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철근가공 Loss 저감을 위한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철근가공 Loss 저감을 위한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Presentation transcript:

1 철근가공 Loss 저감을 위한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고려대학교 조훈희

2 발표순서 철근공장 가공 배경 철근공장 가공의 현황 철근공장 가공 활성화를 위한 방안 현장가공 Vs. 공장가공
철근 가공공장 활성화를 위한 설문분석 자료 철근공장 가공 활성화를 위한 방안 국내외 사례 향후 전개방향 및 기대점

3 Part 1. Intro

4 현장가공 Vs. 공장가공 현장가공 공장가공 현장여건 변화 대처가 용이 가공생산성 낮음, 정밀가공 불리
단척활용 및 자재관리 어려움 - LOSS 8% 추정 (품셈기준 3~5%) 작업장/야적장 확보 어려움/관리비용 기상조건에 따른 작업불능 작업안전문제 가공생산성, 품질 향상(정밀가공 유리) LOSS 감소 - 3% 수준 가능(운반비와 trade-off) 가공장, 야적장 관리 부담 경감 기상조건 제약 없이 생산일정 준수 작업안전 확보에 유리 현장변화 대응 어려움 입지에 따라 선택폭이 제한적

5 현장가공

6 공장가공 Process

7 Part 2. 철근공장가공 현황

8 철근공장가공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조사 일시 조사 대상 조사 기관 2006년 5월 25일부터 2006년 6월 7일까지
일반건설업체(60%), 철근콘크리트(철근전문 포함) 전문업체(약 40%) 총 100부를 배포하여 총 27부(27%)를 회수 조사 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강태경, 조훈희 외)

9 1) 철근 현장가공의 문제점

10 2) 철근 공장가공의 기대효과(장점)

11 3) 향후 바람직한 철근 가공방식

12 4) 공장가공 방식의 저조한 활용 이유

13 철근가공 공장의 지역분포 제강사 분포도 철근가공 공장 분포도 주) 2006년 기준으로 예정업체 포함 자료임

14 5) 공장가공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

15 Part 3. 공장가공 활성화

16 철근 공장가공 방식에 대한 많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증가폭은 미비한 실정임
가공방식별 철근 가공량 수가공 현장가공 현장가공장 공장가공 2001 Ton 909 7,646 67 472 9,904 % 10 84 0.8 5.2 100 2006 490 7,170 1,180 985 9,825 5 73 12 철근 공장가공 방식에 대한 많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증가폭은 미비한 실정임

17 Case Study I 영국 히드로 공항 제5 터미널 프로젝트
주) 구본상 외, “린건설과 해외 대규모 건설공사 적용사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 Case Study II GS BAS + TPMIS

19 철근가공 및 배근 작업 Process 구 분 Shop DWG. 주문 설치 계획 가공 철근하도업체 건설 원 현장 도 급 업 체
본사 (자재팀) 철근공급업체 (가공공장) Shop DWG. 주문 설치 구 분 자재청구서 작성 Shop DWG. 송부 철근물량 산출 및 소요계획 수립 오프라인 온라인 계획 청구서 접수 발주서 작성 발주서 송부 발주서 접수 공장 가공 철근 공장반출 철근 현장조립 가공 철근 운반 철근 현장반입 및 야적 철근 Shop Drawing 작성 설계도서 검토 철근 Shop DWG. 검토 Shop DWG. 접수 견적 의뢰 견적 작성 견적 평가

20 Issue 2 주문 vs. 가공 Issue 1 샵 vs. 바리스트 Issue 3 가공 vs. 납품 Issue 4
좀 넉넉하게… 다 해줘도 되나? 다 실었나? 더 실은 거 아냐? 출발했어요? 보냈어요! 얼마나 남았지? 싸인하세요! 덜 온거 아냐? 제대로 입력했나? 팩스 보냈어요? 메일 다시 보냈어요! 빨리빨리! 빠진거 없나? 배근시공상세도 Shop dwg. Issue 1 샵 vs. 바리스트 Issue 2 주문 vs. 가공 Issue 3 가공 vs. 납품 Issue 4 입고 vs. 출고 가공철근 일람표 Bar list 가공철근 주문 가공작업 지시 자동배근 샵/바리스트 통합 WEB 자동인식 공장가공 꼬리표 제작 송장제작 및 출고검수 가공철근 공장출고 가공철근 배송 가공철근 현장입고 및 검수 가공철근 현장재고 관리 가공철근 현장출고 주) 이하 자료는 강태경 외, “철근 자재공급망 및 조달시스템 혁신모델 개발” 발표자료, 2009.

21 향후 발전 시나리오(To-Be) 배근시공상세도 Shop dwg. 가공철근 일람표 Bar list 가공철근 주문 가공작업 지시
공장가공 꼬리표 제작 송장제작 및 출고검수 가공철근 공장출고 가공철근 배송 가공철근 현장입고 및 검수 가공철근 현장재고 관리 가공철근 현장출고

22 Bar List 및 가공공장 Order 가공공장

23 가공공장 Tag 발급 가공공장

24 주문관리 AS-IS TO-BE 작업지시서를 프로그램(엑셀, S/W) 또는 수작업으로 작성 작업지시서를 팩스로 송부, 수정내용
(형상치수/수량)도 전화/팩스로 통보 Bar-list정보 활용하여 작업지시서 발급 시스템에서 작업지시서 조회·확인 작업지시서의 변경 내용 이력관리 주문정보의 이력관리 안됨 주문정보 불일치로 누락/재가공 물량 발생(철근 loss 증가, 재가공 시간, 운 반비 등 비용 발생) 주문정보 이력 관리로 정확성 향상 현장과 가공공장간의 협업 지원 불필요한 낭비 방지

25 생산관리 AS-IS TO-BE 작업지시서의 부재별 가공정보를 꼬리표 출력 프로그램에 재입력
※ 25톤 트럭 1차분 입력 : 2시간 소요 부재별 가공 꼬리표 출력 작업지시서 정보를 활용하여 꼬리표 발급 ※ 5분 소요 시스템에서 RFID 부재태그 출력 부재별 꼬리표 정보 재입력 시간 낭비 ※ 1개 현장(7000톤 기준) : 7000톤/25톤×2hr=560hr 소요 입력 오류로 인한 철근 loss 발생 재입력 과정의 오류 방지 재입력 낭비 방지 현장과 가공공장간의 협업 지원

26 송장관리 AS-IS TO-BE 송장을 작성하여 출력 송장을 보고 적치된 가공철근을 트럭 에 상차
※ 상차작업에 1시간 이상 소요 시스템에서 송장 및 송장태그(RFID Tag) 발급 송장태그를 Handheld 리더로 인식 상차된 가공철근의 부재태그를 Handheld 리더로 인식하여 송장의 부재리스트와 대조, 확인 송장과 상차된 철근의 불일치 발생 현장은 장철근 여유량을 요구 가공공장에서는 철근 loss 우려 송장과 출고 자재의 일치 ※ 정상 o, 누락 x, 오류 △

27 자재의 입고 및 검수

28 결론 및 시사점 철근 Loss 절감의 논리만으로 공장가공 활성화 불가능 철근 자재의 조달기간 단축이 관건 조달물류 투명성 제고
- 현장변화 및 여건의 신속한 대응 철근 자재의 조달기간 단축이 관건 - Shop Dwg., Bar-List, 가공작업지시서 작성, 꼬리표 작업 자동화 - 자재 입고·출고·재고 현황 집계 및 보고서 작업 자동화 - 가공공장 출고, 현장 입고 검수 자동화 조달물류 투명성 제고 - 가공작업 현황 및 배송현황 등 추적관리


Download ppt "철근가공 Loss 저감을 위한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