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Francisco José Duarte Valdéz Modified 6년 전
1
뇌성마비 환아에서 승마의 치료적 효과 교수님:이인실교수님 이름:최상록 학번:
2
목차 서론 치료대상및 방법 결과 고찰 문제점과추가점
3
서론
4
modi-fied Bertoti scale 대 동작 기능 평가 Peabody Developmental Mo-scale
Sterba : 5~16세의 17명의 강직형 의 뇌성마비 환아 에게 유의한 대 동작 기능(Gross Motor Function Measure : GMFM) 평가 총점의 증가를 보고 Kulkmi-Lambore : 우측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의 관절가동 각도의 유의한 호전을 보고 승마 치료 후 보행 시 골반 움직임이 정상에 가까워짐을 관찰. Mac-Kinnon : 4~12세의 경증, 중증도의 운동기능 장애 뇌성마비 환아→주1회 승마 치료후 modi-fied Bertoti scale 대 동작 기능 평가 Peabody Developmental Mo-scal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Vineland Adaptive Bahaviour Scales Harter Self-Perception Scale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가져오지 못했다고 보고.
5
국내에서는 승마 자체가 일반인들도 접하기 어려운 스포츠이며, 특히 장애인들이 접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였기에 뇌성마비 환아 들에서 승마가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승마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뇌성마비 환아 의 운동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6
치료대상자 1998년 3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외래를 내원한 뇌성마비 환아 중 보행에 장애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승마 치료를 원하는 환자들 중 동물에 대한 공포 혹은 과민반응 등으로 승마가 불가능한 환아 와 경련성 질환으로 안정상에 문제가 있는 환아 는 제외,
7
승마치료를 시행한 환아 침범 부위에따른 유형 29명(평균5.5세, 남:18 여11) ↳ 25명(남:14 여:11) → 경직형
3명(남:3) → 불수의 운동형 1명(남:1) → 복합형 17명(남:9 여:8) → 양지마비 3명(남:2 여:1) → 편마비 9명(남:7 여:2) → 사지마비 ↳ 13명(남:10 여:3) → 정신지체 동반 13명(남:9 여:4) → 독립 보행 불가
8
치료방법 승마 치료는 주당 1회, 30분 동안씩 10주 동안 시행
각 승마 치료 시 물리 치료사가 감각-운동, 인지-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행동을 하도록 지시 이때 행하지는 동작들은 Spink 의 Developmental Riding Therapy 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되었다.
9
승마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이학적 검사 치료 효과의 평가
-하지의 주요 관절의 관절가동 범위 -MAS(modified Ashworth scale) 경직의 경도를 평가, 도수 근력 검사로 근력을 측정. 기능적인 활동 정도와 대운동 발달 정도는 대 동작 기능 평가를 사용,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사용. 모든 평가는 10주간의 승마 치료 직전과 직후에 동일한 검사자가 시행
10
결과
11
승마 치료 전 후의 이학적 검사상의 변화
12
승마 치료 전 후의 대동작기능 평가상의 변화
13
승마치료 전 후의 일상생활동작 평가비교 승마 치료 전․후의 WeeFIM은 12명의 환자에서 비교되었으며, 그 중 한명의 환자에서만 120점에서 122점으로 호전되었고, 다른 환자들에서는 승마치료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치료 전 평균82.4점에서 치료 후 평균 82.6점으로 약간의 증가를 보이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4
고찰
15
관절가동범위에서 평균적으로 증가하긴 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Wayne 등 에 의하면 뇌성마비 환자에서 동일한 검사자에 의한 측정 오차를 10도~15도 로 보고하였으며, 이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보인 평균 3.5도 정도의 호전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호전으로 보기 어려울 것이다. 기타 경직의 정도, 근력 그리고 일상생활독작 평가에서도 대상 수가 적어서 통계적 유의성을 찾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16
문제점과 추가점 문제점 추가점 첫째 : 적은 대상 수로 인해 이학적 검사와 WeeFIM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지 못했다는것
둘째 : 모두가 다른 중증도를 가지고 있고 나이에 차이가 있어 승마 치료가 환아들 에게 각각 다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겠다. 다양한 정도의 기능을 가진 환자들을 계층화하여 어떤 환자들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는 지를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승마 치료로 호전된 대 운동 기능이 언제까지 유지되는지도 향후 추적 평가를 하여야 할 것이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