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일식품 두부사업소 두부 제조 공정 설명.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일식품 두부사업소 두부 제조 공정 설명."—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일식품 두부사업소 두부 제조 공정 설명

2 두부 제조 기술 두부의 제조공정은 대두에서 두유를 만드는 공정과 두유에서 두부를 만드는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여러 가지 두부의 종류에 따라 만드는 방법, 특히 유부류는 두유의 제조방법과 응고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대략의 제조방법을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이하 공정 순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3

4 1. 대두의 선별과 세척 수입 대두는 배에 “Bulk”로 선적되어 입항되고 하역 작업과 동시 마대에 포장되는데 그때 어느 정도의 협잡물은 제거되지만 부스러진 콩, 벌레 먹은 콩 등의 혼입과 다른 곡물류, 이물질의 혼입이 일어날 수가 있다. 여기에 흙이 부착되거나 특히 깨진 콩 등은 그 속 부분에 흙이 혼입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두의 상황을 보고 협잡물이 발견 될 때에는 체 등으로 분리 제거하고 충분한 세척을 필요로 한다. 세척은 여러 번 반복하지 않으면 표면의 흙, 먼지 등을 충분히 제거 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 전에 “Brushing 또는 연마”에 의해 대두의 표면을 씻어 내고 세척을 하는 방법도 있다. 흙, 먼지 등의 내부에는 내열성의 미생물이 혼재해 있고 이것이 두부 중에 들어가 남게 되어 두부 부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5 2. 수 침지와 마쇄 대두를 하룻밤 물에 침지하는 목적은 충분히 물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마쇄를 비교적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물에 침지하는 시간은 기온에 따라 달리해야 한다. 기온이 높으면 흡수가 빠르고 기온이 낮으면 흡수는 늦어진다. 대두가 너무 긴 시간 물에 침적되면 “발아”를 위한 준비활동이 시작되고 대두성분 물질이 분해되는 등의 변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두가 중량으로 볼 때 본래의 2.2 ∼2.3배가 되면 충분한데 이는 17.8℃에서 10시간 30분 정도 내외다. 하절기와 동절기에 관계 없이 거의 비슷한 수온의 물을 사용하는 공장이 대부분으로 일정한 수온의 물로 일정한 시간 침지를 하고 있다. 또 높은 온도의 물에 침지하는 경우는 대두 중의 성분이 침지 수에 용해되어 손실이 될 뿐 아니라 미생물이 번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물에 침지한 대두는 마쇄하게 되는데 옛날에는 자연석을 이용한 맷돌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공업용 맷돌을 사용한다.

6 2. 수 침지와 마쇄 마쇄의 중요한 점은 수 침지한 대두를 충분히 미립자 상태로 하여 세포를 완전히 파괴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 해야 할 점은 껍질 등, 두유가 생기지 않는 부분들을 너무 미세하게 마쇄해 버리면 뒤에 비지를 분리하는 작업이 대단히 어렵게 된다. 비지가 여과망을 막아 버리는 결과를 초래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250Micron 정도의 여과망을 채용한 여과기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마쇄도 상당히 미세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마쇄할 때에는 물을 주입하며 행한다. 이것은 마쇄중에 발열을 방지하고 또 마쇄중 물에 용해하는 성분을 용출시켜 내기 위해서이다. 주입하는 물의 량은 마쇄 속도와 맷돌의 간격과도 관계가 있지만 너무 미세하거나 너무 거칠지 않아야 한다. 마쇄된 즙은 반 고형의 상태인데, 마쇄시에 주입하는 물의 량에 의해서 두유의 추출 비율은 크게 변한다

7 2. 수 침지와 마쇄 또한 마쇄수 수질은 추출 및 응고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마쇄된 대두의 입자크기에 의해서도 추출 율에 차이가 생긴다. 입자가 작으면 추출 율은 좋아지지만 비지의 분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가수 량을 10배 이상으로 하면 대두의 60%에 해당하는 고형 분이 두유로 옮겨지고 단백질의 80%정도가 용출된다. 한편 가수량을 적게하여 5배 정도로 하면 추출 율은 저하한다. 이것은 단백질의 일부가 열변성을 일으켜 두유의 농도가 저하하고 또 마쇄된 대두의 점도가 올라가 비지의 분리가 어렵게 되며, 농도가 짙은 두유가 비지 쪽에 남아있게 되기 때문이다. 최근엔 짙은 농도의 두유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특히 연두부, 순두부, 비단두부 등에서는 더욱더 가수량을 적게 해서 농도를 짙게 하므로 두유의 추출 율이 저하한다.

8 2. 수 침지와 마쇄 두유의 추출법의 하나인 냉 비지 두유추출방식은 비지에 재차 가수하여 2차에 걸쳐 두유를 추출한다. 2차로 짠 두유는 마쇄할 때 주입하는 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1차 비지에서 짠 두유는 두부의 미각, 순환 작업상에 두유 Brix의 변화등을 초래하여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문제점이 있어 대기업에서는 온 비지 두유 추출법을 주로 사용한다.

9 3. 가열 위의 마쇄된 대두즙은 이어서 가열한다. 가열의 목적은 가. 대두의 단백질을 열 변성하게 하여 두부의 맛을 충분히 내게 함. 나. 대두 중의 성분을 가능한 많이 용출되게 함. 다. 대두의 콩 비린내를 없애고, 라. 대두에 묻어 있는 미생물을 살균하는 것 등이다. 가열이 너무 지나치면 단백질이 도리어 불용해 물로 변하고 두부의 매끈한 촉감이 없어지므로 콩 비린내가 없어지고 두유 자체의 향기가 나도록 할 정도면 충분하다.

10 3. 가열 지금 널리 이용되고 있는 가열 솥은 마쇄된 대두즙 중에 직접 증기를 불어넣기 때문에 수증기가 분출되는 힘에 의해 교반이 되므로 설익는 부분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가열 솥의 구조상 사각지대가 있어 교반이 불충분하면, 일부 설익은 부분이 생기고 이것이 제품과 보존기간에 영향을 준다. 마쇄 대두에 증기를 불어 넣으면 증기의 일부가 물로 되어 가수량이 증가하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증가하는 양은 물의 양, 온도 등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유량계를 사용 최종적인 가수량을 조절 하는 것이 좋다. 마쇄한 대두를 가열할 때 100℃ 근처에서는 거품이 생긴다. 이것은 마쇄시 섞여 들어간 공기가 가열시 외부로 분출될 때 “단백질”이나 “사포닌” 때문에 거품을 형성해 버리기 때문이다. 이 거품을 제거하지 않으면 거품이 열 전달을 방해하여 설익은 부분이 생길 수가 있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과거부터 소포제로서 “오일”에 소석회를 가해 만든 것이 사용 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이외에 “그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실리콘 수지” “레시틴” 등이 사용되고 있다.

11 3. 가열 증기 가열 솥을 사용하여 가열할 때에는 미리 마쇄된 대두에 소포제를 첨가해두지만 본래는 끓는 시점에서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 대량 생산 공장에서는 연속식 증기 가열 솥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한쪽에서 마쇄된 대두즙을 투입하면 도중에 가열되면서 이동, 연속적으로 끓은 것이 나오는 것으로서, 이 경우 선입선출이 중요한 핵심이다. 연 순두부는 경 두부보다 가수량이 적기 때문에 마쇄된 대두즙은 상당히 농후하게 되어 과열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과열 되면 두유에 용출할 단백질이 불용화 되어 두부의 수율을 대폭 떨어지는 결과가 된다. 마쇄에 사용되는 물은 침지수와 함께 두부의 맛에 영향을 주고 특히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이 많은 수질은 단백질의 용출을 방해하여 두유의 수율을 떨어뜨림에 주의해야 한다.

12 4. 두유의 분리 가열을 끝낸 대두즙은 비지와 분리해서 두유를 얻는다. 과거에는 면포대에 넣어 손으로 짜서 채취하였으나 그 후 손대신 유압식 압착기 등이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회전원심분리기, 스크류식, 양롤러식 여과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어느 방법에서든 불용성분은 가급적 제거하고 용해 성분 만은 최대한 얻도록 충분히 착즙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마쇄 대두를 가열 후 비지를 분리하여 두유를 얻는 것이 “온비지” 방식이라 하고 국내 대기업 및 일본 등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다수의 업체는 “냉 비지” 방식으로 가열 처리하지 않고 두유와 비지를 분리한 후 분리한 생 두유를 가열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13 4. 두유의 분리 추출한 두유의 농도(고형분)는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고형분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는 두유를 일정량 정확히 계량하여 건조기로 105℃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건조감량을 측정한다. 간단한 측정법은 간이 적외선 수분계를 사용해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것이나 측정치를 얻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작업 현장에서는 맞지 않는다. 현장에서 간단히 농도를 알기 위해서는 당(糖)용 굴절계(당도계)를 사용해서 Brix 라 고하는 단위를 측정한다. 이 당도계는 사탕 등의 당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두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Brix를 농도로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즉, 당도계의 수치와 실제 두유와의 농도에는 약 1%의 오차가 있고 실제 두유의 정확한 농도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두유의 농도 %에 적용) 두유의 농도 = 1.37 × (당도계 표시도) ※ 최근에는 당도계 형식의 두유용 농도계가 나와 있으므로 작업현장에서도 이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14 5. 두부의 응고 및 성형 응고란? 두유에 응고제를 가하여 단백질을 지방과 함께 응고시키는 것을 칭한다. 그 방법은 두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응고제 종류, 양, 두유농도, 첨가하는 방법에 따라 동일한 제품도 맛, 촉감, 수율등이 상이해진다. 응고방법은 두유와 응고제를 균일하고 충분하게 혼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황산칼슘은 불용성으로 침전하기 때문에 응고반응을 철저히 진행시켜야 한다. 일반두부 제조에 있어서 황산칼슘을 사용하면 염화마그네슘 보다 함습량이 높아 수율이 증가되는데 이것은 황산칼슘이 불용성이고, 단백질과의 반응이 느려 단백질 사이사이에 침투된 물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황산칼슘의 사용량은 대두10kg에서 얻은 두유에 g의 응고제를 혼합하는데, 두유 농도가 낮거나, 응고제를 많이 혼합하거나, 응고온도가 높거나, 혼합 시간이 긴 경우에 두부가 딱딱해지고, 수율이 저하된다. 두부의 경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조건을 조정하면 된다. 두유의 농도 및 혼합방법에 따라 응고제 혼합 후 상부에 생성된 액(순물)은 제거 후

15 5. 두부의 응고 및 성형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고물을 성형상자에 주입하고 나면, 압착을 하는데, 그 방법은 주로 자연압, 유압, 공기압 등이 사용되고, 처음부터 강하게 압착을 하면 잉여 응고제가 밖으로 나와 두부표면에 막을 형성하게 되어 압착이 잘 되지 않고 성형포에 붙는 현상이 발생함으로 처음은 가볍게 점진적으로 압력을 높여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현상은 응고제 특성상 항산칼슘 보다 염화마그네슘 응고제 사용하여 고급두부 압착 시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응고물의 온도를 유지하며 압착하면 더욱 부드럽고 탄력 있는 두부를 만들 수 있다. 성형은 용기의 형태에 따라 유 성형포 성형틀, 무 성포 성형틀, 메쉬벨트 등이 있고, 재질에 따라 목재, 플라스틱, AL, 스테인레스 등이 있으며,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키 위해 스테인레스 성형용기에 공기 압력식 압착기를 사용하고 있다.

16 6. 연 순두부 (충진두부) 연 순두부는 일단 냉각된 두유를 응고제와 함께 썩어 일정량씩 사각형의 플라스틱 용기 혹은 튜브에 주입한 후, 수조 중에서 가열하여 전체를 비단처럼 부드러운 상태로 응고시킨 것이다. 가열 응고장치(수조)는 보통 수동이나 생산량이 많은 일부 공장에서는 자동장치를 사용한다. 응고는 가열 온도가 두부 중심에까지 이르게 함으로써 만들어 지는데, 동시에 살균도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의 크기에 의해 달라지지만 90℃에서 40∼60분으로 응고를 완료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90℃ 정도에서는 용기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약85℃ 에서 분 정도 가열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에도 두유의 농도, 응고제의 종류 및 양에 의해 두부의 품질이 달라지나, 조건의 조정이 비교적 쉬우므로 여러 가지로 실험해서 자사의 공장에 알맞은 표준을 만들어야 한다. 또 연 순두부는 용기 하나하나에 일정량의 두유와 응고제가 혼입되어야 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이것이 일정한 품질의 두부를 제조하는 포인트가 되는 것이다.

17 6. 연 순두부 (충진두부) 물에 용해되지 않는 응고제인 황산칼슘은 각 용기마다 혼입되는 량에 오차가 크므로 품질의 차가 큰 경향이 있다. G.D.L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제품이 균일하게 되나 황산칼슘과 달리 산 응고 이므로, 두부의 맛이 다소 다르게 되고 깨지기 쉬운 성질이 있어 끈기가 부족하다는 평도 있다. 다량 사용시는 PH가 낮아져 산미가 발생하므로 적정량을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사용량:약2.6g/,두유1L/, Brix 10%)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G.D.L, 황산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혼합한 혼합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두부는 어느 종류를 막론하고 제조했을 때는 상당히 온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신속히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온도를 서서히 낮추게 되면 도중에 미생물의 번식에 적합한 온도를 경유하기 때문에 미생물이 번식할 위험성이 있다. 두부 중에는 토양 중에 있는 내열성의 미생물이 대두와 함께 침입해 들어가 있다. 활성 온도 조건이 맞으면 번식하는 경우가 있어 이것이 두부의 저장기간을 단축하는 원인이 된다.

18 7. 응고제 두부의 제조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은 원료인 대두는 물론이지만, 그 외에 물과 응고제가 있다. 두부의 제조과정을 어떻게 일정하게 한다 하더라도 응고제의 종류, 첨가량, 첨가온도 등이 달라지면 제품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응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수질(pH, 경도), 두유의 농도, 두유의 점도, 응고제의 종류 첨가량 첨가온도, 혼합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모든 것이 적절히 조화를 이룰 때 좋은 응고 상태가 된다. 두유의 농도는 추출 율에 의해 결정되는데 품종, 계절에 따라 콩이 변하므로 고형분의 추출 율도 달라지게 된다. 연 순두부의 경우 농도가 낮으면 생산되는 두유가 많으므로 수율이 올라가나, 너무 낮을 경우 품질이 저하된다. 경 두부에서도 농도가 낮으면 수율이 올라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농도가 낮으면 두부가 딱딱해지고 물 빠짐이 심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오히려 수율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응고를 아주 잘 시키는 기술자가 있고 거기에 따르는 후속작업이 조심스럽게 이루어 진다면 수율이 높아질 수는 있다.

19 7. 응고제 농도가 높으면 연 순두부의 경우는 품질이 향상되고, 경 두부에서도 부드럽고 탄력 있는 두부가 되므로 품질이 향상된다. 수율면에서도 두부가 부드럽게 됨으로 오히려 늘어나는 경우가 많다. 지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현재는 음식에도 서구화 추세가 늘어나고 있고 청소년층이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두부도 딱딱한 것 보다는 부드러운 두부를 선호하여 두유의 농도도 계속하여 올라가고 있다. 응고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은 크게 pH와 경도이다. 중금속이 많은 물도 응고에 영향을 미치겠으나 음용수로 가능할 정도의 수질이라면 큰 영향은 없다. 경도와 pH는 응고에 영향을 미치는데 일반적으로 pH , 경도 40정도의 물이 두부 제조에 알맞다고 알려져 있다. pH가 낮을수록 두부는 딱딱해지고 높을수록 부드러워진다. 경도가 높은 물로는 좋은 두부제품을 만들기 어려운데 이는 물에 포함된 Ca2+ Mg2+ 이온이 응고제 역할을 하여 두유의 점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점도가 높은 두유는 응고제와의 혼합 교반에 문제가 있고 응고제와의 반응도 예민해지기 때문에 역시 좋은 두부를 얻기 어렵다.

20 7. 응고제 현재 두부용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는 응고제는 염화마그네슘(MgCl26H2O), 황산칼슘(CaSO4 2H2O), G.D.L(Glucono delta lactone) 등으로 그 특성과 사용조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1 7. 응고제 가. 염화마그네슘은 해수에서 소금을 채취한 후의 부산물인 간수의 주성분으로, 대두 본연의 맛을 가장 잘 나타나게 하는 응고제 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에서도 염화마그네슘은 “니가리” 라고 하여 응고제의 대명사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맛있는 고급 두부는 대부분 니가리 100%로 제조된다. 황산칼슘이 예로부터 풍부한 중국에서도 염화마그네슘으로 만든 두부가 맛있다고 하고, 서구인도 염화마그네슘으로 만든 두부를 좋아하는 것을 보면 염화마그네슘 두부가 맛있다고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인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부에서도 표피를 부드럽게 하고 대두 본연의 감미를 부여한다. 염화마그네슘은 조해성이 강하여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므로 보관에 주의가 필요하다. 해수에서 얻은 간수는 예로부터 두부제조에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해양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고, 간수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염화마그네슘을 따로 분리하여 현재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염화마그네슘은 황산칼슘이나 G.D.L 과는 달리 두유와 혼합하면 바로 반응하는 속효성 응고제 이다.

22 6. 응고제 일반적으로 속효성 응고제는 유부처럼 보수성이 적은 두부를 제조할때는 일도 빠르고 응고 작업도 쉬우나, 보수성이 큰 두부를 제조할때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경 두부를 제조하는 경우, 두유와 교반할 때 먼저 응고된 부분을 다시 파쇄하여 단단한 두부가 되는 문제가 있고, 연 두부에서는 두유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충분히 교반해 주어야 하는데 빠른 반응성 때문에 염화마그네슘만으로 균일히 응고시키기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다. 또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속효성 응고제는 기본적으로 두유품질이 그 후의 응고작업의 어려움 정도, 수율, 두부의 품질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른 공장에서는 이렇게 하면 잘 되는데 여기서는 안 된다” 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두유의 품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마땅한 계량기구도 없이 간수로 좋은 두부를 만드는 최고의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으나, 생산성에 중점을 두는 오늘날에는 맛보다는 작업 성을 우선으로 하여 지효성 응고제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고급의 맛있는 두부를 원하고 있어 반응속도와 맛을 적당히 조절한 혼합제제가 개발되어 포장두부, 보온두부에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의 진보로 기본적인 두유의 품질이 향상되고 있고 아울러 염화마그네슘의 사용법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염화마그네슘의 사용은 보다 쉽고 광범위 하게 진행될 것이다.

23 7. 응고제 나. 황산칼슘은 일반 판 두부의 제조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응고제 이다. 이는 반응 속도가 느려 사용하기가 쉽고, 부드럽고 보수성이 좋은 두부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값이 저렴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황산칼슘의 용해도는 물 100ml에 대하야 약 0.25g 정도로 적고 온도에 의한 편차도 적다. 따라서 두유와 반응 시 순차적으로 녹으면서 두유와 반응하므로 부드러운 응고물을 만든다. 용해속도는 결정의 질, 결정의 입도분포에 의해 크게 달라지고 거기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 제품의 상태도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황산칼슘의 품질은 입도분포와 용해속도 모두를 관리해야 한다. 황산칼슘이 과잉 사용된 두부는 찌개 등을 끓일 때 열을 받으면 재 응고 되어, 매우 딱딱한 두부가 되므로 가능하면 최저 필요량으로 부드러운 두부를 만들어야 한다. 두유 중에 황산칼슘 현탁액을 투입하고 교반하면 황산칼슘은 서서히 두유 중에서 녹아 칼슘이온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응고하므로, 보수력과 수율이 좋은 두부가 제조된다. 반응속도가 완만하여 응고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사용하기가 쉽고 소프트한 두부가 된다.

24 7. 응고제 이상의 특징을 다시 정리하면 ① 물에 용해가 어렵고 (불용성) ② 두유와의 반응이 완만하며 (반응속도가 적당) ③ 보수성이 좋고 (물 빠짐이 적당) ④ 첨가량의 허용범위가 넓고(첨가량이 변해도 경도의 변화는 적다) ⑤ 대두 본래의 맛을 일부 살리고 ⑥ 작업성의 폭이 넓다.(경제성과 편리성)

25 7. 응고제 황산칼슘은 공장에서 제조된 화학적 합성 품과 천연물의 분쇄 품이 있는데, 천연물의 경우 가격은 저렴하나 품질이 불 균일한 단점이 있다. 어느 것을 막론하고 용해도가 낮아 두유 중에서 침전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며 사용해야 한다. G.D.L은 “글루콘” 이라고도 부르는데 황산칼슘과는 달리 두유에 균일하게 용해되어 조금씩 “글루콘산”으로 되고, 두유는 이 산과 반응해서 보수력이 풍부한 균일한 응고 물이 된다. 이 반응은 저온에서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연 순두부에는 미리 냉각한 두유에 이 G.D.L을 가하여 혼합해 두고 이 두유를 연속적으로 다수의 용기에 주입 밀봉하여 수중에서 가열하면 보수력이 풍부한 응고 물인 연 순두부가 된다. 또 80℃ 이상의 두유에 G.D.L을 가해도 반응이 느림으로 보수력이 풍부하고 균일한 응고 물을 얻을 수 있어 포장두부, 벌크 순두부 등의 제조에 적합하다.

26 7. 응고제 G.D.L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20℃에서 100ml의 물에 59g으로 매우 높다. 한편 황산칼슘은 100ml의 물에 약 0.2g으로 매우 낮다. 이것은 예를 들면 G.D.L의 두유에 대한 사용량을 0.3%로 할 경우 두유 100L에 대하여 G.D.L은 300g으로 약 500ml의 물, 즉 두유의 200분의 1의 물에 용해 시킬 수 있지만, 황산칼슘은 300g을 용해시키는데 150L의 물, 즉 두유량의 1.5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황산칼슘은 현탁상태로 밖에 사용할 수 없으나, G.D.L은 두유 농도에 영향이 없을 정도의 소량의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뿐 아니라, 두유와 혼합하는 시점에서는 산으로서의 성질을 나타내지 않아 즉시 응고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두유와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27 7. 응고제 G.D.L의 응고는 황산칼슘의 응고에 비해 두부의 면이 보다 치밀하게 응고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황산칼슘의 경우는 일부 용해한 칼슘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두유를 응고시킨다. 그러므로 불용분의 황산칼슘의 용해가 가능하게 되고 응고 반응이 단계적으로 진행돼 응고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G.D.L의 경우는 두유와 혼합 후 “글루콘”산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응고 반응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두유에 응고제를 가했을 때 황산칼슘에서는 일부 용해한 칼슘이 있어서 이것이 단백질과 접촉하는 순간 즉시, 응고반응이 시작 하지만 G.D.L의 경우에는 두유에 가해진 시점에서는 산으로서의 성질을 나타내지 않고 두유 중에서 서서히 “글루콘” 산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황산칼슘보다 한 단계 늦게 응고반응이 진행되는 차이가 있게 되고, 이로 인해서 G.D.L은 부분적인 응고현상이 아닌 전체적인 응고 반응으로서 더욱 치밀하고 강하게 응고시킨다고 볼 수 있다.

28 8. 응고제 첨가량 황산칼슘은 첨가량을 증가 시켜도 그다지 경도에 변화가 없으나 G.D.L은 경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두부의 경도조절에 G.D.L이 편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황산칼슘은 첨가량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어도 두부의 경도는 거의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라도 과잉의 첨가는 두부의 맛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적량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실제의 경우 두유단백 농도 4 - 5% (두유 농도계 Brix ) 에서 염화마그네슘은 전체 두유의 %, G.D.L은 %, 황산칼슘은 % 까지가 표준이다. 황산칼슘의 경우 가열 후 냉각하면 경도가 상당히 높아져 씹을 때 부드럽지 않은 촉감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가열 시 미 반응의 황산칼슘이 두부 속에서 반응하여 더욱 단단하게 만드는 것이므로 적량을 사용하여야 하며 제조 후 물에서 미 반응의 황산칼슘이 용해되어 나가도록 충분히 수침 냉각하는 것이 좋다. 염화마그네슘을 혼용하였을 경우 이러한 현상을 많이 줄일 수 있다.

29 연 순두부 제조 공정도

30 연 순두부 제조 공정도

31 연 순두부 제조 공정도 ※ 비고 1. 소포제는 평소의 경두부에 비하여 50%정도 더 사용 (냉각상태의 두유는 소포가 어려움) 2. 두유의 표면에 거품이 없는 상태여야 함 3. 같은 침지상태라면 높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침지한 것 보다 낮은 온도에서 긴 시간을 침지한 것이 좋음 *4 점도는 낮을수록 좋음 두유가 끈적이지 않고 물처럼 흐르는 느낌이어야 함

32 기포발생원인과 그 대책 1. 소포제 첨가 부족 -냉각 두유에서 조금 큰 기포가 발생한다면 소포제가 부족할 경우가 많음 2. 두유의 품질 불량 - 두유를 탱크에서 관찰할 때 표면에 배색의 미세기포발생시 가열 부족 - 두유의 품질이 불량할 시 두유의 점도가 높으며 이로 인하여 공기의 유출(빠져나감)이 충분치 못함 - 가열방법의 개선 필요 3. 펌프의 메카니컬씰 부분 공기흡입 및 배관연결부분의 공기흡입 4. 충진기의 구조적 문제

33 이수발생원인과 그 대책 (제품생산의 점검포인트)
1. 두유의 pH - 두유의 pH는 이 가장 적당하나 6.5 전후로 낮아질 경우 두부의 경도가 높아지고 보수성이 저하되어 이수현상 발생. - 침적시간을 단축하여 대두의 산화를 방지하고 사용지하수의 pH도 점검할 필요가 있음. 2. 대두침적시간의 과다 - 작업개시 초기와 종료시의 제품 품질에 차이가 발생시, 특히 종료시의 품질불량 시는 침적과다임. - 침지조의 생산시간 관리필요, 즉 1시간 이내 제품이 만들어지도록 분리하여야 함

34 이수발생원인과 그 대책 (제품생산의 점검포인트)
3. 두유의 품질불량 - 가열가마의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두유가 부분적으로 가열부족 또는 과열과다 된 현상] 현상이 발생. ※ 두유의 품질 점검 - 점도가 낮을 것 - 표면에 유바(유지방 막)가 생길 것 4. G.D.L 용해수의 온도가 높을 경우 - 냉각두유온도 또는 ℃ 정도의 냉수 사용

35 이수발생원인과 그 대책 (제품생산의 점검포인트)
5. 열탕 조건 - 최초 분 간에 응고 형성, 이후 살균시간 20-30분 - 응고 형성 시간 동안은 기계적 진동 피할 것 6. 포장 충진기 조건 - 재 회수 충진 두유량 최소화 할 것 (충진기 노즐구조 개선으로 재 사용금지) 7. 배관 불량 시 두유이송관 내에 잔류하는 두유의 변질 - 경사를 두어 두유가 배관 내에 정체하지 않도록 할 것.

36 응고제의 종류 및 사용량 (일반적인 예)

37 응고제의 종류 및 사용량 (일반적인 예) ※첨가량은 두유의 품질 및 수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38 연 순두부용 응고제 하이 1110 태진GNS자료 인용 하이 1110은 G.D.L,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연·순두부용 응고제입니다. 보다 탄력이 있고 고소한 맛을 부여하며, 여름에 신맛이 나지 않고, 케이스로부터 분리가 쉽게 되는 연·순두부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특 징 ⊙ 여름에 신맛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하여 맛이 고소합니다. ⊙ 두부가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됩니다.

39 연 순두부용 응고제 하이 1110 태진GNS자료 인용 *사용방법 ⊙ 두유농도: 10~13BRIX ⊙ 사용온도: 10~15℃(냉각두부 사용시), 75~90℃(통 순두부 등) ⊙ 사용량: 두유 1리터에 2.5~3g ⊙ 하이 1110을 4배 정도의 물에 희석시킨 후 두유에 첨가하고 충분히 섞이도록 교반 ⊙ 물에 희석한 후에는 30분 이내에 사용 *사용상 주의 및 보관방법 ⊙ 하이 1110은 흡습성이 강하므로 사용 후에는 반드시 밀봉하십시오. ⊙ 흡습하여 고착되는 경우에는 제품이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폐기하여야 합니다. ⊙ 건조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하십시오.

40 9. 절단 및 포장 압착 성형된 두부는 포장단위로 절단하여 용기에 충진 수와 함께 포장을 하게 되는데, 이 작업에도 기술이 필요하다. 1)두부의 세균 증식 및 살균 시 온도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성형완료 즉시 절단하여 포장한다. 2)두부 품질 및 유통기한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진수도 음용수 보다 시상수 사용을 권장 한다. 3)절단기 내부에 절단.담기 수는 세균의 증식과 두부표면이 벗겨지고, 모서리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낮은 온도의 용수를 사용하여 절단기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41 9. 절단 및 포장 포장은 형태에 따라 용기포장, 진공포장, 충진포장, 삼면포장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단위 중량에 의해 구분되기도 한다. 1)용기포장은 플라스틱 용기에 두부와 물울 담아 필름으로 포장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 하는 방법이다. 2)진공포장은 경도를 아주 높게 만든 하이프로텐인 두부와 같이두부에 물이 없는 것을 포장하는 방법이다. 3)충진포장은 파쇄두부, 연순두부 등을 주로 액 상태에서 주입 포장하는 방법이다. 4)삼면포장은 맛두부, 마파 두부나, 가공두부에 소스들이 혼합하여 포장을 할 때 사용하는 형태이다. 제품의 사양에 적절한 포장방법을 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기포장에 있어서 필름 절단면 형태에 따라 일반(T )커팅, 트리밍 커팅, 펀칭 커팅으로 나누어진다.

42 10. 살균 및 냉각 근래에 들어서 포장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장두부를 살균 냉각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제품의 크기 및 중량, 형태별로 상이하지만 용기가 온수에 견딜 수 있는 즉, 온도 85℃범위 내에서 40분 전후로 살균과정을 거치고 있다. 저온살균의 경우 심부 온도가 70℃이상 최소 10분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대부분이 잠열량이 큰 온탕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비록 자동화된 기계가 아니더라도 기본을 지켜 살균을 한다면 동일한 살균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지만, 대형공장에서는 자동화된 장비를 이용하여 살균을 하고 있다. 제품의 냉각은 비록 제품을 살균처리를 하더라도 내열성 균들은 사멸되지 않기 때문에 균들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즉시 급냉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해야 한다. 통상은 5℃ 미만의 냉각수 속에서 80분전 후로 냉각하여 심부 온도가 5℃ 미만이 되게 한다. 개중에는 더욱 신선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1℃ 미만의 냉각수 냉각수를 사용하는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43 480kg(hr) 포장두부 관련 생산설비에 관한 기초 물질리스트
두부용 기초물질수지 리스트 480kg(hr) 포장두부 관련 생산설비에 관한 기초 물질리스트

44 1. 두부제조 품목 및 그에 따른 설비규모 (480kg/hr) X 1라인
분류 순위 포장두부 생산량 두부총중량(10h) 원료 사용량 설비규모(원료) 성형틀규격 Hr 10Hr 두부수율 약 300% 1.두 부 3.0Kg 480개 4,800개 14,400kg 14,400/3=4,800kg 4,800/10h= 480kg/Hr 6모/1판 (3X2) 642X624/1모 생산량 480개 x 10hr = 4,800개 X 1라인 = 4,800개 (14,400Kg) **작업시간 8-10시간 운용**

45 2.제조설비 시공 방향 2-1. 온비지 두부 제조법 2-2. 파이프식 연속 두즙 마쇄. 증자 및 여과 방식
2-3. 복합 응고제 사용, 무소포제 방식 kg 2Step 포장방식 2-5. 온수 직접가열 살균 및 아이스빌더 냉각수에 의한 냉각 방식

46 3. 제품사양: 포장두부(원료 480kg/Hr) (응고제 : 복합 응고제 사용)
품명 규격 모당 중량 고형분 두유 농도 생산 능력(H) 두부생산 능력 필요 대두량 두유 량 응고기 사용두유 응고 시간 성형 성형틀 규격 성형틀 높이 m/m KG % 개/hr kg/8hr kg/h L/h L/min 회/L min 형태(가로*세로) 3.0Kg 214x 312x 45(h) 13.5 10 480모 11,520kg 480kg 3,024 50.4 37.8/80 16.8 16.6 936*428 - 6모형 100m/m

47 4.Material Balance 두유 생대두 세척수 침지수 침지대두 가수 냉 비지 온 비지 스팀수 비지 두부 % kg L
대두비열 (Kg) 10 1 3 2.12 5.12 7.24 0.16 6.3 0.94 두부 /3배

48 5.스팀 사용량(Hr)-두즙 증자 및 두부열탕살균용 (열탕기 초기 가온용에 필요한 스팀양은 제외합니다.)
두 즙 량 열탕, 살균 보자기 살균 조 L/Kcal/Kg/Hr Kcal/kg/Hr L 480Kg/Hr 480kg*7.24=3,476 5kg x 480 =2,400kg 600 스팀 kcal/Hr (Kg/Hr) 105℃-15℃ △T 90 312,840Kcal ( 622kg ) 85℃-20℃ △T 65 156,000Kcal ( 310kg ) 95℃-15℃ △T80 48,000Kcal ( 95kg ) ≒ 1,027kg x효율(15%)=1,181Kg x여유 율(20%) = 1,418Kg/Hr 이상 용량이 필요함 (보일러용량 1.5Ton) 1.5Ton + 비상용 1기 운용)

49 1일 총 사용 용수량 ≒ 160,154L/1일(열탕, 냉각기용 용수: 초기 주입량은 제외합니다)
6.용수 사용량 MJP세척 TON(hr) 침지수(L) 3배 마쇄 수(L) 5.12배 절단 담기수(L) 포장 수(L) 기계세척 보일러 용수(L) 살균 냉각수(L) P-BOX 4,800개-2,400EA(1라인) 480kg/Hr 계산식 9,600 x 2,000 = 2.5시간동안세척 480x3x10 5.12x480x10 480x5x10 480x2x10 10,000 1,500 살균수=8.47Ton 1차냉각수=8.47Ton 2차냉각수=19.5Ton 합계=36.44Ton/15일 96L/Min (Vel.0.25m/s) P2,400/S500=4.8h 96LxM60x4.8h= 총용량 10Hr 22,500 14,400 24,576 24,000 9,600 20,000 (2회) 15,000 36.44/15= 2,430 27,648 1일 총 사용 용수량 ≒ 160,154L/1일(열탕, 냉각기용 용수: 초기 주입량은 제외합니다)

50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두부제조 시설기준 통상의 폐수량 규모는 원료기준 50배임 : 480x50= 240ton/ Day
7.폐수 량 배출 세척수 배출 침지수 절단, 담기수 포장 수 기계 세척수 숨물 P-BOX세척수 L L (2.3배) L (2.4배) 480Kg/Hr 1,104 2,400 480 1,152 4,800kg/10hr 22,500 11,040 24,000 4,800 20,000 11,520 27,648 총 폐수 량≒ 121,508L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두부제조 시설기준 통상의 폐수량 규모는 원료기준 50배임 : 480x50= 240ton/ Day

51 8.냉동기 용량(냉각기 ICE-BILDER 0-1도씨 냉각수 사용)
냉동기 용량 Kcal/Hr 포장 두부 Kcal/Hr 480(수량) x 5(중량)=2,400kg 2,400 x △T81℃(85-4) = 194,400Kcal (두부 냉각 시 효율 : hp당= 1,500Kcal ) 194,400/1,500 = 130hp 안전율 계산 130 x 30% = 169hp (40hp x4대 = 160hp + ) 비고 ** 160hp **

52 9. 3.0kg 전기용량 및 설치 포지션 TOTAL KW 128 KWx2라인=256KW 13개소x2라인 구분 설비 명
판넬포진션 비고 480kg/Hr 1.대두 저장 싸이로 설비 22.5Kw 22.5KW 외부1기 2.계량 및 세척설비 30.75Kw 30.75KW 1기 3.대두 수침설비 1.15Kw 1.15KW 온도유지 설비용량 제외 4.마쇄 및 연속증자설비 19.79Kw 19.79KW 보일러 용량 제외 냉동기 및 냉각수 순환펌프 제외 5.두유 여과 설비 32.35Kw 32.35KW 6.자동응고성형기, 성형틀샬균기 3.09Kw 3.09KW 7.두부자동절단기 1.5KW 8.3.0kg두부포장기 및 투입컨베어 4.61KW 9.3.0kg살균냉각기 및 투입/배출컨베어 3.70KW 냉동기 및 순환수 펌프 제외 10.금속검출기,턴테이블, 7.0KW 11.상자 살균기 (P-BOX) 6.0kw 12.성형포 살균기 0.75KW 5-1. 비지 저장조 3.75kw TOTAL KW 128 KWx2라인=256KW 13개소x2라인

53 9-1. 420g - 2,400개/hr 전기용량 및 설치 포지션 구분 설비 명 Kw(용량) 판넬포진션 비고 480kg/Hr
1.두부자동절단기 1.5KW 1기 2.420g두부포장기 및 투입컨베어 4.61KW 3.420g살균냉각기 및 투입/배출컨베어 3.70Kw 3.70KW 냉동기 및 순환수 펌프 제외 4.금속검출기,턴테이블, 7.0KW 7.0kw TOTAL KW 16.81 KW 4개소 3.0kg 1기 혼용 운용

54 220kg(hr) 충진 포장 (순)두부 관련 생산설비에 관한 기초 물질리스트
충진(순)두부용 기초물질수지 리스트 220kg(hr) 충진 포장 (순)두부 관련 생산설비에 관한 기초 물질리스트

55 1. 두부제조 품목 및 그에 따른 설비규모 (220kg/hr)
분류 순위 포장 충진두부 생산량 총 중량(10h) 원료 사용량 설비규모 (원료) 포장 규격 h 10h 수율 약 580% 1.두 부 1.0kg 1,276개 12,760개 12,760kg 12,760/5.8=2,200kg 2,200kg/(10h) 220kg/(h) 순두부 튜브형 비닐팩 1,276개 x 10h = 12,760개

56 2.제조설비 시공 방향 2-1. 온비지 두부 제조법 적용 2-2. 빼치식 연속 두즙 증자 및 여과, 두유 냉각-응고제 혼합-포장- 응고.살균 냉각방식 2-3. 복합 응고제 사용 2-4. 순두부포장방식 튜브타입 매뉴얼 삽입식 / 필름을 톱날로 일자절단 연속운전포장방식(연두부 제조시) 2-5. 온수 직접가열 응고. 살균 및 아이스워터에 의한 냉각 방식

57 3.제품사양: 포장두부(원료 220kg/Hr) (응고제 : 마그네슘 또는 복합응고제 사용)
품명 규격 개당 중량 고형분 두유 농도 생산 능력(H) 두부생산 능력 필요 대두량 두유 량 응고 시간 냉각 포장 방식 m/m kg % ea/h kg/10h kg/h L/h L/min min 형태(가로*세로) 1.0kg 원형 비닐팩 14 11 1,276개 12,760kg 220kg 1,276 21.27 40 80 순두부 튜브형 비닐팩

58 4.Material Balance 두유 생대두 세척수 침지수 침지대두 가수 냉 비지 온 비지 스팀수 비지 충진두부 % kg L
(수분75%) 충진두부 % kg L KG KG/수득 율 대두비열 (Kg) 11 1 3 2.12 4.82 6.94 0.16 6 0.94 5.8

59 5.스팀 사용량(Hr)-두즙 증자 및 두부열탕살균용 (열탕기 초기 가온용에 필요한 스팀양은 제외합니다.)
두 즙 량 열탕, 살균 CIP용 스팀 L/Kcal/Kg/Hr Kcal/kg/Hr L 220Kg/Hr 220kg*6.94=1,527 1,276kg 100 스팀 kcal/Hr (Kg/Hr) 105℃-15℃ △T 90 137,430Kcal ( 274kg ) 85℃-5℃ △T 80 102,080Kcal ( 203kg ) 95℃-15℃ △T80 8,000Kcal ( 16kg ) ≒ 493kg x효율(15%)=567Kg x여유 율(20%)=680Kg/Hr 이상 보일러 용량이 필요함(초기가온용 스팀포함 0.8ton이상으로 권장)

60 1일 총 사용 용수량 ≒ 61046L (열탕, 냉각기용 용수: 초기 주입량은 제외합니다.)
6.용수 사용량 Mjp세척수- TON(hr) 침지수(L) 3배 마쇄수(L)4.82배 기계 세척수L 살균 냉각수(L) 보일러 용수 P-BOX 12,760개-1,596EA(일) 220kg/Hr 9,000L (1시간10분동안 세척) 660 1,060 5,000 열탕수=9,700L냉각수=19,000L=28,700/15d 1,914(10h) 800 96L/Min (Vel.0.25m/s) P1,596/S500=3.2h 96LxM60x3.2h= 총용량 10Hr (2,200kg) 10,500L 6,600 10,600 1,914 8,000 18,432 1일 총 사용 용수량 ≒ 61046L (열탕, 냉각기용 용수: 초기 주입량은 제외합니다.)

61 두부제조시설은 순물의 진한 농도로 인하여, 통상의 폐수량 규모는 원료기준 50배임 - 110 ton/ Day
7.폐수 량 배출 세척수 배출 침지수 기계 세척 수 포장용기 세척수 P-BOX세척수 L L (2.3배) 220Kg/Hr 506 352 2,200kg/10hr 10,500 5,060 5,000 3,520 18,432 총 폐수 량≒ 42,512L (포장두부 열탕, 냉각기용 용수는 제외합니다.)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두부제조시설은 순물의 진한 농도로 인하여, 통상의 폐수량 규모는 원료기준 50배임 ton/ Day

62 8.냉동기 용량(냉각기 ICE-BILDER 0-1도씨 냉각수 사용)
두유 냉각용 냉동기 용량 Kcal/Hr 순두부 냉각용 냉동기 용량 Kcal/Hr 포장 두부 Kcal/Hr 두유 냉각용 냉각방식 : 아이스워터 사용(+0℃) 1,276 x △T89℃(93-4)= 113,564Kcal (두유 냉각 시 효율 : hp당 Kcal=1,550 ) 113,564 / 1,500= 76hp 안전율 계산 (30%) : 76hp x 1.3 = 99hp 1,276(수량) x 1.0(중량)=1,276kg 1,276 x △T81℃(85-4) = 103,356Kcal (두부 냉각 시 효율 : hp당= 1,500Kcal ) 103,356 / 1,500 = 69hp 안전율 계산 (30%) : 69hp x 1.3 = 90hp 비고 *** 두유 냉각용 냉동기= 아이스빌더식 100hp --공히 안전율 포함 *** 포장 순두부 냉각용 냉동기= 아이스빌더식 90hp --공히 안전율 포함 총 필요 냉동기용량 190hp

63 9.전기 사용량 및 설치 포지션 구분 설비 명 Kw(용량) 콘트롤박스 포지션 비고 220kg/Hr
1.두유전처라(마쇄.증자) 설비 10.25kw 1기 2.두유여과설비 15.7Kw 3.두유급속냉각 및 응고제혼합설비 5.3Kw 냉동수 제조 및 공급, 회수펌프제외 4.탁상형순두부포장(1kg,400g)설비 1.5Kw x 3기 4.5KW 3기 5.선별이송컨베어 1.1Kw 1.1KW 6.금속검출장치 및 턴테이블 선별 1.15Kw 1.15KW 7.자동응고살균, 냉각설비 3.92KW 보일러 및 냉동수 제조 및 공급, 회수펌프제외 TOTAL KW 41.92 KW 9개소 관련설비 예상전기소요량 ?? Kw

64 9-1. 300g – 2,200개/hr 연두부 전기용량 및 설치 포지션
구분 설비 명 Kw(용량) 콘트롤박스 포지션 비고 220kg/Hr 1.연두부 포장 (300g)설비 4.3Kw 4.53KW 1기 TOTAL KW 4.3 KW 1개소 관련설비 예상전기소요량 ?? Kw

65

66

67

68


Download ppt "제일식품 두부사업소 두부 제조 공정 설명."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