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SK 4Front KM 방법론 SK C&C
3
(Community, Contents, Process) Value를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 KM에 대한 가치를 인식
1. KM Value 정의 KM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착수하기 전에 조직의 경영목표 및 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특히 KM을 통해 개선 효과가 큰 부분을 도출하고 KM이 제공할 수 있는 Value를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고객사의 최고 경영층이 KM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게 하여 프로젝트의 적극적인 후원자로 유도하고 또한 KM의 추진 방향 및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해 이 작업을 수행한다. Business Problem 도출 KM이 제공할 수 있는 영역 도출 (Community, Contents, Process) Value를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 KM에 대한 가치를 인식
4
세부 수행 작업 고려사항 1.1 KM Value 정의 1.1 KM Value 정의
1.2 KM Value를 실현하기 위한 KM Solution 도출 1.3 Solution 별 실행방안 수립 1.1 1.2 2.3 고려사항 KM을 통해 개선의 효과가 큰 Business영역을 도출하고 여기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좋음. 이를 위하여 경영층 인터뷰를 통해 무조건적인 KM 도입이 아닌 경영과제 해결의 Enabler로서의 KM 도입이 되어야 함. 여기서 정의된 KM Value는 프로젝트의 전 Life Cycle상에서 형성(Formulation) / 측정(Measurement) / 증명(Proposition)의 과정을 통해 관리되고 향상되어야 함. (고객사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시) Value 정의는 KM을 통해 고객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Benefit을 근거있게 측정 가능한 형태로 보여줌으로써 고객이 지불하게 될 비용보다 훨씬 더 많은 이득을 얻게 됨을 느끼게 하고 이를 통해 SKC&C와 고객과의 관계를 비용을 지불하는 대상이 아닌 가치를 얻게 되는 대상으로 인식시킨다. 이 Subphase 작업 결과에 대해 고객사로부터 문서작업이 아닌 가치있는 결과로서 인정을 받고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작업 수행 시 고객사의 경영층 및 관련 전문가 및 주요 이해관계자 등을 참여시켜 함께 그 영향과 효과를 산정한다.
5
Community (CoP) Contents (Knowledge Base) Process (Work Flow)
1.2 KM Value를 실현 하기 위한 KM Solution 정의 도출된 KM Value에 도달하기 위한 KM Solution을 아래와 같은 3개의 축으로 도출합니다.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조직, 업무의 Barrier를 넘어선 Community 결성을 통해 지식의 발굴, 공유 문화 조성 Community (CoP) 업무의 흐름을 시스템 화 하여 업무와 함께 자연스럽게 지식 축적 유도 업무수행 History 및 Status의 관리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다자간의 Communication의 수단으로 활용 Value에 도달하기 위해 우리가 쌓아 놓고 관리하여야 할 지식 요소는 무엇인지 정의함 지식유형은 문서 형태의 유형의 지식 뿐만 아니라 경험, Know-how, Know-where 등의 무형지도 포함함. Contents (Knowledge Base) Process (Work Flow)
6
Data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Functional Knowledge
1.3 Solution 별 실행방안 수립 - Contents KM에서 관리하여야 할 Knowledge는 다음과 같이 3가지 형태(Mode)로 분류됩니다. Data Knowledge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외부/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가공되지 않은 Fact정보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Input 자료를 분류 경쟁사,고객 또는 시장정보와 같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외부정보를 포함 자체 보유하고 있는 제품,기술,설비/자산과 같은 정적인 내부정보를 포함 Procedural Knowledge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에 관련된 표준 절차나 산출물을 분류 업무 매뉴얼(ISO),가이드,규정,체크 리스트,양식과 같은 업무 수행 방법론 정보를 포함 Functional Knowledge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분석이나 논리적 사고를 통하여 Best Solution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을 분류 의사결정에 직접 도움이 되는 각종 분석자료,분석기법,Best Practice와 같은 정보를 포함
8
향후 집중관리 되어야 할 대상 지식 선정을 위한 각 팀별 주요 업무기능을 파악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향후 집중관리 되어야 할 대상 지식 선정을 위한 각 팀별 주요 업무기능을 파악 현재 업무에 사용되고 있는 정보, 경험 및 지식요소를 정의 이들간의 연관성 및 중요도를 분석하여 향후 구축할 지식아키텍쳐 구조의 기초자료 파악 지식관리 체제가 해결해야 할 프로세스적 문제점 및 과제 도출
9
세부 수행 작업 고려사항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2.2 2.1 업무 프로세스 파악
2.2 주요 업무 성과 요소 및 장애요인 파악 2.3 활용/필요 지식 및 Issue 도출 2.4 지식 중요도 분석 및 중요 지식파악 2.5 분석 결과 정리 2.1 2.5 2.3 2.4 고려사항 현업 대표로 구성된 Focus Group을 대상으로 본 작업의 목적 및 조사 항목에 대한 가이드를 충분히 이해 시키는 Workshop을 수행하여 현업에 돌아가 해당 팀의 업무 분야별 전문가에게 내용을 작성할 수 있게Guide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작업은 약 1달 정도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KM 추진 조직은 Focus Group 멤버들이 활동하는데 담당 조직의 팀장의 Sponsorship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Lead, Help해야 한다.
10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2.1 업무 프로세스 파악 Approach 고려사항
회사의 중점 관리 대상이 되는 지식요소를 추출하기 위해서, 회사의 핵심 프로세스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프로세스에 필요한 정보들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그 중 지식으로 관리될만한 항목을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핵심 지식 도출을 위한 Bottom Up Approach이다. Approach 분석 대상 조직을 파악한다. 해당 조직의 주요 업무 기능(Function)을 파악한다. 각 업무 기능별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한다. 고려사항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할 때 어느 정도까지 상세화 할 것인가를 Focus Group 멤버들에게 충분히 이해 시킨다. 여기서 파악된 업무 프로세스는 이해 가능한 수준의 필요 지식 Item이 정의될 수 있고 업무 수행 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된다. 따라서 세부 Step 단위 까지 세밀할 필요 없이 가장 상위레벨의 업무 기능을 기준으로 최대 3단계 수준까지 정의하면 된다.
11
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사항 분석 2.2 활용/필요 지식 및 Issue 도출 Approach 고려사항
2.1에서 파악된 업무 별로 필요 지식을 파악하고 각 지식 요소별 공유/활용 상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업무 수행 측면에서의 중요 지식 및 KM의 Value Point를 도출하기 위한 작업이다. Approach 본 작업은 미리 만들어진 조사 양식을 Focus Group에게 제공하여 Survey 형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각 업무별로 현재 활용하고 있는 정보/지식 요소 파악 각 업부별로 현재 활용은 못하고 있지만 업무 수행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정보/지식요소 파악 각 정보/지식 아이템별 주요 획득 소스 파악 각 정보/지식의 취득 및 활용상의 문제점 나열 고려사항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할 때 어느 정도까지 상세화 할 것인가를 Focus Group 멤버들에게 충분히 이해 시킨다. 여기서 파악된 업무 프로세스는 이해 가능한 수준의 필요 지식 Item이 정의될 수 있고 업무 수행 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된다. 따라서 세부 Step 단위 까지 세밀할 필요 없이 가장 상위레벨의 업무 기능을 기준으로 최대 3단계 수준까지 정의하면 된다.
13
조직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식요소를 체계화하여 간결하게 구조화
3. Knowledge Map 정의 조직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식요소를 체계화하여 간결하게 구조화 지식관리 대상의 초점을 명확히 제시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요소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개념적 모델을 제시
14
세부 수행 작업 고려사항 3. Knowledge Map 정의 3.1 지식 범주(Category) 분류 및 K-Map 정의
3.2 업무 Process별 K-Map 연관분석 3.3 분석 결과 정리 3.1 3.2 3.3 고려사항 Knowledge Map에 대한 Output Image에 대해 관련자들간에 사전에 충분한 토의를 거침으로써 이해 수준을 명확히 맞추고 나서 진행하여야 한다. Knowledge Map 작업은 장기간 동한 복잡하게 수행할 필요 없이 업무 전문가와 Workshop을 통해 분류 기준 선정 및 분류 작업 내용에 대한 검토 작업을 통해 단순하게 수행한다.
15
3. Knowledge Map 정의 3.1 지식 범주 분류 및 K-Map 정의 Approach 고려사항
지식을 체계화할 분류 기준을 정하고 이에 따라 “2.2 프로세스 및 정보요구 사항” 및 “1.2 경영전략 검토 및 핵심역량 도출”에서 파악된 지식들을 Mapping 함으로써 K-Map을 정의한다. Approach 지식 범주 분류 기준 선정 K-Map 작성 고려사항 지식 범주 분류 기준은 아래와 같은 6가지 질문에 답해 가는 형식으로 정의해 나간다. - Who we are - Who we serve / want to serve - What we know - How we deliver - Who we work with to deliver solution - Who we compete against Knowledge Map을 작성할 때는 Knowledge 요소의 category 및 주요 지식 Item을 배열하고 이러한 지식의 관리 전략이나 방향이 표현 될 수 있도록 작성한다. 지식의 관리 전략으로는 Working Level 관리 / Structured Level 관리 / Core Level 관리 전략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16
3. Knowledge Map 정의 3.2 업무 프로세스별 K-Map 연관분석 Approach 고려사항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수행 후에 산출된 지식을 정의된 K-Map에 Mapping 해 봄으로써 K-Map을 검증하고 아울러 업무 프로세스와 KM Process를 연계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며 또한 각 프로세스별로 KM 측면의 중요 Issue 및 해결방안을 정리하여 KM의 주요 가치를 파악한다. Approach Knowledge Mapping KM Issue 및 Value 정의 고려사항 Mapping하고자 하는 업무 프로세스 단위가 너무 클 경우 K-Map과 Mapping하는 과정에서 KM Process와 연계 시킬 수 있는 Point를 구체적으로 찾기가 어려우며, 특히 KM Process와 연계한다는 개념을 단순히 업무 수행 중에 지식을 등록하고 활용하는 것을 자동화 시킨다는 개념으로 접근하게 되면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업무가 설계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KM 측면의 Issue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을 때 참고할 만한 기준으로는 “CoP 주제도출”, “KM 과제도출”, “Workflow 가능프로세스 정의”및 “필요한 프로세스 및 제도 도출” 및 “필요 지식 DB 정의” 를 들 수 있다. KM 가치를 정리할 때는 Time, Cost, Quality, Competency, Opportunity 측면에서 정의해 볼 수 있다.
17
KMS 구축 Biz Problems 향후 기대효과 Biz Problem & KMS 의 기대효과 시장환경에 능동적 대처
시장 정보 수집/분석/관리 고객 Needs 수집/분석/관리 Global 시장정보력 취약 MPR/S 간 원활하지 못한 Communication. Vision, Strategy 공유 미흡 구성원간 정보/지식 공유미흡 이동/이직에 취약 업무 산출물 및 Lessons Learned 관리 reuse 미흡 Paperwork 과다발생으로 인한 장/활용 애로 시장환경에 능동적 대처 정보 공유 및 전자문서를 통한 업무 생산성 향상 지식/경험 축척을 통한 업무 질 향상 상하간 및 MPR/S 간 원활한 Communication 구성원의 업무 지식/skill 상향 평준화 학습을 통한 Biz Process Innovation & New Biz 창출 Solution 축적을 통한 역량강화 Lead / Help / Check 업무 방법론 (절차,기법,양식,사례) Project 관리 / Feedback ISO 9001 & Workflow Best Practice & Know-how 업체 제품 기술 CoP 인적자원
18
KM System 개발과정 KM System 개발 Contents 수집 및 정제 KM 조직 및 제도 설계 변화관리 활동 수행
- Knowledge Repository / Communication / KM System 활용 및 운영 위한 DB 개발 정보/지식 요소 및 KM Value 정의 Knowledge Map Contents 수집 및 정제 - Contents 수집 - 경험지식 발굴 Event - 공헌 및 정제 프로세스 개발/실행 변화관리 활동 수행 - 교육 - KM System이름 공모 - Assessment Profile 조사 - Workshop / 세미나 KM 조직 및 제도 설계 - KM관리 조직 설계 - KC선정 및 CoP구성 - 평가/보상 제도(안) 설계 수집 DB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