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교량 측량 3조 홍근기 (2007119076) 김용주 (2008120006).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교량 측량 3조 홍근기 (2007119076) 김용주 (2008120006)."— Presentation transcript:

1 교량 측량 3조 홍근기 ( ) 김용주 ( )

2 목차 1. 교량측량의 요소 2. 교량 구조물의 변위측정 방법 3. 교량측량 기준점의 시설 기준
1. 교량측량의 요소 2. 교량 구조물의 변위측정 방법 3. 교량측량 기준점의 시설 기준 4. 교량측량 기준점 설치의 표준화 5. 측량 기준점에 의한 측량 방법 1) GPS 측량 2) Total station 측량

3 1. 터파기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구조물이거나 간섭되는 그 무엇이 있지 않은 이상 일반적 은 정밀도는 30cm 이내이면 된다. 터파기 중에 측량업무 담당자는 교량의 전체적인 좌표와 슬래브, 교각, 교대를 전체 평면에놓고 간격, 위치, 좌표, 레벨값등을 확인하고 ShopDrawing을 반드시 해보아야 한다. 드문 경우겠지만 교량의 슈, 거더, 슬래브가 각각 따로 그려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것은 주로 설계상의 실수이지 시공측량하는 측량업무 담당자와 공사업무 담당자의 실수까지 되어서는 안된다. 이것을 필히 검토하여야 한다. 이때 ShopDrawing은 평면과 전면을 그려보고 또한 이를 토대로 하여 맞춰 보아야 한 다. 보통은 시점 교대 평면 -> 슬래브 평면 -> 교각 평면 -> 슬래브 평면 -> 교각평면 -> 슬래브 평면 -> 반복...(교각->슬래브->교각->슬래브...) -> 종점 교대 평면과 접합하 여 평면의 위치가 평면도와 일치하는지 오차가 어느정도인지 확인 후 시공에 들어 간다. 만약 과도한 업무로 인해 확인이 불가능 하다면 최소한 2개소의 교대 벽체부 분(파라펫)과 교각 횡단선(기준값은 각각의 슈의 좌표값임)은 최소한 확인하도록 한다.

4 2. 기초(Footing) 3cm 이내의 기본적인 정밀도를 유지하면 된다.

5 3. 기둥 기초 Con'c를 타설하면 Copping 부분의 각도와 방향을 잡아주는데 기준은 Shoe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하여 좌표를 산출하고 '기초사각'부 측량을 하는데 이것에 오차는 1cm로 생각하고 한다. 이것은 최종적으로 슈 설치시 정밀도를 유지 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데 높이가 높을수록 그 정밀도 또한 높아 져야 하고 최초 측량후 높이가 5~8m를 넘어가면 반드시 수직도 여부를 확인하 여야 한다.

6 4.두부(Copping) 최근에는 철재 거푸집을 제작하여 그것을 조립, 해체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설명은 철재 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한다는 기본적인 가정을 하고 설명한다. 4-1. 슬리브 위치를 측량하기 위해 'X'자 또는 '=' 형식으로 기둥을 관통하여 Copping form을 받처 주는 철근 봉을 끼우기 위한 구멍(슬리브)의 높이 측정하는데 3cm의 정밀도를 유지한다. 4-2. 교량 받침부 측량 교량에서 가장 높은 정밀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그 정밀도는 0.3cm 이내로 슈가 어느방향으로 설 치될지를 설정하고 슈받침부 부분에 보강철근이 들어갈 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모든 자료의 기본값은 Shoe 배치도에 나오는 좌표값에서 산출된다. 만약 배치도의 좌표와 일반도에서 산출값 이 다르다면 배치도의 좌표값을 가지고 측량을 한다. Shoe의 방향은 교축방향(교량진행방향)이 고 같은 순서의 슈끼리 선을 그었을때 그 선상에 일치하도록 한다. 4.2.1.Copping / Shoe의 방향  교량 받침 배치도 또는 일반도를 보면 그 방향을 알 수 있지만 보통은 같은 순서의 슈끼리 선을 그었을때 이루는 방향이 슈의 방향이고 곡선부에서는 교축 방향의 뒷쪽의 교각이나 교대이다. 보통의 슈의 방향은 강재이면 서로 마주보지 않는 경우도 있을수 있으나 거더가 설치되는 부분 에서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계된다. 4-3. 슈 받침부 레벨측량 슈가 최종적으로 어느 높이까지 올라와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정밀도는 0.5cm 이하라고 생각한다. 이 부분에서 실수를 한다면 슬래브가 전체적으로 낮게 설치가 되는 요인이 된다. 물런 Con'c 수 량 또한 증가한다. 4-4. 슈 받침부 Con'c 깨기 슈받침부는 일명 '방석'자리는 대체적으로 5cm 정도를 크게 내측 거푸집을 만들어 설치를 하고 이것은 슈설치 작업자와 사전 협의 후 시행한다. 넓고 깊은 Block Out부를 만든다면 그만큼 무수 축 몰탈 소요량이 증가하므로 적당한 크기가 되도록 사전협의 한다.

7 5.슬래브(Slabe) 중심선형, 배수구 위치 및 높이, 폭, 연장 등을 결정한다.
  슬래브에 아스콘 포설시 연석부와 아스콘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합판을 잘라서 연석 부에 붙여놓고 아스콘을 타설을 하고 아스콘 포설 후 일정 시간의 존치후 합판을 제 거한다

8 6.교대(Abutment) 교대에는 보통 날개벽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문늬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다. 무늬 거 푸집을 시공시 토공 저면에서 30cm~50cm 정도의 이격 거리를 주고 무늬 거푸집을 시공한다.  뒷채움은 다짐 장비를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 서 층다짐하여 쌓는다.

9 교량 구조물의 변위측정방법 1) 상부구조 2) 하부구조 3) 수평변위측정 4) 수직변위측정
대상교량의 설계하중, 총연장, 경간장, 상부구조형식, 교량폭원 등에 따라 측정방법 을 달리하여 센서를 설치하여 계측기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측하고 있다. 이러한 검측방법들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측정기간이 오래 필요하다. 1) 상부구조 콘크리트 및 강재등 재료의 강도, -철근 및 강재 프리스트레싱 텐던의 부식, -볼트, 용 접등 연결부위의 상태, -신축이음부와 받침부의 구속력, -부재의 처짐, -구조부재의 실제단면과 철근의 위치 2) 하부구조 교량의 내하력에 영향을 주는 모든 하부구조 부재의 불안전한 흔적에 대하여 면밀 히 조사하고 특별한 관리를 하여야 하며 교량하부구조 상태 검토는 정확한 공학전 판단을 하고 있다. ( 현재 실무에서 구조물의 안전진단 방법 ) 3) 수평변위측정 수평변위량 교량측량기준점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기자재로 교량의 위치변위에 대 하여 측정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측 할 수 있으며, 토탈스테이션, 트랜시트, GPS 등을 이용하여 교량측량기준점에 기계를 설치하고 교량의 지점에서 좌표를 초기화 하여 주기적으로 좌표관측을 기록하여 교량의 변위량을 구할 수 있다. 4) 수직변위측정 수직변위측정은 교량상부지점에 도근점을 설정하여 일정기간을 두고 측정하여 Data화하여 정리하면 교량의 수직변위를 측정 할 수 있다.

10 교량측량기준점의 시설기준 교량측량기준점의 시설기준 시설기준은 교량설계 공정별 기 준에 측량기준점을 100M 미만 1개소, 100M 이상 2개소를 설치 하도록 정한 지점에 따라 설계에 반영하고 있으나, 시공에서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사업에서 고속도로, 국도, 지 방도는 과업 내에 대부분 공공측량이 포함되는데, 이 과업은 삼 각측량을 실시하여 과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을 토대로 교 량측량기준점을 설치하도록 명시되어 있으나 어떤 형태로 제 작하고 설치하는 기준이 없어 설치기준을 강화하고 표준화 할 필요가 있다. 교량측량기준점의 형태 교량의 여러 위치에 매설됨 Type-1 : 교량 난간하부에 통철재로 설치하여 장기보전은 가능 하나 측정 시 정확한 위치측정은 어렵다. Type-2 : 교량신축이음장치에 통철재로 설치하여 단기보전은 가능하나 신축이음 장치 교환 시 탈락이 우려된다. Type-3 : 교량보도블록 지점에 폐인트로 표시하여 장기보전이 어려우며 수개월 후 없어진다.

11 교량 측량기준점 설치의 표준화 교량구조물에 설치되어야 하는 측량기준점에 대한 조사결과 현재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교량구조물이 너무 많은 것으로 조사 되어, 앞으로 기존구조물 이나 신설구조물에 대하여 관리체계의 구성을 보 다 강화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물에 대하여 추가설치가 필요하고 신설구조물에는 측량기준점 을 반드시 설치하여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및 DB 구축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12 측량기준점에 대한 측량 방법 1) GPS측량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해석체계로서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사한 전 파를 수신하여 관측점까지의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써 관측점의 위치를 구하는 체 계이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측지측량은 196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며, GPS는 전파항 법인 LORAN-C와 NNSS의 단점을 보완한 위성을 이용하는 위치해석체계이다. GPS는 55‘의 궤도경사각과 직경 60’ 간격의 6개의 궤도, 고도 20183km의 고도와 11 시간 50분의 주기로 운용되고 있다. GPS는 A~F까지 6개의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 궤도별로 4개씩의 위성과 보조위성 3개 등 총 27개가 작동 중에 있다. GPS는 임의의 시간에 최소 4개의 위성으로 지구상의 임의의 점을 관측할 수 있으며, 최대 9개의 위 성으로 관측할 수 있다. EH한 여러 가지 보조 장치를 탑재하고 있어 위성의 공간상 의 위치와 삼차원 후방 교선법에 의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해석할 수 있다. GPS기준망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약 400개의 GPS 기준점 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약 1400개의 GPS기준점이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계획중에 있 다. GPS 기준망은 항법, 측지측량, 지형공간정보체계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이용되 고 있으며 활용도는 급속히 확대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볼 때 광역기준망은 현 재 기준점의 수가 75개이지만 앞으로 125개로 확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13 GPS측량 참고 사진 GPS 측량 방법 GPS 측량기

14 2) Total Station 측량 우리나라의 세부측량은 도해측량방법으로 실시되어 오 다가 측량기기의 발전으로 수치측량기기로 변화 발전되 어 현재는 대부분의 측량은 Total Station 측량을 실시하 고 있다. 수치측량은 모든 토목, 건축 등의 사업에서 실시하는 측량부분에 서 활용하고 있으며 그 정도가 높고 데이터 수정이 편리하여 한번 골조측량을 실시하여두면 기본 및 실시설계는 물론이고 차후 설 계변경에 편리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수치측량의 기본원리는 기 준점으로부터 거리와 방위각을 측정하여 좌표를 구하는 것으로서 각과 거리를 측정하는 기계, 기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는 삼각법, 호도법, 계산기 사용방법 등을 잘 익혀 두어야 한다. 근래에는 각과 거리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위성측량방법에 의하 여 구할 수 있는 측량방법도 실시하고 있다.


Download ppt "교량 측량 3조 홍근기 (2007119076) 김용주 (2008120006)."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