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5 강 화장품의 원료와 제형 I 정제수, 유성성분, 보습제, 방부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5 강 화장품의 원료와 제형 I 정제수, 유성성분, 보습제, 방부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5 강 화장품의 원료와 제형 I 정제수, 유성성분, 보습제, 방부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 화장품원료의 구성 정제수,  유성성분,  보습제,  방부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색소,  분체,  계면활성제  기타

2 * 크림처방의 예 Stearic Acid Stearic acid 보조유화제 Cetanol cethyl Alcohol 주유화제
Arlacel 165 Glyceryl Atearate SE 유화제 Tegocare 450 Polyglycrtyl-3 Methylglucose Distearate BP Butylparaben 방부제 Salacos 99 Isononyl Isononanoate 유연제 DC-345 Cyclomethicone MP Methylparaben Biophlic H Hydrogenated Leathin /C12-16 Alcohol/Plmic Acid 점증제 Glycerine Glycerin 보습제 1.3 BG 1,3-Butylene Glycol TEA Triethanolamine 중화제 Aqupec 505 carbomer Water 정제수

3 A. 유성성분 1. 유지류 (Oil & Fat) * 유지는 기름(Oil)과 지방(Fat)의 약칭
*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테르(트리글리세리드)가 주성분     * 상온에서 액상인 것을 기름( 불포와지방산 ), 고체 (포화지방산) 인 것을 지방 1) 유지류의 사용 목적      (1) 피부에의 유연성       (2) 용매효과에 의한 피부표면의 청정화       (3) 피부표면에의 마찰효과       (4) 에몰리언트 효과 부여와 유해물 침입방지       (5) 한냉 시 피부표면으로부터의 수분증발의 억제       (6) 특수 성분의 용매로 부터의 수분증발의 억제       (7) 과지방제로서의 피부 보호       (8) 모발의 광택 부여

4 2) 유지류의 분류 지방유(실온에서 액체)     식물유 : 건성유(대두유 등) ,                                               반건성유(참깨, 유채유 등),                                               불건성유(올리브유, 동백유 등)                                               동물유 (어유, 간유, 밍크유 등)                                               광물유 (유동파라핀, 바셀린)                                               합성유 (실리콘유,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지방(실온에서 고체)       식물유(야자유, 팜유, 목납 등)                                               동물유(우지, 라놀린 등) 

5 3) 식물유 ( Vegetable Oil ) *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이 불건성유로 건성유는 거의 사용되지 않 는다.   * 식물의 잎이나 열매에서 추출한다. 냄새는 좋은 편이나 부패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 피부흡수가 늦다.          (1) 아보카도유( Avocado Oil )              * 아보카도의 열매를 냉동압착하여 추출              * 비타민 A, B가 함유되어 건성피부에 좋다.              * 피부친화성이 좋고 퍼짐성이 좋다.              * 에몰리언트 크림, 샴푸, 헤어린스 등에 사용 (2) 올리브유 ( Olive Oil )              *  지중해산 올리브의 열매를 냉동 압착하여 추출              * 주성분은 올레인산 ( 80 %) 이상              * 에탄올에 잘 용해되고 식물유 중에서 비교적 피부흡수가 좋다.              * 크림, 선탠오일 , 머릿기름등에 사용        

6 (3) 홍화씨오일(Safflower Oil)
* 리놀산, 올레익산으로 구성 * 산화안정성이 떨어짐 * 식용으로 많이 사용 (4) 피마자유 ( Castor Oil )              * 피마자의 종자에서 얻음              * 주성분은 리시놀산              * 다른 식물유와달리 점도가 높고 에탄올에 가용성              * 색소의 용해성이 좋다.              * 립스틱, 네일에나멜, 포마드, 헤어 로션등에 사용          (5) 마카다미아 넛트 오일              * 마카다미아의 열매에서 추출             *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이 인체의 피지와 유사              * 피부친화성, 감촉이 우수하여 에몰리엔트제로 사용

7 (6) 해바라기 오일 (Sunflower Oil)
           * 해바라기 열매에서 추출            * 생리활성이 높은 토코페롤이 다량 함유 (7)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 비타민 A,B 미네랄 풍부            * 피부 유연및 탄력 보습력이 우수 * 가벼운 화상, 염증에 대한 피부진정작용 (8) 포도씨 오일 (grape Seed Oil) * 칼슘, 칼륨, 비타님 A,B와 철분 풍부하게 함유 * 피부의 해독,살균효과를 지닌 카테킨 성분 함유 * 토코페롤의 함유로 산화안정성우수

8 4) 식물지방( Vegetable Fat )    (1) 카카오지 ( Cacao Butter )    * 주성분 스테아린산 %, 올레인산 %  팔미틴산 %    * 립스틱, 아이브로우 펜슬, 포마드에 사용    * 블루밍 현상을 일으키기 쉬운 점 때문에 최근에는 사용 안함 (2) 야자유 ( Coconut Oil)        * 코코야자수의 종피를 벗긴 종자에서 얻음           * 라우린산 % 미리스틴산 %          * 포함되있는 카프린산이나 카프릴산등의 저금 지방산이 피부를 자극하여 화장품보다는 비누 샴푸등의 세정료에 사용

9 5) 동물유지 ( Animal Oil & Fat )
       * 동물유지는 식물성보다 색이나 냄새가 강하여 탈취, 탈색, 수소첨가하여 사용 (1) 터틀유 ( Turtle Oil )             * 바다거북의 지방에서 채취한 기름             * 피부에 대한 침투성이 뛰어나다             * 지용성 비타민 A, E를 함유하여 영양 크림 등에 사용          (2) 밍크유 (Mink Oil)             * 밍크의 피하지방에서 추출한 기름             *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좋다             * 크림, 유액, 베이비오일, 두발용 기름에 사용 (3) 난황유( Egg Oil )            * 예전에는 유화제로 사용되었으나, 안정성이 나쁘고 새로운 계면활성제가 개발됨에 따라 그 용도로는 쓰지 않고 있다.          * 산패가 잘 되지 않고 지용성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영양크림에 사용

10 2. 왁스( Wax Ester )    * 왁스는 long-chain 지방산과 알콜과의 에스테르를 주성분 으로 하는 것의 총칭     1) 왁스의 분류                     천연왁스            동물계 (밀납, 라놀린 왁스 등)                                         식물계 (칸데릴라, 카르나우바 왁스 등)                                         석유계 (파라핀 왁스 등)              합성왁스            합성탄화 수소 (폴리에칠렌 왁스 등)                                         변성왁스 (몬타 왁스의 유도체 등)                                         수소화왁스 (경화 피마자유 등)                                         기타(히드록시 스테아린산 등)     배합왁스     

11 2) 왁스의 사용 목적                * 고화제로서 제품의 안정성과 기능의 향상                * 사용감의 개선                * 액체유의 융점을 높힘, 피부의 유연효과 개선                * 소수성 피부의 증강                * 광택을 부여하여 상품가치를 향상                * 성형 기능을 개선하여 작업서의 향상

12 3) 식물성왁스           (1)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 브라질에서 자생하는 카나우바 야자의 잎으로부터 채취                      *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 C20-C32의 지방산과 C28 - C34의 알콜의 에스테르화물                      * 융점은 도로 식물왁스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                      * 립스틱 등의 스틱상의 제품의 경도부여와 내온성 향상 등에 사용          (2) 칸데릴라 왁스                           * 칸데릴라 식물등의 줄기로부터 얻은 왁스를 정제                      * C16 - C34 의 지방산 에스테르 30%                      * 립스틱 등의 스틱상의 제품에 광택이나 내온성 향상에 사용 (3) 호호바 오일 (JoJoba Oil) * 호호바 열매를 냉동압착 추출 * 액체 왁스 * 트리글리세라이드 구조 * 인체의 피비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지니고 있다. * 피부침투성이 우수하고, 피부염 치유효과도 지님

13 4) 동물성왁스              (1) 밀납 ( Bees Wax )      * 꿀벌의 집으로부터 벌꿀을 채취한 후, 열탕에 넣어서 왁스를 분리               * 고급지방산과 고급알코올의 에스테르가 주성분               * 예부터 화장품 원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옴               * 크림, 립스틱등 스틱상의 제품에 주로      (2) 라놀린(Lanolin)               * 양의 털에서 얻은 지방모양의 물질을 정제한 것               * 주성분은 고금 지방산과 스테롤류 및 고급 알콜올의 에스테르의 혼합물               * 피부에 대하여 친화성 , 부착성이 풍부               * 포수성이 있다.               * 뛰어난 에몰리언트(Emollient)로서 크림, 유액, 립스틱, 두발용품에 사용

14 3. 탄화수소 유도체 1) 하이드로카본류 ( Hydrocarbons ) (1) 스쿠알란 ( Squalane )
     * 탄화수소는 CnH2n+2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화장 품에는 C15 이상의 것이 유상성분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1) 스쿠알란 ( Squalane )            * 심해 상어의 간유에서 채취한 스쿠알렌에 수소를 첨가한것            * 응고점이 낮고 안정성이 높다            * 크림, 유액등의 기초화장품에 많이 사용 (2) 파라핀왁스 ( Paraffin wax ) * 무색 또는 백색의 약간 투명한 결정성 고체 * 글리지한 유성감          

15 * 점성이 있고, 미세한 결정으로 융점(60 -85) 높다.
(3)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 Microcrystalline wax )           * 바셀린등의 탈유에 의해 얻은 미결정성 고체             * C31-C70의 이소파라핀을 주성분             * 점성이 있고, 미세한 결정으로 융점(60 -85) 높다.             * 다른 왁스에 혼합하면 결정의 성장을 억제하며 발한 작용을 억제한다.             * 립스틱, 크림 등에 사용   (4) 바세린 ( Petrolatum )            * 석유원유의 진공증류 잔유를 용제탈납할 때에 얻어지는 연고상의 물질을 정제            * C24 -C34의 탄화수소          * 무취, 화학적으로 불활성, 접착력이 크기 때문에 크림과 립스틱에 사용한다. (5) 유동 파라핀 ( Liquid Paraffins )             * 석유원유 300도 이상의 유분에서 고형 파라핀을 제거하여 정제            * 상온에서 액상 , C15 - C30 의 포화탄화수소의 혼합물         * 정제가 용이하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므로 변질이 적고 유화하기 쉬워 유성원료로 다량으로 사용             * 크림, 유액등의 기초화장품에 사용           * 피부표면에서 수분증발의 억제, 용매효과를 이용하여 피부면을 꺠끗하게 하며, 사용감촉의 향상에 사용

16 2) 고급 알콜 ( Higher Alcohol ) * 왁스류의 비누화분해, 지방산 환원 및 석유 자원으로부터
합성해서 얻어지는 ROH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유화조제, 유성감억제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1) 주된 고급 알콜의 용도 품목 유래 성상 용도 천연  라우릴알콜 야자유 투명액 또는 결정 고체 활성제원료 스테아릴알콜 고래유, 야자유, 우지환원 백색 왁스 상고체 활성제원료, 유성성분 (크림, 립스틱) 올레일알콜 경납 액체 유성성분 (크림), 샴푸 등의 세정제 원료  라놀린알콜 라놀린 비누화 Paste상 활성제원료, 유화제, 유성성분

17 3) 고급 지방산( Higher Fatty Acid )
* 유지를 가수분해해서 얻은 RCOOH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유화 및 용매경화(알카리류 등의 병용)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1) 주된 지방산의 용도 품목 유래 성상  용도 천연  라우린산 야자, 팜유비누화 백색 결정 주로 기포성 세정원료(샴푸 등) 스테아린산 우지 비누화 백색인 편상 결정 활성제원료, 유성성분 (크림, 립스틱) 올레인산 우지, 올리브유 유상 액체 유성성분 (크림), 샴푸등의 세정제 원료 합성  이소스테아린산 C18 불포화 지방산 환원 액체 활성제원료, 유화제, 유성성분 

18 4) 에스테르류 ( Esters ) (1) 주된 에스테르류의 용도
* 지방산(RCOOH)와 알콜(ROH)과의 탈수 반응에 의해 생성한 RCOOR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퍼짐성 향상제,용제, 에몰리언트제 등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1) 주된 에스테르류의 용도 품목 성상 특징 용도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투명 액체 유연성, 활택성 크림, 유액, 메이크업 화장품 등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백색결정고체 유연성 크림, 유액, 립스틱 등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무자극, 흡수, 유연성 헤어오일, 베이비오일크림, 샴푸, 린스 스테아린산에칠렌글리콜 펄화제 

19 * Siloxane(Si-O-Si)을 갖는 유기규소화합물의 총칭
4.실리콘류(Silicones) * Siloxane(Si-O-Si)을 갖는 유기규소화합물의 총칭 * 내수성이 강하고 끈적임이 없는 가벼운 사용감 * 피부와 모발에 대한 퍼짐성이 우수 (1) 디메치콘 (Dimethicone) * 가벼운 사용감 부여와 유분의 끈적거림 억제 * 퍼짐성 증대, 소포기능 (2)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 유성성분과 상용성이 우수 * 휘발성이 있다.


Download ppt "제 5 강 화장품의 원료와 제형 I 정제수, 유성성분, 보습제, 방부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