번호체계 프로세스 추진 모델과 추진과제가 반영된 사업번호체계 프로세스 맵은 아래와 같음
Mega Process별 To-Be 모델 구축 2 사업번호체계 프로세스 추진 모델과 추진과제가 반영된 사업번호체계 프로세스 맵은 아래와 같음 To-Be Process Map Illustrative 주관부서(사업관리실) 지원부서/사업관리자 (주관/부문사업관리자,총무인사처, 기술개발처) 시행관리자 감리단/계약자 Change Area 1 절차서의 통합 및 주관부서 일원화 번호체계일원화 및 분류코드 개선/추가 사업번호체계/업무분류체계 /기타분류체계 작성 사업번호체계/업무분류체계 /기타분류체계 검토 사업번호체계 관련 절차서 통합 및 총괄 관리 PBS분류체계 추가 도면번호 일원화 기자재번호 추가 사업비분류번호 추가 Activity 코드 등 Change Area 1 반영여부 검토 개정여부 검토 검토 및 변경 요청 변경 의뢰 사업번호체계/업무분류체계 /기타분류체계 수립 사업번호체계/업무분류체계 /기타분류체계 개정 사업정보 자료관리 공정관리 건설CITIS Change Area 1 WBS/PBS + 기타분류체계 전산시스템 반영 사업비 관리 사업번호체계/업무분류체계 기타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사업관련정보 통합.연계 운영 시설물관리 자재관리 사업번호체계/업무분류체계 /기타분류체계 시행 시운전관리 계약관리 설계관리

124 프로세스 상세 2 Change Area 1 - 사업번호체계와 관련하여 다원화 되어 있는 절차서 및 주관책임부서를 통합하고, 번호체계 및 분류체계의 일원화 및 개선/추가하여 사업관리정보의 통합.연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토록 함 프로세스 상세 Illustrative As-Is To-Be Key Change 절차 및 주관책임부서 다원화 공정/공사비 위주의 번호체계 및 분류체계 구성 절차 및 주관책임부서 통합 및 일원화 번호체계 및 분류체계 통일, 개선 및 추가 Image of Change Consideration 사업관리 정보의 효율적 정보 통합.연계를 위해서는 분류체계 및 번호체계의 통일성과 일관성이 중요함으로 관련 절차서를 통합하여 통일성을 기하고, 동시에 책임부서를 일원화하여 일관성을 추구 할 필요가 있음. 또한, 다양한 정보 연계의 효율성을 위해 WBS 위주의 분류체계 이외에 추가적인 분류체계 및 번호체계 정립이 필요함 Expected Benefits 절차의 통합 및 책임의 일원화에 따른 사업번호체계 통일성 및 일관성 유지 가능 통일된 분류체계 및 번호체계에 의한 정보 관리의 효율성 증대

125 공정관리분야의 공정표 작성 및 운영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됨
To-Be Process Map 2 공정관리분야의 공정표 작성 및 운영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됨 Illustrative 사업관리실 주관/부문사업관리자 시행관리자 감리단/계약자 검토의뢰 공정표 검토 공정표 작성 (기본,관리기준) 통합상세공정표 작성 계약자공정표 작성 검토회신 공정표 관리 기준 및 절차 작성 공정표 시행 (기본,관리기준) 통합상세공정표 확정 및 시행 계약자공정표 확정 및 시행 전체사업 공정 현황 공정표 현황관리 통합상세공정표 현황관리 계약자공정표 현황관리 실 사업주관부서에서 공정표작성 및 운영 [Change area 1] 개정여부 검토 개정여부 검토 개정여부 검토 개정 필요 시 개정 필요 시 개정 필요 시 감리단 승인 관리기준공정표와 계약자공정표의 연계 IPS와 계약자공정표의 연계(Roll-Up) 작성 [Change area 2]

126 공정관리분야의 공정 진도율 관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됨
To-Be Process Map 2 공정관리분야의 공정 진도율 관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됨 사업관리실 주관/부문사업관리자 시행관리자 감리단/계약자 Illustrative 미계약 수행 항목 월별 공정배분계획 검토의뢰 월별 공정 배분 계획서 검토 월별 공정 배분 계획서 작성 협조 검토회신 확정 / 배포 진도율 관리 기준 및 절차 작성 전산시스템 입력 실 사업주관부서에서 공정배분계획서 작성 및 운영 [Change area 1] 공정계획 변경관리 (계약체결/ 총사업비 변경승인/ IPS개정 시) 검토의뢰 검토/수정 월별 공정 배분 계획서 검토 확정 / 배포 월별 공정 배분 계획서 작성 검토회신 전산시스템 입력 월간공정실적 전산입력 및 분석 월간공정실적 전산입력 및 분석자료작성(계약자) IPS와 연계된 계약자공정표에 실시간 실적입력 [Change area 2] 분석 및 평가 / 보고서 작성, 보고(이사장) 검토(감리단) 실적 전산집계/IPS에 자동 반영 수정 필요 시

127 공정관리분야의 공정 현안 사항 관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됨
To-Be Process Map 2 공정관리분야의 공정 현안 사항 관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됨 Illustrative 공정현안사항 발굴/등록 예상 현안사항 발굴 (관련 부서장 참여) 조직간 주기적인 공정회의체 운영 등록여부 검토 주기적인 공정회의체 운영 / 분야별 현안사항의 등급분류기준 및 처리기준 명확화 [Change area 3] 등급 분류 현안사항 관리 카드작성 등록 요청 등록/전산입력 공정현안사항 추적관리/점검 추진실적 점검/입력 입력 내용관리/점검 필요 시 보고 현안사항 완료 확인 현안사항 대책회의/ 사업관리실무자 월례회의 공정현안사항 종결처리 현안사항 종결 통보 종결처리/입력


Download ppt "국방부『조직재설계 및 인력운영 계획수립』 프로젝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