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Contents Proposition Summary Contents Figure – Example Installation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Contents Proposition Summary Contents Figure – Example Installation"— Presentation transcript:

1 Contents Proposition Summary Contents Figure – Example Installation
                                                                 Chapter 1. Introduction  Section 1. Necessary of HACCP   Section 2. content and situations/apply principle of HACCP                        Section 3. Expected efficacy of Enforcement                                                  Chapter 2. The state of HACCP facility and operation                            Section 1. Introduce Section 2. The analysis of HACCP facility and operation state

2 H A C C P HACCP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의 머리 글자로서,
일명 “해썹”이라 부르며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이를 “식품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HACCP은 위해 분석(HA)과 중요 관리점(CCP)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HA는 위해 가능성이 있는 요소를 찾아 분석, 평가하는 것 이며, CCP는 해당 위해 요소를 방지, 제거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관리점을 말합니다. HACCP란 식품의 원재료 생산에서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 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 관리점을 결정하여 자주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safety)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 관리 체계

3 H A C C P HACCP 도입의 필요성 최근 수입식육이나 냉동식품, 아이스크림 류 등에서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 리스테리아, 캠필로박터 등의 식중독 세균이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으 며, 농약이나 잔류수의약품, 항생물질, 중금속 및 화학물질(포장재가소제(DOP) 식물성 가수분해단백질(MCPD), 다이옥신 등)에 의한 危害 발생도 광역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이들 危害 요소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확산 되고 있으며, 식품의 위생안전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전 사회로 고조 되어 가고 따라서 이들 危害 요소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위생관리기법인 HACCP를 법적 근거에 따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거나 적용을 추진하고 있습 니다. 더욱이 EU, 미국 등 각국에서는 이미 자국 내로 수입되는 몇몇 식품에 대하여 HACCP를 적용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HACCP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 입니다.

4 H A C C P HACCP의 현황 최근 미국,캐나다, 유럽,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에서는 일부 식품
용 대상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해당국내에서 유 통 되는 식품은 HACCP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일종의 무역 장벽으 로도 작용할 예정입니다. 국내에서는 1995년 HACCP가 도입되고 1996년 일부제품에 대한 관리 기준을 고시함으로써 HACCP시스템의 적용체제를 구축하였으며 현재 희망업체의 신청에 따른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5 H A C C P Facility : Standard of the HACCP – Naked Sketch 출입제안설비
저온창고 출입제안설비 환경위생설비

6 H A C C P HACCP의 원칙(Principle) 및 절차 1~5 절차
HACCP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정한 다음의 7원칙 및 12절차에 따라 수행됩니다. 절차 1∼5 는 원칙 1의 위해 분석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절차 1 : HACCP팀을 파견한다. 절차 2 : 제품의 특징을 기술한다. 절차 3 : 제품의 사용법을 명확히 한다. 절차 4 : 제조 공정 흐름도를 작성한다. 절차 5 : 제조 공정 흐름도를 현장에서 확인한다.

7 H A C C P HACCP의 원칙(Principle) 및 절차 6~12 절차(원칙) 절차 6 : HA(위해요소)를 분석한다.
절차 8 : CL(관리기준)을 결정한다. 절차 9 : CCP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을 설정한다. 절차10 : 9결과 CCP가 관리상태의 위반 시 개선조치를(CA)를 설정한다. 절차11 : HACCP가 효과적으로 시행되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정한다. 절차12 : 이들 원칙 및 그 적용에 대한한 문서화와 기록유지방법을 설정한다. * 절차 6~12는 원칙에 해당 *

8 기술서, 생산의 공정흐름도 등이 작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제품 및 소비자에
H A C C P HACCP의 원칙(Principle)을 실행하기 위한 접근 방법 6-1 1. HACCP팀 구성 : HACCP 시스템의 수립을 위한 프로젝트팀이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는 생산, 기술, 설계, 연구/개발, QA/QC부서의 대표자와 미생물전문가, 팀 리더 선정. 2. 자료수집: 제품의 구성, 보관, 포장상태, 사용방법, 사용연령층 등을 나타내는 제품 대한 기술서, 생산의 공정흐름도 등이 작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제품 및 소비자에 대한 잠재적인 유해요소가 도출 3. 위험평가: 생산공정의 각 단계와 도출된 유해요소와의 연관성을 파악. 파악된 유해 요소 별로 발생가능성과 발생시 결과의 심각성에 근거하여 위험을 평가. 식품안전을 위해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중요 관리점(CCPs)을 선정. 식품안전을 위한 일반관리사항(POA)과 HACCP보조프로그램 GMP, GLP, ISO등을 파악한다.

9 H A C C P HACCP의 원칙(Principle)을 실행하기 위한 접근 방법 6-2
4. HACCP 시스템 이행: 파악된 CCP 및 POA에 대한 관리가 수행되고 이행결과를 기록해야 한다. 관리 한도를 초과한 CCP 에 대한 시정 조치절차가 수립되어야 한다. 5. 감시(모니터링)시스템: HACCP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이행되는지를 검증 할 수 있는 시스템- 예를 들어 내부감사, 제품품질의 검사 등. 실패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순으로 감시가 집중 될 필요가 있다. 경향분석을 통해 원인파악 및 적절한 대책을 수립 6. 지속적인 개선: 시정조치를 통한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10 H A C C P Effect of HACCP with Eugene’s Family (Estimate) Safety zone
Manufacture Initial Automation Air-Blow Type HACCP Euene Fully Systems Before Initiate Fully Degree of Pollution Safety zone Without an agent of Disease Appropriate Standard Enterprise The Introduction of HACCP - The Stage Effect of HACCP with Eugene’s Family (Estimate)

11 H A C C P HACCP 도입의 효과 1. 식품 안전에 대한 의식 고양 및 예방 효과
2.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신뢰성 확보 3. 해당국 법규 충족 4. 품질 / 안전 비용의 감소 5. 이해 관계자의 감사 경감 6. 사업개선의 기회를 제공 7. 시장 점유율 제고 또한, HACCP는 2002년 7월부터 시행 중인 제조물 책임법(PL법)에 대비하여 식품의 안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 입니다.

12 H A C C P HACCP 인증의 효과 1 HACCP는 식품의 안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입니다 식품의 안전성이 향상됩니다. 위해 분석을 수행하다 보면 종전의 제조방법을 평가하게 됨은 물론 관리해야 할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되므로 이 지점을 철저히 관리하면 보다 안전한 식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 안전성이 지속됩니다. 아무리 완전한 제도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명무실해 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HACCP는 계획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검증하고 필요 시 시스템 변경을 하여 대처하므로 높은 위생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3 H A C C P HACCP 인증의 효과 2 3. 식품 구매자(2차 가공자 혹은 소비자)는 식품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므로 HACCP를 도입하여 제조된 식품은 일반 식품에 비하여 경쟁력이 강한 식품이 될 수 있습니다 HACCP 도입초기에는 시설설비 보완 등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되나 장기적으로 볼 때 불량품 발생율도 저하되고 사고에 따른 손해배상이나 불량품 회수 비용도 감소할 뿐 아니라 최종제품에 대한 미생물검사횟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이익이 됩니다 HACCP는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 요구되고 있는 식품위생관리시스템이므로 HACCP 적용식품은 국제무대에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14 H A C C P Fully Fixed HACCP System – Supplier Eugene company
Eugene shall supply that fixed Disinfection systems of HACCP Standards. It is pertinent wholly Standards of the Food and it’s storing. Eugene’s Sanitary Products Line up 1. Auto Body Disinfection 2. Individual washer 3. Pass Booth 4. Auto Spray System (Fogging System) 5. Pass Box 6. Raw material and Stuff Disinfection System 7. Gloves and boots Sterilization facility

15 H A C C P The others Products and Facilities (Included HVAC) Air Towel
Hand Cleaning Unit Boots Washer Air Shower Locker Room Facility Clean Air Facility Accessory We’ll support wholly facilities and Services of the standards of HACCP and GMP

16 H A C C P An infection Route and source / a Countermeasure
부유 감염원 – 공기 중에 산재해 있는 부유 세균 및 병원균  Fogging Disinfection System 4way type 의류 및 피부의 오염에 의한 접촉성 감염  Multi-Function washing equipment N Body disinfector 경구 감염 – 식료품 및 음용수의 섭취를 통한 원,부 재료오염에 의한 감염  Hygiene Facility 오염지역 통과에 따른 전염지역의 확산.  Boots Washer and Body disinfection System


Download ppt "Contents Proposition Summary Contents Figure – Example Installation"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