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단원 5> 스포츠 집단과 리더십 - 스포츠 집단의 이해 - 리더십의 이해.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단원 5> 스포츠 집단과 리더십 - 스포츠 집단의 이해 - 리더십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1 단원 5> 스포츠 집단과 리더십 - 스포츠 집단의 이해 - 리더십의 이해

2 1. 집단의 정의 Cartwright와 Zander(1968): 몇 개의 중요한 사항에 대한 상호의존적인 개인의 집합
Deutsch(1973): 상호의존적인 목표를 추구한다는 인식을 함께하는 개인들 Lewin(1948): 유사성이 아닌 상호의존에 의해 결정되는 힘 Newcomb(1943): 규칙의 수용과 규범의 공유 Handy(1993): 모든 집단은 개인들의 집합체 일 수 있으나 모든 개인들의 집합이 집단은 아니다 은희관(2003): 동일한 목표를 공유하는 상호의존적인 개인의 집합

3 <집단의 특성> 공유 목표 , 구성원으로 얻어지는 이익의 지각, 지속의 예상
공유 목표 , 구성원으로 얻어지는 이익의 지각, 지속의 예상 목표를 위한 자발적 협조, 다른 구성에 대한 신뢰와 수용 집단 구조의 공유된 인식,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정체성 상호의존적 정보 공유 Greenberg(1993): 의사소통을 통한 두 사람 이상의 집합체, 공동의 목표, 상호작용, 구성원으로서의 지각 집단 구성의 필요 조건 결론> 상호 의존적, 구성원, 공유된 목표

4 공식집단과 비공식 집단의 특성 비교 <비공식 집단의 장점> 작업 수행을 지원 공식적 구조의 원칙에 대한 문제 보완
공식집단과 비공식 집단의 특성 비교 <비공식 집단의 장점> 작업 수행을 지원 공식적 구조의 원칙에 대한 문제 보완 의사소통의 부가적 경로 구성원에 대한 정서적 지원 더욱 좋은 경영 활동 촉진 <단점> 공식집단의 목적에 역행 가능 예측가능성과 통제의 정도 감소 실천 가능한 대체 방법이 한정 일의 완성을 위한 소요 시간 증대 특성 공식집단 비공식집단 목적 원천 구조 영향력 지향성 리더십 지속성 주된 연구 영역 과업의 달성 경영관리자 공식적(경직성) 공식적 권한(인정된 권한) 과업 지향 공식적 리더 영구적 고된 이론(성과) 구성원의 만족 개인 구성원 비공식적(융통성) 특성(권한이 거의 없음) 인간 관계 지향 비공식적 리더 일시적 신고전이론(인간관계)

5 2. 스포츠팀의 응집력 1) 집단과 팀 -응집력(cohesiveness): 굳게 결합하다(cohaesus)
- 집단: 목표를 위한 상호 작용과 상호 의존하는 개인의 집합 집단 요소: 소속감, 공통의 목표, 구조화된 상호 작용, 개인과 과제의 상호 의존성, 대인 매력, 구성원의 복지, 동료와의 상호 도움에 대한 신뢰 (우리), 집단에 성실히 참여, 동료에 대한 관심 1) 집단과 팀 -팀은 구성원의 구분이 쉽지만 집단은 어려울 수 있다 -팀은 광범위한 공동 목적을 갖고 집단은 높은 목적의 합의도를 갖고 있지 않다 -팀이 과업에 대한 상호의존도 가 높다(집단은 개별적 성취) -팀은 더욱 전문화된 역할 담당 (수비, 타자, 투수 등) -응집력(cohesiveness): 굳게 결합하다(cohaesus) Lewin(1941): 집단 구성원에 작용하는 심리적인 힘 개인수준: 친화성,좋아함, 존경, 진실성 집단수준: 우리의 느낌 Festinger(1950) 등: 구성원을 집단 내에 머물게 하는 모든 힘(우정,지도자, 성적) -> 머물고 싶은 정도에 의해 평가

6 대인관계, 훈련관리, 고유행동관리,생활관리, 몸관리, 정신력 관리
집단 응집력의 변화 단계(Forsyth,1983) 응집 정도 변화 유형 일체감 집단의 정체성 최고 구성원의 안정성 낮은 결석, 낮은 이탈, 적극 가담 구성원의 수용이 높다 구성원의 만족 구성원들이 즐거움을 느낌 자긍심, 안전성 증가, 낮은 불안 구성원 간 상호 집단 영향이 큼,목표,의사결정 작용 규범에 대한 수용 증대, 불일치 에 대한 반발 가능, 동일화를 위한 압력 증가 Mudrack(1989): 분열에 대한 집단의 저항 요인(패배,특정인의 지배,선배의 비판) 즉, 성원이 집단을 떠나려는 것을 막는 힘 저항 매력과 저항을 모두 포함 Carron(1982) : 팀 응집력은 집단의 목적과 목표를 추구하기 위하여 집단에 남아 있으려고 하는 경향 내에 존재하는 역동적 과정 대인관계, 훈련관리, 고유행동관리,생활관리, 몸관리, 정신력 관리

7 Cartwright(1968)의 팀 응집력 개념 모형

8 - 강효민 등(2000) : 스포츠 참가에 대한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매력의 차이
Carron(1984) : 집단 응집력 모형 인성과 응집력의 관계를 중시 3. 스포츠 팀 응집력 결정 요인 어려움과 실패시 강화 경쟁지향 수준, 목표지향 수준, 승리지향 수준의 고저 와해 요소: 강요, 좌절-공격 관련 요인, 구성원의 일탈 학습 집단의 크기: 6:6 농구 경기, 강사 만족도 는 집단의 크기가 클 수록 줄어듬(3-6명이 적당) 유쾌와 만족 정도 - 보상 확신 Carron(1982): 스포츠팀 응집력 요인 - 강효민 등(2000) : 스포츠 참가에 대한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매력의 차이 - 경쟁지향 수준, 목표 지향 수준, 승리지향 수준이 높은 집단

9 4. 스포츠팀 응집력 평가 -스포츠응집력 검사지: 대인간 매력(우정), 집단이 개인에게 주는 매력(성원의 소속감),성원간 유사성(믿음과 태도), 집단 참여(남아있고 싶은 매력) - 스포츠응집력 검사지(Sport cohesiveness questionnaire:SCQ)성원이나 팀에 대한 매력 만을 평가 - MSCI(Multidimensional sport cohesion instrument: Yukelson 등, 1984) <Yukelson 등:1984: 농구선수) -팀웍의 질: 성원들의 협력 정도 -집단의 매력: 성원간 매력 정도와 만족 -목표 공유: 규칙,헌신 -역할가치: 소속감 집단응집력 평가지(Carron 등,1987): 집단 환경에 관한 18개 문항: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 GEQ) 집단 응집력 결정 요인 증대시키는 요인 감소시키는 요인 집단 간의 직접적인 경쟁상태 구성원의 개인적 매력 집단에 대한 외부의 호평 빈번한 상호작용 목적에 대한 구성원의 일치감 구성원들의 높은 동질성 성숙도가 높은 집단 상대적으로 작은 집단 성공의 경험 집단 내의 경쟁상태 몇몇 사람에 의한 지배 이질적인 집단 최근 형성 집단 대규모 집단 목적에 대한 의견 불일치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음 불쾌한 실패의 경험

10 집단 응집력의 원인과 결과 응집력, 규범 및 업적의 관계

11 5. 스포츠팀 응집력과 수행력 3) 스포츠 종목과 응집력 1)응집력과 집단 수행력 2)응집력과 개인 수행력
-응집력이 높으면 생산성 증가 -높지만 생산성 부정->낮은 생산 -응집력 낮으면 중간 수준의 생산성 -매개 변수의 중요성 1)응집력과 집단 수행력 -스포츠 수행 역시 매개 변수가 중요 일반적으로 응집력이 높으면 수행력 증가(의사소통, 부적 상황에 대한 저항) 2)응집력과 개인 수행력 역할 수행력 증가 심리적 안정감, 자기 존중, 신뢰감 등 상승에 의한 만족, 성공에 대한 책임 실패시 원인을 타인에게 부가 Widmeyer 등(1993): 83%, 16-40%의 설명력 Carron 등(1977) : 높은 상관 실패는 응집력 파괴 순환적 관계 3) 스포츠 종목과 응집력

12 7. 스포츠와 리더십 리더십이란? Fleishman(1973): 어떤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의사소통과정을
6. 응집력 향상 방안 정기적 회의(갈등해소) 개인의 노력에 의한 팀 성공 설명 달성 가능한 목표 긍지와 자부심 파벌 止揚 정체성 갑작스러운 보직 이동 삼가 공식,비공식적 리더를 파악 존중 구성원의 개인적 상황 파악 실수에 대한 질책보다 긍정적인 면 우선 부각 리더십이란? 리더십: 리더가 보여 주는 능력 Fleishman(1973): 어떤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의사소통과정을 통한 개인간의 영향력을 행사하 는 시도 Lassey 등(1983): 목표 달성을 위하여 영향력을 발휘하고 상호 작용하며, 선도하는 역할을 포함 하여 집단 내부의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는 역할

13 리더십 구분(Stogdill,1974) (1) 특성 이론 리더의 성격은 따로 있고 태어난다(안정적 성격 특성)
상황과 특성의 상호작용 Hendry(1974): 훌륭한 코치는 강인함, 권위적, 융통성이 없고, 상황 장악 능력, 외부의 압력에 의지, 독단적 사고, 감정 억제, 현실적 태도 Sage(1975): 권위적, 교육적, 조작적임 박정근(2001): 우수 코치는 성실성, 노력, 사랑, 선수 육성 능력, 공부하는 자세, 선수 관리 순 일관성 결과 부재 -리더의 스타일, 상황, 상호작용 형태 등을 고려하여 구분 -집단화의 기능, 성격, 추종을 위한 유인, 영향력의 발휘, 설득 유형, 일련의 행동, 지도력의 관계, 목표성취 수단, 상호작용 효과, 차별화된 역할, 구조화 주도성 등 2) 리더십 이론 특성 이론 상황부합 이론 참여 이론 -지배력 다면연합모형 규범 모형 등

14 (3) 참여 이론 (2) 상황 부합 모형 - 권위주의적, 자유방임적, 민주적으로 구분
Fiedler(1981): 같은 특성이라도 상황에 따라 변화, 같은 상황이라도 변화 관계지향성: 상호 협조, 긍정적 상호 관계, 과제보다 중요(중요한 목적 인식 중요) 과제지향적: 작업이 일차적 목표, 과제의 성취도가 구성원의 관계 유지에 중요(언어적 강화의 중요성, 집단 의식에 대한 필요성 인식 중요) 스포츠에선 두 상황 중요

15 (4) 권력 정의: 조작과 기만, 비합법적인 통제에서 집단의 의지를 강요하는 친절한 영향까지 포함(긍정적 부정적: 강요) 권력의 유형: -준거기준적 권력: 권력자의 특성 모방으로 많은 사람들이 한 사람의 특성이나 행동 유형에 의해 영향받고 그를 존경하고 그와 동일시되기 위해 노력할 때 그 대상이 갖는 권력 -합법적 권력: 사회적인 위치와 공식적인 권력 -전문적 권력: 전문성에 의해 인정 -보상권력: 긍정적, 부정적 면을 적절히 분배하는 지도자의 능력을 기반(긍정적 강화, 성취 수준에 따른 비공식적 강화, 리더의 유일한 보상, 집단 평가 능력) -강제적 권력: 최후의 수단 (5) 다면연합 모형

16 다면연합 리더십 (LSS: Chelladurai, Saleh:1980):측정
3) 리더십 역할 -집단의 특성과 상황적 요소(집단의 태도, 기대 등) 중요 -집단의 목표 성취 도움,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 -목표 설정, 구성원의 지도, 상호작용의 향상, 응집력 구축 다면연합 리더십 (LSS: Chelladurai, Saleh:1980):측정 <결과> -선수의 연령과 경력 증가 권위적 선호(대학) -성별 차(남: 권위적, 여:참여, 민주적) -과제 지향 선수: 훈련과 지도 행동 선호 -소속감, 유대 관계 중시사회적 지지 -기술 수준(높은 선수: 더 많은 훈련,민주적, 긍정적 피드백) -종목별(배구 등 상호작용형과 전통스포츠: 권위)

17 직접적으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접근 방식, 아직 고려되지 않은 새로운 해결책 추천
집단에 있어서 리더의 역할 역 할 기 능 제안자 직접적으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접근 방식, 아직 고려되지 않은 새로운 해결책 추천 정보탐색자 타인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활용 가능한 정보 수집을 강조 의견탐색자 태도와 가치, 감정과 같은 좀 더 질적인 자료를 수집 정보전달자 전문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포함해 의사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전문상담자 타인들이 지적한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제공(수정, 보완, 예측) 조정자 각 아이디어의 관련성과 전체적인 목표에 대한 관련성 제공 방향제시자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주제에 대한 논의 등을 재고 평가자 논리와 실제 적용성 또는 방식과 관련해 집단의 노력 정도를 평가 격려자 토론이 진행되지 않을 때 계속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집단을 격려 진행기술자 재료와 기계 등과 같은 운영세부 사항을 관리 기록자 비서 업무를 수행 동의, 배려, 기쁨 등을 통하여 타인을 보상 구성원 간 갈등을 해결 중재자 구성원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 각 자의 주장을 양보하도록 함 촉진자 구성원의 동등한 참여와 의사결정 과정을 위해 적절한 의사소통 기준설정자 집단화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규범 등에 대한 토론 및 요청 관찰자 집단 내 구성원 간 상호작용의 문제를 지적하고 가능한 것은 수정 추종자 타인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집단으로부터 의견을 청취


Download ppt "단원 5> 스포츠 집단과 리더십 - 스포츠 집단의 이해 - 리더십의 이해."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