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전압기 75V이상의 정전 및 활선작업 특별안전교육
본 교재는 대한산업안전협회에서 근로자를 위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위해 제작하여 배포합니다.
2
목 차 1. 전기의 위험성 2. 전기재해의 종류 3. 정전작업·활선작업시의 안전작업방법 및 순서에 관한 사항
목 차 1. 전기의 위험성 2. 전기재해의 종류 3. 정전작업·활선작업시의 안전작업방법 및 순서에 관한 사항 4. 절연용 보호구 및 활선작업용기구 등의 사용에 5. 기타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3
감전이란? 감전이란 전기의 충전부 또는 누전된 전기기기에 접촉되어 인체에 전기가 흐를 때 느끼는 온몸이 전율하는 듯한 생리현상을 말한다. 1초에 300,000㎞까지 이동(1초에 서울↔부산 왕복을 500회) 하므로 감전 때 대피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전혀 없다.
4
440V, 220V 및 110V의 차이는 무엇인가? ※ 440V에 감전되면 110V에서 보다 16배 위험하다. 전압
감전의 위험성 110V 1배 220V 4배 440V 16배 ※ 440V에 감전되면 110V에서 보다 16배 위험하다.
5
전기재해의 종류 1. 감전 전격에 의한 실신 - 쇼크에 의한 실신 - 심실 세동으로 심장마비 - 근육수축으로 호흡정지, 실신
전류의 발열작용으로 체온상승 전류작용에 의한 국부화상 및 조직의 파괴 쇼크에 의한 추락, 전도
6
가. 감전(전격 : electric shock)이란 ?
감전이란 인체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흘렀을 때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전류의 크기에 따라 따금거리는 정도에서 근육의 수축, 호흡곤란, 심실세동 등으로 인해 사망하거 나 추락, 전도등의 2차적 재해를 유발하는 현상
7
나. 감전의 특징 속성상 인체실험 불가 및 실험결과 검증 어려움 ( 인간의 다양성, 키, 몸무게, 성별, 인종별 등)
재해당시의 상황 재현 불가 ( 땀, 습기, 접촉부위의 물리적인 상태 등) - 국제적인 기준의 불일치 - 눈에 보이지 않고, 무색무취 우리나라 감전재해의 특징은 전기작업자보다 일반작업자, 고압 보다는 저압취급작업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8
감전의 위험요소 1. 통전전류의 크기 - 인체로 통한 전류의 크기가 얼마냐 ? 2. 통전시간 - 인체가 감전된 시간
3. 통전경로 - 인체에 전류가 어느 부위로 흘렀는가 ? 4. 전원의 종류 - 직류 또는 교류 5. 인체의 저항, 전압의 크기 등
9
전격전류와 감전현상 종 류 감전의 현상 전류치 최소감지전류 고통전류 이탈가능전류 이탈불능전류 심실 세동 전류
종 류 감전의 현상 전류치 최소감지전류 고통전류 이탈가능전류 이탈불능전류 심실 세동 전류 찌릿함을 느끼는 정도 참을 수 있으나 고통스럽다 전격을 받았음을 느끼면서 스스로 그 전원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는 전류 (근육 수축이 격렬) 안전하게 스스로 접촉된 전원으로 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한도의 전류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고통) 심장의 기능을 잃게 되어 전원으로 부터 떨어져도 수분이내 사망 1-2mA 2-8mA 8-15 mA 15-50 50-100
10
통전시간과 전류의 한계표 통전시간(초) 전류(mA) 0.05 518 1.5 95 0.10 367 2.0 82 0.15 300
2.5 73 0.2 260 3.0 67 0.8 130 4.0 58 1.0 116 5.0 52
11
통전경로별 심장전류계수 통 전 경 로 심장전류 계수 왼손가슴 오른손가슴 왼손한발(양발) 양손양발 오른손한발(양발)
왼손등 한손(양손)앉아있는 자리 왼손오른손 오른손등 1.5 1.3 1.0 0.8 0.7 0.4 0.3
12
감전재해의 크기는 통전시간이 길고 짧은데 영향이 크며
상당한 큰 전류가 흘렀다고 해도 통전시간이 매우 짧을 때에는 생명에 이상이 없는 일도 있으며, 반대로 작은 전류라도 통전시간이 길어지면 사망하는 예도 있다. 표에서 518mA가 통전 되었을 때 0.05초, 52mA가 흘렀을 때 5초이상 경과되면 사망하게 되나 실용상 안전한 허용전류는 심실세동이 일어나기 전에 전기회로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13
감전되었을 때 인체의 생체반응은 전압의 높고 낮음에 관계 없이
전류의 양이 많고 적음에 영향을 받는다. 이때 인체를 통과는 전류의 크기는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과 인체의 저항(내부저항과 피부저항)에 의해 결정됨 내부저항(체내저항)은 정도로 추정되며 피부저항은 피부의 건습정도와 전극에서의 접촉면적, 접촉압력, 인가전압 등 에 의해 차가 많다.
14
100V이하의 전압이라도 주위 환경이나 육체적조건에 따라서는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크게 변하므로 저압이라고 경시하지 말 것 고압에 감전되면 튕겨져 나가고 저압에 감전되면 들러 붙는다 ? 인가전압이 높을 때는 접촉순간 전격이 강하여 근육의 수축이 크게 반사운동을 일으키고, 저압일 경우 체내 통과전류가 적기 때문에 근육수축은 없고 반대로 신경이 마비 자력이탈 불가
15
2. 전기화재 - 전기기기의 잘못 사용 - 전기설비의 단락 또는 소손 - 전기설비의 누설전류로 인화 발화 - 전기불꽃에 의한 발화 3. 아크 복사열 등에 의한 화상 4. 전기설비의 손괴 또는 기능정지
16
감전재해 예방대책 1.접지 전기기기를 접지하면 전기기기가 누전되더라도 인체를 통해서 전기가 흐르지 않고 접지선으로
흐르기 때문에 감전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안전한 접지방법 • 접지극이 포함된 콘센트 및 플러그 사용 • 접지선의 색상(녹색) 구분 사용 • 크램프, 자석, 집게 등 간이접지 금지 • 접지선 연결시 압착단자를 사용하여 견고히 체결
17
감전재해 예방대책 2.누전차단기 ▶ 누전차단기 접속대상 - 분기회로 또는 전기기계기구 마다
- 전기기계기구 중 대지전압 150V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가반형 - 물 또는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가반형 ▶ 정격용량 : 정격감도전류 30mA, 작동시간 0.03sec ▶ 접속방법 - 분기회로 또는 전기기계기구 마다 - 배전반 또는 분전반 ▶ 배선용 차단기와 혼돈하여 설치 금지 차단장치 용 도 누전차단기(ELB) 누전에 의한 감전 방지 배선용 차단기(MCCB) 과전류로 인한 전기기기 보호 ※ 주 1회 누전차단기 테스트 버턴을 눌러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
18
누전차단기 외형 정격감도전류 : 30mA , 차단시간 : 0.03Sec
19
종 류 종 류 용 도 용 도 청색 시험용 버튼 청색 시험용 버튼 누전전용으로 과부하시에는 작동하지 아니하고 부하측에서 누전될 때만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누전전용으로 과부하시에는 작동하지 아니하고 부하측에서 누전될 때만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적색 시험용 버튼 적색 시험용 버튼 과부하시나 누전 시 모두 동작하기 대문에 과부하 및 누전 공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과부하시나 누전 시 모두 동작하기 대문에 과부하 및 누전 공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누전차단기는 감전에 대하여 인명보호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고 시에는 정확히 동작하여 감전사고로 되지 않도록 확실한 보호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0
감전재해 예방대책 이동용 분전반 ▶ 자립형 분전반 설치 및 전도방지조치 여부 ▶ 접지극이 부착된 콘센트 및 플러그 사용여부
▶ 접지극이 부착된 콘센트 및 플러그 사용여부 ▶ 누전차단기 작동상태 확인 ▶ 외함 접지설치 여부 및 전압선 및 접지선 색상 구분여부 ▶ 내부 콘센트 주위 충전부 보호판 설치여부
21
감전재해 예방대책 배선 및 이동전선 ▶ 손상된 배선 및 코드선 처리방법
▶ 손상된 배선 및 코드선 처리방법 - CV케이블인 경우 Jacket 부분만 손상시 절연테이프 사용, 절연체 손상시 사용금지 - 코드선이 손상 또는 노후화시 절연테이프 사용금지 ▶ 습윤장소의 배선 - 이동전선 중간에 접속점이 있을 경우 방수형 코드 콘넥터 사용 - 이동전선은 단면적 0.75㎟ 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 사용 - 방폭지역내 이동전선은 켑타이어 케이블 사용 - 바닥에 놓인 이동전선은 보호덮개 또는 걸이대 사용 - 전선의 접속개소는 가능한 작게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