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제13주차 강의 사례관리서비스 Case Management 담당교수: 김 종만

2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원법 정신장애인들의 외침

3 사례관리란? 개념: 다양한 Need를 가진 Ct.에게 욕구에 맞는 개별적인 원조계획을 통해,
자원을 연결, 동원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Ct.의 기능회복 및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서비스 전달체계. 특성 1) 누군가 클라이언트를 책임질 사람이 있다. 2) 일대일 접촉, 면담, 지원 및 치료가 가능하다. 3) 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가 있는 현장을 찾아감(Outreach) 4)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5)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한다. 6) Client에게 안정감, 독립심, 자신감을 제공 7) 궁극적으로는 사회화 기능 회복 및 복지증진.

4

5 미국의 복지초점과 체계변화 E. F. Devine이 지적한 미국 사회복지의 초점인 3D‘s ① Destitution 빈곤,
② Disease 질병, ③ Delinquency 비행 미국의 복지체계의 변화 ① 표준화 서비스에서 융통성 있는 서비스 ② 관료적, 중앙집권적에서 복지 다원주의로 ③ 사회경제적 분리에서 통합적 방법으로 ④ 공식적 보호체계에서 비공식 보호체계와의 상호작용

6 사례관리의 가치 1) 기본권리에 대한 존중 2) 사회적 책임감 3) 자기결정에 대한 지지
1900년  교육자 패튼 Simon N. Patten 이 ‘사회사업가’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우애방문자와 인보관 교사들에게 이 용어를 적용하였다.

7 사례관리의 역사 영국 1950년대, 미국 1974년에 도입. 1980년대 본격화 전 분야에 사회복지사 채용.
재가보호, 정신보건, 노인서비스, 발달장애 영역 한국 1989년 노인. 1993년 재가 노인복지법에 가정봉사사업과 결연사업 기관 도입. 재가노인복지사업 개입: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주간보호사업, 단기보호사업

8 재가노인복지사업 서비스 첫째, 정서적 상담서비스 : 고민상담, 안부전화하기, 말벗 되기, 신문이나 책을 읽고 편지 써 드리기, 외출 시 부축 등, 서비스로 클라이언트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 둘째, 병간호 서비스: 몸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식사시중을 들어 드리거나 안마, 위생관리, 대.소변 받아내기, 간단한  응급조치 등의 방문 간호 함으로써 가정방문 간호를 제공하는 것. 셋째, 가사적 서비스: 부엌일, 집안청소, 세탁, 잔심부름, 장보기 등을 돕는 것. 넷째, 사회적 서비스 :동회 배급 수령전달, 병원 요양소 입소 안내 및 대행, 민원서류 제출협조, 여가 및 교육서비스제공, 부업거리 알선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9 사례관리의 과정 Moxley (1989) : 5단계 사정 ⇒계획 ⇒개입 ⇒점검 ⇒평가 Rothman (1991) :8단계
기관에 접근(촉)⇒인테이크⇒사정 ⇒계획수립⇒연결(개입)⇒점검 ⇒재사정⇒결과평가

10 Rothman 사례관리 과정

11 사례관리의 과정 1 1)사례발견 Ct.를 발견하고 확인 후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약속하고 계약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것이 사전 적격 심사이다. -기관의뢰, 아웃리치, 자발적 내방, 스크리닝. 직접 찾아가서, 발견하고 도움을 제공하는 발굴 프로그램.  “찾아와 주기” 시대는 끝났다.

12 사례관리의 과정 2 2) 사정 査定 사정은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수준, 사회적지지, 서비스욕구, 서비스 태도 다양한 욕구, 강․약점 등의 개인의 종합적인 평가를 제공하여 서비스계획을 위한 자료와 정보를 체계화하는 과정이다. 사정 내용 - ① 욕구 및 문제 사정 ② 자원사정 ③ 장애물 사정

13 사례관리과정 3 3)계획 클라이언트의 사정을 통한 정보를 선택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취하는 일련의 행동을 조직하는 것이다. 장․단기목표설정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개별적인 보호계획을 협의 하에 수립하는 과정이다.

14 사례관리 4 4) 개입/ 계획이행 서비스 계획과 확립된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업무 수행하는 과정이다.
사례관리자는 기관과 좋은 관계를 기본으로 하고 클라이언트의 대변자나 옹호자의 노력을 해볼 수 있고 불가능하면 사례계획의 일부 수정도 가능하다.

15 사례관리 5 5) 점검 (monitoring)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적시, 적절 및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클라이언트 지원체계의 서비스 전달과 실행을 추적하는 과정이다.

16 사례관리 6 6)재 사정 주기적인 사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적합한지, 사례계획의 변화가 필요한지, 어떤 방식으로 변화될 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평가는 가치와 종결을 포함하는 과정을 사례계획이 클라이언트의 삶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효과성에 초점을 두는 과정이다.

17 사례관리 7, 8 7) 평가 8)사례종결 사례가 종결되기도 하고 계속 프로그램에 의뢰하거나 새로운 서비스계획을 하는 활동이다.
7) 평가 8)사례종결 사례가 종결되기도 하고 계속 프로그램에 의뢰하거나 새로운 서비스계획을 하는 활동이다. 대체로 클라이언트 특성상 평생 동안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사례관리자의 이직이나 전근, 클라이언트의 사망 혹은 시설입소로 종결되는 경우가 있다.

18 개인임상사회사업 개업 (Private Practice)
미국의 경우 약 2만 명 개업, 4만 5천명은 부업형태 고용. 전 미국사회복지사의 약 1/4이 임상개업 우리나라 개인임상개업 1) 벤처개념에서의 사회복지 2) 취업시장의 협소 3) 기존 사회복지현장 공략 4) 새로운 시장의 공략    교회사회사업, 군 사회사업, 청소년 및 학교사회사업,    건전가정지원사업, 위기가정 가족문제 상담센터 등 5) 병원 세팅의 한계 극복 6) 경제적 보상

19 정신보건센터- 기본형 기본필수사업 -정신보건관련 자원파악을 위한 지역사회진단 -대상자 발견, 등록 및 의뢰체계 구축 -사례관리
 -정신보건관련 자원파악을 위한 지역사회진단  -대상자 발견, 등록 및 의뢰체계 구축  -사례관리  -정신질환자 및 가족교육  -정신질환예방, 정신건강증진 P/G 및 정신질환 홍보  -지역 내 보건복지 인력에 대한 정신보건자문 및 교육  -자원봉사자 관리 및 연결  -자문위원회 및 운영위원회(자문 -연1회, 운영- 월 1회)

20 정신보건센터 - 기본형 선택사업(주 1일에서 주 3일까지 수행) -주간보호(Day Care) 프로그램
   -정신질환자 가족 모임지원    -직업재활 프로그램    -정신보건사업 관련 세미나    -알코올 및 약물중독환자 재활 프로그램    -치매환자 주간보호 프로그램 등 노인정신보건    -정신보건 조사, 연구사업    -정신질환자 거주시설 운영지원    -정신과 응급진료 또는 응급상담서비스    -아동, 청소년 정신보건(학교 정신보건)    -산업정신보건(직장인 대상)    -노숙자, 무인가시설 정신질환자 진료    -외래상담/ 투약진료   *(투약은 투약처가 없는 경우)    -가족지원사업(후원금품, 저소득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지원)

21 정신보건센터 - 모델형 기본필수사업 -정신보건 관련 자원파악을 위한 지역사회진단 -지역 내 정신보건사업의 기획 및 자원조정
-대상자 발견, 등록 및 의뢰 *- 주간보호(Day Care) 프로그램 -사례관리 *- 직업재활 프로그램 -정신질환 예방 및 정신건강 증진사업(상담, 교육 , 홍보) -지역 내 보건복지 인력에 대한 정신보건 교육 및 자문 -정신질환자 가족 교육 및 모임지원(가족교육 연 6회 이상) -자문위원회 및 운영위원회(자문 연2회, 운영 월1회) *- 거점 정신보건센터 기능 (기본형 및 타 정신시설 지도감독)  *형은 모델형에만 있음.

22 모델형과 기본형의 차이점 정신보건센터 모델형 -----------------------------------
○ 정신과 전문의, 1급 정신보건전문요원 ○ 보건소장, 국공립 정신의료기관장 겸임가능 상근인력: 정신보건전문요원(간호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 4인 이상 예산지원: 개소당 : 141백 만원 정신보건센터 기본형 ○ 정신보건사업 담당 과장 /팀장 상근인력: 2인 이상   (자격은 모델형과 동일) 예산지원: 개소당 : 30백 만원

23 일상생활훈련 모델(training in community living model)
정신질환자들의 지역사회에서의 삶의 질을 증진시킴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 목표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도록 돕는 것. 시설에서 훈련 받고 배운 것을 다른 곳에서 응용하고 적용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예 사회에 적응되도록 실제 장소에서 훈련하는 것이다. 대화하기/ 옷 입기/ 외출하기/ 식사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목욕하기 등

24 파운틴 하우스 모델 (fountain house model)
집, 친구, 직업의 세가지 요소 기본요소 특히 친구관계 형성과 직업훈련을 중요시. 병원이나 시설의 개념을 타파하고 환자들이 주인이 되는 회원제로 운영되는 것이 이 모델의 기본 철학이다. 회원들이 클럽의 모든 활동영역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이다. 즉, 부서 활동의 목표를 세우는 것에서부터 계획하고 수행하며 평가하는 것까지 자율적으로 참여하며 치료자들은 회원들의 자율적인 활동에 지지를 줄 뿐이다.

25 파운틴클럽 하우스 소개 1944년 미국 뉴욕 10명의 정신장애인들이 결성한 자조모임인 WANA(We Are Not Alone)가 그 전신이며 현재 전 세계 30여 개국, 370여 개소에서 약 50,000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는 강력한 지역사회재활모델. 또한 건강한 클럽하우스 운영 및 확산을 목적으로 ICCD(International Center for Clubhouse Development)가 설립(1994년) 교육훈련프로그램 제공 - 인간을 소중히 여기는 철학이며, 이를 실현하는 공동체 - 환영 받는 공간, 일, 친구가 있는 곳 - 환자가 아닌 회원(Member)으로써 클럽운영에 기여 -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발견하고 계발하도록 지원 - 지역사회 내 여가ㆍ취업ㆍ주거ㆍ교육 등 기회제공

26 페어웨더 숙박 모델 (fairweather lodge model)
지역사회 내에서 소사회를 구성하여 정신질환자들 끼리 모여 살면서 구조적인 환경을 마련하고 직업을 보장해 주고 동료들끼리 지지를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 사회 내에서 개인사업을 경영으로 일반인들과 경쟁하지 않아도 되며 직업상의 스트레스가 자연히 감소된다. 사업에는 소상품 만들어 팔기, 소규모의 농사 등이 있다. 이 모델의 중심서비스는 환자들이 이 숙박시설에서 나가 지역사회에서 살게 될 때 독자적으로 생활하고 활동 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주는 것에 있다. 주로 보조와 지지 없이는 지역사회에서 살 수 없는 사람과 일반적인 직업을 가질 수 없도록 사회적 기능이 퇴행된 사람이 대상이 된다.

27 동병상련 모델(consumer run affirmative model)
 이 모델의 철학적 근거는 서로간의 감정은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나 이해하지 치료자들은 진정 이해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간에 상호지지와 친구애 등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자신들의 곤란을 극복하는데 있다.  특징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주체가 치료자가 아니라 바로 환자들 자신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문제나 어려움을 타파하고자 노력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자신들의 옹호활동 및 사회의 편견을 제거하고자 노력한다. 이 모델에서는 자율권이 아주 많이 강조되므로 증상이 심한 환자는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이 비판.

28 이웃 만들기 모델(community worker model)
일반시민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필요로 하는 지지를 제공하는 모델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에게 정신질환에 대한 간단한 교육을 시킨 후 보수를 주거나 혹은 자원봉사자의 형태로 환자들에게 지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의 특징이자 목적은 ‘이웃 만들기’로 지역사회 주민으로 하여금 일상적이고 자연스런 관계를 맺도록 도와주면서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유도한다. 이웃들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교통수단을 제공하거나 약물복용을 점검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주며 일상생활 수행에서 모범을 보이면서 지지를 해준다.

29 PACT(Program for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미국 위스콘신 주 데인카운티 치료와 재활을 포괄적으로 제공 프로그램 (미국에서 우수프로그램으로 선정) 지역사회생활훈련과 사회기술훈련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 PACT의 철학 : 통합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장기간 제공.   (1) 전문요원들이 팀이 되어 치료 및 서비스를 포괄적 제공.   (2) 1-2년간의 단기적인 서비스가 아닌 지속적 프로그램이다.   (3) 사무실 중심의 치료가 아닌 환자가 있는 곳에서 치료 및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in-vivo 서비스이다.   (4) 솔선성과 동기 낮은 이에게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 PACT의 조직 : 정신과전문의 1명, 전문 사회복지사 2명, 간호사 2명, 일반 사회복지사 2명과 작업치료사 1명, 3-4명의 준 전문요원과 1명의 사무원. 이들이 담당하는 환자의 수는 7.6:1이 된다.

30 팩 PACT 서비스 PACT 서비스 : 검사, 계획,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 과정. ① 신체적 치료 ② 입원 및 위기 개입
      ① 신체적 치료       ② 입원 및 위기 개입       ③ 일상생활 및 사회기술훈련     ④ 가족치료       ⑤ 질병관리 치료        ⑥ 심리적․정서적지지       ⑦ 비 치료적 서비스 요소 PACT 실시효과 : - 입원하지 않고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 - 입원한 시간이 짧았고 - 병원치료 후 퇴원하여 사후보호를 받은 이보다 더 많이 취업. - 만족스런 삶과 자존감 높아졌다고 평가. PACT 단점: 지속적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못하면 그 효과 낮음.

31 Tips to Improve Your Mental Health-Every Days!
매일 당신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조언 Sunday: Relax Monday: Make a plan. Tuesday: Surround yourself with supportive people. Wednesday: Take care of your body. Thursday: Give of yourself. Friday: Broaden your horizons. Saturday: Value yourself.

32 위켄(We can)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과자 제조업체 '위켄(WE CAN)에서 <끝>


Download ppt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