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학교 민주주의의 이해 (민주적 자치공동체, 윤리적 생활공동체 중심으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학교 민주주의의 이해 (민주적 자치공동체, 윤리적 생활공동체 중심으로)"—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교 민주주의의 이해 (민주적 자치공동체, 윤리적 생활공동체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추병완

2 여기 모두 몇 사람이 있나요?

3 뒤센 미소(Duchenne Smile)

4 뒤센 미소 연습하기

5 민주주의와 학교교육 첫째, 시민의 도덕적 인격은 민주주의의 성공에 본질적이다.
둘째, 민주 사회에서 학교교육은 민주적인 도덕적 이상의 핵심 요소들을 반영해야만 한다.

6 피터스(R. S. Peters) 민주주의를 운영할 시민들은 우후죽순처럼 솟아나 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받음으로써 성장하는 것이 다. 학교는 학생들을 민주적 생활방식에 입문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

7 콜버그(L. Kohlberg) 학교가 참여민주주의에 근거한 정의공동체(just community)로 변모할 때, 학생들의 진정한 도덕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8 정의 공동체 잠재적 교육과정의 중요성 인식, 키부츠 방문을 통 한 새로운 인식, 교도소에서의 도덕적 토론 실험에 서의 교훈을 근거로 학교 개혁을 시도함. 중등학교 개혁 운동: 민주적 의사결정에서의 학생 참여, 학생들의 유대감, 공동체 구축 – 참여민주의 의에 기초한 학교의 도덕적 분위기 Community meeting, 위원회 활동 교사의 도덕적 리더십이 중요함

9 교육 트렌드로서의 공동체 학습공동체, 정의공동체, 민주적 공동체, 배려공동 체 등 학교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룰 때 교육이 성 공할 수 있다는 인식 증가 이익사회로 변모한 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 과잉 경쟁에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증가: 매년 6만 명이 중도 탈락하고 있음. 학생들의 웰빙 수준 저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 충족의 필요성 증가

10 학교가 서로 배려하고 지지해 주는 대인관계, 학교 활동 및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공유된 규범ㆍ목표ㆍ가치라는 3가지 특징을 갖춘 기능적 공동체(a functional community)의 모습을 보일 때 학생들의 문제 행동은 감소한다. 학교를 하나의 공동체로 경험하는 학생들은 그렇 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교를 더 좋아하고, 더 높 은 학업 동기를 갖고 있으며, 결석하는 횟수가 적 고, 파괴적 행동에 관여하는 경우가 적으며, 높은 학업 성취를 보인다.

11 학교 유대감과 웰빙의 중요성 학교 유대감(school connectedness/school bonding): 학교에서 교직원과 학생들이 자신을 배려 하고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는 인식의 결과로서 학생들이 느끼는 애착과 헌신의 감정 학교와의 애착(attachment to school): 학생들의 소속 감, 학교에 대한 자긍심, 학교에서의 안전감과 편안한 느낌 교직원과의 애착(attachment to personnel): 학생들 이 교직원과 경험하는 대인 관계적 연관성을 의미한다. 교직원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교직원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는 느낌, 교직원들이 그들을 이해하고 있다 는 느낌

12 학교 헌신(school commitment): 학교 활동에 대 한 개인적 투자 및 학생들에게 있어서 학교의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학교 헌신이 높은 학생은 학교의 목표ㆍ규범ㆍ도덕을 수용한다. 학교 참여(school involvement): 학교 활동에 대 한 행동적 참여(예: 클럽 활동 참여, 학교 행사 참 여 등)를 의미한다. 학교 유대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 성취도가 높 고, 음주ㆍ흡연ㆍ섹스ㆍ폭력과 같은 위험 행동에 관여할 확률이 적으며, 학교에서의 중도 탈락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13 학교에서의 웰빙에 대한 관심 긍정심리학과 긍정교육의 등장- 학교에서 학생들 의 웰빙(well-being) 또는 플로리싱(flourishing) 에 대한 관심 학교는 학생들의 웰빙을 향상시켜주는 하나의 긍 정 제도가 되어야 한다. 학교폭력, 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우울과 불안 증가,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 예방 및 치유 방법 으로서 학교에서의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

14 웰빙의 5가지 저해 요인 ➀ 부정성 편향(the negativity bias) ➁ 지속 기간 경시(duration neglect) ● 절정-대미 이론(peak-end theory): 유쾌하거나 불쾌한 경험의 빈도나 지속 기간은 중요치 않다. 가장 강렬한 감정을 느낀 경험(절정)과 실험의 마 지막에 느낀 경험(대미)이 전체에 대한 행복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대니얼 카네만(Daniel Kahneman)은 이러한 현상을 절정-대미 법칙이라 고 명명했다. 인간의 기억은 모든 과거 경험에 대 한 정확한 반영이 아니라 절정과 대미를 중심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15 ➂ 사회적 비교(social comparison)
세상 B: 당신은 매년 100,000 달러를 벌고, 다른 사람들은 매년 250,000달러를 번다. ➃ 쾌락의 쳇바퀴(the hedonic treadmill) ➄ 자기 통제의 결여(lack of self-control)

16 웰빙의 5요소(PERMA)

17 1. 긍정 정서 Barbara Fredrickson: 확장 및 축적 이론 (broaden and build theory)
- 지적: 우리의 창의성, 문제 해결 기술을 발달시킨 다. - 신체적: 신체적 힘과 심혈관 건강을 발달시킨다. 장수하게 한다. - 사회적: 우리의 우정과 관계, 유대감의 질과 양을 증가시켜 준다. - 심리적: 우리의 회복탄력성과 낙관성을 발달시켜 준다.

18 로사다 비율: 3대 1(긍정 정서 대 부정 정서)

19 긍정 정서와 장수 낮은 긍정 정서 사례: 저는 1909년 9월 26일에 7남매(여5, 남2)의 맏이 로 태어났습니다.…..Motherhouse에서 화학을, Notre Dame Institute에서 중급 라틴어를 가르치 며 수녀 준비생 생활을 하였습니다. 그러다 하느님 의 은혜로 수녀로의 부르심에 최선을 다하기로 결 심하게 되었고, 전도와 개인적 성화(聖化)를 위해 서도 최선을 다하기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20 높은 긍정 사례: 하느님께서 저에게 헤아릴 수 없는 은혜를 베풀어 주셔 서 삶의 첫발을 순조롭게 내디딜 수 있었습니 다.…Notre Dame College에서 수녀 준비생으로 공부 하면서 보낸 시간들은 정말 행복한 순간들이었습니다. 이제는 성모마리아의 거룩한 습관을 이어받아 하느님 의 크신 사랑과 일치된 삶을 사는 것을 기쁜 마음으로 고대하고 있습니다. 긍정 정서 단어의 양이 상위 25%인 집단과 하위 25% 인 집단 간의 수명 차이는 9.4년이었고, 긍정 정서의 종류가 상위 25%인 집단과 하위 25%인 집단 간의 수 명 차이는 10.7년이었다.

21 긍정 정서의 음미/향유(savoring)
Share your good feelings with others. Take a mental photograph. Congratulate yourself. Sharpen your sensory perceptions. Shout it from the rooftops. Compare the outcome to something worse. Get absorbed in the moment. Count your blessings and give thanks. Avoid killjoy thinking.

22 2. 몰입 덴마크 사람들의 행복 비결 '휘게(hygge)':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라.‘
우리 인생의 순간순간에 충분히 몰입하고 있을 때 만이 행복이 오는 것이다. 플로우(Flow)라는 것은 사람들이 다른 어떤 일에 도 관심이 없을 정도로 지금 하고 있는 일에 푹 빠 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23 3. 긍정적 관계 가까운 곳에 살고 있고 매우 행복한 삶을 살고 있 는 친구는 당신도 행복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25% 증가시켜 준다. 관계 긍정성 비율: 사랑하는 사람과 더 좋은 관계 를 형성하려면 긍정 대 부정의 비율이 5대 1이어 야 한다. 거트만(Gottman)은 강력하고, 행복하고 오래 지속되는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관계에서 긍정 대 부정 비율이 5대 1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 다.

24 좋은 소식에 반응하는 4가지 스타일 수동적/건설적(passive constructive): 파트너의 좋은 소식에 대해 무기력 하고, 박력이 없고, 열정이 없이 반응한다. 낮은 목소리로 잘 되었네요. 좋네 요라고 말한다. 수동적/파괴적(passive/destructive): 승진했다는 좋은 소식을 들었는데, 오늘 난 하루가 지옥 같았어요라는 식으로 대화를 자기 중심으로 돌린다. 적극적/파괴적(active destructive): 승진했다는 소식에 대해, 큰소리로 반 응하며 더 늦게 들어오게 생겼네. 일도 많아지고 스트레스도 많아질 텐데. 세금도 더 내야 하고 등으로 반응한다. 적극적/건설적(active constructive) 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열정적이고 에 너지 넘치는 지지를 보내어 좋은 소식을 만끽하게 한다. 축하해요. 이게 얼 마나 좋은 소식이야.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다시 자세히 얘기해줘요. 사장이 정말 그렇게 말했어요. 사장에게 뭐라고 했어요? 우리 축하 파티를 어떻게 할까요?

25 4. 성취 Seligman: 성취= 기능 x 노력 - 기능과 노력이 높은 성취를 이루는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기능과 노력이 높은 성취를 이루는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전문가가 되기: 노력의 관점에서 한 분야의 전문가 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주제에 대한 의도적인 실행 에 최소 10년(대략 10,000시간)이 소요된다고 한 다. Grit의 중요성: “장기적 목표를 향한 인내와 열정”- 흥미의 일관성/노력의 인내

26 나만의 성취 포트폴리오 만들기

27 5. 의미와 목적 첫째, 의미는 필수적인 기초 토대(bedrock foundation)을 제공한다. 기초 토대는 역경에 더 욱 탄력적으로 만들어 역경으로부터 다시 튀어 나 올 수 있게 만든다. 둘째, 의미는 방향감(sense of direction)을 제공 하여 우리가 표적으로 삼아야 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P3rM

28 삶에서 자신의 목적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
여러분이 지금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생각하고, 여러분의 삶 전체를 비디오테이프를 빨리 감는 것처럼 상상하면서 다음의 질문들에 대답을 하는 것이다. 1.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무엇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2. 누가 나를 가장 기억해주기를 바라는가? 3. 나의 성취나 개인적 강점 중에 다른 사람에게 이야 기해 주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4. 내 삶을 돌이켜 볼 때, 내가 살아온 삶에 대해 만족 하는가? 5. 지금 내가 상상한 이러한 것들이 실현될 수 있는 그 런 방식으로 나는 지금 살고 있는가?

29 학교 유대감-시애틀 프로젝트 시애틀 사회 발달 프로젝트(1981), 건강한 아이 키 우기(1992)
교실 수업 및 교실 관리, 학부모 참여, 아동의 기능 발달로 구성된 발달적 적합성과 다차원적 요소에 근거한 포괄적인 전략을 사용하였음. 초등학교 시절에 형성된 높은 학교 유대감이 6∼9 년 후까지 긍정적인 영향력(높은 수준의 학업 성공 그리고 학교에서의 훈육 문제, 폭력, 음주, 위험스 러운 성 행위에서의 감소)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었다.

30 교실 수업과 학급 경영에서의 교사 훈련: 순행적 교실 관리, 상호작용적 교수 활동, 협동학습
사회/정서적 기술 훈련: 대인관계적 문제해결 기 술, 거절 기술 학부모 훈련: 행동 관련 기술, 학업 지원 기술, 약 물 사용 위험 감소 기술

31 아동 발달 프로젝트 3개의 종단연구로 구성(1980-1989, 1988- 1991, 1991-1995)
민주적 공동체로서의 학교를 강조한 듀이의 관점, 나딩스의 배려 이론, 내재적 동기를 강조한 자기 결정 이론, 그리고 도덕 발달에 관한 피아제와 콜 버그의 구성주의 관점을 이론적으로 결합하였음. 교육과정, 교수법, 학교의 조직 및 관리, 학교 풍토 등 학교의 모든 부문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생태학 적 개입임.

32 협동학습, 발달적 훈육,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실 에서의 도덕적 토론, 학교 전체 봉사 프로그램, 가 정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함.
아동 발달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학교 스 포츠, 여타 과외 활동, 지역사회 청소년 집단과 같 은 긍정적인 집단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 교육적 포부와 기대, 교사에 대한 신뢰와 존중, 학교를 공 동체로 여기는 경향, 학교 사랑, 학교 성적, 자기효 능감과 자존감,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시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33 긍정교육 프로젝트 긍정교육은 긍정심리학을 교육에 적용하려는 시도 를 의미한다. 긍정교육은 학교를 하나의 긍정 제도 로 파악하고, 긍정적 특성의 함양과 긍정적 정서 계발을 중시한다. 긍정교육은 학교를 더욱 행복한 장소로 변화시키 기 위한 교육적 시도인 셈이다. 2008년부터 호주의 지롱 문법학교(Geelong Grammar School)에서 행해짐.

34 긍정교육을 가르치기 긍정심리학의 요소들을 가르치는 것: 쾌활, 감사, 강점, 의미, 몰입, 긍정적 관계, 긍정적 정서에 대 한 독립적인 교수 활동을 1주에 2회 실시함. VIA(Values in Action) 대표 강점 검사 실시(www. viachracter.org) 대표 강점을 활용한 수업 전개하기 긍정 정서 훈련하기

35 긍정교육의 토대 만들기 긍정교육을 교과 수업에서 적극 활용하였다. 국어 시 간에는 자신이 타인에게 소중했던 사람이었던 순간에 대해 에세이를 쓰거나 연설을 하게 하였고, 지리 시간 에는 각 나라의 웰빙 수준 비교하기, 녹지 공간과 웰빙 의 관계 조사하기 등을 실행하였다. 외국어 시간에는 각 나라의 민속 문화에서 성격 강점 찾아보기를, 미술 시간에는 심미안 기르기를, 음악 시간에는 망친 연주 에서 낙관적 설명 양식 연습하기를 그리고 체육 시간 에는 경기를 망친 팀원에 대한 원망을 내려놓고, 초점 수정 기술을 활용하여 그 친구가 팀에 도움을 주고 잘 한 것을 떠올리게 하기 등을 실행하였다.

36 긍정심리학을 생활화하기 교사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통해 긍정 심리학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좋 은 일(three good things) 기록하기, 학생들이 교 사와 함께 빵을 만들어 학교 근처의 양로원에 가져 다 주기 등을 실천하였다.

37 결론 학생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효과적인 교수ㆍ학습 방 법의 사용, 긍정적인 학급 경영 관행, 민주적ㆍ협동적 인 교실의 의사소통 및 관행, 모든 학교 구성원들 사이 의 신뢰와 배려 관계, 가혹하지 않으며 공정하고 관용 적인 훈육 정책, 교사에 의한 규칙 제정의 축소, 학생의 수행에 대한 높은 기준과 기대, 학생들에 대한 적은 부 정적인 피드백, 학업 동기에 대한 성인의 모델링, 친사 회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기(멘토링, 봉사 학습, 지역사 회 서비스 프로젝트), 과외 활동에 대한 참여, 쾌적한 학교 시설 및 환경, 학부모 참여 유도, 학생들의 삶에 연관된 학습 내용, 학교에서 1명 이상의 성인과의 친밀 한 관계가 중요함.

38 학교에서 학생들의 대표 강점과 긍정 정서를 유발 하는 교육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우울과 불안을 예 방하고, 학생들의 심리적ㆍ사회적 웰빙 수준을 향 상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효과의 기저에는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고, 서로를 배려하 며, 공동선을 위해 협동하는 민주주의의 도덕적 원 리에 근거한 강력한 생활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 는 것이다.


Download ppt "학교 민주주의의 이해 (민주적 자치공동체, 윤리적 생활공동체 중심으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