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로마서 3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로마서 3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로마서 3장

2 3장의 구조 분석 1-9절: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죄 아래 있고 심판 아래 있다 10-20절: 의인은 하나도 없다
1-9절: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죄 아래 있고 심판 아래 있다 10-20절: 의인은 하나도 없다 21-31절: 하나님의 의의 계시

3 롬 3:1-9 1) 1-2절: 유대인들의 유익이 많다 2) 3-8절: 하나님의 의로우심
(1) 3-4절:모든 사람은 거짓되고 하나님만 참되시다 (2) 5-8절: 우리는 불의하지만 하 나님은 의로우시다 3) 9절: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모두 죄 아래 있다

4 1-2절 b) h' ti,j h` wvfe,leia th/j peritomh/jÈ
1) a) Ti, ou=n to. perisso.n tou/ VIoudai,ou b) h' ti,j h` wvfe,leia th/j peritomh/jÈ 2) a) polu. kata. pa,nta tro,ponÅ b) me.n Îga.rÐ o[ti evpisteu,qhsan ta. lo,gia tou/ qeou/Å

5 단어 연구 perisso.n adj normal nom neut sg no degree from perisso,j 1.pert. to that which is not ordinarily encountered, extraordinary, remarkable wvfe,leia, aj, h` use, gain, advantage kata. pa,nta tro,pon in every way or respect polu. adj normal nom neut sing no degree from polu,j 1. pert. to being a large number, many, a great number of evpisteu,qhsan vb ind aor pass 3rd prs pl from pisteu,w: 수동태로 사용될 때 ‘복음의 선포를 맡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고전 9:17; 갈 2:7; 살전 2:4; 참조 딤전 1:11; 딛 1:3) lo,gia noun acc neut pl from lo,gion a saying, Of God’s promises to the Jews(롬 3:2) 바울에게 단 한 번 사용됨of the revelations received by Moses lo,gia zw/nta (행 7:38); Of the sayings of Christians who have been endowed with the gift of ministry through spoken words(벧전 4:11)

6 단어 연구 lo,gia: LXX와 유대 문헌에서 하나님의 신탁(lo,gia)은 모세의 법령(Mosaic legislation)이나/과 선지적 문헌들에 나타난 신적 언사(divine utterance) 전체를 가리킴; 시 119편에서 잘 나타남 ‘lo,gia’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언약적 결속에 근거한 구원의 확신에 대한 여러 가지 성경적 언급들을 가리킨다 (Byrne, 112). 이러한 배경은 ‘ta. lo,gia’가 하나님과의 언약적 결속에 근거한 구원에 대한 여러 가지 성경적 확신들을 의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7 문맥 관찰 바울은 왜 이 본문에서 유대인의 탁월성과 할례의 유익을 말하려고 하는가?
혈통적 유대주의를 해체하는 작업이 자칫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허락하신 구속 역사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비추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이 문맥에서 유대인의 탁월성을 말함으로써 구속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탁월한 신실하심을 드러내려고 한다. 그러므로 3-8절에서 이러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논의 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의도는 9절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모두 죄 아래 있다.

8 구조 분석 1a와 1b는 병행적 관계로서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고 있다.
이 두 문구의 사이에 ‘혹은’(h')이 존재하므로서 이러한 병행적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유대인의 나음’(to. perisso.n tou/ VIoudai,ou)과 ‘할례의 유익’(h` wvfe,leia th/j peritomh/j)은 서로 동일한 의미 ‘할례’는 유대인에 대한 상징

9 번역 1) a)그런즉 유대인의 나음이 무엇이며 b)할례의 유익이 무엇이뇨 2) a)범사에 많으니
번역: 1a)그렇다면 유대인의 탁월함이 무엇이며 b)혹은 할례의 유익이 무엇입니까? 2a)모든 면에서 많습니다. b)무엇보다도 참으로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맡았다는 것입니다.

10 해석 1b)할례의 유익(h` wvfe,leia th/j peritomh/j): 여기에서 ‘할례’는 1a의 ‘유대인’에 대한 다른 표현이다. 할례는 유대인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a) ) polu. kata. pa,nta tro,pon: 유대인의 유익의 타월함을 강조 2b의 ‘말씀을 맡음’의 의미: 단어 연구 참조 9절과 대조됨

11 9절 b) proh|tiasa,meqa ga.r VIoudai,ouj te kai. {Ellhnaj pa,ntaj
9) a) Ti, ou=nÈ proeco,meqaÈ ouv pa,ntwj\ b) proh|tiasa,meqa ga.r VIoudai,ouj te kai. {Ellhnaj pa,ntaj u`fV a`marti,an ei=nai(

12 9절 9) a)그러면 어떠하뇨 우리는 나으뇨 결코 아니라
b)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다 죄 아래 있다고 우리가 이미 선언하였느니라

13 단어 연구 Proeco,meqa vb ind pres mid or pass dep 1st pers pl from proe,comai 1. to be in a prominent position, jut out, excel, be first ; have an advantage Ro 3:9 as a pass., meaning are we excelled? i.e. are we in a worse position (than they)? or have we lost our advantage? 2. In Ro 3:9, which is text-critically uncertain (s. 1), the mid. either has the same mng. as the act. a mng. not found elsewh. for the mid.—or its customary sense hold someth. before oneself for protection (so also En 99:3). In that case, if the ‘we’ in proeco,meqa refers to Judeans, the ouv pa,ntwj that follows vigorously rejects the idea that they possess anything that might shield them fr. God’s wrath.

14 9절 해석 ‘우리는’ 누구인가? 바울을 포함한 유대인
유대인의 나음이 없다! 유대인도 이방인처럼 죄 아래 있음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 유대인의 탁월성을 말하는 1절과 비교됨 이러한 변화는 3-8절로 인하여 발생한다.

15 3-4절 3-4절 질문 (A) 3) 어떤 자들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어찌하리요 그 믿지 아니함(신실치 아니함)(h` avpisti,a auvtw/n)이 하나님의 미쁘심(신실함)(th.n pi,stin tou/ qeou/)을 폐하겠느뇨 대답 (B) 4) 그럴 수 없느니라(mh. ge,noito) 사람은 다 거짓되되(yeu,sthj) 오직 하나님은 참되시다(avlhqh,j) 할찌어다 기록된바 주께서 주의 말씀에 의롭다 함을 얻으시고 판단 받으실 때에 이기려 하심이라 함과 같으니라 정리 유대인들이 하나님께 신실하지 못했을지라도 하나님은 신실하고 참되시다 인간의 신실치 못함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훼손하지 못한다.

16 5-6절 질문 (A) 5) 그러나 우리 불의(h` avdiki,a h`mw/n)가 하나님의 의(qeou/ dikaiosu,nhn)를 드러나게 하면 무슨 말 하리요 내가 사람의 말하는대로 말하노니 진노를 내리시는 하나님이 불의(a;dikoj)하시냐 대답 (B) 6) 결코 그렇지 아니하니라(mh. ge,noito) 만일 그러하면(그러하지 않다면) 하나님께서 어찌 세상을 심판하시리요 정리 우리(바울을 포함한 유대인)의 불의가 하나님의 의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하나님께서 불의하신 것은 아니다.

17 7-8절 질문 (A) 대답 (B) 정리 7-8절에 대한 보완 설명: 나의 거짓말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수 없다.
7) a)그러나 나의 거짓말(evn tw/| evmw/| yeu,smati )로 하나님의 참되심(h` avlh,qeia tou/ qeou/)이 더 풍성하여 그의 영광이 되었으면 b)어찌 나도 죄인처럼 심판을 받으리요 대답 (B) 8) a)또는 그러면 선(ta. avgaqa,)을 이루기 위하여 악(ta. kaka.)을 행하자 하지 않겠느냐 어떤 이들이 이렇게 비방하여 우리가 이런 말을 한다고 하니 b)저희가 정죄(심판) 받는 것이 옳으니라 정리 7-8절에 대한 보완 설명: 나의 거짓말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수 없다. 전체 하나님의 신실하시고 의로우심은 인간의 반응과 관계 없이 지속된다

18 3-7절 3절 (A) 5절 (A) 7절(A) 사람들의 신실치 않음 (h` avpisti,a auvtw/n)이 하나님의 미쁘심(th.n pi,stin tou/ qeou/) 5) 그러나 우리 불의(h` avdiki,a h`mw/n)가 하나님의 의(qeou/ dikaiosu,nhn) 나의 거짓말(evn tw/| evmw/| yeu,smati )로 하나님의 참되심(h` avlh,qeia tou/ qeou/)

19 3-7절 4절 (B) 6절 (B) 7절 (B) 결코 그렇지 아니하니라(mh. ge,noito)
사람은 다 거짓되되(yeu,sthj) 오직 하나님은 참되시다(avlhqh,j) 결코 그렇지 아니하니라(mh. ge,noito) 선(ta. avgaqa,)을 이루기 위하여 악(ta. kaka.)을 행하자 b)저희가 정죄(심판) 받는 것이 옳으니라

20 3절 (A) 3) a)어떤 자들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어찌하리요 b)그 믿지 아니함이 하나님의 미쁘심을 폐하겠느뇨
3) a) ti, ga,rÈ eiv hvpi,sthsa,n tinej( b) mh. h` avpisti,a auvtw/n th.n pi,stin tou/ qeou/ katargh,seiÈ

21 4절 gine,sqw de. o` qeo.j avlhqh,j( pa/j de. a;nqrwpoj yeu,sthj(
(B) 4) a)그럴 수 없느니라 사람은 다 거짓되되 오직 하나님은 참되시다 할찌어다 b)기록된바 주께서 주의 말씀에 의롭다 함을 얻으시고 판단 받으실 때에 이기려 하심이라 함과 같으니라 4) a) mh. ge,noito\ gine,sqw de. o` qeo.j avlhqh,j( pa/j de. a;nqrwpoj yeu,sthj( b) kaqw.j ge,graptai( {Opwj a'n dikaiwqh/|j evn toi/j lo,goij sou kai. nikh,seij evn tw/| kri,nesqai, seÅ

22 해석 4a의 ‘avlhqh,j’는 3절의 ‘th.n pi,stin tou/ qeou/’에 대한 다른 표현

23 4b의 구약적 배경 내가 주께만 범죄하여 주의 목전에 악을 행하였사오니 주께서 말씀하실 때에 의로우시다 하고 판단하실 때에 순전하시다 하리이다(시 51:6) 위 시편 구절은 다윗의 죄를 고백하는 내용; 그 중에 하나님의 판단이 의롭고 순전하므로 다윗은 자신의 죄에 대해 의문의 여지가 없이 승복할 수 밖에 없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울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맥락에서 사용된다.

24 3-4절 해석 인간의 신실치 못함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훼손할 수 없다.

25 5-6절 ti, evrou/menÈ kata. a;nqrwpon le,gwÅ
b)내가 사람의 말하는대로 말하노니 진노를 내리시는 하나님이 불의하시냐 (B) 6) 결코 그렇지 아니하니라 만일 그러하면 하나님께서 어찌 세상을 심판하시리요 5) a) eiv de. h` avdiki,a h`mw/n qeou/ dikaiosu,nhn suni,sthsin( ti, evrou/menÈ b) mh. a;dikoj o` qeo.j o` evpife,rwn th.n ovrgh,nÈ kata. a;nqrwpon le,gwÅ 6) mh. ge,noito\ evpei. pw/j krinei/ o` qeo.j to.n ko,smonÈ

26 단어 연구 suni,sthsin verb indicative present active 3rd person singular from suni,sthmi 2. to bring together as friends or in a trusting relationship by commending/recommending, present, introduce/recommend someone to someone else ; prove evpei. otherwise Ro 3:6; 11:6, 22; 1 Cor 14:16; 15:29; Hb 10:2

27 구약적 배경 시 51:4 내가 주께만 범죄하여 주의 목전에 악을 행하였사오니 주께서 말씀하실 때에 의로우시다 하고 판단하실 때에 순전하시다 하리이다 우리의 죄는 하나님의 신적 의를 드러내는 결과를 낳는다.

28 번역 5절)그러나 만일 우리의 불의가 하나님의 의를 드러나게 한다면 우리가 무엇을 말할 것인가? 내가 사람의 방법으로 말합니다. 진노를 내리시는 하나님이 불의 하십니까? 6절)절대로 그럴 수 없습니다. 만일 그렇지 아니하다면 어떻게 하나님께서 세상을 심판하실 것입니까?

29 해석 우리의 불의는 하나님의 의를 드러낸다? 이에 도전하는 가능한 질문: 왜 하나님은 자신이 죄로 인하여 영광을 얻으시면서 그 죄를 심판하시는가? 그러므로 우리의 불의가 하나님의 의를 드러낸다면 하나님은 불의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곧 불의가 하나님의 의를 드러낸다면 그 불의에 대해 심판하시는 것은 정당하지 않으시다.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그러나 이에 대해 우리는 아무런 할말이 없다! 우리의 불의에 대해 진노를 드러내는 하나님은 불의하지 않으시다 전통적인 가르침의 단순한 반복 결코 그럴 수 없다! 그렇지 않지 않다면 어찌 하나님께서 세상을 심판할 수 있는가? 5-6절은 3-4절에 비해서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해 좀 더 논증적이기 보다는 선언적이다.

30 7-8절 evn tw/| evmw/| yeu,smati evperi,sseusen
b)어찌 나도 죄인처럼 심판을 받으리요 8) a)또는 그러면 선을 이루기 위하여 악을 행하자 하지 않겠느냐 어떤 이들이 이렇게 비방하여 우리가 이런 말을 한다고 하니 b)저희가 정죄(심판) 받는 것이 옳으니라 7)a) eiv de. h` avlh,qeia tou/ qeou/ evn tw/| evmw/| yeu,smati evperi,sseusen eivj th.n do,xan auvtou/( b) ti, e;ti kavgw. w`j a`martwlo.j kri,nomaiÈ 8) a) kai. mh. kaqw.j blasfhmou,meqa kai. kaqw,j fasi,n tinej h`ma/j le,gein o[ti Poih,swmen ta. kaka,( i[na e;lqh| ta. avgaqa,È b) w-n to. kri,ma e;ndiko,n evstinÅ

31 단어 연구 evperi,sseusen vb ind aor act 3rd pers sing from perisseu,w
1. intr., to be in abundance, abound a. of things a. be more than enough, be left over b. be present in abundance g. be extremely rich or abundant, overflow b. of persons a. have an abundance, abound, be rich

32 단어 연구 yeu/sma, atoj, to, ‘lie, falsehood’ in our lit. in the sense engagement in lying, lying, untruthfulness, undependability (opp. h` avlh,qeia, q.v. 1; Philo, Aet. M. 56) Ro 3:7.

33 문맥 연구 ‘de.’의 역할: 상황의 반전 인칭 대명사의 변화: 1)3-4절: ‘어떤 자들’이라는 막연한 대상
2)5-6절:‘우리’라고 하여 유대적 공동체를 지칭 3)7절: ‘나’라는 것으로 유대적 공동체를 대표하는 자로서 바울 자신을 설정한다.

34 번역 7a)그러나 나의 거짓(말)으로 하나님의 진리가 그의 영광으로 풍성하게 된다면
7b)왜 여전히 나도 역시 죄인으로서 판단을 받고 있습니까? (그러므로 나의 거짓 말로 하나님의 진리가 영광으로 풍성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8)‘선을 가져 오기 위해 악을 행하자’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어떤 사람은 우리가 그런 말을 한다고 말하고 비방합니다. 그들의 심판이 마땅합니다.

35 해석 1)나의 거짓말로 하나님의 영광이 풍성하게 나타날 수 없다.
2)곧 ‘나의 거짓말’로 하나님의 참되심이 풍성하게 되어 하나님의 영광으로 나타나게 된다면(7a) 왜 나는 여전히 죄인으로서 판단되고 있는가?(7b) 3)그럴 수 없다. 나의 거짓을 통하여 하나님의 참되심이 더 풍성하여 하나님께 영광이 될 수 없다. 4)그러므로 선한 것을 얻기 위해 악을 행하라는 말은 있을 수 없다. 그들의 거짓에 대한 합리화는 성립할 수 없으며 심판 받기에 합당하다. 5)그렇다면 그들에게 나은 것이 무엇인가? 아무것도 없다. 그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도 그들은 그들의 불의와 악에서 벗어 날 수 없다. 그러므로 유대인들도 헬라인처럼 동일하게 죄 아래 놓여 있는 것이다.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맡겨졌다는 사실이 그들에게 일종의 특권으로 작용하였을지는 몰라도 그것은 그들의 불의와 불신으로 말미암은 심판의 손길로부터 피할 수 있는 보증이 될 수 없다.

36 의인은 하나도 없다(10-20절) 9절의 말씀에 대한 구체적 설명 특별히 19-20절의 말씀을 주목:
19)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20)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율법을 통해 의인이 될 수 있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37 구조 분석 1. 1-9절: 유대인의 특권이 무익하다; 유대인의 나은 것이 하나도 없다
절: 모든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파헤친다. 물론 여기에는 유대인들도 예외는 아니다. 1)10-18절: 모든 인간의 죄악의 처절함여러가지 선지적 메시지들을 조합하여 선지적 정죄(prophetic accusation)를 가하고 있다(참조 1:18-3:20)(대표적인 구약의 두 본문: 시 14:1-3과 사 59:2-8). 2)19-20절: 유대인을 비롯한 모든 세상이 심판 아래 있다 유대인의 운명이 이방인들과 다를 바가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3)이러한 논리 전개 방식은 유대인의 율법이 하나님의 심판의 면죄부가 될 수 없다는 2:12-24의 문맥에서 2:14-16에서 이방인의 경우를 언급하고 있는 경우와 유사하다.

38 10-12절 10) kaqw.j ge,graptai o[ti Ouvk e;stin di,kaioj ouvde. ei-j( 11) ouvk e;stin o` suni,wn( ouvk e;stin o` evkzhtw/n to.n qeo,nÅ 12) pa,ntej evxe,klinan a[ma hvcrew,qhsan\ ouvk e;stin o` poiw/n crhsto,thta( Îouvk e;stinÐ e[wj e`no,jÅ

39 10-12절 10)기록한바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11)깨닫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찾는 자도 없고
12)a)다 치우쳐 한가지로 무익하게 되고 b)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

40 구약의 배경 시 14:1-3(참조 시 53:1-3)

41 13-18절 13) 저희 목구멍은 열린 무덤이요 그 혀로는 속임을 베풀며 그 입술에는 독사의 독이 있고
14) 그 입에는 저주와 악독이 가득하고 15) 그 발은 피 흘리는데 빠른지라 16) 파멸과 고생이 그 길에 있어 17) 평강의 길을 알지 못하였고 18) 저희 눈앞에 하나님을 두려워함이 없느니라 함과 같으니라

42 구약적 배경 시 5:9(13절); 시 140:3(13b); 시 10:7(14절); 잠 1:16(15절); 시 36:1(18절). 본문에서 동원된 신체의 부분들은 목구멍, 혀, 입술, 입, 발, 눈으로서 모두 죄를 짓는데 동원되는 것들이다. 이 모든 것이 모두 죄와 관련되어 총 동원된다. 이는 모든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인간이 죄인이라는 것을 더욱 확증해 주고 있는 것은 그들의 눈 앞에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는 것이다(18절).

43 19-20절 19)(a) oi;damen de. o[ti o[sa o` no,moj le,gei
toi/j evn tw/| no,mw| lalei/( (b) i[na pa/n sto,ma fragh/| kai. u`po,dikoj ge,nhtai pa/j o` ko,smoj tw/| qew/|\ 20)(a) dio,ti evx e;rgwn no,mou ouv dikaiwqh,setai pa/sa sa.rx evnw,pion auvtou/( (b) dia. ga.r no,mou evpi,gnwsij a`marti,ajÅ

44 19-20절 19) (a)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b)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19절) 20) (a)왜냐하면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b)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45 단어 의미 u`po,dikoj, on pert. to being liable to judgment/punishment, answerable, accountable

46 문맥 연구 10절에서 시작되는 죄의 우주적 범주에 대한 언급의 절정 10절과 20절은 inclusio를 형성한다.
1)Ouvk e;stin di,kaioj ouvde. ei-j (10절) 2)evx e;rgwn no,mou ouv dikaiwqh,setai pa/sa sa.rx evnw,pion auvtou/ (20절)

47 해석 19절: 심판의 우주적 적용 인간의 절대적 무능(the total exclusion)을 말하기 위해 율법을 가진 유대인들을 끌어 들인다(inclusion) 20절: 왜냐하면 유대인들에게 율법의 실행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의 실패는 모든 인간의 실패를 의미한다. 20절의 배경: 시 143:2

48 대반전:하나님의 의의 계시 (21-31절) A 하나님의 의의 나타남(1:17) B 하나님의 진노의 나타남(1:18)

49 ‘하나님의 의’의 나타남 (21-22절) 21) Nuni. de. cwri.j no,mou dikaiosu,nh qeou/
pefane,rwtai marturoume,nh u`po. tou/ no,mou kai. tw/n profhtw/n( 22) dikaiosu,nh de. qeou/ dia. pi,stewj VIhsou/ Cristou/ eivj pa,ntaj tou.j pisteu,ontajÅ ouv ga,r evstin diastolh,(

50 20절과 비교 20)(a) dio,ti evx e;rgwn no,mou
ouv dikaiwqh,setai pa/sa sa.rx evnw,pion auvtou/( (b) dia. ga.r no,mou evpi,gnwsij a`marti,ajÅ

51 21-22절 21) 이제는 율법 외에(없이)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22)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52 단어 연구 diastolh,, h/j, h` difference, distinction 2:11의 ‘proswpolhyi,a’와 동의어

53 21-22절 해석 1)이제는(Nuni): 구속사적 성취의 전환 시점
2)22절은 21절의 ‘하나님의 의’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3)21절의 율법 없이(cwri.j no,mou ) 하나님의 의=22절의 예수님을 믿음으로 말미암는 하나님의 의20a의 ‘evx e;rgwn no,mou’과 대조 율법과 관계 없이 수여되는 하나님의 의 4)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음: 구속사적 일관성4장의 아브라함 이야기를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 5)dia. pi,stewj VIhsou/ Cristou/: 의의 수여 방법예수님을 믿음으로최초의 언급 6)eivj pa,ntaj tou.j pisteu,ontaj:의의 수여 대상믿는 모든 자들에게 ‘하나님의 의’의 획득의 가능성 우주적 범주 7)차별이 없음: 심판에 대해서 차별을 없애고(2:11ouv ga,r evstin proswpolhyi,a para. tw/| qew/|Å) 하나님의 의에 대해서도 역시 차별을 제거

54 3:23-24 24) a) dikaiou,menoi b) dwrea.n c) th/| auvtou/ ca,riti
23)a) pa,ntej ga.r h[marton b) kai. u`sterou/ntai th/j do,xhj tou/ qeou/ 24) a) dikaiou,menoi b) dwrea.n c) th/| auvtou/ ca,riti d) dia. th/j avpolutrw,sewj th/j evn Cristw/| VIhsou/\

55 23-24절 23)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24) d)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c)하나님의 은혜로 b)값 없이 a)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56 23-24절 해석 1)23-26절: 하나님의 의의 계시(3:21-22)에 대한 구체적 설명
2)‘하나님의 의의 계시’는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여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는 절박한 정황 가운데 발생(23절) (1)1:18-1:32 이방인들의 죄와 심판 (2)2장 이방인을 판단하는 유대인들의 한계 (3)3:1-20 하나님은 신실하지만 유대인은 신실하지 못했다모든 인간의 한계를 증명. 3)‘하나님의 영광’(th/j do,xhj tou/ qeou/): 참 인간됨(참조 창 1:26-28; 시 8:6) 4)의롭게 되는 것(dikaiou,menoi)(24절): 하나님의 영광에 동참 창조의 회복 5)하나님의 은혜=값 없이(21절의 율법 없이)=그의 피로 새로운 패러다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dia. th/j avpolutrw,sewj)(24d): 하나님의 의의 계시를 가능케 한 사건. 범죄한 모든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됨(24a)

57 25-26절 25) a) o]n proe,qeto o` qeo.j i`lasth,rion
b) dia. Îth/jÐ pi,stewj c) evn tw/| auvtou/ ai[mati d) eivj e;ndeixin th/j dikaiosu,nhj auvtou/ e) dia. th.n pa,resin tw/n progegono,twn a`marthma,twn 26) a) evn th/| avnoch/| tou/ qeou/( b) pro.j th.n e;ndeixin th/j dikaiosu,nhj auvtou/ evn tw/| nu/n kairw/|( c) eivj to. ei=nai auvto.n di,kaion kai. dikaiou/nta to.n evk pi,stewj VIhsou/Å

58 번역 25) a)이 예수를 하나님이 c)그의 피로 인하여 b)믿음으로 말미암는 a)화목 제물로 세우셨으니
e)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d)자기의 의로우심(의)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26) b)곧 이 때에(지금) 자기의 의로우심(의)을 나타내사 c)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니라(한글 개역+사역)

59 단어 연구 i`lasth,rion, ou, to,: 1. means of expiation: 속죄의 수단
2. place of propitiation(속죄소); mercy seat or cover placed over the ark of the covenant in the Holy of Holies of the Temple(Exod 25:17-22). 이 덮개는 구속의 날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레 16장) 대 제사장은 죄의 용서와 화해의 표시로서 죽임을 당한 염소의 피를 그 속죄소 위에 뿌린다. 번역: ‘화목 제물’이라는 번역 보다는 ‘속죄의 수단’(means of expiation)(Byrne); 구속의 희생제물(sacrifice of atonement)(NIV; NRS); 구속의 장소(속죄소)(a place of atonement)(NRS 각주)

60 구문 연구 25d의 ‘eivj e;ndeixin th/j dikaiosu,nhj auvtou/’와 26b의 ‘pro.j th.n e;ndeixin th/j dikaiosu,nhj auvtou/’는 서로 평행적 관계 26b와 26d(eivj to. ei=nai auvto.n di,kaion kai. dikaiou/nta to.n evk pi,stewj VIhsou/)의 관계:

61 25-26절 해석 1) 25-26절은 24절의 ‘구속’에 대한 설명 2)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화목제물(i`lasth,rion)로 세우셨다(25a): 3) 믿음을 통하여(dia. Îth/jÐ pi,stewj)(25b): 인간의 영역이러한 시스템은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이다 화목제물에 대한 효과는 믿음으로 말미암는다 3) 그의 피로 인하여(evn tw/| auvtou/ ai[mati): 화목 제물은 그의 피로 인하여 세워진 것이다(25c)죽음언약의 피저주를 해결 ‘i`lasth,rion’과 잘 연결됨 4) 예수님을 화목제물로 세우신 목적: 1)하나님의 의로움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25d; 26b) 2)자신의 의로우심과 그를 믿는 자들을 의롭다 하심을 나타내시기 위함(26c). 5) ‘오래 참으시는 중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25e): 하나님의 의의 계시는 ‘오래 참으심’과 ‘지은 죄를 간과하심’의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6) 지금(evn tw/| nu/n kairw/|)(21절의 ‘nuni,’와 동일): 하나님의 의로우심의 계시의 시점이 지금이며 그것은 이미 이루어졌다.

62 27-28절 b) evxeklei,sqhÅ c) dia. poi,ou no,mouÈ d) tw/n e;rgwnÈ
27) a) Pou/ ou=n h` kau,chsijÈ b) evxeklei,sqhÅ c) dia. poi,ou no,mouÈ d) tw/n e;rgwnÈ e) ouvci,( avlla. dia. no,mou pi,stewjÅ 28) logizo,meqa ga.r dikaiou/sqai pi,stei a;nqrwpon cwri.j e;rgwn no,mouÅ

63 27-28절 27) a)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냐 b)있을 수가 없느니라 c)무슨 법으로냐 d)행위(들의 법으)로냐
e)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생각)하노라

64 단어 연구 evxeklei,sqh vb ind aor pass 3rd prs sing from evkklei,w
1. to exclude or withdraw from fellowship, shut out, exclude tina, someone Gal 4:17 Pass. ev. avpo. po,lewj be excluded fr. one’s home city Hs 1:5. e;xw th/j qu,raj tou/ pu,rgou be shut outside the door of the tower v 3, 9, 6 (cp. Jos., Vi. 294). 2. to make no room for, exclude, shut out

65 27-28절 1)자랑할 것이 없다(27ab): 25-26절에 대한 결론. 왜 자랑할 것이 없는가? 율법의 행위를 이루어서가 아니라 심판 아래 있는 인간에게 하나님께서 의롭게 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모두 마련해 주셨기 때문(25-26절 참조) 2)25-26절의 결론으로 의롭다 함을 얻는 것은 행위의 법(tw/n e;rgwn=율법)(참조 3:19-20)이 아니라 믿음의 법(dia. no,mou pi,stewj)으로 말미암는다(27절) 3)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cwri.j e;rgwn no,mou)(=행위의 법)에 있지 않고 믿음(pi,stei)(=믿음의 법)으로 된다(28절)

66 29-31절 o]j dikaiw,sei peritomh.n evk pi,stewj
29)a) h' VIoudai,wn o` qeo.j mo,nonÈ b) ouvci. kai. evqnw/nÈ nai. kai. evqnw/n( 30) ei;per ei-j o` qeo.j o]j dikaiw,sei peritomh.n evk pi,stewj kai. avkrobusti,an dia. th/j pi,stewjÅ 31)a) no,mon ou=n katargou/men dia. th/j pi,stewjÈ b) mh. ge,noito\ avlla. no,mon i`sta,nomenÅ

67 29-31절 29)하나님은 홀로 유대인의 하나님 뿐이시뇨 또 이방인의 하나님은 아니시뇨 진실로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시느니라
30)(왜냐하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또는 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라 31) a)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폐하느뇨 b)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68 단어 연구 ei;per: 참으로(indeed), … 때문에(since)

69 문맥 4장에서 아브라함을 통한 믿음의 원리


Download ppt "로마서 3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